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8251B1 -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251B1
KR101078251B1 KR1020050120657A KR20050120657A KR101078251B1 KR 101078251 B1 KR101078251 B1 KR 101078251B1 KR 1020050120657 A KR1020050120657 A KR 1020050120657A KR 20050120657 A KR20050120657 A KR 20050120657A KR 101078251 B1 KR101078251 B1 KR 10107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ft
turning
angular velocity
slip ang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711A (ko
Inventor
이신애
곽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2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2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9Later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4Yaw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마찰 노면에서 차량이 선회하는 경우 drift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drift 감지 로직이 있는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마찰 노면에서 drift를 감지하여 차량의 스핀아웃 등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정성 제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ESP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차량의 drift여부를 감지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vehicles' stability}
도 1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ESP의 일반적인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ift 감지로직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 제어부(Electrical Control Unit)
108 : MCU(Micro Control Unit) 110 : 엔진출력 엑츄에이터
111 : 브레이크 엑츄에이터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정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시 drift현상을 감지하여 차량의 선회모멘트를 보정하는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Electrical Stability Program)은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지나친 understeer(차량이 운 전자가 원하는 주행코스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현상)나 oversteer(차량이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선회속도 증가로 인해 선회반경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차량안정성을 잃어버리는 현상)를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각 차륜의 제동력이나 구동력을 제어하여 원하지 않는 차량 선회모멘트를 보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차량의 선회모멘트를 보상해주기 위해서는 차량의 현재 발생되는 요레이트와 횡가속도를 보면서 제어시점과 제어량을 결정한다. 하지만 차량이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하는 경우 차량이 노면한계상황에 이르러 차량의 요레이트의 변화는 없고 횡가속도가 수렴된 상황에서 drift현상 발생 후 스핀아웃(oversteer)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종래의 ABS 등에서는 선회를 좌우 속도차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좌우의 속도차가 나지 않고 스핀아웃 되는 상기의 상황에서 drift현상을 잘못 감지하거나 drift현상을 감지하지 못하고 또한 종래의 ESP에는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시 drift현상을 감지하는 로직이 없어 차량의 안정성유지에 큰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하는 경우 요레이트의 미세한 변화와 선회시 속도의 감소를 통해 횡 슬립 각속도의 변화를 계산하여 차량의 drift를 감지하고 drift에 따른 선회모멘트를 보상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은 차량 안 정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ESP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차량의 drift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마찰 노면 여부, 차량의 선회여부, 요레이트 변화율, 노면 한계 상황여부, 계산된 횡 슬립 각속도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저마찰 노면에서 드리프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일정값이상의 횡 슬립 각속도의 비교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drift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선회모멘트를 보상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Electrical Stability Program)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ESP의 제어부(ECU)는 ESP에 연결된 각종 센서값들을 토대로 차량의 현 상태를 파악한 후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 엔진출력을 증감하든지 또는 각 차륜의 제동압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의도한 조향각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차량의 자세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향각센서와 압력센서로 운전자의 조향방향과 제동의지를 알 수 있고 요레이트센서와 횡가속도센서와 각 차륜의 속도센서로 차량의 오버스티어/언더스티어여부 및 각 차륜의 슬립여부를 알 수 있다. 만약 차량이 운전자가 의도한 선회도보다 더 많은 선회모멘트가 가해진 오버스티어인 경우 ESP 제어부는 전륜의 바깥쪽 차륜에 제동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선회모멘트를 보정하여 차량의 자세를 안정되게 제어한다. 다만, 차량이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하는 경우에 drift 의 발생시점에 요레이트와 횡가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어 종래의 ECU는 drift발생여부를 감지하기가 어려워 적절한 제어시점과 제어량의 보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은 앞서 언급하였다.
도 2는 ESP의 일반적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1의 블록도의 각종 센서로부터 센서값을 검출하여(S210) 실제 차량의 움직임(S220)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이미 얻어진 데이터에 따라 안정기준에 대한 추정값을 얻는다.(S230) 상기 차량의 움직임과 안정기준에 따른 추정값을 비교하여 차량의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 여부를 판단한다.(S240) 상기 단계에서 언더스티어 또는 오버스티어로 판단된 경우 적절한 제어시점과 제어량을 ECU에서 판단하여 선회모멘트를 보정하게 된다.(S250) ECU는 보정된 선회모멘트에 따라 엔진출력이나 각 차륜의 제동압을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S26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ift 감지로직의 흐름도이다.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입력을 받는다.(S310) 입력된 센서값으로부터 차량의 선회여부를 파악한다. 이는 기존의 ESP에서 잘 알려진 로직에 따라 처리된다.(S320) 또한 차량의 횡 슬립 각속도를 계산한다. 차량이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하는 경우 요레이트의 미세한 변화와 차량의 속도의 감소를 통해 아래 식에 의해 계산된 횡 슬립 각속도는 변화하게 된다.(S330)
Figure 112005072129437-pat00001
Figure 112005072129437-pat00002
: 횡가속도,
Figure 112005072129437-pat00003
: 횡 슬립 각속도
Figure 112005072129437-pat00004
: 차량의 속도,
Figure 112005072129437-pat00005
: 요레이트 변화율
다만 평상시 차량의 운행 중에도 횡 슬립 각속도는 약간씩은 변화하게 되므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저마찰 노면에서 drift발생시점의 횡 슬립 각속도의 일정값을 산출하여 그 값과 상기 계산된 횡 슬립 각속도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계산값의 drift 판단여부에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40) 이상의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차량의 drift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drift 여부는 저마찰 노면의 여부, 선회여부, 요레이트의 변화율, 노면 한계 상황 여부, 상기 일정값이상의 횡 슬립 각속도를 종합하여 판단하게 된다. 저마찰 노면의 여부는 횡가속도를 주요한 factor로 하여 판단하는데 통상 횡가속도가 수렴한 상황에서 요레이트와 조향각센서값을 고려하여 판단하게 된다. 선회여부는 조향각센서와 요레이트센서 등으로 판단할 수 있고, 요레이트의 변화율은 요레이트 센서로, 노면 한계 상황 여부는 횡가속도 센서값의 수렴여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값으로 drift로 감지하는 경우는 횡가속도가 수렴하고 차량이 선회하고 있으며 저마찰 노면이고 계산된 횡 슬립 각속도가 상기 유효값 이상으로서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drift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drift판단은 일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노면상황과 차량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drift 감지조건이 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drift감지 로직을 통해 drift를 감지하게 되면 저마찰 노면을 고려하여 ECU가 선회모멘트의 보정에 따른 엔진출력 및 각 차륜의 제동력의 제어시점과 제어량을 결정하여 유압장치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마찰 노면에서 차량이 선회하는 경우에 drift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로직을 포함함으로써 사전에 drift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ECU가 선회모멘트의 제어량과 제어시점을 결정하여 차량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저마찰 노면에서 선회시 drift후 스핀아웃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ESP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횡 슬립 각속도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차량의 drift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마찰 노면 여부, 차량의 선회여부, 요레이트 변화율, 노면 한계 상황여부, 계산된 횡 슬립 각속도와 저마찰 노면에서 드리프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일정값 이상의 횡 슬립 각속도의 비교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특징인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ift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drift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선회모멘트를 보상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KR1020050120657A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Active KR10107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57A KR101078251B1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57A KR101078251B1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711A KR20070060711A (ko) 2007-06-13
KR101078251B1 true KR101078251B1 (ko) 2011-10-31

Family

ID=3835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57A Active KR101078251B1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02B1 (ko) * 2007-07-27 2008-07-14 주식회사 만도 차량 안정성 시스템의 보상 요 모멘트의 제동압력 분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711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9878B1 (en) Vehicle disturbance detection apparatus
KR101103528B1 (ko)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선회속도 제어방법
KR101988510B1 (ko) 차량의 전자식 안정성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161126B (zh) 用于在abs制动期间控制车辆的相反转向的方法
KR101078251B1 (ko)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GB2477341A (en) A method of estimating a cornering limit of a vehicle
US881866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ifferential torque acting on the vehicle wheels of a vehicle
JP2002213958A (ja) 車輌制御装置
US6687594B1 (en) Traction-slip control method with theoretical transversal acceleration and control circuit for carrying out such a traction-slip control method
JP2005028918A (ja) 車輌の横転の虞れ判定装置
KR20080088052A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이종타이어 감지 장치 및 이에적합한 감지 방법
JP522881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144657B1 (ko)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US11691602B2 (en) Vehicle antilock brake system control device
KR101152296B1 (ko)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JP2003089350A (ja) 車輌用車輪回転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
JP3456336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4736763B2 (ja) 車両安定化制御装置
KR100987076B1 (ko)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거친 노면 검출방법
JP2002012138A (ja) 路面の凹凸状態検出装置
KR20180066363A (ko) 차량의 횡방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0344088A (ja) 車両挙動検出装置
JP3747623B2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JP4839817B2 (ja) 車両安定化制御装置
KR101078248B1 (ko) 차량 자세 제어장치의 거친 노면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