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81B1 - Method of increasing call success rate and reducing system impedance under ev-do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of increasing call success rate and reducing system impedance under ev-do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1181B1 KR101081181B1 KR1020080136628A KR20080136628A KR101081181B1 KR 101081181 B1 KR101081181 B1 KR 101081181B1 KR 1020080136628 A KR1020080136628 A KR 1020080136628A KR 20080136628 A KR20080136628 A KR 20080136628A KR 101081181 B1 KR101081181 B1 KR 101081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net
- pcf
- call
- request message
- bs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의 제어에 속하는 제1 서브넷 및 제2 서브넷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호 처리 방법은 제1 서브넷에 있는 단말기(Access Terminal: AT)가 제2 서브넷으로 이동한 후 제2 서브넷에서 AT에 대한 세션이 복구되기 전에 수행된다. 우선 PDSN이 제1 서브넷으로 착신 호를 전송한다. 제1 서브넷은 착신 호의 수신에 기초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 서브넷으로 전송한다.
도먼트/아이들(dormant/idle) 핸드오프, PCF, EV-DO, PDSN, 호 성공률, 세션 복구(Session Retrie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process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subnet and a second subnet belonging to the control of on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This call processing method is performed after an access terminal (AT) in the first subnet moves to the second subnet and before the session for the AT in the second subnet is restored. First, the PDSN transmits an incoming call to the first subnet. The first subnet sends a service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to the second subnet.
Dormant / idle handoff, PCF, EV-DO, PDSN, call success rate, session retrieval
Description
본 발명은 EV-DO 시스템에서 가입자들의 발/착신호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넷(subnet) 경계 영역에 있는 단말기가 아이들/도먼트(Idle/Dormant) 상태로 서브넷 경계를 넘어가는 경우에 대해 착/발신 호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incoming / outgoing signals of subscribers and reducing the system load in an EV-DO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in the subnet boundary area is an idle / dorm (Id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incoming / outgoing calls and reducing the load of a system in case of crossing a subnet boundary in a Dormant state.
최근 이동통신분야의 급격한 기술 발전으로, 이동전화를 이용한 동영상, 멀티미디어 전송 등 차세대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패킷 데이터 처리를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 중의 하나인 EV-DO(EVolution Data Only)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구조를 가지는 대표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약 3.1Mbps의 순방향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ield, it has been provided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multimedia service such as video and multimedia transmission using a mobile phone, and a packet data service network for packet data processing has been proposed. EV-D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ne of such packet data service networks, is a representati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hannel structur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rovides a forward transmission speed of about 3.1 Mbps.
EV-DO 시스템은 크게 단말기(Access Terminal: AT), 무선접속 망 및 패킷 핵 심 망으로 구성된다. 무선접속 망은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기지국(BTS: Base Transmission Subsystem),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및 기지국의 제어기와 패킷 핵심 망을 연결하는 패킷 제어 기능부(Packet Control Function: PCF)를 포함한다. PCF는 기지국의 제어기와 패킷 핵심망을 연결하여 양자 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달 기능을 담당하고, 단말기에 대한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담당하는 세션 관리/이동성 관리부(SC/MM: Session Control/Mobility Management: SC/MM)를 구비한다. 한편, 패킷 핵심 망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AN(Access Network)-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AA 등을 포함한다.EV-DO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access terminal (AT), wireless access network and packet core network. A wireless access network includes a base transmission subsystem (B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for controlling a base station, and a packet control function for connecting a packet core network with a controller of the base station. : PCF). The PCF connects the controller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acket core network to transfer user traffic between them, and the session management / mobility management unit (SC / MM) manage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for terminals. MM). Meanwhile, the packet core network includes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an access network (A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AA), and an AAA.
PDSN에는 다수개의 PCF가 연결되어 있고, 각 PCF는 하나의 서브넷을 관할한다. 하나의 서브넷에 속한 단말기가 EV-DO 시스템하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 해당 서브넷을 관할하는 PCF는 단말기에게 해당 서브넷 내에서 유일한 UATI(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를 할당하고 해당 단말기에 대한 세션 정보(단말기와 무선접속 망 간의 파라미터 협상을 통해 결정된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UATI 및 세션 정보는 각 서브넷 별로 관리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하나의 서브넷(이하 "소스 서브넷")에서 다른 서브넷(이하 "타겟 서브넷")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기는 타겟 서브넷의 PCF로부터 새로운 UATI를 할당받고, 타겟 서브넷의 PCF는 소스 서브넷의 PCF와의 통신을 통해 세션 정보를 복구(retrieval)함으로써 계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CFs are connected to the PDSN, and each PCF manages one subnet. When a terminal belonging to one subnet initiat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nder the EV-DO system, the PCF managing the subnet assigns the terminal a unique 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UATI) within the subnet and sess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 database containing terminal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parameter negoti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network). Because UATI and session information are managed for each subnet, when a terminal moves from one subnet ("source subnet") to another ("target subnet"), the terminal allocates a new UATI from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In response,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may continuously perform communication by retrieving sess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단말기가 소스 서브넷에서 타겟 서브넷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기는 타겟 서브넷의 PCF로부터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되는 서브넷 ID를 수신하여, 서브넷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서브넷 변경을 인식하면 단말기는 소스 서브넷의 PCF와 연결된 세션을 종료하고, 타겟 서브넷의 PCF와 새로운 세션을 맺고 UATI를 재할당받는다. 그러나, 단말기가 새로운 서브넷(타겟 서브넷)을 인지하기 전, 즉 새로운 세션 정보가 타겟 서브넷의 PCF에 존재하기 전에 무선 통신망과 단말기 사이에 발/착신 호 시도가 있는 경우 이 호는 실패(fail)처리 된다.When the terminal moves from the source subnet to the target subnet, the terminal receives the subnet ID (broadcast) broadcast from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and recognizes that the subnet has changed. Upon recognizing the subnet change, the terminal terminates the session associated with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establishes a new session with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and reassigns the UATI. However, if there is an incoming / outgoing call attempt between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terminal before the terminal recognizes the new subnet (target subnet), that is, before the new session information is in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the call fails. do.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망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착신호의 경우, PDSN이 소스 서브넷의 PCF로만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는데(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세션과 이동성이 관리되는 영역으로만 페이징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스 서브넷의 PCF로만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함), 단말기는 소스 서브넷 영역에서 벗어나 타겟 서브넷 영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PDSN이 송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단말기가 타겟 서브넷을 인지하기 전에 호를 발신한 경우를 고려해 보면, 이 호는 소스 서브넷의 PCF로부터 할당받았던 UATI 및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데, 타겟 서브넷의 PCF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해당 발신 호를 끊고(session close), 실패 처리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하나의 서브넷에서 다른 서브넷으로 이동하는 경우, 새로운 서브넷을 인지하기 전에 발/착신 호가 발생하면, 해당 호는 이전 서브넷(소스 서브넷)과 연관된 세션 및 UATI에 기초하여 송/수신되기 때문에, 타겟 서브넷은 해당 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an incoming cal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terminal, the PDSN transmits a paging message only to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in the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ging processing is possible only to an area where session and mobility are managed). Since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only to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the terminal cannot receive the paging message transmitted by the PDSN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target subnet area away from the source subnet are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terminal originated the call before the target subnet was recognized, the call includes UATI and session information allocated from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and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manages sess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Because it is not doing so, it closes the outgoing call (session close) and fails. Therefore, when a terminal moves from one subnet to another, if an incoming / outgoing call occurs before it recognizes the new subnet, the call is sent / received based on the session and UATI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subnet (source subne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rget subnet cannot properly handle the call.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새로운 서브넷으로 이동하는 경우 UATI를 재할당 받고, 타겟 서브넷의 PCF가 소스 서브넷의 PCF로부터 세션을 복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데, 단말기의 핸드오프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타겟 서브넷 및 소스 서브넷의 PCF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한다. 특히, 가입자가 많은 영역에 대해서는 시스템의 용량을 고려하여 서브넷 영역을 작게 설정하는데, 서브넷 영역이 작게되면 서브넷 영역을 넘나드는 단말기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라 관련 서브넷의 PCF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moves to a new subnet, the UE receives reallocation of the UATI, and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vering the session from the PCF of the source subnet. The load on the PCF of the target subnet and source subnet is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area with many subscribers, the subnet area is set small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system. When the subnet area is small,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ross the subnet area is relatively frequent, so the load on the PCF of the relevant subnet is according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서브넷 경계에 있는 가입자가 아이들/도먼트 상태로 서브넷 경계를 이동할 경우 변경된 서브넷 인식에 따른 UATI 요청 절차가 수행되기 전이라도 호를 성공적으로 착신하도록 하고, 발신 호 또는 착신 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세션 복구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a subscriber at a subnet boundary moves a subnet boundary to an idle / doment state, the call is successfully performed even before the UATI request procedure according to the changed subnet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ducing the load on the system by performing a session recovery procedure only when an originating call or an incoming call occurs.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의 제어에 속하는 제1 서브넷 및 제2 서브넷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호 처리 방법은 제1 서브넷에 있는 단말기(Access Terminal: AT)가 제2 서브넷으로 이동한 후 제2 서브넷에서 AT에 대한 세션이 복구되기 전에 수행된다. 우선 PDSN이 제1 서브넷으로 착신 호를 전송한다. 제1 서브넷은 착신 호의 수신에 기초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 서브넷으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process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subnet and a second subnet belonging to the control of on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This call processing method is performed after an access terminal (AT) in the first subnet moves to the second subnet and before the session for the AT in the second subnet is restored. First, the PDSN transmits an incoming call to the first subnet. The first subnet sends a service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to the second sub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서브넷은 각각 제1 및 제2 패킷 제어 기능부(Packet Control Function: PCF) 및 제1 및 제2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상기 제1 서브넷의 상기 제1 BSC가 관할하는 셀로부터 상기 제2 서브넷의 상기 제2 BSC가 관할하는 셀로 이동한다. PDSN은 제1 PCF로 착신 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제1 PCF는 제1 BSC로 착신 호를 전달한다. 제1 서브넷이 착신 호의 수신에 기초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서브넷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착신 호를 전달받은 제1 PCF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 PCF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bnets include first and second packet control functions (PCFs) and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respectively. The terminal moves from a cell controlled by the first BSC of the first subnet to a cell controlled by the second BSC of the second subnet. The PDSN forwards the incoming call to the first PCF, and the received first PCF forwards the incoming call to the first BSC.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first subnet, the service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to the second subnet includes the first PCF receiving the incoming call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PC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request message includes an A13 paging request me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송신은 IP 클라우드(cloud)를 통해서 수행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of the service request message is performed through the IP clou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PCF는 제2 BSC를 통해 AT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CF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message transmits a paging message to the AT through the second BS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PCF가 제1 BSC로 착신 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제1 PCF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 PCF로 전송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CF forwarding the incoming call to the first BSC and the first PCF sending the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PCF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브넷 및 제2 서브넷은 서로 상이한 서브넷 ID 및 컬러 코드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net and the second subnet have different subnet IDs and color co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브넷 및 제2 서브넷은 동일한 서브넷 ID를 갖고 서로 상이한 컬러 코드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net and the second subnet have the same subnet ID and have different color codes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EV-DO 시스템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EV-DO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BSC는 IP-BTS(IP Base Transmission Subsystem)를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SC controls the IP Base Transmission Subsystem (IP-BTS).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컬러 코드(color code)와 각각 연 관된 제1 및 제2 서브넷 영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T가 제1 서브넷에서 제2 서브넷으로 이동시 제2 서브넷이 AT로부터 수신하는 호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우선, 제2 서브넷은 AT로부터 제1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 제2 서브넷은 접속 요청 메시지의 제1 컬러 코드와 제2 서브넷의 제2 컬러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및 제2 컬러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서브넷으로 세션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bnet regions associated with first and second color codes, respectively, when the AT moves from the first subnet to the second subnet, A method is provided for handling a call that a subnet receives from an AT. First, the second subnet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containing a first color code from the AT. Next, the second subne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lor code of the access request message matches the second color code of the second subne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nd second color codes do not match, recover the session to the first subnet. Send the request me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T는 제1 서브넷 영역에서 제2 서브넷 영역으로 아이들/도먼트 핸드오프한다.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idles / offers handoff from the first subnet area to the second subnet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서브넷 영역은 동일한 서브넷 ID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bnet regions have the same subnet I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브넷 경계에 있는 가입자가 아이들/도먼트 상태로 서브넷 경계를 이동하는 경우, 변경된 서브넷 인식에 따른 UATI 요청 절차가 수행되기 전이라도 Inter PCF Paging 기법을 통해 PDSN이 소스 서브넷 및 타겟 서브넷 모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가입자는 호를 성공적으로 착신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아이들/도먼트 상태에서는 세션 복구 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발신 호 또는 착신 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세션 복구 절차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타겟 및 소스 서브넷의 PCF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bscriber at a subnet boundary moves a subnet boundary to an idle / doment state, even if a UATI request procedure according to the changed subnet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PDSN may be sourced through the Inter PCF paging scheme. By sending a paging message on both the subnet and the target subnet, the subscriber can successfully receive the call. In addition, the subscriber can reduce the load on the PCF of the target and source subnet by performing the session recovery procedure only when an outgoing call or an incoming call occurs, and the session recovery procedure is not performed in the idle / dormant stat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lready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V-DO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V-DO 이동통신 시스템은, 크게 단말기(Access Terminal: AT, 110a 내지 110h), 기지국(Base Transmission Subsystem: BTS, 108a 내지 108h),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106a 내지 106d), 패킷 제어 기능부(Packet Control Function: PCF, 104a 및 104b)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102)로 구성된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V-D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EV-D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largely an access terminal (AT) 110a to 110h, a base transmission subsystem (BTS) 108a to 108h,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06a to 106d), a Packet Control Function (PCF) 104a and 104b, and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102.
AT(110a 내지 110h)는 각각 자신이 속해있는 영역을 관리하는 BTS(108a 내지 108h)와 역방향 및 순방향 무선 링크를 통해 BTS(108a 내지 108h)로부터 호를 착신하거나 BTS(108a 내지 108h)로 호를 발신한다. AT(110a 내지 110h)는 자신이 속한 셀에서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우선 고유 식별자인 UATI를 PCF(104a 및 104b)에 요청하고, PCF(104a 및 104b)와 세션 협상을 수행한다. 도 1에는 편의상 1개의 BTS가 담당하는 셀 내에 하나의 AT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복수의 AT가 하나의 셀 안에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다.The ATs 110a through 110h respectively receive calls from or make calls to the BTSs 108a through 108h and BTSs 108a through 108h through the reverse and forward wireless links with the BTSs 108a through 108h that manage their areas. Send. When the
BTS(108a 내지 108h)는 BTS 신호 프로세서(BTS Signaling Processor: BSP)를 포함하여 자신이 발/착신한 호를 처리하고 OAM을 수행한다. BTS(108a 내지 108h)는 각각 대응하는 BSC(106a 내지 106d)에 연결되어 있다. The
BSC(106a 내지 106d)는 자신에 연결된 BTS(108a 내지 108h)에 대하여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프 제어, 음성 및 패킷 처리 등을 수행한다. BSC(106a 내지 106d)는 자신이 발/착신한 호 처리 및 OAM 처리를 수행하는 호출 및 공통 제어 프로세서(Call & Common Control Processor: CCP)와 자신의 관리하는 복수의 BTS(108a 내지 108h)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선택 및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 처리를 하는 선택 프로세서(Selection Processor: SLP)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BSC에 64개의 BST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보다 많거나 적은 BST가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BSC(106a 내지 106d)는 각각 PCF 1 및 2(104a 및 104b)에 연결되는데, PCF 1 및 2(104a 및 104b)는 BSC(106a 내지 106d)와 PDSN(102)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CF 1 및 2(104a 및 104b)는 또한, 트래픽 전달 기능을 담당하고, 이동 단말에 대한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담당한다. PCF 1 및 2(104a 및 104b)는 PDSN(102)에 연결되어 PDSN(102)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공급받고, 각각 서브넷(112a, 112b)을 관할하며, 자신만의 서브넷 ID 및 컬러 코드(color code)를 보유한다. 도 1에는 편의상 2개의 PCF(104a 및 104b)가 PDSN(102)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더 많은 수의 PCF가 PDSN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BSCs 106a through 106d are connected to
PCF 1 및 2(104a 및 104b)는, 패킷 데이터 호를 처리하고 AT에 대한 세션 및 이동성 관리와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처리를 하는 패 킷 제어 프로세서(Packet Control Processor: PCP) 및 패킷 데이터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패킷 인터페이스 프로세서(Packet I/F Processor: PIP)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PCF 1(104a)에 내장된 PCP는 AT(110a, 110b, 110c, 110d)에 대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고, PCF 2(104b)에 내장된 PCP는 AT(110e, 110f, 110g, 110h)에 대한 세션 정보를 관리한다.PCFs 1 and 2 104a and 104b are packet control processors (PCPs) and packets that process packet data calls, manage session and mobility for ATs, and perfor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processing. It includes a packet interface processor (PIP) for handling the traffic of the data. Specifically, the PCP embedded in
도 1에서 AT(110d)가 아이들/도먼트 상태로 BTS(108d)가 담당하는 영역에서 BTS(108e)가 담당하는 영역으로 핸드오프 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아이들/도먼트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AT(110d)는 PCF 2(104b)로부터 새로운 UATI를 할당받고, 타겟 서브넷(112b)의 PCF 2(104b)가 소스 서브넷(112a)의 PCF 1(104a)로부터 세션을 복구(retrieval)한다. 이에 따라, 타겟 서브넷(112b) 영역으로 이동한 AT(110d)는 BTS(108e), BSC(106c) 및 PCF 2(104b)를 통해 PDSN(102)과 통신이 가능해진다. 다만, AT(110d)가 타겟 서브넷(112b) 영역으로 이동한 후 UATI 할당 절차 및 세션 복구가 완료되기 전에 PDSN(102)이 패킷 데이터를 AT(110d)로 송신하는 경우 호가 실패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AT가 서브넷 변경을 인지하지 못하여 세션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T(110d)로 송신되는 호는 실패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nter PCF paging 기법을 이용하여 호를 성공적으로 처리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Inter PCF paging 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FIG. 1, it may be assumed that the
도 2는 착신호 수신시 Inter PCF paging 기법을 이용하여 PDSN에서 소스 서 브넷 및 타겟 서브넷 양쪽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to both a source subnet and a target subnet in a PDSN using an inter PCF paging scheme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우선, PDSN(102)은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소스 서브넷(112a)의 PCF 1(104a) 내의 PIP(202a)로 전송한다(S402).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PIP(202a)는 AT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표시자(indicator)인 BufDataInd를 PCP(204a)로 전송한다(S404). PCP(204a)는 BufDataInd의 수신에 응답하는 BufDataRsp를 PIP(202a)로 송신하고, BSC(106b) 내의 CCP(206a)로 서비스 요청(ServiceReq) 메시지를 송신한다(S406). ServiceReq 메시지를 수신한 CCP(206a)는 BTS(108d) 내의 BSP(210a)를 경유하여 AT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S408), 페이징 메시지 전달의 성공 여부가 포함된 ServiceRsp 메시지를 PCP(204a)로 송신한다(S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T(110d)는 소스 서브넷(112a) 영역을 벗어나 타겟 서브넷(112b) 영역에 위치하므로, 페이징 메시지 전달의 송신 여부는 실패(fail)로 나타난다.First,
한편, PCP(204a)는 IP 클라우드(cloud)를 통해 인접하는 서브넷의 PCP들에게 A13 페이징 요청(A13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412). 도 2에서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406) 후에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412)가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단계는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서가 변경되어 진행될 수 있다. A13 페이징(A13 paging)이란, 복수의 PCF 사이에서 페이징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 이름으로, 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서브넷 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서브넷(112a)의 PCP(204a)는 타겟 서브넷(112b)의 PCP(204b)로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PCP(204b)로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소스 서브넷에 인접하는 서브넷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복수개의 서브넷 내의 PCP로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1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P(204b)는 단계 406과 유사하게, CCP(206b)로 ServiceReq 메시지를 송신한다(S414). ServiceReq를 수신한 CCP(206b)는 BTS(108e) 내의 BSP(210b)를 경유하여 AT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S416), 페이징 메시지 전달의 성공 여부를 ServiceRsp 메시지에 포함하여 PCP(204b)로 송신한다(S4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0d)는 소스 서브넷(112a) 영역을 벗어나 타겟 서브넷(112b) 영역에 위치하므로, 페이징 메시지 전달의 송신 여부는 성공(success)으로 나타난다. ServiceRsp 메시지를 수신한 PCP(204b)는 소스 서브넷(112a)의 PCP(204a)로 A13 Paging Request Ack 메시지를 송신한다(S420). 이와 같이, PDSN(102)은 소스 서브넷의 PCP(204a) 및 타겟 서브넷의 PCP(204b)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AT가 해당 AT에 대한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타겟 서브넷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성공적으로 호를 착신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A13 paging request messag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BTS가 설치된 영역을 AT가 통과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IP-BTS는 핫 스팟(Hot spot)에 설치되고 용량 증대용으로 소규모 지역을 담당하기 때문에, IP-BTS가 담당하는 셀은 다른 서브넷에 속한 여러 개의 BTS가 담당하는 셀들에 의해 둘러싸인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T passes through a region where an IP-BTS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since IP-BTS is installed in a hot spot and serves a small area for increasing capacity, a cell in which an IP-BTS is in charge is surrounded by cells in charge of several BTSs belonging to different subnets.
도시된 바와 같이, PDSN(102)에는 PCF 1(104a) 및 PCF 2(104b)가 연결되어 있고, PCF 1(104a) 및 PCF 2(104b)는 각각 자신의 서브넷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F 1(104a)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서브넷 ID는 0x61로 컬러 코드는 0x61로 설정되어 있고, PCF 2(104b)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서브넷 ID는 0x61로 컬러 코드는 0x62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F 1(104a)에 연결된 BSC(106a)는 4개의 BTS(108a, 108b, 108c, 108d)를 제어하고, 각 BTS는 자신의 셀(502, 504, 506, 508)을 담당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PCF 2(104b)에 연결된 BSC(106b)는 복수의 IP-BTS를 관리하는데 그 중 하나인 IP-BTS(108e)는 4개의 BTS(108a, 108b, 108c, 108d)에 의해 둘러싸인 셀(510)을 담당한다. As show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AT(110)가 아이들/도먼트 상태를 유지한 채로 BTS(108b)가 담당하는 셀(502)에서 IP-BTS(108e)가 담당하는 셀(510)을 거쳐 BTS(108d)가 담당하는 셀(508)로 이동하는 경우, 서브넷의 경계를 두 번 건너게 되지만 서브넷 ID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0x61로 변동이 없음) AT(110)는 서브넷 영역 변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세션 복구를 수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AT(110)가 셀(502)에서 셀(510)로 이동하게 되면, AT(110)는 PCF 2(104b)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브넷 ID(0x61)를 수신하게 되는데 기존의 PCF 1(104a)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었던 서브넷 ID(0x61)와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서브넷 영역이 달라졌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따라서 PCF 2(104b)와 PCF 1(104a) 간의 세션 복구가 수행되지 않는다. AT(110)가 셀(510)에서 셀(508)로 이동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세션 복구가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PCF 2(104b)와 PCF 1(104a)에 걸리는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As shown, 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AT(110)가 셀(502)에서 셀(508)까지 아이들/도먼트인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중간에 세션 복구 절차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AT(110)가 PCF 1(104a)이 관리하는 서브넷 영역으로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AT(110)가 셀(508)로 이동한 상태에서 착/발신 호가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UATI 설정 및 세션 복구 절차가 필요 없게 된다. 즉, AT(110)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UATI 및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UATI 설정 및 세션 복구 절차가 필요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AT는 액티브 상태(착/발신 호 상태)에 있는 시간 보다 아이들/도먼트 상태(서비스를 받지 않는 대기 상태)에 있는 시간이 훨씬 길기 때문에, 핸드오프가 일어난 경우 AT가 액티브 상태일 경우에 한하여 세션 복구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PCF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AT에 대해 핸드오프가 발생하더라도, AT가 아이들/도먼트 상태일 경우에는 세션 복구를 수행하지 않고 액티브 상태(착/발신 호가 발생)일 때에만 세션 복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PCF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when the
핸드오프 이후 세션 복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AT로 착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Inter PCF Paging 기법을 통해, AT는 PDSN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호를 착신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프 이후 세션 복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AT가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If an incoming call is generated to the AT without performing session recovery after the handoff, the AT may successfully receive a call from the PDSN through the Inter PCF Paging techniqu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n the case that the AT is sending a signal in the state that does not perform the session recovery after the handof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AT로부터 발신호가 발생한 경우의 신호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는 AT(110)가 도 3의 셀(502)에서 셀(510)으로 이동하여 핸드오프가 이루어진 경우를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AT(110)는 BSC(106b)로 접속 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602). 이 메시지에는 AT(110)가 셀(502)에 위치해 있을 동안 사용하였던 UATI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UATI는 값이 0x61인 컬러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BSC(106b)는 AT(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컬러 코드를 검출하여 이 컬러 코드가 타 서브넷의 컬러 코드라고 판단하면 이전 세션 요청(PriorSessionRequest) 메시지를 PCF 2(104b)로 송신한다(S604).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SC(106b)가 속한 서브넷의 컬러 코드는 0x62이고 AT(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컬러 코드는 0x61이기 때문에 BSC(106b)는 AT(110)가 다른 서브넷 영역으로부터 이동해왔다고 판단하여 이전 세션 요청 메시지를 PCF2(104b)로 송신한다. 4 is a signal processing flowchart when an outgo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A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이전 세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F 2(104b)는 세션 복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A13 세션 정보 요청(A13 Session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를 소스 서브넷의 PCF 1(104a)로 송신한다(S606). A13 세션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PCF 1(104a)는 이전 SSIR(Session State Information Record)이 포함된 A13 세션 정보 응답(A13 Session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PCF 2(104b)로 송신한다(S608). A13 세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PCF 2(104b)는 세션 복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A13 세션 정보 확인(A13 Session Information Confirm) 메시지를 PCF 1(104a)로 발송한다(S610). 또한, PCF 2(104b)는 단계 604의 이전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이전 세션 응답(PriorSessionRequest) 메시지를 BSC(106b)로 송신한다(S612).PCF 2 (104b) receiving the previous session request message transmits an A13 Session Information Request (A13 Sess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PCF 1 (104a) of the source subnet (S606). In response to the A13 sess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그 다음, BSC(106b)는 AT(110)를 식별할 UATI의 요청 메시지를 PCF 2(104b) 로 송신하고(S614), PCF 2(104b)는 타겟 서브넷에서 유일한 UATI를 AT(110)에 부여한다(S616). BSC(106b)는 또한 AT(110)에게 트래픽 채널 할당(Traffic Channel Assignment) 메시지를 송신한다(S618). 도 4에는 단계 616 후에 단계 618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단계는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드오프 이후 세션 복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AT로부터 발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도 발신 호는 성공적으로 처리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but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reconfigured and replaced. Accordingly, all modifications and changes that fall within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covered by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V-DO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V-D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Inter PCF paging 기법을 이용하여 PDSN에서 소스 서브넷 및 타겟 서브넷 양쪽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to both a source subnet and a target subnet in a PDSN using an inter PCF paging techniqu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BTS가 설치된 영역을 AT가 통과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T passes through a region where an IP-BTS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AT로부터 발신호가 발생한 경우의 신호 처리 흐름도이다.4 is a signal processing flowchart when an outgo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A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2 : PDSN102: PDSN
104 : 패킷 제어 기능부(PCF)104: packet control function unit (PCF)
106 : 기지국 제어기(BSC)106: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08 : 기지국(BTS)108: base station (BTS)
110 : 단말기(AT)110: terminal (A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628A KR101081181B1 (en) | 2008-12-30 | 2008-12-30 | Method of increasing call success rate and reducing system impedance under ev-do communication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628A KR101081181B1 (en) | 2008-12-30 | 2008-12-30 | Method of increasing call success rate and reducing system impedance under ev-do communication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377A KR20100078377A (en) | 2010-07-08 |
KR101081181B1 true KR101081181B1 (en) | 2011-11-07 |
Family
ID=4263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6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1181B1 (en) | 2008-12-30 | 2008-12-30 | Method of increasing call success rate and reducing system impedance under ev-do communication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18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5078B1 (en) * | 2003-02-28 | 2004-03-3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all Drop Due to Color Code Mismatch in EV-DO System |
-
2008
- 2008-12-30 KR KR1020080136628A patent/KR1010811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5078B1 (en) * | 2003-02-28 | 2004-03-3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all Drop Due to Color Code Mismatch in EV-DO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377A (en) | 201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7175B1 (en) | An access gateway, enb and method of the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 |
US6295452B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soft handoff between switching station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 |
EP2514240B1 (en) | Resource sharing in communications systems | |
JP4914893B2 (en) |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handover system | |
US9572078B2 (en) | Method for accessing base st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RU2358413C1 (en) |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network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access set up | |
JP5066251B2 (en) | Service content synchronization of multicast data for mobile nodes moving between networks wit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 |
KR101684699B1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for | |
CN101431748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ich device should manage data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 |
CN106470460B (en) | Method and device for UE access | |
CN101933363A (en) |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 |
JP2019503142A (en) | Data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 |
US20020057653A1 (en) |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 |
WO2009024094A1 (en) |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handover process method and apparatus | |
JP200253869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entity in a radio access network | |
WO201209770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device | |
CN101170819A (en) | Flexible network structure with user group support | |
KR102023670B1 (en) | Method and device of supporting group mobility | |
US7054297B1 (en) | Distribution of packets to high data rate communications devices using multicast protocols | |
CN101600238A (en) | The method of finding the target core network node | |
US20060148485A1 (en) | Method and a network element for providing a handov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 |
US8675499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user equipment relocation | |
US6970449B1 (en) | Distribution of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st protocols | |
JPH11103487A (en) | Radio remote communication system to improve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 |
WO2020034064A1 (en) | Handover method and device, multimode terminal, and broadband base 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611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10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