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849B1 -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 Google Patents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9849B1 KR101079849B1 KR1020100110458A KR20100110458A KR101079849B1 KR 101079849 B1 KR101079849 B1 KR 101079849B1 KR 1020100110458 A KR1020100110458 A KR 1020100110458A KR 20100110458 A KR20100110458 A KR 20100110458A KR 101079849 B1 KR101079849 B1 KR 101079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seedling
- packaging case
- seedling plant
- pla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69908 Platichthys fle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494 foam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8 organic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재배지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기간 동안 육묘 식물의 신선도와 건강한 생육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상면에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와,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healthy growth of the seedling plant during the sale to the consumer in the cultivation plac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and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the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the body It includes a cover that cover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재배지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기간 동안 육묘 식물의 신선도와 건강한 생육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healthy growth of the seedling plant during the sale to the consumer in the cultivation place.
최근, 현대인들은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의 측면에서 식품의 유해성에 관하여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특히 채소의 경우 무기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 비료를 사용한 재래의 방식으로 직접 재배하여 취식하고자 하는 연구가 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modern people have become more concerned about the harmfulness of food in terms of dietary life. Especially, in the case of vegetables, research on the direct cultivation of organic food using organic fertilizers without using inorganic pesticides Is on the rise.
이와 같은 관점에서 직접 채소 또는 토마토 등과 같은 열매채소의 종자를 직접 구입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생육하여 취식할 수 있겠으나, 다양한 식물의 온도, 습도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발아시키기 힘들 뿐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grow and eat seeds by directly buying and growing seeds of fruit vegetables such as vegetables or tomatoes, but it is difficult to germin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various plants, and it takes considerable ti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이러한 단점은 식물의 모종을 구입하여 가정에서 생육하는 방법으로 해소를 할 수 있는데, 예컨대 육묘 식물을 구입하여 생육하는 방법이 그것이다.This drawback can be solved by purchasing seedlings of plants and growing them at home, for example, by purchasing and growing seedling plants.
육묘(育苗, raising seeding)란 종자나 영양체로 파종 등 방법으로 일정 기간 동안 길러 정식으로 심기에 가장 적합한 양질의 묘를 키우는 제반 작업을 말하며, 때로는 그렇게 길러낸 묘를 말할 때도 있다.Raising seeding refers to the general work of raising high quality seedlings best suited for plan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by seeding or feeding with nutrients, and sometimes refers to such seedlings.
현재까지 육묘용 설비나 포트 묘(pot seedling) 등에 관한 특허문헌은 다수 개시되어 있지만, 육묘를 통해 일정 기간 재배된 식물을 포장하여 판매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 케이스에 관한 문헌은 개시된 바가 없다.To date, a number of patent documents related to a seedling facility, pot seedling, and the like have been disclosed, but a document regarding a separate packaging case for packaging and selling plants grow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a seedling has not been disclosed.
식물의 모종(某種, seedling)은 재배지에서 재배된 후 줄기 또는 잎에 손상이 거의 없이 상품가치가 높은 상태로 도매상 또는 소매상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식물의 모종이 종이컵이나 황토 또는 합성수지로 된 소형 화분이나 포트(pot)에 수용되어 출시되는 경우에는 줄기와 잎이 보호되지 못하기 때문에 운반과정에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Seedlings of plants must be grown in the field and delivered to consumers through wholesalers or retailers with high commodity value with little damage to stems or leaves. In the case of being released in a small pot or pot (po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amaged in the transport process because the stem and leaves are not protected.
그리고 식물의 모종은 재배지에서 도매상 또는 소매상을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 일정한 기간 동안 신선도 및 건강한 생육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수분 및 양액(養液, nutrient solution)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분 및 양액을 도매업자 또는 소매업자가 수시로 공급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 seedlings of plants must maintain freshness and healthy growt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they are sol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wholesalers or retailers in the field, and for this purpose, water and nutrient solution must be supplied. And there is the hassle that wholesalers or retailers have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from time to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배지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일정 기간 동안 육묘 식물의 신선도와 건강한 생육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healthy growth of seedling plan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ld to consumers in the cultivation are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다량의 육묘 식물 수납과 운반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 large amount of seedling plants in a limited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반 또는 취급과정에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to prevent damage during transport or handling.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묘 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case for packaging the seedling plant, the body is filled with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nutrient solution is filled therein;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the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the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is made of a sponge or nonwoven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내부에 충전된 양액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외면을 감싸는 불투수성 재질의 하우징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has a housing of an impermeable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nutrient solution fill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내부에 충전된 양액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외면을 감싸는 비닐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has a viny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nutrient solution fill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 및/또는 커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and / or cover consists of any one or mo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polycarbonate and polyvinyl chlor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방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부를 갖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는 상토, 부엽토, 마사토, 황토, 튀긴 황토, 발포유리, 왕겨, 톱밥, 야자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has a filler filled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to have an inner space portion, to form the receiving groove, the filler is a top soil, flounder, masato, ocher, fried It consists of one or more combinations of ocher, foamed glass, rice hulls, sawdust, palm fib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ver has at least one air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하방 개구부를 가져 상기 하방 개구부로 상기 몸체가 끼워져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ver has a lower opening and the body is fitted into the lower opening is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 및 커버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수용홈은 복수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내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and the cover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of the body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cover is the space above the body of the receiving At least one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i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groove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상기 커버의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formed in any one or more of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cover for each port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후면부에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의 지지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하방 개구부 외에 후방 개구부를 더 가지며,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커버의 전면부 및/또는 상면부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has a sponge or non-woven support that extends upwards, the cover further has a rear opening in addition to the lower opening,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the cover It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 or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전방 개구부를 가져 내부에 상기 몸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갖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having a front portion having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body can be seated,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front opening of the first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커버는 'ㄷ'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커버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커버의 양 측면부에 탈착되거나, 상기 제1커버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탈착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cover has a '' 'shaped plane, both ends of the second cover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cover, or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cover And a lower surfac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복수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상기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cover is the upper space of the body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so as to be partitio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상기 제1커버 및/또는 제2커버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and / or the second cover for each port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홀을 가져 상기 육묘 식물의 줄기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which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opened to one side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stem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is f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방 개구부를 갖고 상기 하부커버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단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을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는 다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부의 주변에 대칭배열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내부에 교차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ver has a lower opening having a top opening and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periphery on the upper outer surface so that the body is fitted, and has a lower opening so that the lower cover can be fitted It includes an upper cover having a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inner surface to the protrusion of the lower cover. Here, the body is made of a polyhedron or cylindrical shape and the receiving groove is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dy, the upper cover is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body i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groove It may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to cros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 및 커버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낫니를 가지는 하부커버와, 하방 개구부를 갖고 하단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삿니를 가져 상기 하부커버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nd the cover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e cover has a lower opening having an upper opening and the periphery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upper outer surface so that the body is fitted, and It includes an upper cover having an opening and a threa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inner surface and screwed with the lower cover.
삭제delete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묘 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반으로 접혀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를 감싸는 클립편과, 상면에 상기 클립편이 반으로 접힌 상태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와, 상기 클립편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클립편은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case for packaging the seedling plants, the clip piece is made in a flat plate shape folded in half to surround the root of the seedling plant, and the clip piece is inserted in a state folded in half on the upper surface To provide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is formed containing a receiving groove that can be accommodated and the body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and a cover to cover the seedling pla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that the clip piece is received in the body Can be achieved by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lip piece consists of a sponge or a nonwove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의하면, 몸체에 수용된 육묘 식물이 몸체에 충전된 양액으로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재배지에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기간까지 육묘 식물의 신선도와 건강한 생육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body can be supplied with nutrients filled in the body, the freshness and healthy growth state of the seedling plants until the period of packaging in the cultivation field and sold to the consumer Can be maintained.
또한, 공기구멍을 갖는 커버가 마련됨으로써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육묘 식물의 광합성 및 세포호흡을 위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ver having air holes, it is possible to supply carbon dioxide and oxygen for photosynthesis and cell respiration of seedling plants located inside the cover.
또한, 커버에 격벽이 형성되어 육묘 식물 각각의 생장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육묘 식물의 쓰러짐이 방지되고, 육묘 식물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며, 운반시 육묘 식물 상호 간에 압착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cover to provide growth space for each seedling plant, thereby preventing the seedling plants from falling down, preventing damage due to contact between the seedling plants, and preventing the seedling plants from being pressed against each other during transportation.
또한, 포장 케이스가 일정한 사이즈와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수평으로 배열하거나 수직으로 적층되더라도 육묘 식물이 눌려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상품 가치가 높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ckaging case has a certain size and shape, even when arranged horizontally or stacked vertically, the seedling plan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pressed, and the state of high commodity value can be maintained.
또한, 간단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육묘 식물의 포장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하다.In addition, because of the simple coupling structure, packaging and separation of seedling plants is extremely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육묘 식물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ing case for the seedling plant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eedling plant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과 관련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o be able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by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In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elem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features.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육묘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재배된 식물(이하, '육묘 식물'이라고 함)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육묘 식물이 판매되기까지 일정 기간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대략 30∼40일 정도의 기간 동안의 육묘를 통해 뿌리매트를 형성한 육묘 식물을 포장하여 판매되기까지 대략 10∼20일 정도의 기간 동안 손상되지 않고 우수한 품질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for packaging a plant grow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eedl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edling plant'), in order to prevent the seedling plant from being dama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being sold. For example, a seedling plant that forms a root mat through seedlings for a period of about 30 to 40 days is packaged so as to maintain excellent quality without being damaged for a period of about 10 to 20 days before being sol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몸체(200) 및 커버(300)를 포함한다.When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4,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includes a
몸체(200)는 육묘 식물(1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10)을 가지며 내부에 양액(養液, nutrient solution)(도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이 충전된다. 육묘 식물(100)은 그 뿌리 부분이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 경우, 몸체(200)의 수용홈(210)은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0)의 수용홈(210)은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을 감싸고 있는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육묘 식물(100)을 감싸고 있는 수단은 흙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이 상토(床土, bed soil)(110)만으로 감싸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토(110)만으로도 일정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 없이 상토(110) 자체가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되어 수용된다.The
이와 달리,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을 감싸고 있는 수단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별도의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pot)(120)가 구비될 수 있다. 포트(120)는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과, 육묘 식물(100)의 직립을 지지함과 동시에 보습을 유지하기 위해 충전되는 충전재(1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러한 포트(120)가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된다.Alternatively, a separate tool may be used to keep the shape of the means surrounding the root portion of the
포트(120)는 외주와 하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포트(1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상식적인 범위 내의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The
여기에서, 포트(12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몸체(20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포트(120) 내부의 뿌리가 생육하는 상태와 부패나 질병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포트(120)에 다수의 구멍(122)을 형성한 것은 몸체(200)에 충전된 양액이 쉽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포트(120)는 컵 형상을 이루는 메쉬 구조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포트(120)에 충전되는 충전재(110')는 육묘 식물(100)의 뿌리의 활착을 돕고 직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토(110), 부엽토, 마사토 또는 황토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 외에도 왕겨, 톱밥, 야자섬유, 직포, 부직포 등을 분말 형태로 분쇄한 것이나, 단열 및 보온 효과를 위한 분말 형태의 발포유리(foam glass)나, 다공질에 흡수성이 우수한 튀긴 황토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충전재는 재배를 위한 흙이 마련되지 않은 수경재배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깨끗한 상태의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의 취식시 곧바로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참고로, 튀긴 황토는 쌀과 잡곡을 고온 고압에서 튀겨 부드러운 튀밥을 만드는 공정을 이용하여 황토를 튀겨내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 식물(100)을 감싸고 있는 수단은 상토(110)와, 상토(110)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1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포트(12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상토(110)의 외주를 감싸는 것만으로 상토(110)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몸체(200)에 충전된 양액의 유입에 부족함이 없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b) the means for wrapping the
다시, 몸체(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몸체(200)의 내부에는 양액이 충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용홈(210)의 내부에 양액이 충전된다. 이 경우, 몸체(200)는 수용홈(210)에 충전된 양액이 몸체(200) 전반에 걸쳐 퍼짐으로써 양액을 머금은 상태가 될 수 있는 재질, 예컨대 스펀지 재질이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200)는 상면에 수용홈(210)을 형성하는 작업이 지극히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gain, with reference to the
다만, 몸체(200)에 양액이 스며들 수 있는 상태가 포화상태가 되면 몸체(200)의 외면으로 양액 또는 수분이 배어날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외면을 감싸는 비닐로 된 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00)의 외부로 양액이나 수분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nutrient solution or water may ble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몸체(20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조합된 재질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에서 몸체(200) 내부가 보이기 때문에 양액이 잔량을 확인하여 보충하거나 수분을 추가로 공급하기에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몸체(200)에 수용홈(2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 이 외에도 몸체(2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상식적인 범위 내의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200)가 전술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몸체는 상방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내측 공간부에는 충전재가 충전된다. 충전재는 육묘 식물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충전된다. 즉, 충전재가 몸체의 내측 공간부에 충전될 때 상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충전된다는 의미이다. 충전재는 상토, 부엽토, 마사토, 황토, 튀긴 황토, 발포유리, 왕겨, 톱밥, 야자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뿌리 부분이 다른 수단에 의해 감싸져 있지 아니한 육묘 식물에 가장 유용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전술한 육묘 식물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용홈(210)을 가질 수 있는데, 수용홈(210)의 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몸체(200)가 복수의 수용홈(210)을 갖는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용홈(210)은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200)의 상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몸체(200)는 후면부에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0)를 더 가질 수 있으며, 지지부(220)는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되어 수용된 육묘 식물(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더욱이 지지부(220)가 몸체(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몸체(200)에 함유된 수분이 지지부(220)에까지 스며들게 되므로 육묘 식물(100)의 줄기와 잎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220)의 재질로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몸체(200)의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된 것도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커버(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300)는 몸체(200)에 수용된 육묘 식물(1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300)는 몸체(20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몸체(200)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inafter,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는 하방 개구부(330)를 가지며, 커버(300)의 하방 개구부(330)로 몸체(20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몸체(200)와 커버(3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예컨대, 몸체(200)를 커버(300)의 하방 개구부(330)로 억지 끼워맞춤하거나, 몸체(200)가 커버(300)의 하방 개구부(330)로 끼워진 상태에서 테이프 등의 탈착수단으로 몸체(200) 및 커버(300)를 고정시키거나, 몸체(200)가 커버(300)의 하방 개구부(330)로 끼워진 상태에서 몸체(200)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커버(300)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가 지지부(220)를 갖는 경우에는 커버(300)는 하방 개구부(330) 외에 후방 개구부(340)를 더 가지며, 커버(300)는 몸체(200)의 전방, 상방 및 양 측방을 덮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수용되는 복수의 육묘 식물(100)이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커버(300)는 격벽(32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when the plurality of
여기에서, 커버(300)의 격벽(320)은 몸체(200)의 상방 공간이 몸체(200)의 수용홈(210)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커버(300)의 격벽(320)은 몸체(200)에 수용된 육묘 식물(100) 하나마다 각자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커버(300)에 격벽(320)이 마련됨으로 인해, 몸체(200)에 수용되어 배열된 육묘 식물(100)의 쓰러짐이 방지되고, 육묘 식물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며, 운반시 육묘 식물 상호 간에 압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격벽(320)은 커버(30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이러한 커버(300)의 격벽(320)은 커버(300)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된다. 커버(300)가 하방 개구부(330)만을 갖는 경우에는 커버(300)의 전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 및 후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가 하방 개구부(330) 외에 후방 개구부(340)를 더 갖는 경우에는 커버(300)의 전면부 및/또는 상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의 내부에서 돌출형성된다.The
한편, 커버(300)의 격벽(320)은 커버(300)의 양 측면부의 길이보다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하단이 몸체(2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격벽(320)은 몸체(200)를 지지하게 되어 운반시 몸체(2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바람직하게는, 커버(300)는 몸체(200)에 수용된 육묘 식물(100)의 상방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육묘 식물(100)을 포장하여 도매상 및 소매상을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의 일정 기간 동안 육묘 식물(100)이 생장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eferably,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310)을 갖는다. 공기구멍(310)은 커버(300)의 내부에 위치한 육묘 식물(100)의 광합성 및 세포호흡을 위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의 출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구멍(310)이 커버(3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모두 형성되면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묘 식물(100)은 몸체(200)에 충전된 양액으로 영양분을 공급받고 커버(300)의 공기구멍(310)을 통해 출입하는 이산화탄소 및 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 및 세포호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생장할 수 있는 것이다.Also preferabl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육묘 식물(100)이 몸체(200)에 수용되고 커버(300)에 격벽(320)이 형성된 경우에는, 커버(300)의 공기구멍(310)은 격벽(320)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300)의 공기구멍(310)은 격벽(32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이 경우, 커버(300)가 하방 개구부(330)만을 가질 때에는 공기구멍(310)이 커버(300)의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가 하방 개구부(330) 외에 후방 개구부(340)도 가질 때에는 공기구멍(310)이 전면부 및/또는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커버(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내부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100)의 생육 상태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고 광합성에 용이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운반에 편의가 제공되도록 커버(300)는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가질 수도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먼저 육묘용 설비에서 일정 기간 동안 재배된 육묘 식물(100)을 내부에 양액이 충전된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한다. 이 경우, 양액은 육묘 식물(100)을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한 후 충전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시로 충전할 수 있다. 이후, 육묘 식물(100)이 수용된 몸체(200)를 커버(300)에 결합시켜 유통시키면 된다.
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몸체(200) 및 커버를 포함하고, 이탈 방지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와는 몸체(200) 및 커버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고, 또한 이탈 방지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shown in Figures 5 and 6 includes a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remaining technical features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ed materials. Therefore, even if it is not described below, technical feature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it is.
우선, 몸체(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몸체(200)는 육묘 식물(1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을 가지며, 수용홈(210)의 내부에는 양액이 충전된다.First, with reference to the
몸체(200)가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200)에 양액이 스며들 수 있는 상태가 포화상태가 되면 몸체(200)의 외면으로 양액 또는 수분이 배어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00)는 외면을 감싸는 불투수성 재질의 하우징(230)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하우징(230)은 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폼, 발포 스티렌 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하우징(230)의 외면을 감싸는 비닐(240)을 더 가질 수 있다.
커버에 대하여 설명하면, 커버는 제1커버(300a) 및 제2커버(300b)를 포함한다. 제1커버(300a)는 전방 개구부(350)를 가지며, 내부에 몸체(2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60)를 갖는다. 제2커버(300b)는 제1커버(300a)의 전방 개구부(350)를 덮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cover, the cover includes a
제2커버(300b)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제1커버(300a)의 전방 개구부(350)를 덮도록 제2커버(300b)를 밀착시킨 후에 점착테이프 등의 탈착수단으로 제1커버(300a)와 제2커버(300b)를 결합시키면 된다.The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300b)는 'ㄷ'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제2커버(300b)의 양단이 각각 제1커버(300a)의 양 측면부에 탈착되는 것이 탈착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커버(300b)의 양단에 탈착수단(370)이 구비되거나, 제1커버(300a)의 양 측면부에 탈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탈착수단은 다양한 것이 적용가능한데, 양면 점착테이프가 가장 적당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커버(300b)의 양단은 제1커버(300a)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탈착될 수도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the
커버의 격벽(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300a)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된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커버(300a) 대신에 제2커버(300b)에 격벽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그리고 커버의 공기구멍(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300b)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커버(300a)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의 공기구멍(310)은 격벽(320)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이탈 방지 부재(400)는 육묘 식물(100)이 수용된 몸체(200)가 커버에 수용된 상태에서 뒤집어졌을 때 육묘 식물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탈 방지 부재(40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일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홀(410)을 갖는다. 이탈 방지 부재(400)의 홀(410)은 육묘 식물(100)의 줄기 부분이 끼워질 수 있고 뿌리 부분이나 잎 부분이 관통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탈 방지 부재(400)는 몸체(200)가 제1커버(300a)의 안착부(3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에서 육묘 식물(100)의 줄기 부분이 홀(41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몸체(200)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에 따라 몸체(200)에 수용된 육묘 식물(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참고로, 이탈 방지 부재(4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도 5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묘용 설비에서 일정 기간 동안 재배된 육묘 식물(100)을 내부에 양액이 충전된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한다. 이 경우, 양액은 육묘 식물(100)을 몸체(200)의 수용홈(210)에 삽입한 후 충전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시로 충전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제1커버(300a)의 안착부(360)에 몸체(200)를 안착시켜 육묘 식물(100)이 제1커버(300a)의 격벽(32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이탈 방지 부재(400)의 홀(410)에 육묘 식물(100)의 줄기 부분이 끼워지도록 이탈 방지 부재(400)를 몸체(2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러고 나서, 제2커버(300b)를 제1커버(300a)에 부착시키면 결합이 완료되며, 유통가능한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ackaging case for the seedling plant shown in Figure 5 as follows. First, the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인데,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구성 및 작용상 차이가 있는 점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생략하기로 한다.7 to 9 are related to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only th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remaining technical features Will be omitted.
먼저, 도 7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커버 및 그 결합관계에 있어 특징이 있는 것이다. 커버는 하부커버(300a')와 상부커버(300b')를 포함한다. 하부커버(300a')는 몸체(200)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380)를 갖는다. 상부커버(300b')는 하부커버(300a')가 끼워지도록 하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고, 하단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을 갖는다. 따라서 하부커버(300a')에 몸체(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커버(300b')를 하부커버(300a')에 결합시키면, 각각의 돌출부(380) 및 홈에 의해 하부커버(300a')와 상부커버(300b')가 결합고정되며, 이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커버(300a')와 상부커버(300b')를 잡고 당기면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다. 공기구멍(310)은 상부커버(300b')에 형성되고 상부커버(300b')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7에서는 돌출부(380)와 홈을 이용하여 결합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고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First,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shown in Figure 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and its coupling relationship. The cover includes a
도 8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나사결합 방식의 커버를 적용한 것이다. 즉, 몸체(200)와 커버는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커버는 하부커버(300a'') 및 상부커버(30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부커버(300a'')는 몸체(200)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삿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상부커버(300b'')는 하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고,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삿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따라서 하부커버(300a'')에 몸체(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커버(300b'')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양자를 결합고정시킬 수 있고 분리도 용이하다. 공기구멍(310)은 상부커버(300b'')에 형성되고 상부커버(300b'')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shown in Figure 8 is to apply a screw-type cover. That is, the
도 9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복수의 육묘 식물(100)이 몸체(2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몸체(200)는 다면체, 예컨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00)의 수용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은 몸체(200)의 상면 중앙부의 주변에 대칭배열된다. 이 경우, 커버는 하부커버(300a''') 및 상부커버(300b''')를 포함한다. 상부커버(300b''')는 격벽(320)을 갖는데, 격벽(320)은 몸체(200)의 상방 공간이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상부커버(300b''')의 내부에 교차 형성된다. 기타 기술적 특징은 도 7에 도시된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와 동일하다.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shown in FIG. 9 is such that the plurality of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는 클립편(130), 몸체(200), 커버(300)를 포함한다.10 shows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ackaging case for the seedling plant includes a
클립편(130)은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반으로 접혀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클립편(130)은 탄성 및 보습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토에 의하지 않고 클립편(130)으로 육묘 식물(100)의 뿌리 부분을 감싸더라도 생육에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다.
몸체(200)는 클립편(130)이 반으로 접힌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210)을 갖는다는 점 외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몸체와 동일하며, 커버(3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버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를 단순히 채소 또는 열매채소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화훼나 일반 묘목의 운반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mply uses th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vegetables or fruit vegetables, and may also be applied for carrying flowers or general seedlings.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육묘 식물 110 : 상토
110' : 충전재 120 : 포트
130 : 클립편 140 : 부직포
200 : 몸체 210 : 수용홈
220 : 지지부 230 : 하우징
240 : 비닐 300 : 커버
300a : 제1커버 300b : 제2커버
310 : 공기구멍 320 : 격벽
330 : 하방 개구부 340 : 후방 개구부
350 : 전방 개구부 360 : 안착부
370 : 점착수단 380 : 돌출부
400 : 이탈 방지 부재100: seedling plant 110: soil
110 ': filler 120: pot
130: clip part 140: nonwoven fabric
200: body 210: receiving groove
220: support 230: housing
240: vinyl 300: cover
300a:
310: air hole 320: bulkhead
330: downward opening 340: rear opening
350: front opening 360: seating portion
370: adhesive means 380: protrusion
400: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Claims (21)
상면에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하방 개구부를 가져 상기 하방 개구부로 상기 몸체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몸체 및 커버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수용홈은 복수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내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In the case for packing the seedling plants,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And
And a cover covering the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has a lower opening, the body is fitted into the lower opening is coupled,
The body and the cover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of the body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cover is i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body i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groov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partition wall protruding.
상기 몸체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ponge or non-woven material.
상기 몸체는 내부에 충전된 양액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외면을 감싸는 불투수성 재질의 하우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using of an impermeable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nutrient solution filled therein.
상기 몸체는 내부에 충전된 양액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외면을 감싸는 비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packaging box for seedlings,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viny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the external leakage of the nutrient solution filled therein.
상기 몸체 또는 커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or cover is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r more than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carbonate and polyvinyl chloride.
상기 몸체는 상방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부를 갖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는 상토, 부엽토, 마사토, 황토, 튀긴 황토, 발포유리, 왕겨, 톱밥, 야자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ody has a filler filled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upper opening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form the receiving groove, the filler is a topsoil, flounder, masato, ocher, fried ocher, foam glass, rice husk, sawdust, palm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r more than one of the fibers.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case packaging seedl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t least one air hole.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상기 커버의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r more of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cover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상기 몸체는 후면부에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의 지지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하방 개구부 외에 후방 개구부를 더 가지며,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커버의 전면부 또는 상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body has a support portion of the sponge or non-woven material which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extending upward, the cover further has a rear opening in addition to the lower opening,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formed i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cover The packaging case for the seedling plan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상면에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전방 개구부를 가져 내부에 상기 몸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갖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In the case for packing the seedling plants,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And
And a cover covering the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comprises a first cover having a front opening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body can be seated,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front opening of the first cover.
상기 제2커버는 'ㄷ'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커버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커버의 양 측면부에 탈착되거나, 상기 제1커버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cover has a flat surface having a 'c' shap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cover are detached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cover, 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ver, respectively.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복수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상기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2,
The body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ceiving groove is a plurality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cover is the first cover or second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body i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groov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을 가지며, 상기 커버의 공기구멍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마다 상기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cover has at least one air hole, and the air hole of the cover is formed on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for each part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홀을 가져 상기 육묘 식물의 줄기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2,
The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flat shape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stem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is fitted.
상면에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방 개구부를 갖고 상기 하부커버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단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을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In the case for packing the seedling plants,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And
And a cover covering the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has an upper opening for fitting the body and a lower cov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outer surface, and a lower opening for fitting the lower cover, and a lower cover for fitting the protrusion of the lower cover.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p cover having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상면에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커버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도록 상방 개구부를 갖고 상단 외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낫니를 가지는 하부커버와, 하방 개구부를 갖고 하단 내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삿니를 가져 상기 하부커버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In the case for packing the seedling plants,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therein; And
And a cover covering the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body and the cov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ver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the lower inner surface having a lower cover having a lower opening having a top opening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upper outer surface to fit the body, and a lower opening Packaging case for a seedl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that is screwed with the lower cover having a thread.
상기 몸체는 다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부의 주변에 대칭배열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방 공간이 상기 수용홈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획되도록 내부에 교차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body is made of a polyhedron or cylindrical shape, the receiving groove is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upper cover is formed in the cross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body i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groove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반으로 접혀 상기 육묘 식물의 뿌리를 감싸는 클립편;
상면에 상기 클립편이 반으로 접힌 상태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양액이 충전되는 몸체; 및
상기 클립편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육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In the case for packing the seedling plants,
Clip piece made of a flat plate shape folded in half to surround the root of the seedling plan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which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piece is folded in half, the body is filled with nutrient solution; And
Packaging case for seedlings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the seedlings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clip piece is accommodated in the body.
상기 클립편은 스펀지 또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20,
The clip piece is a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ponge or non-woven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1/002265 WO2012050276A1 (en) | 2010-10-14 | 2011-04-01 | Packaging case for raising a seed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00479 | 2010-10-14 | ||
KR1020100100479 | 2010-10-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9849B1 true KR101079849B1 (en) | 2011-11-03 |
Family
ID=4539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04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9849B1 (en) | 2010-10-14 | 2010-11-08 |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9849B1 (en) |
WO (1) | WO2012050276A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83067A (en) * | 2013-03-04 | 2016-01-27 | 波平波德斯澳大利亚私人有限公司 | Living plant display and sto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KR20190017216A (en) | 2017-08-10 | 2019-02-20 | 주식회사 토모 | Packing container for safe shipment of seedling |
KR102329703B1 (en) * | 2021-05-14 | 2021-11-22 | 안혁 | The root vegetable packaging box |
KR20220095650A (en) | 2020-12-30 | 2022-07-07 | 정지연 | Packaging Box for Plant Delivery and Packaging Box Assembly for Plant Delivery |
KR102466290B1 (en) * | 2022-07-06 | 2022-11-14 | 농업회사법인 바른팜 주식회사 | Box for safe delivery of plant seedlings |
KR102527540B1 (en) | 2022-08-22 | 2023-04-28 | 김현중 | Multifunctional seedling transport box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13308B (en) * | 2013-04-22 | 2015-10-21 | Macpac Ltd | Packaging |
USD915904S1 (en) | 2018-10-15 | 2021-04-13 | Living Herbs LLC. | Double mailing container with root pocke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5564A (en) * | 1997-09-08 | 1999-03-23 | Fukuoka Marumoto Kk | Culture container |
JP2008081166A (en) * | 2006-09-28 | 2008-04-10 | Myuupakku Ozaki:Kk | Package for potted plan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4381U (en) * | 1975-10-17 | 1977-04-19 | ||
KR20020068971A (en) * | 2002-05-27 | 2002-08-28 | 최순철 | Flower Arrangement Container |
JP2006180837A (en) * | 2004-12-28 | 2006-07-13 | Mebiol Kk | Plant cultivation tool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KR20100001724U (en) * | 2008-08-08 | 2010-02-18 | 김용완 | Flowerpot Packing Case |
-
2010
- 2010-11-08 KR KR1020100110458A patent/KR1010798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4-01 WO PCT/KR2011/002265 patent/WO201205027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5564A (en) * | 1997-09-08 | 1999-03-23 | Fukuoka Marumoto Kk | Culture container |
JP2008081166A (en) * | 2006-09-28 | 2008-04-10 | Myuupakku Ozaki:Kk | Package for potted plan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83067A (en) * | 2013-03-04 | 2016-01-27 | 波平波德斯澳大利亚私人有限公司 | Living plant display and sto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KR20190017216A (en) | 2017-08-10 | 2019-02-20 | 주식회사 토모 | Packing container for safe shipment of seedling |
KR20220095650A (en) | 2020-12-30 | 2022-07-07 | 정지연 | Packaging Box for Plant Delivery and Packaging Box Assembly for Plant Delivery |
KR102329703B1 (en) * | 2021-05-14 | 2021-11-22 | 안혁 | The root vegetable packaging box |
KR102466290B1 (en) * | 2022-07-06 | 2022-11-14 | 농업회사법인 바른팜 주식회사 | Box for safe delivery of plant seedlings |
KR102527540B1 (en) | 2022-08-22 | 2023-04-28 | 김현중 | Multifunctional seedling transport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50276A1 (en) | 2012-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9849B1 (en) |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 |
US10531614B2 (en) | Living plant display and sto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CN104114020B (en) | Plant growth system and the method for using the system | |
AU2013247470B2 (en) | A holder for plants and a plant cultivation method | |
US20190387660A1 (en) | Seed mat for insertion into a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20190132527A (en) | Methods and Materials for Prolonging Plant Viability in Uncooled Storage Environments | |
GB2055281A (en) |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 |
KR870001455B1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device | |
US20130318871A1 (en) | Planter having a multi-purpose lid | |
US10492390B2 (en) | Hydroponic display container for flowering bulbs | |
NL2018099B1 (en) | Kit of parts and assembly for domestic keeping of plants, in particular edible plants such as herb plants | |
JP3174816U (en) | Hydroponic float for planting | |
CA2704170A1 (en) | Cup and removable seed tab combination device | |
JP2007215405A (en) | Cultivation system, soil filling container for cultivation system, and assembly planter | |
KR101068268B1 (en) | Plant culture container kit for use in space | |
JP2008265821A (en) | Package for rooted hydroponics crop | |
KR930004180B1 (en) | Plant growers | |
KR20190017216A (en) | Packing container for safe shipment of seedling | |
JP2528668Y2 (en) | Plant packaging | |
KR20120006691U (en) | Soil pellet containing seeds | |
KR101432545B1 (en) | A seed pack and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803096B1 (en) | Hydroponics Combined Hydroponic Plant Packaging Bag | |
JPS6222135Y2 (en) | ||
EP3520601B1 (en) | Tray system for growing and transporting plants | |
JP2008048697A (en) | Pack for plant cultiv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