[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1393B1 -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393B1
KR101081393B1 KR1020090102658A KR20090102658A KR101081393B1 KR 101081393 B1 KR101081393 B1 KR 101081393B1 KR 1020090102658 A KR1020090102658 A KR 1020090102658A KR 20090102658 A KR20090102658 A KR 20090102658A KR 101081393 B1 KR101081393 B1 KR 10108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gas pressure
pressure sensor
boiler
lower ca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06A (ko
Inventor
장석후
김창현
송기풍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3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3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 일측에 흡기구(11)가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하부케이싱(10); 하부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단부에 코어통로(21)가 마련된 상부케이싱(20); 상, 하부케이싱(20,10)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다이아프램(30); 다이아프램(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체(40); 승강체(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삽입 승강되는 페라이트코어(50); 코어통로(21) 외측에 배치되어 페라이트코어(50)의 승강위치변화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코일(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0) 하부에 이 다이아프램(30)으로의 가스유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홀(71)이 형성된 오리피스캡(7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이 손상되더라도 오리피스캡을 통해 가스가 소량만 누설되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이아프램의 저면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스톱퍼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하부케이싱, 다이아프램, 오리피스캡, 스톱퍼

Description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Gas pressure sensor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오리피스캡을 설치하고 또한 다이아프램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스톱퍼를 마련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이 손상되더라도 오리피스캡을 통해 가스가 소량만 누설되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톱퍼를 개재시켜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가스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위치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에 따라 페라이트코어도 위치가 변하면서 결과적으로 가스압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고유의 주파수를 갖는 압력센서를 말한다.
일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단 일측에 흡기구(11)가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하부케이싱(10)과, 이 하부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단부에 코어통 로(21)가 마련된 상부케이싱(20)과, 이 상, 하부케이싱(20,10)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다이아프램(30)과, 이 다이아프램(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체(40)와, 이 승강체(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삽입 승강되는 페라이트코어(50)와, 상기 코어통로(21) 외측에 배치되어 페라이트코어(50)의 승강위치변화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코일(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흡기구(11)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케이싱 내부의 다이아프램(30)으로 압력을 가해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이 다이아프램(30)과 일체로 결합된 승강체(40)도 같이 상승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승강체(40)에 결합된 페라이트코어(50)가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페라이트코어(50)는 코어통로(21)를 따라 승강하는 중에 코어통로(21)에 수용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코일(60)이 갖는 리액턴스값을 변화시켜, 즉 페라이트코어(50)가 코일(60) 내부로 진입하는 위치에 따라 비례적으로 리액턴스값이 커지며 이에 따라 발진 주파수는 반대로 작아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가스압력센서는 고유의 주파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다이아프램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아무런 제한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이 손상되면 다량의 가스가 누설되어 이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다이아프램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의 하강시 이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면서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하락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오리피스캡을 설치하고 또한 다이아프램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스톱퍼를 마련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이 손상되더라도 오리피스캡을 통해 가스가 소량만 누설되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톱퍼의 개재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하단 일측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단부에 코어통로가 마련된 상부케이싱; 상기 상, 하부케 이싱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의 코어통로로 삽입 승강되는 페라이트코어; 상기 코어통로 외측에 배치되어 페라이트코어의 승강위치변화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 하부에 이 다이아프램으로의 가스유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홀이 형성된 오리피스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캡의 하부에 유입되는 가스 내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리피스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홀이 필터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리피스홀이 형성된 오리피스캡의 중앙부위가 필터의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볼록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캡의 테두리에 이 오리피스캡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벽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밀착벽체는 오리피스캡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저면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이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램이 일정거리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테두리에 이 스톱퍼가 하부케이싱의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이격돌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부는 스톱퍼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오리피스캡을 설치하고 또한 다이아프램과 하부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스톱퍼를 마련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이 손상되더라도 오리피스캡을 통해 가스가 소량만 누설되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톱퍼를 개재시켜 다이아프램이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하단 일측에 흡기구(11)가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하부케이싱(10)과, 이 하부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단부에 코어통로(21)가 마련된 상부케이 싱(20)과, 상기 상, 하부케이싱(20,10)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승강되며 저면에 결합돌부(31)가 마련된 다이아프램(30)과, 이 다이아프램(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체(40)와, 이 승강체(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삽입 승강되는 페라이트코어(50)와, 상기 코어통로(21) 외측에 배치되어 페라이트코어(50)의 승강위치변화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코일(60)과, 상기 다이아프램(30) 하부에 이 다이아프램(30)으로의 가스유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홀(71)이 형성된 오리피스캡(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캡(70)의 하부에는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내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리피스홀(7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필터(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홀(71)이 필터(80)의 상면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리피스홀(71)이 형성된 오리피스캡(70)의 중앙부위가 필터(80)의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볼록부(72)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캡(70)의 테두리에는 이 오리피스캡(70)이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벽체(7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벽체(73)는 오리피스캡(7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저면과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 다이아 프램(30)이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램(30)이 일정거리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90)의 테두리에는 이 스톱퍼(90)가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이격돌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돌부(91)는 스톱퍼(9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 설명부호 92는 다이아프램(30)의 결합돌부(31)가 관통 결합되도록 스톱퍼(90)의 중앙에 관통된 결합홀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는 흡기구(11)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우선 필터(80)를 거쳐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방의 오리피스캡(70)의 오리피스홀(71)을 통해 최소한의 유량만 누설되도록 한다.
이렇게 초소한의 유량만이 누설되어 그 상방의 다이아프램(30)으로 압력을 가해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이 다이아프램(30)과 일체로 결합된 승강체(40)도 같이 상승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승강체(40)에 결합된 페라이트코어(50)가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페라이트코어(50)는 코일(60)이 갖는 리액턴스값을 변화시켜, 즉 페라이트코어(50)가 코일(60) 내부로 진입하는 위치에 따라 비례적으로 리액턴스값이 커지며 이에 따라 발진 주파수는 반대로 작아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가스압력 센서는 고유의 주파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스톱퍼(90)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하거나 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과 고착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싱 11 : 흡기구
20 : 상부케이싱 21 : 코어통로
30 : 다이아프램 31 : 결합돌부
40 : 승강체 50 : 페라이트코어
60 : 코일 70 : 오리피스캡
71 : 오리피스홀 72 : 볼록부
73 : 밀착벽체 80 : 필터
90 : 스톱퍼 91 : 이격돌부
92 : 결합홀

Claims (8)

  1. 하단 일측에 흡기구(11)가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하부케이싱(10);
    상기 하부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단부에 코어통로(21)가 마련된 상부케이싱(20);
    상기 상, 하부케이싱(20,10)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다이아프램(30);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체(40);
    상기 승강체(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20)의 코어통로(21)로 삽입 승강되는 페라이트코어(50);
    상기 코어통로(21) 외측에 배치되어 페라이트코어(50)의 승강위치변화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코일(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0) 하부에 이 다이아프램(30)으로의 가스유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홀(71)이 형성된 오리피스캡(70)과
    상기 오리피스캡(70)의 하부에 유입되는 가스 내의 이물질에 의해 오리피스홀(7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홀(71)이 필터(80)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리피스홀(71)이 형성된 오리피스캡(70)의 중앙부위가 필터(80)의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볼록부(72)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캡(70)의 테두리에 이 오리피스캡(70)이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벽체(7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벽체(73)는 오리피스캡(7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저면과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 사이에 이 다이아프램(30)이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램(30) 이 일정거리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스톱퍼(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90)의 테두리에 이 스톱퍼(90)가 하부케이싱(10)의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이격돌부(9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부(91)는 스톱퍼(9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KR1020090102658A 2009-10-28 2009-10-28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Active KR10108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58A KR101081393B1 (ko) 2009-10-28 2009-10-28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58A KR101081393B1 (ko) 2009-10-28 2009-10-28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06A KR20110045906A (ko) 2011-05-04
KR101081393B1 true KR101081393B1 (ko) 2011-11-08

Family

ID=4424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58A Active KR101081393B1 (ko) 2009-10-28 2009-10-28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7630B (zh) * 2016-10-14 2022-04-19 厦门帅科卫浴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热水器控制装置
CN110547674B (zh) * 2019-09-10 2025-03-18 惠州市铂蓝德科技有限公司 传感器及电压力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517A (ja) * 1997-06-04 1998-12-18 Denso Corp センサ装置
JP2002174560A (ja) * 2000-12-07 2002-06-21 Techno Excel Co Ltd 変位センサ
JP2005043119A (ja) 2003-07-24 2005-02-17 Honda Motor Co Ltd 圧力検出表示装置および圧力検出表示装置を用いた目詰まり検出装置
JP2007132696A (ja) 2005-11-08 2007-05-31 Denso Corp 圧力センサおよび圧力センサ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517A (ja) * 1997-06-04 1998-12-18 Denso Corp センサ装置
JP2002174560A (ja) * 2000-12-07 2002-06-21 Techno Excel Co Ltd 変位センサ
JP2005043119A (ja) 2003-07-24 2005-02-17 Honda Motor Co Ltd 圧力検出表示装置および圧力検出表示装置を用いた目詰まり検出装置
JP2007132696A (ja) 2005-11-08 2007-05-31 Denso Corp 圧力センサおよび圧力センサ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06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42B2 (ja) ノッチを設けた可撓性スカートを有する圧力調理器のガスケット
US6959720B2 (en) Over-fueling prevention valve
KR101537252B1 (ko) 드럼의 저장유체배출용 커플러
WO2018145491A1 (zh) 浮子阀动作检测装置、锅盖组件及压力烹饪器具
KR102253339B1 (ko)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KR101081393B1 (ko) 보일러용 가스압력센서
KR20200142060A (ko) 밸브 장치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JP2013136263A5 (ko)
EP3441102B1 (en) Humidification chamber having suspension type float
KR100856028B1 (ko) 맨홀뚜껑의 가스 방출밸브
JP2008175506A (ja)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CN101922579A (zh) 一种自动限流节水嘴
KR20110045907A (ko) 보일러용 비례전자밸브
US10214887B2 (en) Diaphragm disk
JP6602088B2 (ja) キャップ
CN204734366U (zh) 上盖组件及电热水壶
JP2014199019A (ja) 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5827573B2 (ja) バルブ
JP5101461B2 (ja) 排気弁
JP2010253975A (ja) 満タン検知手段を備える弁装置の構造
JP5220380B2 (ja) 排気弁
KR20210061625A (ko) 펌프 용기
KR200475081Y1 (ko) 진공 보관을 위한 와인스토퍼
KR102069540B1 (ko) 압력솥용 비복귀식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