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9995B1 -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95B1
KR101079995B1 KR1020070054780A KR20070054780A KR101079995B1 KR 101079995 B1 KR101079995 B1 KR 101079995B1 KR 1020070054780 A KR1020070054780 A KR 1020070054780A KR 20070054780 A KR20070054780 A KR 20070054780A KR 101079995 B1 KR101079995 B1 KR 10107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projector
video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270A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06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0893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2745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1026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3542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10265A/ko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ublication of KR2008001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6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polarised or coloured light separating different viewpoin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내부 전, 후단 (前,後端)양단(兩端)에 영상 스크린과 반사경을 양립(兩立)하여 사각(斜角) 구성하고 테이블 상단에 투명 창을 형성하여 투명 창을 통하여 영상스크린의 영상을 시청하게 하고 시청거리와 프로젝터와 영상스크린과의 투사거리를 테이블 내부에서 중복 교차하게 구성함으로서 최소 크기의 테이블 내부에서 최대화면을 형성하고, 최소 점유 면적 서 최대 시청거리를 확보하여 선명한 화면을 편안한 하향 시청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좌, 우 양방향에서 동시 시청이 가능하고 입체 영상을 일 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시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 투명 창, 반사경, 영상 스크린, 상, 하 시야각, 양방향, 입체영상

Description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TABLE TYPE LARGE-SIZE IMAG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영상 구조의 설명도
도 2의(a)는 종래 영상 시청 각도의 설명도
도 2의(b)는 하향 시청각도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형 사시도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실시의 예 1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실시의 예 2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실시의 예 3의 설명도
도 7은 반사 영상스크린의 상하 시야각에 대한 설명도
도 8은 반사 형태의 구면 스크린 구조의 설명도
도 9는 양방향에서 시청할 수 있는 스크린의 구조의 설명도
도 10은 테이블 면적이 감소한 양방향 테이블형 구조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과 종래 영상 구조의 비교 설명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명칭의 간략한 설명
1. 시청자 1a. 좌측 시청자 1b. 우측 시청자 2. 영상 면
3. 테이블 3a. 좌측 영상면. 3b. 우측 영상면 4. 투명 창
5. 프로젝터 5a. 좌측 프로젝터 5b. 우측 프로젝터 6. 영상 스크린
6a. 반사선 6b. 산란선 6c. 좌측스크린 6d. 우측스크린 7. 반사경
d. 테이블(3)의 면적
본 발명은 카페, 스포츠 바, PC방 등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이블 내부에 대형 스크린 영상을 구성 할 수 있는 테이블 형 대형 형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 또는 양방향 시청은 물론일 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포츠 바나 카페 같은 곳에서 음료수를 들면서 각자 취향대로 스포츠 중계나 영화 감상, 전자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은 종래 영상 장비는 많은 사람이 동시에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나 개개인이 요구하는 게임이나 영화 감상, 스포츠 중계 등은 수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컴퓨터, 모니터 영상은 화면이 작아 생동감 있는 영상감상에 한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등을 이용한 대형 영상은 프로젝터의 투사거리에 비례하여 화면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대형 화면일수록 긴 거리의 투사거리가 요구되고 긴 거리의 투사거리는 많은 설치 점유 면적을 요한다.
또한 대형 영상일수록 시청거리는 비례하여 원거리에서 시청해야만 선명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되므로 통상 스크린의 가로길이 대비 최소 3배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시청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시청자가 영상의 화소(pixel)를 식별할 수 없는 시청거리는 화면 가로 크기의 3배 이상인 것은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는 이와 같은 시청거리 확보가 불가능하였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영상 스크린(6)의 바로 앞 위치의 시청자(1a)와 같이 근 거리에서 시청하게 되면 사람의 일반적인 시야각 18° X 2 = 36°를 넘어 100도 이상 되는 전체 화면 시청이 불가할 뿐 아니라 픽셀 단위의 스크린 영상이 바로 앞에서 그대로 보이므로 해상도가 저하되어 선명한 영상 시청이 어렵게 된다.
도 1의 영상 스크린(6)의 화면 크기가 대각선 1m이면 최소한 3m이상 원거리에서 시청해야만 일반적인 시야각 36° 이내가 되므로 편안하게 전 화면(全 畵面) 시청이 가능하고, 스크린 픽셀단위의 거친 영상도 그만큼 떨어져서 시청하게 되므로시청이 가능 한 것이다 .
일반 스포츠바 나 카페 등에서는 주로 음료수 매출을 수익수단으로 하므로 시청자 전면에 테이블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함으로 테이블 이 별도로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대형화면일수록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가 길어지므로 이에 따르는 영상기기 자체 크기에 의한 바닥 점유 면적(a1)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선명한 영상시청을 위한 시청거리와 테이블 설치 면적, 프로젝터의 투사거리 등을 감안하면 대형 영상일수록 영상기기 설치에 많은 면적을 요한다.
이러한 점유 면적은 스포츠 바, 카페, PC방 등에서 비싼 임대료에 상대적으로 테이블 설치 수가 상당히 감소하므로 영업 수익에 결정적인 감소 요인이 된다.
이러한 영상 기기는 대체적으로 도 2의(a)와 같이 시청자(1)의 눈높이 이상으로 위치하므로 고개를 들고 장시간 시청하게 되고 이럴 경우 목과 어깨가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도 2의(b)처럼 일반적인 시청자(1)는 하향시각이 습관화되어 있고 인체공학적으로 시청자(1)는 하향 시선으로 영상을 시청할 때 피로감이 적어지고 장시간 편안히 영상시청이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상 기기를 프로젝터로 사용 시 프로젝터의 램프 교환 사용 시간이 2.000시간 미만으로 매우 짧아. 램프교체의 번거로움이 많고, 램프 자체가 메탈할라이드 등의 구조로 발열이 많아 본 발명과 같은 밀폐공간에서 사용상의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테이블 상면부에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할 경우는 스크린과 시청자와의 시청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투사각에 의한 시야각이 발생하여 화면이 균일하지 못하며 이와 같이 테이블 상단에 노출된 영상은 외광에 대해 밝기가 저하되므로 영상의 밝기가 1/2 이하로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 후 양 방향에서 마주 앉은 사람이 같은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각각 시청할 수 있는 테이블형의 장치가 없으며, 양방향 또는 일 방향에서 입 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테이블 영상장치가 필요 시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스포츠 바, 카페, PC방 등 테이블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테이블 형 영상장비를 기본으로 하고,
영상은 30”의 이상의 대형화면으로 하여 테이블 케이스 내부의 면적 크기 내에서 투사거리를 중복 교차하여 최소 투사거리에서 최대화면을 현출 하고,
테이블 면적 크기 내에서 시청거리를 중복시켜 시청자는 최단 위치에서 선명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영상이 밝고 선명해야하며, 시청자는 하향 각도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장시간 시청하여도 피로감이 없게끔 구성하고 입체영상 시청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영상 기기를 프로젝터로 구성할 시 램프 사용 시간이 매우 길고 열의 발생이 극히 적은 광원을 사용한 프로젝터를 사용하되 이러한 프로젝터는 상대적 으로 밝기가 떨어지므로 이를 반사형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개선한다.
또한 영상스크린을 테이블 내부에 설치하게 함으로서 외광에 대해 그만큼 밝은 영상을 유지하게 하여 종래 대비 2배 이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전, 후 양방향에서 각기 같은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일 방향 또는 전, 후 양 방향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테이블(3)상면에 투명 창(4)을 형성하고 테이블(3) 내부로는 시청자 위치를 기준하여 전단(前端)에 영상 스크린(6)을 구성하고, 그 후단(後端)에 반사경(7)을 구성 하되 각각 적정한 사각(斜角) 구조로 양립(兩立)형태로 테이블(3) 내부 양단(兩端)에 구성하고 그 상단 일방에 프로젝터(5)를 구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3) 상면에 투명 창(4)을 형성하고 테이블(3) 내부로는 시청자 위치를 기준하여 전단(前端)에 영상 스크린(6)을 구성하고, 그 후단(後端)에 반사경(7)을 구성하되 각각 적정한 사각(斜角) 구조로 양립(兩立)형태로 테이블(3) 내부 양단(兩端)에 구성하고 그 상단 일방에 프로젝터(5)를 구성한다.
상기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블(3) 케이스 내부에 프로젝터(5)와 반사경(7)과 영상 스크린(6)을 구성하되
상기 영상스크린(6)은 시청자가 투명창(4)을 통해 마주볼 수 있는 테이블(3) 케이스 내부 맞은편에 구성하고 상기 프로젝터(5)는 상기 영상스크린(5)의 위,아래 중 한쪽을 선택하여 구비하고 상기 반사경(7)은 상기 프로젝터(5)에 반대되는 쪽에 구성함으로써 상기 테이블(2)케이스 상면부에는 투명창(4)을 구성함으로써 프로젝터(5)의 영상은 건너편인 반대편의 반사경(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프로젝터(5) 쪽에 위치한 영상스크린(5)에 결상되고 시청자는 테이블(3) 내부 맞은편의 영상스크린(6)의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 것이다.
영상스크린(6)의 반사율 구성은 한정하지는 않으나 반사율 2게인 이상의 스크린, 또는 4게인 이상의 반사형 스크린, 또는 6게인 이상의 구면 반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이유는 후론트형의 스크린은 영상스크린(6)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 구성여하에 따라 밝기를 투과형 스크린 대비 2배에서 30배까지 상승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사율 4게인 이상의 고 반사 스크린으로 영상 스크린(6)을 구성할 때 프로젝터(5)의 반사각과 시청자(1)의 시청각이 상이 하여 영상 스크린(6)의 반사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상 스크린(6)의 반사각이 달라지면 시청자(1)위치에서 밝기와 선명도가 현저히 저감 된다.
따라서 도7과 같이 영상 스크린(6)의 좌, 우 또는 상, 하 방향으로 산란선(6b) 또는 반사선(6a)을 형성하여 영상 스크린(6)의 상하 시야각을 확대 할 수 있다.
즉 영상 스크린(6)자체가 반사 성 스크린 일 경우는 산란선(6b)을 형성하여 스크린의 시야각을 확대하고, 영상 스크린(6)자체가 산란선 스크린 일 경우는 반사선(6a)을 형성하여 그 반대되는 반사면의 반사율을 올리고 나머지 면을 산란선(6b)으로 하여 시야각을 확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산란선이(6b) 형성된 반사성 스크린은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올리면서 시야각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사성의 영상스크린(6)은 도8과 같이 그 형상을 구면으로 하고 동 영상스크린(6)의 표면반사율은 6게인 이상으로 하고 동 영상스크린(6)의 구면 곡률(r)의 1/2위치인 초점(F)위치에 프로젝터(5)를 구성하여 일반 스크린 1게인 대비 6배 이상의 밝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스크린의 구면이 갖는 곡률(r)의 정밀성 여하에 따라 30게인, 즉 30배까지 밝기를 증대 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초점(F)위치의 거리는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c+b)와 같게끔 하기 위하여 영상스크린(6)의 구면 곡률(r)은 투사거리(c+b)의 2배로 하여 구면 곡률(r)과 초점(F)위치는 투사거리(c+b)와 같게 된다,
이러한 영상스크린(6)의 작용은 초점(F)위치에서 영상스크린(6)으로 입사된 프로젝터(5)의 영상은 직진 반사하므로 높은 반사면에서도 전 화면이 균일하면서도 선명한 영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율을 30게인 까지 올릴 수 있으므로 LED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 반도체형의 광원으로 구성된 소형 프로젝터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사용하여도 상기 스크린에서 6-30배 밝기를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젝터(5)의 개수를 2개로 구성하되 각기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 전단에 편광방향이 좌, 우 대칭 방향인 편광필름을 장착함 으로서 입체 영상 시청 장치도 가 능하게 한다.
이러한 두 개의 프로젝터(5) 중 1개의 프로젝터(5)에는 좌측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머지 프로젝터(5)에는 우측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각 입력하여 영상 스크린(6)에 투사한 후 시청자는 좌, 우 대칭 편향방향으로 구비한 편광안경을 통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영상 스크린(6)의 각도와 반사경(7)의 설치각도를 적당한 사각(斜角)으로 반사각을 구성하여 시청자(1)는 투명 창(4)을 통하여 테이블(3) 내부 후단에 설치된 반사경(7)을 통하여 영상 스크린(6)의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와 같이 프로젝터(5)에 의해 투사된 영상은 반사경(7)에서 반사된 후 그 전면의 영상 스크린(6)에 결상 되고 시청자(1)는 다시 반사경(7)을 통하여 영상스크린(6)의 화면을 감상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의 시청자(1)의 시청거리는 시청자(1)의 위치에서 투명 창(4)을 통과하여 반사경(7)까지의 거리인a와 반사경(7)에서 다시 영상 스크린(6)까지의 거리인 b를 합 한즉 a+b의 거리가 시청자(1)의 시청거리(a+b)가 되는 이다.
또한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는 프로젝터(5)에서 반사경(7)까지의 거리인 c와 반사경(7)에서 영상 스크린(6)까지의 거리인 b를 합 한즉 c+b가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가 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용도와 같은 도 4의 테이블(3)의 크기는 통상 1m 가 넘지 않는다.
이 경우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인 c+b는 반사경(7)을 통하여 두 번 중첩하므로 최소한 2m 를 확보할 수 있다.
프로젝터의 투사거리 2m에서는 통상 화면 크기40"(1m)의 화면을 실현한다.
이와 같은 40″의 화면을 보는 시청자의 시청거리는 상기 a+b는 약 3m의 시청거리가 확보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화면 크기 대비 3배 이상 원거리에서 시청하는 효과를 바로 테이블 전면 위치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테이블(3)의 면적(d) 내부에서 시청자(1)의 시청거리 a+b와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 c+b를 중복시키고 반사경(7)에서 굴절 중복함으로서 최대한의 투사거리와 시청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영상 스크린(6)과 프로젝터(5)의 위치와 반사경(7)의 위치를 바꾸어 위치하여도 시청거리는 조금 짧아지기는 하나 테이블(3)의 면적(d)의 길이와 시청거리가 중복되어 점유 면적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프로젝터(5)의 투사거리는 c+b로 구성되므로 테이블(3) 내면에서 2배 이상의 투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영상 스크린(6)과 프로젝터(5)를 삭제하고 PDP나 LCD와 같은 평면 영상을 영상 스크린(6)으로 구성할 시 시청자(1)의 시청거리는 b+a가 되므로 이 또한 가까운 시청위치에서 원거리 시청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영업장소에서 사용되는 프로젝터는 램프 사용시간이 짧아 자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램프 자체의 열이 밀폐된 공간에서 많이 난다
따라서 프로젝터(5)의 구성을 광원이 LED 또는 다이오드레이저와 같은 반도체광원으로 하는 소형 프로젝터를 채택함으로서 상기 반도체광원은 그 수명이 일반 램프에 비해 3-10배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영업장소에서 그만큼 램프를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LED 및 다이오드레이저와 같은 반도체(solidstate)광원은 종래 램프대비 열이 1/10 이하로 감소하므로 본 발명과 같은 밀폐된 공 간내부 사용에 매우 실용적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젝터는 상대적으로 밝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반사성 스크린에 의해 그 밝기를 증대할 수 있다.
도 9는 좌, 우 양면에서 시청할 수 있는 구조이다. 테이블(3)내부의 c는 좌측 프로젝터(5a)에서 우측스크린(6b)까지의 투사거리이고, c1은 우측프로젝터(5b)에서 좌측스크린(6c)까지의 투사거리이다,
a1은 좌측스크린(6c)에서 우측시청자(1b)까지의 시청거리이고. a는 우측스크린(6d)에서 좌측시청자(1a)까지의 시청거리이다.
d는 테이블(1)이 갖는 점유면적의 길이이다.
좌측스크린(6c)과 우측스크린(6d)은, 반사면이 있는 3게인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종래 일반 스크린 대비 3배 이상의 밝기를 실현하며 이를 구면형태의 스크린으로 구성할 시는 약6-30게인 까지 의 스크린 구성이 가능하므로 종래 일반스크린 대비 6-30배까지 의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구면 형 스크린의 곡률에 의한 초점거리(F)와 각 좌, 우측 프로젝터(5a,5b)의 좌, 우측 투사거리(a, a1)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게 구성해야한다.
이와 같은 좌, 우측 스크린(6c, 6d)은 LCD모니터나 PDP모니터 등 평면 스크린으로 대체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하나의 테이블(3)에 좌, 우측에 마주 앉은 좌, 우측 시청자(1a,1b)가 동일한 영상 또는 각기 다른 영상을 동시에 한 테이블(3)에서 각각 건너편의 좌, 우측 스크린(6c, 6d)을 통해 각각 시청할 수 있다.
즉 좌측시청자(1a)는 좌측프로젝터(5a)에서 우측스크린(6d)에 투사된 영상을 좌측 시청거리(a)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시청하게 되는 것이고, 우측 시청자(1b)는 우측프로젝터(5b)에서 좌측스크린(6c)으로 투사된 영상을 우측시청거리(a1)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시청하게 되는 것이다.
좌측 시청자(1a)는 좌측시청거리(a)만큼 떨어진 원거리에서 화면을 시청하므로 그만큼 선명한 영상 시청이 되면서 동시에 좌측프로젝터(5a)의 투사거리(c)도 동시에 확보되는 것이다.
우측 시청자(1b) 또한 같은 논리로 우측 시청거리(a1)와 우측 투사거리(c1)를 동시에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투사거리에 있어서도 좌측 프로젝터(5a)는 좌측투사거리(c)와 좌측 시청거리(a)를, 우측 시청거리(a1)와 우측투사거리(c1)를 하나의 케이스(3) 내부에서 중복하여 구성하고, 우측프로젝터(5b)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우측 투사거리(c1)와 우 측 시청거리(a1)를 좌측 투사거리(c)와 좌측시청거리(a) 에 중복하여 교차 구성함으로서 하나의 테이블(3)의 면적(d) 이내에서 상기 광학적 구성요소를 모두 충족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9와 같이 하나의 테이블(3)의 면적(d)의 길이 이내에서 좌, 우측 투사거리(c, c1)와 좌, 우측 시청거리(a, a1)를 중복하여 확보함으로서 종래 구조 대비 1/2에서 1/4까지의 점유 면적을 축소하면서 최대의 투사거리와 최대 시청거리를 상호 좌, 우 양쪽에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0과 같이 테이블(3) 내부 좌, 우측에 각기 좌측 상단부터 좌측 프로젝터(5a), 그 하부에 좌측 반사경(7a), 그 하부에 좌측스크린(6c)을 설치하고, 우측에도 동일하게 상단부터 우측 프로젝터(5b), 그 하부에 우측 반사경(7b), 그 하부에 우측스크린(6d)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좌측 프로젝터(5a) 영상은 우측 반사경(7b)에서 반사되어 좌측스크린(6c)에 결상 되고, 이를 우측 시청자(1a)가 시청하게 되며 우측 프로젝터(5b) 영상은 좌측 반사경(7a)에 반사되어 우측스크린(6d)에 결상 되어 좌측 시청자(1b)가 시청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조는 좌, 우 반사경(7a, 7b)구조에 의해 그 투사거리가 절반으로 감축하므로 테이블(3)부피를 도 9의 구조 대비 1/2 까지 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 우측 프로젝터(5a, 5b)의 위치는 테이블(3)내부에서 좌, 우측 반사경(7a, 7b)과 함께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도 11의(a)와 도 11의(b)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의(a)는 도 1과 같은 종래 영상기기의 도면이고 도 11의(b)는 본 발명인 도 4의 도면을 한눈에 비교하기 위한 비교도 이다.
종래 영상 박스(e)의 점유 면적 S2 대비 본 발명의 테이블(3)의 점유 면적은 d가 된다.
종래 영상박스(e)는 프로젝터의 투사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영상 면(2)의 위치가 시청자의 눈높이보다 높을 수뿐이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은 테이블(3) 내부에서 투사거리(c+b)가 이중으로 중복 구성하여 시청하므로 하향 시청이 가능하여 편안한 시청이 가능하다.
전체 점유면적에 있어서도 도 11의(a)에 있어서는 영상 스크린(6) 크기의 3배 이상 시청자(1)가 떨어져 보아야 하므로 1대당 설치 점유 면적이 S2와 같이 매우 크다.
도 11의(b)와 같이 반면에 본 발명의 구조는 바로 테이블(3) 앞에서 시청거리가 c+a가 되므로 3배까지의 시청거리가 확보되므로 테이블(3)의 면적(d) 범위 내에서도 선명한 영상 감상과 전 화면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a)의 점유 면적길이(s2) 대비 본 발명의 테이블(3)의 점유 면적(d)은 1/2-1/4에 불과하므로 2-4배 이상의 많은 기기 설치가 가능함으로 같은 면적의 영업장소에서 2-4배의 수익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논리로 도 9, 도 10과 같이 하나의 테이블(3)에서 좌, 우측 시청자가 동시에 하나의 영상 또는 다른 선택된 각각의 영상을 함께 시청할 수 있으며 화면의 밝기가 종래 대비 3배-30배의 밝은 영상을 좌, 우측에서 충분한 시청거리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으며, 최소의 테이블(3)면적에서 3배 이상의 시청 거리와 2배 이상의 투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반사의 영상스크린(6)을 사용할 시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반사면 또는 산란 면을 형성함으로서 상, 하 시야각을 확대하여 시청자 위치에서 3배 이상의 넓어진 상하 시야 범위에서 밝고 선명한 영상시청이 가능하므로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광원을 사용 한 저광도의 프로젝터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 이다
또한 투사거리에 의한 화면 크기 또한 테이블(3) 내부에서 반사경에 의해 투사거리를 상호 교차하여 2배 이상의 투사거리를 확보하므로 종래 대비 2-4배의 대형화면 시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영상기기는 별도의 영상기기, 별도의 테이블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테이블(3)에 영상기기가 결합하여 테이블 기능과 함께 영상기기의 기능을 동시에 겸용하는 효과가 있으며 입체 영상 시청도 가능 한것이다
. 이러한 본 발명은 좌, 우에 앉는 좌, 우측 시청자(1a,1b)가 셋톱박스나 DVD등의 영상기기에 의하여 각기 다른 영상을 보거나(이 경우 음향은 헤드폰 사용)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게임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 할 시는 좌, 우측 시청자(1a,1b)가 동시에 같은 게임을 하거나 또는 각자 다른 게 임을 즐길 수 있으며 스포츠 게임의 경우는 한게임에서 상호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회사, 관공서 등의 안내 데스크에서 고객 등을 상대로 영상 브리핑 및 1:1 영어회화 교육 영상 장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 방향 또는 양방향 시청 구조에서 프로젝터(5)의 구성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도 3, 도 4, 도 5, 도 6, 도 9, 도 10의 경우 프로젝터(5)의 수를 좌, 우 복수로 구성하고 그 전면에 편광방향이 대칭 각도인 편광 휠터를 부착하여 각 영상스크린6)에 투사할 시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테이블(3) 내부에 반사형의 스크린을 구성하고 이를 투명창을 통하여 시청하게 구조를 구성 하므로서 그만큼 외광을 차단하게 되므로 2배 이상의 밝기와 선명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종래 대비 1/2-1/4의 점유면적에서 3배 이상의 시청거리 확보와 2배 이상의 대형화면 확보와 3배 이상의 선명한 영상과 입체 영상을 편안한 하향 시청각도로 시청할 수 있는 획기적 효과가 있으므로 스포츠 바, 카페, PC방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테이블 형 대형 영상 장치 인 것이다.
또한 좌, 우 양방향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기, 영상기청기기, 영상안내 데스크로 매우 유용하며 카페, 스포츠, 게임장 및 관공서 등에서 매우 실용적인 대형화면의 테이블 영상 장치 인 것이다.

Claims (12)

  1. 테이블 내부에 대형 영상 장치가 내장되는 테이블형 대형영상장치에 있어서
    테이블(3) 케이스 내부에 프로젝터(5)와 반사경(7)과 영상 스크린(6)을 구성하되
    상기 영상스크린(6)은 후론트형의 스크린으로 구성하고
    상기 영상스크린(6)은 테이블(3)내부 시청자의 맞은편 한쪽에 구비하고
    상기 반사경(7)은 상기 영상스크린(6)의 반대되는 다른 한쪽에 구성하고
    상기 프로젝터(5)는 테이블(3)내부 상기 반사경(7)의 반대되는 쪽에 구성하고
    상기 테이블(2)케이스 상면부에는 투명창(4)을 구성하여
    시청자(1)는 상기 투명창(4)을 통해 테이블(3) 내부 맞은편의 구성된 영상 스크린(6)의 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것이 특징인 테이블 대형 영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영상스크린(6)의 구성을 3게인 이상의 반사 스크린으로 하고 상기 반사스크린 표면에 산란 선(6b)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 영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프로젝터(5)의 구성을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광원을 광원으로 한 프로젝터(5)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영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프로젝터(5)와 영상 스크린(6)을 PDP, LCD를 포함하는 평면 구조의 영상 스크린(6)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 영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영상 스크린(6)의 형상을 구면 형태의 반사형 스크린으로 구성하고 , 표면 반사율을 6게인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형 대형 영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프로젝터(5)의 구성을 복수 개로 구성하고
    상기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 전단에 각각 편광필름을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프로젝터(5)는 좌측에서 촬영된 영상과 우측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스크린(6)에 투사하고 시청자(1)는 편광안경을 통해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 대형영상 장치
  7. 테이블 내부에 대형 영상 장치가 내장되는 테이블형 대형영상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테이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테이블 내부 한쪽에 프로젝터와 영상스크린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테이블 내부의 또 다른 한쪽에 상기 프로젝터와 영상스크린과 대칭구조로 한 쌍의 프로젝터와 영상스크린을 구성하고
    상기 테이블 중앙 상단면에 투명창을 구성하고
    상기 영상스크린은 후론트형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상기 테이블 양쪽에 위치한 각각의 시청자는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테이블케이스 내부 건너편에 위치한 각각의 영상스크린의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대형 영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좌, 우측 스크린(6c,6d)의 구조를 6게인 이상의 반사형의 구면 스크린으로 구성 한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영상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구조를 LCD, PDP를 포함하는 평면 영상 판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영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프로젝터와 영상 스크린 사이에 반사경을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영상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구성을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 반도체를 광원으로 한 프로젝터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테이블 형 대형영상 장치
  12. 삭제
KR1020070054780A 2006-07-25 2007-06-05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KR101079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698 2006-07-21
KR1020060069698 2006-07-25
KR1020070006919 2007-01-23
KR1020070006919A KR20080008937A (ko) 2006-07-21 2007-01-23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KR1020070027454 2007-03-19
KR1020070027454A KR20080010263A (ko) 2006-07-25 2007-03-19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KR1020070030657 2007-03-27
KR20070030657 2007-03-27
KR1020070035425A KR20080010265A (ko) 2006-07-25 2007-04-09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KR1020070035425 200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70A KR20080010270A (ko) 2008-01-30
KR101079995B1 true KR101079995B1 (ko) 2011-11-04

Family

ID=3842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780A KR101079995B1 (ko) 2006-07-25 2007-06-05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65939B2 (ko)
KR (1) KR101079995B1 (ko)
GB (1) GB24404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702A (ko) 2020-02-14 2021-08-24 최해용 다각 토론형 영상 테이블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6140027A1 (es) * 2010-01-28 2010-03-19 Jairo Botia Sistema de cajoneras para productos farmaceuticos y medico-quirurgicos que incorpora dispositivos publicitarios dinamicos
KR102426374B1 (ko) * 2022-01-11 2022-07-27 최해용 가상 대면 테이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56A (ja) 1998-12-11 2000-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JP200401271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533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894U (ja) * 1981-10-16 1983-04-19 株式会社 インテツク コンソ−ル
JP2565232B2 (ja) * 1987-06-19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テ−ブル形立体映像装置
US5125727A (en) * 1990-10-11 1992-06-30 Nova Office Furniture, Inc. Adjustable monitor support assembly
US5886818A (en) * 1992-12-03 1999-03-23 Dimensional Media Associates Multi-image compositing
JP3001884U (ja) * 1994-03-10 1994-09-06 株式会社電通プロックス 表示装置
JPH0862722A (ja) * 1994-08-24 1996-03-08 Hitachi Ltd スクリーン一体型電子机
WO1997046995A1 (en) * 1996-06-07 1997-12-11 Haworth, Inc. Table with internal projection system
JP2000035615A (ja) * 1998-07-21 2000-02-02 Hitachi Ltd 反射型スクリーン、それを備えた映像装置
JP2000056256A (ja) * 1998-08-04 2000-02-25 Hitachi Ltd 凹面鏡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287189B2 (ja) * 2003-05-12 2009-07-0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表示器
CN101829429B (zh) * 2004-12-03 2011-12-07 世嘉股份有限公司 游戏装置
JP2006171467A (ja) * 2004-12-16 2006-06-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方向依存ディスプレイ装置
FR2885423A1 (fr) * 2005-05-04 2006-11-10 Cedric Cadin Table meuble multimedia pour video projecteu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56A (ja) 1998-12-11 2000-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JP200401271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533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702A (ko) 2020-02-14 2021-08-24 최해용 다각 토론형 영상 테이블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40421B (en) 2009-11-25
GB2440421A (en) 2008-01-30
KR20080010270A (ko) 2008-01-30
GB0712472D0 (en) 2007-08-08
JP2008026894A (ja) 2008-02-07
JP5165939B2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8553B2 (en) Electronic display ti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692738B2 (en) Advanced Pepper&#39;s ghost projection system with a multiview and multiplanar display
TW202104982A (zh) 用於可變解析度螢幕的方法和裝置
JP6726743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150177608A1 (en) Auto stereoscopic projector screen
US20140063466A1 (en) Projection apparatus
US20130176407A1 (en) Beam scann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79995B1 (ko)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JP405231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3069589A1 (ja)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そ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WO2010095486A1 (ja) 立体表示装置
US9477087B2 (en) Holoform 3D projection display
JP5017234B2 (ja) 裸眼立体視システム
JP2009047952A (ja) 画像投影用スクリーン及び三次元画像表示装置
JP2007293101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スクリーン
US20070002441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for terminal
US8248542B2 (en) Table type large-size imaging apparatus
CN101109894A (zh) 台式大尺寸成像设备
US11099403B2 (en) Mirror display without viewer reflection
JP2011002663A (ja) 立体表示装置
KR20080010265A (ko)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JP4627334B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80010263A (ko)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TW201439594A (zh) 透明自動立體顯示器
KR200433615Y1 (ko) 테이블 형 대형 영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