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0080B1 -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080B1
KR101080080B1 KR1020090123877A KR20090123877A KR101080080B1 KR 101080080 B1 KR101080080 B1 KR 101080080B1 KR 1020090123877 A KR1020090123877 A KR 1020090123877A KR 20090123877 A KR20090123877 A KR 20090123877A KR 101080080 B1 KR101080080 B1 KR 10108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d lamp
circuit unit
led
duty rat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323A (ko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2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0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0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LED 램프 사이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루어지고, 그 LED 램프 밝기 조절 장치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 AD-DC 변환 회로부, 전력량 감지 회로부, PWM형 LED 구동회로부가 구성됨으로서,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호환성이 좋고, 사용자가 설정한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LED 램프의 초기 돌입전류를 감소시켜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력량 제어 회로부, AD-DC 변환 회로부, 전력량 감지 회로부, PWM형 LED 구동회로부

Description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THE APPARATUS OF LED DIMMING WITH ELECTRIC POWER CONTROL MOUDLE}
본 발명은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LED 램프 사이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램프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선형 방식으로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선형전압 방식은 정전압 IC에서 출력된 일정한 전압에 LED와 저항을 연결하여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구동시키는 방법이며, 선형 정전류 방식은 정전류 IC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선형 방식은 회로가 간단한 반면 효율이 좋지 않아 열의 발생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는 스위칭 방식으로 구형파의 온/오프의 듀티 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펄스폭 변조(PWM) 방식을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 선형 방식 보다 효율이 좋아 LED에 발생되는 열을 줄일 수 있어 LED수명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요즘 들어, 스위칭 방식으로 구형파의 온/오프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상기 LED 램프와, 스위칭 방식의 LED 구동 모듈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위치에 설치된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LED 램프와 LED 구동 모듈 전체를 통째로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전원선에 전력량 조절장치가 별도가 구비되더라도, 변경된 전력량이 그대로 LED 램프로 인가되어 초기 돌입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LED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호환성이 좋고, 사용자가 설정한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LED 램프의 초기 돌입전류를 감소시켜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는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LED 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램프 밝기 조절 장치는 제1 전원선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와,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전력량이 변경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인가시키는 AD-DC 변환 회로부와,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감지하 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전력량 감지 회로부와,
전력량 감지 회로부로부터 받은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PWM형 LED 구동회로부가 하나의 PCB 모듈로 모듈화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호환성이 좋고, 사용자가 설정한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LED 램프의 초기 돌입전류를 감소시켜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 밝기 조절 장치(10)가 하나의 PCB 모듈로 모듈화되어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20)과 LED 램프(30) 사이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 AD-DC 변환 회로부(200), 전력량 감지 회로부(300), PWM형 LED 구동 회로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는 제1 전원선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부(110), 전력량 조절 스위치(120), EMI 라인 필터부(130), 정류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부(110)는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을 따라 유입되는 과전류를 차단시켜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량 조절 스위치(120)는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이는 가변저항 R1로 구성된다.
즉, 제1 전원선으로 인가되는 상용 전원의 전력량 파형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량 조절 스위치에 의해 파형 높이 및 폭이 변경되어 제2 전원선으로 전달된다.
상기 EMI 라인 필터부(130)는 전력량 조절 스위치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EMI, EMC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정류부(140)는 EMI 라인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화 한 후에 이어지는 AD-DC 변환 회로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AD-DC 변환 회로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AD-DC 변환 회로부(200)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전력량이 변경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의 LED 구동 드라이버부로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BOOST 컨버터 IC, 센싱저항(R5)과 전해 캐패시터(C3), 센싱 저항(R15)와 센싱저항(R16)사이에 위치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인가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BOOST 컨버터 IC에서 변경된 LED 램프 구동용 DC 전원은 MOSFET 1에서 스위칭되면, 다이오드 D3을 통해 정류되어 LED 구동 드라이버부에 인가된다.
상기 출력전압검출부는 BOOST 컨버터 IC로부터 출력되는 변경된 DC 전압을 검출하여 다시 BOOST 컨버터 IC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BOOST 컨버터 IC는 변경된 DC 전압의 폭에 따른 변경된 전압레벨을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전력량 감지 회로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력량 감지 회로부(300)는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감지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R4와 콘덴서 C20으로 이루어진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즉, 저항 R4를 통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센싱한 후, PWM형 LED 구동회로부의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로 인가시킨다.
다음으로, PWM형 LED 구동회로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PWM형 LED 구동회로부(400)는 전력량 감지 회로부로부터 받은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는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410), PWM 듀티비 컨트롤부(420), MOSFET 2(430), LED 구동 드라이버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410)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 전압을 설정하거나 또는 BOOST 컨버터 IC를 통해 변경된 DC 전압의 폭에 따른 변경된 전압레벨에 따라 PWM 듀티비 전압을 설정한다.
여기서,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와 전력량 감지 회로부 사이의 연결 또는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와 BOOST 컨버터 IC 사이의 연결은 외부 설정 스위치를 통 해 선택할 수가 있다.
상기 PWM 듀티비 컨트롤부(420)는 PWM 듀티비 설정전압에 따라 PWM 듀티비를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저항 R22, R23, 트랜지스터 Q3, Q4, Q5로 구성된다.
상기 MOSFET 2(430)는 PWM 듀티비 컨트롤부를 통해 설정된 PWM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되어 LED 구동 드라이버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ED 구동 드라이버부(440)는 LED 125개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MOSFET 2를 통해 스위칭된 PWM 듀티비를 인가받아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과 LED 램프 사이에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를 연결시킨다.
이어서, 전력량 제어 회로부의 전력량 조절 스위치를 통해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한다.
이때 전력량 조절 스위치를 통해 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조절할 경우, 도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의 전력량 파형 높이 및 폭이 변경되어 제2 전원선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AD-DC 변환 회로부에서 전력량이 변경된 LED 램프 구동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인가시킨다.
이어서, 전력량 감지 회로부를 통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감지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전달한다.
이어서, PWM형 LED 구동회로부에서 전력량 감지 회로부로부터 받은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 밝기 조절 장치(10)가 하나의 PCB 모듈로 모듈화되어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20)과 LED 램프(30) 사이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원선으로 인가되는 상용 전원의 전력량 파형이 전력량 조절 스위치에 의해 파형 높이가 변경되어 제2 전원선으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원선으로 인가되는 상용 전원의 전력량 파형이 전력량 조절 스위치에 의해 파형 폭이 변경되어 제2 전원선으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전력량 제어 회로부 110 : 퓨즈부
120 : 전력량 조절 스위치 130 : EMI 라인 필터부
140 : 정류부 200 : AD-DC 변환 회로부
300 : 전력량 감지 회로부 400 : PWM형 LED 구동회로부
410 :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 420 : PWM 듀티비 컨트롤부
430 : MOSFET 2 440 : LED 구동 드라이버부

Claims (5)

  1.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20)과 LED 램프(30) 사이에 연결되어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10)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램프 밝기 조절 장치(10)는 제1 전원선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와,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전력량이 변경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LED 램프 구동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인가시키는 AD-DC 변환 회로부(200)와,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감지하여 PWM형 LED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전력량 감지 회로부(300)와,
    전력량 감지 회로부로부터 받은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를 설정한 후, 설정된 PWM 듀티비를 통해 LED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PWM형 LED 구동회로부(400)가 하나의 PCB 모듈로 모듈화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제어 회로부(100)는
    LED 램프 연결용 제1 전원선을 따라 유입되는 과전류를 차단시켜 회로를 보호하는 퓨즈부(110)와,
    LED 램프 구동용 전력량을 LED 램프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전력량 조절 스위치(120)와,
    전력량 조절 스위치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EMI 라인 필터부(130)와,
    EMI 라인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화 한 후에 이어지는 AD-DC 변환 회로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정류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AD-DC 변환 회로부(200)는 BOOST 컨버터 IC로부터 출력되는 변경된 DC 전압을 검출하여 다시 BOOST 컨버터 IC로 보내는 출력전압검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력량 감지 회로부(300)는 저항 R4를 통해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을 센싱한 후, PWM형 LED 구동회로부의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로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PWM형 LED 구동회로부(400)는
    전력량 제어 회로부를 통해 변경된 전력량에 따라 PWM 듀티비 전압을 설정하거나 또는 BOOST 컨버터 IC를 통해 변경된 DC 전압의 폭에 따른 변경된 전압레벨에 따라 PWM 듀티비 전압을 설정하는 PWM 듀티비 설정전압 IC(410)와,
    PWM 듀티비 설정전압에 따라 PWM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 듀티비 컨트롤부(420)와,
    PWM 듀티비 컨트롤부를 통해 설정된 PWM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되어 LED 구동 드라이버부로 전달하는 MOSFET 2(430)와,
    MOSFET 2를 통해 스위칭된 PWM 듀티비를 인가받아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LED 구동 드라이버부(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KR1020090123877A 2009-12-14 2009-12-14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877A KR101080080B1 (ko) 2009-12-14 2009-12-14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877A KR101080080B1 (ko) 2009-12-14 2009-12-14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323A KR20110067323A (ko) 2011-06-22
KR101080080B1 true KR101080080B1 (ko) 2011-11-04

Family

ID=4439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8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0080B1 (ko) 2009-12-14 2009-12-14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44B1 (ko) 2019-08-19 2020-01-28 스마트론파워(주)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한 led 조도 제어장치
KR102070445B1 (ko) 2019-08-19 2020-01-28 스마트론파워(주)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한 led 디밍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961B1 (ko) * 2013-05-14 2013-09-27 주식회사 필오나 탈부착식 디밍프로그램모듈을 통한 신호등용 led램프 디밍 제어장치
CN114110541B (zh) * 2021-11-16 2024-05-07 深圳市勤创光电科技有限公司 可插拔无线模块的可拆卸式调光电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44B1 (ko) 2019-08-19 2020-01-28 스마트론파워(주)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한 led 조도 제어장치
KR102070445B1 (ko) 2019-08-19 2020-01-28 스마트론파워(주)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한 led 디밍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32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328B2 (en) Variable power dimming control circuit
KR101417538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위한 적응 조광 감지 및 제어
CN100551181C (zh) 发光二极管的电源和在其中启动闪烁抑制的装置和方法
US8816597B2 (en) LED driving circuit
EP2489241B1 (en) Phase cut dimming of leds
CN103748965B (zh) 响应于调光器的输出对一个或者多个led的光输出的控制
CN103139987B (zh) 点亮设备和具有该点亮设备的照明器具
JP5132749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8729827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nd lighting fixture with the same
KR101002600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회로
US20090184665A1 (en) Drive Device for Leds and Related Method
TW201334621A (zh) 開關電源及其控制電路和調光方法
US20170118809A1 (en) Wall mounted ac to dc converter gang box
CN107925349B (zh) Pfc模块及其操作方法、系统及其操作方法以及照明装置
KR20110095639A (ko) 엘이디 조명등 모듈
CN103427642B (zh) 不具有电流感测端的恒流控制降压转换器
JP2017534139A (ja) Led調光器回路及び方法
KR101080080B1 (ko) 전력량 제어를 통한 led 디밍 장치
KR101160154B1 (ko) 고조파 감쇄 기능을 갖는 단방향 led모듈 장치
CN106489303B (zh) 相位切割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KR101021780B1 (ko) 발광다이오드 교류위상제어 구동장치
KR20100119963A (ko) 전류제어에 의한 엘이디용 전원제어장치
KR101002869B1 (ko) 교류 전원 라인에 조광 제어 신호 변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조광 제어 구동 장치
KR101061417B1 (ko) 펄스폭변조 제어방식에 의한 엘이디 구동회로
KR101553219B1 (ko) 엘이디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