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998B1 -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 Google Patents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0998B1 KR101080998B1 KR1020090000150A KR20090000150A KR101080998B1 KR 101080998 B1 KR101080998 B1 KR 101080998B1 KR 1020090000150 A KR1020090000150 A KR 1020090000150A KR 20090000150 A KR20090000150 A KR 20090000150A KR 101080998 B1 KR101080998 B1 KR 101080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heat exchange
- tank
- exchange unit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806 hair structure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02—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hav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를 개방하여 필요 시 청소나 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조립구조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탱크와; 탱크의 양 측부에 고정된 격벽을 관통하여 층상 구조로 결합된 복수의 열교환유닛과, 상기 격벽 외 측에서 상하 인접 열교환유닛을 연결하여 각층의 열교환유닛내부 관로가 S 형으로 연속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최하층 열교환유닛에 연결되는 시수 또는 냉매입수구와, 상기 최상층 열교환유닛에 연결되는 시수 또는 냉매출수구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층상 열교환유닛의 한쪽 측부와 탱크 내벽 사이를 교대로 이격시켜 형성한 공간과 상하 열교환유닛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폐수유수로와, 최상층 폐수유수로에 폐수를 투입하기 위해 탱크 상부에 형성되는 폐수투입구와, 최하층 폐수유수로에 모아진 폐수를 탱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탱크 하부에 형성되는 폐수배출구로 이루어지는 폐수흐름경로와; 상기 상 하부 열교환유닛 사이에 그 모가 열교환유닛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를 결합하고, 상기 브러시는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양 격벽 사이를 이동하면서 열교환유닛의 표면을 청소하는 구조의 클리너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comprising: a tank having a box-shaped structure of an assembly structure so as to open an interior to be cleaned or repaire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units coupled in a layered structure through the partition walls fixed to both sides of the tank, and connectors connecting upper and lower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outside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internal pipes of the heat exchange units in each layer are connected in an S-shape;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time water or refrigerant inlet connected to the lowermost heat exchange unit and a time water or refrigerant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most heat exchange unit;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a zigzag-type wastewater flow channel formed by a space formed by alternately spaced space between one side of the layered heat exchange unit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and an inner wall of the tank and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eat exchange units, and a wastewater flow channel having a top floor. A wastewater flow path comprising a wastewater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tank and a wastewater out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ank for discharging the wastewater collected in the lowermost wastewater flow path to the outside of the tank;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eat exchange unit, the brush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brush is a cleaner having a structur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while moving between the two partition walls by a reciprocating mean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폐수열, 폐수열 회수, 히트펌프, 폐열, 산업폐수, 냉각, 증발기 Wastewater Heat, Wastewater Heat Recovery, Heat Pump, Waste Heat, Industrial Wastewater, Cooling, Evapo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중 목욕탕이나 산업 폐수에 포함된 폐수열을 회수하여 보일러시스템 또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재활용하도록 구성된 폐수열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heat recoverer configured to recover wastewater heat contained in a public bath or industrial wastewater and recycle it to a boiler system or a heat pump system.
산업시설에서 생산활동 시 발생하는 고온, 저온 폐수나 공중 목욕탕 등에서 발생하는 저온폐수를 회수하여 히트펌프 등의 승온기술을 사용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은 에너지절감효과가 우수하여 냉난방 및 급탕 공급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The technology that recovers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wastewater from industrial activities and waste water from public baths and recycles them by using a temperature rising technology such as heat pump is widely used for cooling and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have.
폐수열 회수기는 고온 또는 저온의 폐수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여 보일러 또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규격의 탱크 내에 폐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흐름경로를 구성하고, 폐수의 흐름경로 상에 열교환기를 배치하여 폐수와 열교환기 내의 시수 또는 냉매를 교차 통행시킴으로써 폐수의 열이 시수 또는 냉매에 흡수되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시수 또는 냉매에 흡수된 열은 축열조 등으로 보내 보일러 또는 히트펌프시스템에서 승온하여 난방이나 급탕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is for recovering heat contained in waste water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and applying it to boiler or heat pump system. It constitutes a flow path through which wastewater flows into and discharges from a tank of a certain standard, and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on the flow path of waste water. By arranging the waste water and the coolant or the refrigerant in the heat exchanger to cross-flow, the heat of the wastewater is absorbed by the coolant or the coolant.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기존 폐수열 회수기는 내부를 개방하여 필요시 청소나 수리 등을 할 수 있게 조립구조의 박스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탱크와; 탱크 상 하부에 폐수투입구와 폐수배출구가 형성되고, 탱크 내부에 폐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폐수투입구와 폐수출구 사이에 일정한 구배로 형성되는 폐수유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수흐름경로와; 탱크 상하부에 시수입수구와 시수출수구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폐수와 접하도록 폐수유수로를 따라 형성되는 열교환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탱크 상부에 위치한 폐수투입구를 통하여 탱크 내부로 폐수를 흘러보내면 중력에 의해 탱크 내부의 폐수유수로를 타고 흐르면서 탱크 하부에 위치한 폐수배출구를 통하여 탱크 외부로 배출되고, 시수는 탱크 하부의 시수 입수구를 통하여 입수되어 열교환관을 거슬러 흐르면서 폐수에 포함된 열을 흡수하여 점차 승온되면서 탱크 상부의 시수출수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축열조 등에 저장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Existing wastewater heat recovery unit and the tank made of a box-shaped or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assembly structure to open the interior to be cleaned or repaired if necessary; A wastewater flow path including a wastewater inlet and a wastewater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ank, the wastewater flow passage being formed in a constant gradient between the wastewater inlet and the wastewater outlet to guide the flow of wastewater into the tank; A heat exchanger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ank, and a heat exchanger is formed along the wastewater channel so as to contact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wastewater channel. When the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wastewater flow channel inside the tank by gravity,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through the wastewater outle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ank. It absorbs heat and gradually increases its temperature, and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time export outlet of the tank and constitutes a system that is stored in a heat storage tank.
이와 같은 폐수열 회수기는 탱크 내부에서 폐수와 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폐수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여 이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해진 탱크의 용적 범위 내에서 열교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에 따라 열 회수율이 증감될 수 있고, 열교환은 접촉 매체 간에 열전도율에 따라 열 회수 효율이 증감되기 때문에 열접촉면의 오염상태에 따라 열 회수 효율에서 큰 차이가 발생한다.Since the wastewater heat recoverer is a structure that recovers and uses heat contained in the wastewater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wastewater and the heat exchanger in the tank, the heat recovery rate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heat exchange contact area and the contact time within a predetermined tank volume range. In addition, since heat recovery efficiency increases and decreases according to the thermal conductivity between the contact mediums, a large difference occurs in the heat recovery efficiency depending on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thermal contact surface.
기존의 폐수열 회수기에서 열교환기는 열전도율이 높고 내식성이 강한 황동관이나 스텐레스관 등을 코일 형태로 구성하거나, 박스판 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유출입구에 연결된 분배관 사이에 열교환관을 촘촘하게 배치연결하여 열교환접촉면을 증대시킨 구조로 이루어지고, 폐수흐름경로는 폐수유수로에서 상기 열교환기와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흐름을 지체시키거나 분산시키는 구조를 갖는다.In the existing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the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 brass tube or a stainless steel tub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in the form of a coil, a box plate, or a heat exchanger tube arranged closely between distribution pipes connected to an outlet. The contact surface is increased, and the wastewater flow path has a structure that delays or disperses the flow so that the wastewater flow path can continuously mainta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기존 폐수열 회수기에서 폐수흐름경로를 박스 형상으로 구성한 청수(또는 시수)유도관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층하여 그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폐수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폐수유수로(폐수통로)를 형성한 구조가 대한민국 특허 10-0417638호, 10-760856호, 10-507766호 등에 제시되고 있으며, 이것들은 제한된 공간 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접촉면적을 극대화하고 다단에 의한 열교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폐수열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existing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the wastewater flow channel (waste water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wastewater flows in a zigzag form by stacking the fresh water (or water) induction pipes in the box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Korean Patent Nos. 10-0417638, 10-760856, 10-507766, etc., which maximize the thermal contact area where heat exchange occurs within a limited space and increase the heat exchange contact time by multiple stages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wastewater heat. It offers a number of advantages.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폐수 유수로를 형성하면서 시수(청수)가 흐르는 청수유도관이 사각 박스구조로서 상부 표면을 흐르는 폐수의 무게와 내부를 흐르는 청수의 무게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이프 굵기가 크고 단면 두께가 큰 고가의 스텐레스 또는 황동파이프를 다량으로 사용하여야 함으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폐수와 청수유도관이 상부 표면에서만 접촉이 이루어져 실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접촉면의 양을 일정 이상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 rectangular box structure in which the fresh water induction pipe flowing through the water (fresh water) while forming the waste water flow path is used to secure the rigidity to prevent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waste wa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weight of the fresh water flowing inside. For this reason, a large amount of expensive stainless steel or brass pipes with large pipe thicknesses and large cross-sectional thicknesses must be used, resulting in high manufacturing costs. The waste water and fresh water induction pipes are contacted only on the upper surface, increasing the amount of contact surface where actual heat exchange occurs. There is a limit to this.
또한, 상기한 구조는 폐수에 포함된 유기 성분이나 이물질 등이 탱크 내부 관벽에 생물막이나 플러그를 형성하여 열전도율을 급속히 감소시킴으로 야기되는 열회수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가 요구된다. 통상 청소는 장 치를 멈춘 상태에서 탱크를 개방하여 인력에 의해 열교환표면을 닦아내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고압수를 열교환표면에 분사시켜 세척하거나, 또는 약품을 사용하여 생물막 등을 녹여내는 방법이 사용되며, 고압수를 이용하는 세척방식의 경우에는 가압펌프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 등의 구성이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quires periodic cleaning to prevent a decrease in heat recovery efficiency caused by organic components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which forms a biofilm or a plug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thereby rapidly reducing the thermal conductivity. In general, cleaning is performed by opening the tank with the device stopped and cleaning the heat exchange surface by manpower, by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onto the heat exchange surface, or by dissolving biofilm using chemicals. In case of the washing method using high pressure water, the pressure pump and the nozzle installed inside the tank should be installed together.
따라서, 기존의 폐수열 회수기는 열접촉면의 청소를 위해 빈번하게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장치의 가동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고압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압펌프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함으로 시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이 증대된다. 또한, 제한된 크기의 탱크 내부 공간에 노즐 등의 구성이 함께 포함됨으로 열회수율 증대에 필요한 열접촉면적을 늘리는데 제한이 있고, 무엇보다도 열접촉면의 청소가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용할수록 열회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existing wastewater heat recovery machine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ate of the device is low by frequently stopping the operation for cleaning the thermal contact surface, and in the case of using high-pressure water, a pressure pump and the like must b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cost for facility and maintenance is high. I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thermal contact area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heat recovery rate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the nozzle, etc. are included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tank, and above all, the heat recovery rate decreases as the use of the heat contact surface is not made clean.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제한된 폐수열 회수기 탱크 공간 내에서 폐수와 열교환기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하여 열회수율을 향상하고, 고압 세척장치 등의 구성 생략에 의해 내부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그러한 기구에 의한 열의 소실을 방지하고 제작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폐수열 회수기를 제공할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contact density of the wastewater and the heat exchanger in the limited wastewater heat recovery tank space to improve the heat recovery rate, and by simplify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by omit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igh-pressure cleaning device, etc. to prevent the loss of heat by such a mechanis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접촉표면 오염상태에 따라 장치의 가동 중에도 상기 열교환 접촉면을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클리너에 의해 365일 지속적인 가동이 가능하고, 고효율로 폐수열 회수가 가능한 폐수열 회수기를 제공할 목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a waste water heat recoverer that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365 days by a cleaner that cleans the heat exchange contact surface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contact surface contamination state of the heat exchanger, the waste water heat recovery with high efficiency. .
더 나아기 본 발명은 열교환 접촉면에서의 오염상태를 판별하여 오염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클리너를 작동하는 구조에 의해 항상 최적의 상태에서 열회수기의 가동이 이루어지는 폐수열 회수기를 제공할 목적을 갖는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in which a heat recovery device is always operated in an optimal state by determining a contamination state at a heat exchange contact surface and automatically operating a cleaner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는, 내부를 개방하여 필요 시 청소나 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점검구가 형성되는 박스형 탱크와; 탱크의 양 측부에 고정된 격벽을 관통하여 층상 구조로 결합된 복수의 열교환유닛과, 상기 격벽 외 측에서 상하 인접 열교환유닛을 연결하여 각층의 열교환유닛 내부 관로가 S 형으로 연속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하층에 연결되는 시수입수구와,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상층에 연결되는 시수출수구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층상 열교환유닛의 한쪽 측부와 탱크 내벽 사이를 교대로 이격시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과 상하 열교환유닛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폐수유수로와, 상기 폐수유수로의 최상층에 폐수를 투입하기 위해 탱크 상부에 형성되는 폐수투입구와, 상기 폐수유수로의 최하층에 모아진 폐수를 탱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탱크 하부에 형성되는 폐수배출구로 이루어지는 폐수흐름경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Waste water hea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x-type tank is formed with an inspection opening so that the interior can be cleaned or repaire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units coupled in a layered structure through the partition walls fixed to both sides of the tank, and connectors connecting upper and lower heat exchang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internal pipes of the heat exchange units in each layer are connected in an S-shape;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city import and export port connected to the lowermost layer of the heat exchange unit and a city export and export port connect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heat exchange unit; A zigzag-type wastewater flow channel formed by a space between the one side portion of the layered heat exchange unit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tank inner wall alternately to form a space to form a space between the space and the vertical heat exchange unit, A wastewater flow path consisting of a wastewater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tank for introducing wastewater to the uppermost layer, and a wastewater out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ank to discharge the wastewater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wastewater flow path to the outside of the tank;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기를 구성하고,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하층에 연결되는 시수입수구와,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상층에 연결되는 구성에서 시수입수구는 냉매입수구로 시수출수구는 냉매출수구로 언제든지 대체되어 히트펌프에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heat exchanger, the city import and export port connected to the lowermost layer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city import and export in the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city import and export is replaced with the refrigerant outlet at any time heat pump Characteriz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f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열교환유닛은 복수의 열교환관이 수평방향으로 상호 틈새 없이 밀착 형성되어 판상의 열교환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열교환관으로 유입된 시수 또는 냉매를 수렴하고 또한 복수의 열교환관으로 분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eat exchange un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tubes ar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 gap formed a plate-shaped heat exchange surface, the connector is a time or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tube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ructure that converges and distributes to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tub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열교환유닛 사이에 그 모가 열교환유닛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를 결합하고, 상기 브러시는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양 격벽 사이를 이동하면서 열교환유닛의 표면을 청소하는 구조의 클리너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eat exchange unit, the brush whose hai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brush includes a cleaner having a structur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while moving between the two partition walls by reciproca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러시의 왕복이송수단으로 와이어가 각층 상하 열교환유닛 중심을 지나도록 격벽 외 측에 설치된 롤러에 S 구조가 되도록 연속하여 걸고, 상기 롤러 중 하나에는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연결하며, 열교환유닛 중심을 지나는 와이어에 브러시의 틀체를 결합하되, 열교환유닛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각층 사이에 결합된 브러시는 각 층 와이어의 왕복행정 시점부에 결합하고, 양 격판 사이의 행정거리 양단에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브러시가 양 격벽 사이를 왕복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iprocating transfer means of the brush is continuously hooked to the S structure to the roller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heat exchange unit of each layer, one of the rollers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The frame of the brush is coupled to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brush coupled between the layers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stroke point of the wire of each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the brush is reciprocated between the two partitions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by installing a sensor for providing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e signal of the drive motor.
또한, 상기한 클리너는 열교환기표면의 오염상태에 따라 최적의 시간간격으로 타이머를 설정하여 자동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폐수 투입구와 배출구에 각기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두 측정값 사이의 온도차가 설정값 이하일 때 클리너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setting a timer at an optimum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each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waste water inlet and outlet, The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er is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ed values is below the set value.
본 발명은 복수의 열교환관을 부착하여 열교환유닛을 구성하고, 열교환유닛에 폐수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한된 폐수열 회수기 탱크 공간 내에서 폐수와 열교환기의 접촉밀도가 극대화되어 열회수율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tubes are attached to form a heat exchange unit, and the waste water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heat exchange unit, thereby maximizing the contact density of the waste water and the heat exchanger in the limited waste water heat recovery tank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heat recovery rate.
또한, 소구경의 열교환관을 이어붙여 판상의 열교환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열 접촉면이 증대되고 열교환유닛을 폐수유수로로 구성함으로써 폐수유수로 형성을 위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내부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small diameter heat exchanger tube to form a plate heat exchange unit, the thermal contact surface is increased, and by configuring the heat exchange unit with the wastewater flow channel, it is possible to omit the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wastewater flow channel, thereby making it economically feasible. Simple internal construction reduces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접촉표면 오염상태에 따라 왕복 구동되는 브러시에 의하여 열 접촉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열 회수효율이 높고, 고압수에 의한 세척방식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공간활용 효과가 우수하며, 약품 사용에 의한 2차적인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브러시에 의한 청소는 장치의 가동 중에도 가능하여 365일 지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thermal contact surface clean by the brush reciprocating according to the contact surface contamination state of the heat exchanger is high heat recovery efficiency, economical and excellent space utilization effect compared to the washing method by high pressure water, Secondary water pollution can be prevented by chemical use, and cleaning with the brush is possible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device, which provides the advantage of continuous operation for 365 days.
또한, 상기 클리너는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 구동될 수 있고, 열교환 접촉면에서의 오염상태를 판별하여 오염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클리너가 동작함으로써 효율이 극대화되고, 항시 최상의 열회수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eaner may be automatically driv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y a timer, and the cleaner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e by determining the contamination state at the heat exchange contact surface, thereby maximizing efficiency and maintaining the best heat recovery condition at all times. Provide effec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정면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측면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a은 평면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ont state for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de state, Figure 3a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anar state.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는, 내부를 개방하여 필요 시 청소나 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조립구조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탱크(10)와; 탱크의 양 측부에 고정된 격벽(21)을 관통하여 층상 구조로 결합된 복수의 열교환유닛(22)과, 상기 격벽 외 측에서 상하 인접 열교환유닛(22)을 연결하여 각층의 열교환유닛 내부 관로가 S 형으로 연속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23)와,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하층에 연결되는 시수입수구(24)와, 상기 열교환유닛의 최상층에 연결되는 시수출수구(25)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열교환유닛의 한쪽 측부(22A)와 탱크 내벽(11) 사이를 이격시켜 형성한 공간(31A)과 상하 열교환유닛 사이의 공간(31B)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폐수유수로(31)와, 상기 폐수유수로의 최상층에 폐수를 투입하기 위해 탱크 상부에 형성되는 폐수투입구(32)와, 상기 폐수유수로의 최하층에 모아진 폐수를 탱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탱크 하부에 형성되는 폐수배출구(33)로 이루어지는 폐수흐름경로(30)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the wastewater hea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에서 탱크(10)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 하부면을 포함하여 각 벽체가 볼트에 의해 체결 조립되거나 용접에 의해 용착되며, 필요에 따라 개방 후 내부 시설의 개보수와 청소가 가능하도록 점검구(12)가 구비된다. The
또한, 상기 탱크는 적절한 보온 단열수단이 포함될 수 있고, 탱크 내부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nk may include a suitable thermal insulation means, it may include a viewing window to determine the internal state of the tank.
열교환기(20)는 폐수에 포함된 열을 흡수하여 내부에 흐르는 시수에 제공함으로써 폐수의 열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22)에 의해 S구조로 연결되는 열교환유닛(22)을 탱크 내에 고정하기 위한 격벽(21)과, 시수를 상기 열교환유닛(22)에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해 설치된 시수입수구(24)와 시수출수구(25), 냉매입수구(26) 및 냉매출수구(27)로 이루어지며, 시수입수구(24)와 시수출수구(25), 냉매 입수구(26) 및 냉매출수구(27)는 각기 따로 형성하고, 보일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하층과 최상층에 냉매입수구(26 ) 및 냉매출수구(27)가 연결되고, 히트펌프 시스템에 사용될 경우에는 냉매입수구(26) 및 냉매출수구(27) 에 연결된다.The
상기 열교환유닛(22)은 하나의 판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판 내에 다수의 격판을 형성하여 물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가는 파이프를 이어붙여 판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도 시수입수구와 출수구 또는 냉매입수구와 냉매출수구의 유량을 고려하여 동일한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열교환유닛 단면 크기를 설계한다. The
상기 열교환유닛은 열교환면이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가는 파이프 형태의 열교환관(221)을 수평으로 틈새 없이 촘촘하게 이어붙여 전체적으로 판상의 열접촉면을 형성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교환유닛을 제한된 탱크 공간 내에서 고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열교환유닛이 폐수유수로를 구성하여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도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소구경의 두께가 가는 파이프를 이어 붙임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열전달거리가 짧아 시수에 의한 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eat exchange unit may be carried out in a structure in which a thin pipe-type
상기 열교환유닛(22)의 양단부는 격벽(21)을 관통하여 격벽 외 측에서 커넥터(23)에 의해 연결된다.Both ends of the
도 4는 열교환유닛을 구성하는 열교환관을 세관(細管)으로 구성한 실시 예로서, 최상층 열교환유닛과 그 하층 열교환유닛 및 격벽과 커넥터 사이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uppermost heat exchanger unit, a lower heat exchanger unit, a partition wall, and a connector, as an embodiment in which a heat exchanger tube constituting a heat exchanger unit is configured as a custom pip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각각의 열교환관(221)은 격벽(21)에 관통 형성된 구멍(211)에 삽입되고 각 열교환관은 분배관 형태로 구성된 커넥터(23)에 연결된다. As illustrated, each of the
커넥터(23)는 상부에서 상층 열교환유닛을 구성하는 각 열교환관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하부에서 그 하층 열교환유닛을 구성하는 각 열교환관에 연통되게 결합됨으로써 상하를 기준으로 한쪽은 수렴관 다른 한쪽은 분배관의 기능을 하여 시수입수구 또는 냉매입수구로부터 각층의 열교환유닛을 경유하여 시수출수구 또는 냉매출수구로 연속되는 관로를 형성한다.The
상기한 하층 열교환유닛은 그 하층 열교환유닛에 연결되도록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층층이 형성된 열교환유닛이 그 시수입수구 또는 냉매입수구로부터 시수출수구 또는 냉매출수구까지 연통되는 S형태의 열교환기를 구성한다.The lower layer heat exchange unit comprises an S-type heat exchanger in which a heat exchange unit having a layered layer is connected from the time inlet or the refrigerant inlet to the time inlet or the outlet of the refrigerant so that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lower layer heat exchanger unit.
상기 열교환관(221)과 격벽(21) 및 커넥터(23)는 각기 용접에 의해 연속된 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패킹을 넣고 볼트 등으로 수밀구조로 체결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The
상기 열교환기 내부 관로에 투입되는 시수는 축열조 등을 구비한 보일러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프레온 가스 냉매를 사용한 증발기로 구성할 경우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기 연결되는 시수입수구(24) 및 시수출수구(25)를 냉매입수구(26) 및 냉매출수구(27)로 관로를 변경 연결하여 히트펌프시스템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The time input to the heat exchanger inner conduit is connected to a boiler having a heat storage tank and the like, and when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as an evaporator using a freon gas refrigerant, a time import and
상기에서 열교환유닛을 구성하는 열교환관의 총 단면은 시수입수구로부터 시 수출수구로 이어지는 관로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시수입출수구의 단면과 거의 같게 구성하고, 시수입수구와 연결되는 최하층 열교환유닛의 커넥터에는 필요하면 유입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total cross section of the heat exchanger tube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 un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city import and export port so as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pipeline from the city import and export port to the city export and export port, and is required for the connector of the lowest heat exchange unit connected to the city import and export port. When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adjusting the inflow flow may be installed.
본 발명에서 폐수흐름경로(30)는 상기한 열교환유닛(22)과, 격벽(21)과, 상기 열교환유닛에 대하여 수밀(水密) 또는 이격(離隔)되게 결합하는 탱크 내벽(11)에 의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도 2에 의해 이를 설명하면, 최상층 열교환유닛의 우측 측부(22A)와 탱크 내벽(11) 사이가 이격되어 상하부로 이어지는 공간(31A)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측부는 탱크 내벽에 수밀구조로 밀착 접촉된다. 최상층의 바로 아래층 열교환유닛은 이와 반대로 우측 측부는 탱크 내벽에 수밀구조로 밀착 접촉되고, 좌측 측부와 탱크 내벽(11) 사이가 이격되어 상하부로 이어지는 공간(3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최하층 열교환유닛까지 반복됨으로써 열교환유닛과 탱크 내벽 사이의 공간(31A)과 상하 열교환유닛 사이의 공간(31B)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폐수유수로(31)가 형성되며, 최상층 폐수유수로의 일 측에 형성된 폐수투입구(32)를 통해 투입된 폐수가 층상구조로 배치된 열교환유닛을 접촉하면서 각층을 지그재그로 흘러 탱크 하부에 형성된 폐수배출구(33)를 통하여 방출된다.That is, by explaining this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space between the
폐수투입구(32)로부터 투입되는 폐수가 최상층 열교환유닛의 폐수유수로 시부(始部)에 고루 분산 투입되도록 그 길이 방향이 양 격벽을 향하고 바닥에 일정간격의 배수공(341)이 형성된 ∪형 채널 구조의 분배기(34)가 설치된다. A channel-shaped channel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wise direction is directed to both partition walls and a
상기 분배기(34)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끝이 벽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 채널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the
상기 구조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폐수나 고온폐수가 폐수투입구로 유입되어 폐수유수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폐수배출구로 빠져나가는 동안 차가운 상태의 시수 또는 냉매가 시수입수구 또는 냉매입수구로 유입되어 폐수 흐름과 역으로 거슬러 흐르면서 폐수와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며, 상승할수록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에 접촉하여 최종 출수 단계에서는 폐수의 투입온도와 거의 도달할 정도로 승온 배출되고, 승온된 시수는 축열조(50)로 공급되어 보일러(60) 또는 히트펌프시스템(70)에 이용되고,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 상태에 따라 그대로 방류되거나 폐수정화시스템(80)으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ol water or the coolant flows into the inlet or the inlet of the coolant while the low temperature wastewater or the hot wastewater flows into the wastewater inlet and flows out through the wastewater outlet. Heat exchange with the wastewater occurs in reverse flow with the wastewater flow, and as the temperature rises, it contacts with the low temperature and the high temperature and discharges the temperatur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stewater is almost reached to the input temperature of the wastewater. )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상기한 폐수유수로 및 열교환기는 각기 S형 구조로서 서로 90°각도로 교차하여 폐수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시수 또는 냉매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거슬러 흐르면서 접촉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wastewater flow channel and the heat exchanger each have an S-type structure, and cross each other at an angle of 90 ° so that the wastewater flows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and the time water or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lower layer to the upper laye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 폐수열 회수기의 사용성을 향상하고 열 회수효율을 증대하기 위하여 클리너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lean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wastewater heat recovery and to increase the heat recovery efficiency.
상기 클리너(40)는 상기 상하 열교환유닛(22) 사이에 그 모(411)가 열교환유닛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41)를 결합하고, 상기 브러시는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양 격벽 사이를 이동하면서 열교환유닛의 표면을 청소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cleaner 4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상기 브러시는 모(411)와 상기 모를 지지하는 틀체(412)로 구성되며, 상기 모가 열교환유닛의 상하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상기 열교환유닛 표면을 닦아낼 수 있게 구성된다.The brush is composed of a
상기 브러시는 열교환유닛과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전 후진 왕복 운동에 의해 열교환유닛의 상하 전체표면이 브러시에 접촉되어 생물 막이나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고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회수효율을 향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brush has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heat exchange unit,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heat from being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t exchange unit by contacting the brush by sweeping back and forth to wipe off the biofilm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ereby improving heat recovery efficiency.
상기 브러시의 왕복이송수단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transfer means of the brus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 몸체에 막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홈을 형성하고 탱크의 벽체에도 막대를 끼워 넣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필요하면 막대를 상기 구멍에 넣고 브러시에 결합하여 인력에 의해 밀거나 당기는 방법으로 미리 설치된 브러시를 왕복 이송시켜 열교환표면의 청소를 할 수 있다.For example, a groove is inserted into the brush body to form a groove for fixing the rod, and a hole for inserting the rod into the wall of the tank is formed, and if necessary,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coupled to the brush to push or pull by the attraction forc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heat exchange surface by reciprocating the brush installed in advance.
또 다른 형태로, 벽체 외 측에 실린더 몸통을 결합하고, 피스턴로드는 탱크 내부로 삽입하여 그 헤드에 브러시 몸체를 결합한 구조로 구성하여 실린더의 행정에 의해 브러시의 왕복이송과 열교환 표면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nother form, the cylinder body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and the piston rod is inserted into the tank and the brush body is coupled to the head, so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rush and the heat exchange surface are cleaned by the stroke of the cylinder. Can be configured to
도 6은 상기 왕복이송수단(42)의 바람직한 실시 구조로서 와이어(421)가 각층 상하 열교환유닛(22) 중심을 지나도록 격벽(21) 외 측에 설치된 롤러(422)에 S 구조로 걸고, 상기 롤러 중 하나에는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423)를 연결하며, 열교환유닛 중심을 지나는 와이어에 브러시(41)의 틀체(412)를 결합하되, 열교환유닛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각층 사이에 결합된 브러시는 각 층 와이어의 왕복행정 시점부에 결합하고, 양 격판 사이의 행정거리 양단에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44)를 설치하여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브러시가 양 격벽 사이를 왕복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제시한다.FIG. 6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상기에서 브러시는 브러시 본체 양측에서 와이어에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왕복 이송 운동시 뒤틀리지 않고 안정된 클리닝이 가능하다.The brush is coupl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is fastened to the wire on both sides of the brush body can be stable cleaning without twisting during the reciprocating transfer movement.
또한, 상기 와이어는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해진 구간을 왕복 운동하도록 롤러에 지지가 되어 시점에서 종점이 닫힌 루프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온도에 따라 장력의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장력조절장치(424)가 부가된다.In addition, the wire is supported by the roller to reciprocate the section define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loop structure of the end point at the time point, so that the
상기 와이어(4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격벽(21)과 커넥터(23)를 통과하여야 함으로 격벽 및 커넥터에는 와이어통과홈(435)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에서 와이어 만으로 루프를 구성할 경우 롤러와의 접촉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에 의해 구동축으로부터 가해진 회전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고, 그에 따라 브러시의 초기 설정위치가 변화됨으로써 브러시가 훼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모터(423)에 연결된 와이어 구동축(425)에는 체인스프라킷(426)을 결합하고, 체인수프라킷에 의해 이루어지는 왕복행정거리 구간에는 체인(427)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이 처지지 않게 동작하고 안내하도록 파이프(428)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서 체인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loop is composed of only the wire,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drive shaft is not accurately transmitted by the sliding generated during the contact with the roller, and the brush may be damaged by changing the initial setting position of the brush.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couples the
상기 구성에 의해 왕복운동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구동력이 체인을 통하여 와이어에 확실하게 전달되고, 브러시는 초기 고정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에서 왕복행정이 이루어진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distance is reliably transmitted to the wire through the chain, and the brush is recipr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itial fixed position.
또한,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처짐에 의해 왕복회전 구동력이 확실하게 전달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구동축(425)과 중간 정도에 위치 한 롤러축(429)을 체인(430)과 체인스프라킷(431)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축 상에는 체인스프라킷(432)을 설치하며, 상기 체인수프라킷(432)에 의해 이루어지는 왕복행정거리 구간에는 체인(433)을 연결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ciprocating driving force from being reliably transmitted by sag as the length of the wire becomes longer, 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와이어의 중간부위에 위치한 롤러축에 대해서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어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는데 따른 구동지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such a structure, the driving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oller shaft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thereby preventing the driving retardation caused by the length of the wire.
상기 와이어 중간에 연결된 체인의 처짐에 의해 구동중 열교환유닛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433)의 열교환표면에는 보호판(434)을 덧대어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abras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during operation due to the sagging of the chain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protection plate 434 on the heat exchange surface of the
도 8은 클리너에 의해 열교환유닛(2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100)을 브러시(41)에 의해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9는 클리너를 구성하는 브러시(41)가 대기 상태일 때 구부러져 탄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유닛(20)의 브러시 대기 위치가 넓어지는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9 is a gradient in which the brush standby position of the
브러시모의 모 길이를 고려할 때 넓은 쪽과 좁은 쪽은 대략 10mm 내외의 길이 차이를 갖도록 상기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폐수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면서, 대기 상태에서 브러시모와 열교환유닛 표면이 약하게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브러시가 구부러지지 않고 탄력이 유지되고, 브러시가 대기장소를 벗어나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에 브러시모가 열교환유닛 표면과 적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표면청소가 이루어져 브러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bristles, the bristles have a weak contact between the surface of the bristle and the heat exchange unit in the atmospheric state without forming a gradient such that the wide and narrow sides have a length difference of about 10 mm. By maintaining the brush is not bent, the elasticity is maintained, the brush bristles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unit at an appropriate pressure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rush out of the atmosphere place to clean the surfac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rush.
본 발명에 의한 클리너는 폐수의 형태나 오염상태에 따라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한 폐수 투입구와 배출구에 각기 온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두 측정값 사이의 온도차가 설정 값 이하일 때 클리너가 구동되도록 한 구성함으로써 오염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클리너가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at a time interval set in a timer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water or the state of contamination, and each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wastewater inlet and outlet,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ed values is By configuring the cleaner to operate when the value is lower than the set value, the cleaner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e.
예를 들어 폐수온도가 25~30℃ 정도인 목욕탕 폐수의 경우 시수의 투입온도가 0℃이라 할 때 열교환에 의해 시수의 배출온도가 폐수투입온도보다 1~2℃ 낮은 23~28℃임으로 정상적인 폐수배출온도는 대략 2 ~3℃ 정도가 된다. 따라서, 폐수 투입구 온도와 배출구 온도차가 대략 20℃ 이하가 되면 열교환유닛 표면의 오염에 의해 열 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오염상태로 보고 클리너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폐수열 회수기의 열 회수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bathroom wastewater with a wastewater temperature of 25 ~ 30 ℃, when the input temperature of the hourly water is 0 ℃,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water is 23 ~ 28 ℃ lower by 1 ~ 2 ℃ than the wastewater input temperature by heat exchange. The discharge temperature is about 2 ~ 3 ℃. Therefo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stewater inlet temperature and the outlet temperature is less than about 20 ° C, heat exchange is not normally performed due to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unit. By constructing the heat recovery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heat recovery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의 외부 구성도 1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의 정면 상태 내부 구성도2 is a front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의 측면 상태 내부 구성도Figure 3a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ste wate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은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의 다른 실시 예도Figure 3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열 회수기의 평면 상태 내부 구성도4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열교환유닛, 커넥터, 격판의 결합관계도5 is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connector, the diaphragm
도 6는 폐수와 시수의 흐름 상태도Figure 6 is a flow diagram of wastewater and time water
도 7은 브러시와 와이어 및 체인의 결합관계도7 i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ush and the wire and chain
도 8은 클리너에 의한 청소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state by a cleaner;
도 9는 열교환유닛에 구배를 적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Figure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a gradient to the heat exchange unit
* 주요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Major Codes
10. 탱크 11. 내벽10. Tank 11.Inner Wall
20. 열교환기 21.격벽 22.열교환유닛20.
23. 커넥터 24. 시수입수구 25.시수출수구23.
30. 폐수흐름경로 31. 폐수유수로 32.폐수투입구30.
33. 폐수배출구 34. 분배기 33.
40. 클리너 41.브러시 42.왕복이송수단40.Cleaner 41.Brush 42.Round transfer means
421.와이어 422.롤러 423.구동모터421.Wire 422.Roller 423.Drive motor
424. 장력조절장치 425.와이어구동축 424.
426. 체인스프라킷 427.체인 428. 파이프426.Chain sprockets 427.Chain 428.Pipes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0150A KR101080998B1 (en) | 2009-01-02 | 2009-01-02 |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0150A KR101080998B1 (en) | 2009-01-02 | 2009-01-02 |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0725A KR20100080725A (en) | 2010-07-12 |
KR101080998B1 true KR101080998B1 (en) | 2011-11-09 |
Family
ID=4264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0150A Active KR101080998B1 (en) | 2009-01-02 | 2009-01-02 |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09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5254B1 (en) * | 2011-04-27 | 2013-04-16 | 세협기계(주) | Standardized recollecting equipment of wasted heat with multi-function |
KR102267123B1 (en) * | 2019-05-21 | 2021-06-18 | 정양전 | wave power type waste hot water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ing with refrigerants |
KR102267127B1 (en) * | 2019-05-21 | 2021-06-18 | 정양전 | wave power type waste hot water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ing with water |
-
2009
- 2009-01-02 KR KR1020090000150A patent/KR10108099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0725A (en) | 2010-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8186B1 (en) | Waste Heat Recovery Heater | |
US7013953B2 (en) | Heat exchanger for wasted heat with its cleaning apparatus | |
KR102457992B1 (en) | Heat-exchanger possible for removing scale of heat exchanging tube on operating | |
KR101080998B1 (en) | Waste water heat recovery system | |
CN104482787B (en) | A kind of spiral heat exchanger | |
CN112254555B (en) | Efficient heat exchanger for chemical production | |
CN118031714A (en) | Anti-scaling heat exchanger | |
CN218673281U (en) | Plate heat exchanger with self-cleaning function | |
CN103759576B (en) | One cleans heat transmission equipment automatically | |
US20230415063A1 (en) | Modular horizontal tube evaporator unit, cleaning device, evaporator and cleaning application method | |
CN102012179B (en) | Self-cleaning heat exchanger | |
KR20100138389A (en) | Self-cleaning system | |
CN214056158U (en) | A foaming furnace with cleaning function | |
KR101194660B1 (en) | Complex distributor of boiler apparatus and indoor heating line cleaning method using it | |
KR101272598B1 (en) | flow diversion device for heat exchanger tube cleaning | |
KR20200002789U (en) | Washing device for plate heat exchanger | |
KR102267123B1 (en) | wave power type waste hot water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ing with refrigerants | |
KR100417538B1 (en) | Waste water heat collector by using heat exchange way | |
KR100949756B1 (en) | Heat exchanger with foreign substance cleaning | |
KR200315237Y1 (en) | Heat exchanger for wasted heat and its cleaning apparatus | |
CN111035946A (en) | Vacuum separator and heat exchange system | |
CN222876964U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onveyor flat top chain | |
CN221361364U (en) | Silicon steel plate surface greasy dirt clearing device | |
KR101643044B1 (en) | Heat exchanger for exhaust-heat recovery | |
KR101140830B1 (en) | Heat exchanging apparatus for sewer-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