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946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469B1
KR101079469B1 KR1020090107569A KR20090107569A KR101079469B1 KR 101079469 B1 KR101079469 B1 KR 101079469B1 KR 1020090107569 A KR1020090107569 A KR 1020090107569A KR 20090107569 A KR20090107569 A KR 20090107569A KR 101079469 B1 KR101079469 B1 KR 10107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ump
air
dispen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956A (ko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469B1/ko
Priority to EP10828566.9A priority patent/EP2496899B1/en
Priority to CN201080050374.4A priority patent/CN102686961B/zh
Priority to US13/508,324 priority patent/US9267732B2/en
Priority to PCT/KR2010/007842 priority patent/WO2011056031A2/en
Publication of KR2011005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4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고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출력측과 연결된 급수유로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펌프, 급수, 공기, 배출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얼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와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제빙용 트레이에 직접 물을 채우는 방식, 또는, 1회 제빙을 위한 용량을 가지는 급수용기에 물을 넣어 장착하고,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 된 물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회분 만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만약 용량이 큰 급수용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냉동실의 온도 특성상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제빙작업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제공하여 제빙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라인이 디스펜서와도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고내에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급수용기가 제공되고, 펌프 및 급수유로를 통해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완전히 공급되어 급수용기 내에 물이 없거나 수위가 낮은 경우 또는 비정상 상태에서 급수유로를 통해 공기가 혼입될 수 있다.
공기의 혼입시 아이스 메이커의 제빙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디스펜서를 통한 물 취출시 물 튐현상이 발생하는 등 급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급수 후 펌프의 재 기동시 펌프 내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 펌프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펌프의 출력측과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 사이의 급수유로에 급수유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배출 유닛이 구비되어 공기가 혼입된 상태로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급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고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출력측과 연결된 급수유로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상기 펌프의 출력측의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사이에서 외부와 연통되어 유로상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배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물에 뜰 수 있는 소재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출력부 및 입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부의 개구된 단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의 출력측과 연결된 급수유로상에는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분지하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상기 펌프와 밸브 사이의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고내 공간과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며, 압축기와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펌프의 출력측과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 사이의 급수유로상에 공기 배출 유닛이 구비되어 급수유로상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급수용기 내의 물이 모두 소진되거나 수위가 낮아 물과 함께 공기가 혼입된 상태로 흡입되는 경우 상기 공기 배출 유닛에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로 물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에서 발생되는 급수불량을 해소할 수있게 되어 급수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를 통과한 후 공기는 모두 배출되어 펌프 정지시 상기 펌프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진 상태가 되므로 재기동시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펌프 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 등 식품의 수납을 위한 구성들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0)에 힌지(130)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은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에는 각각 도어 핸들(23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는 홈바(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10)에는 음용수 및/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2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210)의 배면에는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용기(400)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5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는 급수되는 물을 얼려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3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는 자동으로 제빙을 위한 물이 급수되고, 상기 냉동실(110)의 냉기에 의해 얼음이 만들어진 후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20) 측으로 자동으로 이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인 아이스 메이커(3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에서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20)에 저장되며, 상기 디스펜서(250)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320)와 상기 디스펜서(250)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330)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급수용기(400)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또는 디스펜서(250)로 공급되는 제빙용수 및/또는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급수용기(400)에 직접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용 용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는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바스켓(224)이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224)은 탈착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바스켓(22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수용기(40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되는 용기 연결부(222)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급수용기(400) 상단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된 후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40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50)는 급수유로(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유로(500)에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은 상기 펌프(600)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 강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700)에 의해 분지되어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는 상기 캐비닛(100) 하부의 후측 모서리에 제공되는 기계실(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 또는 상기 냉장실(1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유로(500)는 상기 급수용기(400) 내측의 흡입유로(510),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연결되는 펌프 입력유로(520), 상기 펌프의 출력측(620)에서 상기 밸브(700)와 연결되는 펌프 출력유로(530), 상기 밸브(70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 상기 밸브(700)에서 상기 디스펜서(250)와 연결되는 디스펜서측 유로(5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수용기(400)가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수용기(400)의 내측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탈착시,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내측에 제공되는 급수유로(500)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는 상기 흡입유로(51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20)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5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연결관이 더 형성될 수도 된다.
한편,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0)에서 상기 흡입유로(510)와 연결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600)의 입력측(610)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600)가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상기 힌지(130)를 통해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서 상기 캐비닛(1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600)의 출력측(620)과 아래에서 설명할 밸브(700)의 입력측(710)을 연결하여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이 상기 밸브(700)를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와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는 각각 상기 밸브(700)에 연결되는 독립된 유로로서, 상기 밸브(700)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측으로 각각 분지되어 연장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와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는 각각이 상기 냉동실 도어(210)측의 힌지(130)를 통하여 안내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밸브(700)로부터 하나의 관 형태로 상기 힌지(130)를 통과한 후 분지되어 각각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펌프와 밸브 및 공기 배출 유닛이 결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는 장착부재(800)에 의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80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 또는 도어(20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에는 급수유로(500)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흡입되는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에는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가 연결되며,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상기 흡입유로(5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상기 펌프(600)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는 상기 펌프(600)의 출력측(620)과 상기 밸브(700)로 물이 흡입되는 밸브 입력측(710)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700)와 펌프(600)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이 상기 밸브(7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밸브(700)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 물을 공급하는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와 연결되는 제1출력측(720)과 상기 디스펜서(250)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측 유로(550)와 연결되는 제2출력측(7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7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밸브(700)의 내측에서 선택적으로 분지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또는 디스펜서(25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밸브(700)와 상기 펌프(600)를 연결하는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 상에는 상기 급수유로(500)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 유닛(90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은 상기 펌프 출력측(620)과 상기 밸브 입력측(7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물과 함께 혼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은 전체적으로 대략 "T"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물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은 상기 펌프(600)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입력부(910)와, 상기 입력부(910)로부터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출력부(920)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9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배출 유닛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입력부(910)와 출력부(920)는 상기 급수유로(500)와 양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의 단부는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급수유로(500)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배관 피팅의 구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910)는 상기 펌프 출력측(620)에 연결된 상기 급수유로(500)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920)는 상기 밸브 입력측(710)과 연결된 상기 급수유로(500)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밸브(70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92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또는 디스펜서(250)와 연결되는 급수유로(500)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는 동일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출력부(9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부(930)는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930)는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 내측의 유로는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 사이의 유로와 서로 교차되며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930)는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개구된 단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은 상기 기계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부(930)를 통해서 고외측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은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개구된 단부가 고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면, 상기 기계실이 아닌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이 고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930)와 연결된 별도의 유로가 고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930) 내측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94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940)는 상기 공기 배출부(930)로 공기 유입시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930)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고, 물 유입시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유로를 닫아서 상기 공기 배출부(930)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940)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ABS와 같은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물과 접하게 될 경우 상방 이동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고, 물과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개구된 부분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폐부재(940)는 필요에 따라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등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구조적으로 물 유입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내경은 상기 개폐부재(94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부재(940)의 상방 이동시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출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단차지거나 경사진 차폐부(9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940)가 최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개폐부재(940)를 지지하여 상기 개폐부재(940)가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9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34)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940)가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910)와 출력부(920) 사이의 유로와 연통되어 물 또는 공기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910)로 유입되어 상기 출력부(920)로 배출되는 물과 물속에 혼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 내측의 상기 개폐부재(9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부(93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급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 공급시 공기 배출 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빙용수 및 음용수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용기(400)에 물을 채워 넣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상기 급수용기(400)를 결합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생수병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급수과정 없이 시판되는 생수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급수용기(400)와 용기 연결부(2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장착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와 접속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50)로의 물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의 물공급 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50)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펌프(600)가 구동된다.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은 상기 흡입유로(510)를 통해 흡입되며,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를 통해 상기 펌프(600)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를 통해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을 지나 상기 밸브(700)로 공급된다. 상기 밸브(700)로 공급된 물은 제빙용수 공급신호를 지령받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700)의 제1 출력측(720)이 개방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를 통해 아이스 메이커(31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음용수의 취출을 위한 공급신호를 지령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출력측(620)이 개방되며,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50)로 공급되어 외부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펌프(600)를 지나 상기 입력부(910)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내부가 물로 채워지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부(930)가 닫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상기 입력부(91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출력부(920)로 배출되는 물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부(910)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94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940)가 완전히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940)는 상기 차폐부(932)와 접하는 상태가 되어 상기 공기 배출부(930)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930)로 유입되는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출력부(920)를 통해 상기 밸브(7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400) 내의 수위가 낮거나 이상동작 등에 의해서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흡입되는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공기 배출부(930)가 개방되어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펌프(600)를 지나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물속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 물과 혼합된 공기는 상기 출력부(920)를 향해 유동하는 도중 상기 공기 배출부(930)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부(930) 측으로 공기가 지나게 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940)는 자체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부(93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930) 내측의 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93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출력부(920)로는 공기가 혼입되지 않은 물 만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700)로 공기가 제거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50)로의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물이 흡입되지 않고 공기만 흡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개폐부재(940)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부(930)는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의 내부를 지나는 물속에 포함된 기포와 같은 공기들은 상기 공기 배출부(93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공기 배출 유닛(900) 이후의 상기 밸브(700) 및 상기 급수유로(500)상에는 물만 채워지게 되며, 상기 펌프(600)의 정지시 상기 급수유로(500)상의 잔수는 상기 펌프(6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펌프(600)의 재 기동시 상기 펌프(600)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하 상태에서 동작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펌프와 밸브 및 공기 배출 유닛이 결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배출 유닛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 공급시 공기 배출 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Claims (7)

  1. 고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출력측과 연결된 급수유로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상기 펌프의 출력측의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사이에서 외부와 연통되어 유로상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배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물에 뜰 수 있는 소재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출력부 및 입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부의 개구된 단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출력측과 연결된 급수유로상에는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분지하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상기 펌프와 밸브 사이의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유닛은 고내 공간과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며, 압축기와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107569A 2009-11-06 2009-11-09 냉장고 Active KR10107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9A KR101079469B1 (ko) 2009-11-09 2009-11-09 냉장고
EP10828566.9A EP2496899B1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CN201080050374.4A CN102686961B (zh) 2009-11-06 2010-11-08 冰箱
US13/508,324 US9267732B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PCT/KR2010/007842 WO2011056031A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9A KR101079469B1 (ko) 2009-11-09 2009-11-0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56A KR20110050956A (ko) 2011-05-17
KR101079469B1 true KR101079469B1 (ko) 2011-11-03

Family

ID=4436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569A Active KR101079469B1 (ko) 2009-11-06 2009-11-0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745B1 (ko) * 2014-02-05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932A (en) 1995-10-31 1998-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r for supplying water from a reservoir to either an ice maker or an outside dispenser
US20060090427A1 (en) 2004-10-29 2006-05-04 Hau Joseph A Refrigerator with integral vacuum sea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932A (en) 1995-10-31 1998-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r for supplying water from a reservoir to either an ice maker or an outside dispenser
US20060090427A1 (en) 2004-10-29 2006-05-04 Hau Joseph A Refrigerator with integral vacuum se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56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73959B2 (en) Refrigerator
KR101096994B1 (ko) 냉장고
KR101713327B1 (ko) 냉장고
US7434417B2 (en) Cooling air flow passage of refrigerator
US8468848B2 (en) Refrigerator
US9999863B2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20120069686A (ko) 냉장고
CN102686961B (zh) 冰箱
KR101079469B1 (ko) 냉장고
KR101754360B1 (ko) 냉장고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40580A (ko) 초음파 세척기를 갖는 냉장고
KR101377151B1 (ko) 냉장고
JP4820710B2 (ja) 冷蔵庫
KR10115059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KR20130046043A (ko) 냉장고
KR200217545Y1 (ko) 냉장고
KR20110012321A (ko) 냉장고
KR20170026425A (ko) 냉장고
HK1162656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