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853B1 -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7853B1 KR101077853B1 KR1020110021050A KR20110021050A KR101077853B1 KR 101077853 B1 KR101077853 B1 KR 101077853B1 KR 1020110021050 A KR1020110021050 A KR 1020110021050A KR 20110021050 A KR20110021050 A KR 20110021050A KR 101077853 B1 KR101077853 B1 KR 1010778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wafer unit
- film type
- flexibility
- type wa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4—Contact or film exposure of light sensitive plates such as lithographic plates or circuit boards, e.g. in a vacuum fram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5—Materials, e.g. materials for housing, stage or other support having particular properties, e.g. weight, strength, conductivity,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G03F7/70958—Optical materials or coatings, e.g. with particular transmittance, reflectance or anti-reflection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은, 가시광선 영역 및 자외선 영역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light transmissibility)과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PET 필름을 재단하여 필름형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형 기재층으로부터 유기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 클리닝된 필름형 기재층에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완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이 진행되는 리소그래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type wafer unit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e a PET film having light transmissibility and flexibility for transmitting light in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s. Cutting to form a film type substrate layer; Washing the film base layer to remove organic impurities from the film base layer; Drying the washed film-like base layer; Plasma cleaning the dried film-like base layer; It may include a lithography step in which a lithography process for completing a film type wafer unit on the cleaned film type substrate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을 이용하여 혈액검사 칩 등과 같은 바이오칩용 레플리카(replica)를 만들기 위한 마스터(master)용 몰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type wafer unit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ter for making a replica for a biochip such as a blood test chip using photolithography. It relates to a film-type wafer unit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that can be utilized as a mold material for the mast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바이오칩 관련 연구를 하는 다수의 대학 연구팀과 국책 연구소 및, 그 밖에 미세유체역학 연구팀에서는 경제적인 레플리카(replica)를 만들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Numerous university research teams,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microfluidics research teams working on biochips have put a lot of research and effort into creating economic replicas.
일반적으로 연구소 또는 연구팀에서는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또는 글래스 웨이퍼(glass wafer)를 사용하고 있다. 바이오칩 연구가 활성화됨에 따라 바이오칩 및 미세유체역학 연구 분야에서 실리콘 웨이퍼 또는 글래스 웨이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Generally, research institutes or research teams use silicon wafers or glass wafers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es. As biochip research becomes active, the demand for silicon wafers or glass wafers is steadily increasing in the field of biochip and microfluidics research.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실리콘 웨이퍼는 IC집적 회로 등 나노 크기(nano scale)의 공정에 적합한 품질 및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는 바이오칩 또는 미세유체역학 등과 같은 마이크로미터 크기(micrometer scale)의 사진식각공정에서 얻고자 하는 특성 크기(feature size)에 비해 필요 이상의 품질 및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고가의 소재이므로, 바이오칩 등의 연구 진행에 있어 초과 지출이 불가피하고, 연구 개발에 경제적 부담으로 인지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Silicon wafers may have quality and properties that are suitable for nanoscale processes, such as IC integrated circuits, but they are obtained from micrometer scale photolithography processes such as biochips or microfluidics, which are being actively studied recently. Compared to the feature size, it has more than necessary quality and characteristics and is a relatively expensive material.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excess expenditure is inevitable in the research of biochips, and it is recognized as an economic burden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
아울러, 실리콘 웨이퍼는 광투과성이 없으므로 사진식각공정 중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에 사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licon wafer is not light transmissive, it is difficult to be used for backside lithography dur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또한, 실리콘 웨이퍼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복수층의 패터닝 마스크(pattering mask)를 쌓아올려 다층식각(multi-layer lithography) 작업 시, 실리콘 웨이퍼 자체가 기본적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불투명하므로 별도의 고가의 정렬 장비(film aligner)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ilicon wafer is stacked on the silicon wafer in a multi-layer lithography operation by stacking a plurality of patterning masks, because the silicon wafer itself is basically opaqu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 separate expensive alignment equipment The disadvantage is the need for a film aligner.
글래스 웨이퍼도 바이오칩 등의 연구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소재에 비교할 때 필요 이상의 고가 소재임과 함께, 밀리미터(mm) 수준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Glass wafers also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are more expensive than necessary compared to materials used for research such as biochips, and have a thickness of about millimeters (mm) and thus cannot exhibit flexibility.
또한, 글래스 웨이퍼는 밀리미터 수준의 두께로서 가시광선 영역 범위 내에서만 투명할 뿐, 360nm 파장대의 자외선(UV)을 사용하는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UV 투과력(UV light permeability)을 보이며 mm수준의 두께로 인해 UV투과시 글래스 웨이퍼 내부 및 상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산란 및 굴절들의 영향이 크므로,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에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glass wafers are only a few millimeters thick and are transparent only within the visible range, while exhibiting relatively low UV light permeability under conditions using 360-nm ultraviolet (UV) wavelengths. Due to the large influence of scattering and refractions occurring in the glass wafer and at the upper and lower interfaces during UV transmission,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backside lithograph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경제성 및 품질을 모두 만족하는 레플리카(replica)를 만들기 위한 마스터용 몰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lm-type wafer unit and its manufacturing can be used as a mold material for the master for making a replica that satisfies both economical and quality To provide a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은, 가시광선 영역 및 자외선 영역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light transmissibility)과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PET 필름을 재단하여 필름형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형 기재층으로부터 유기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 클리닝된 필름형 기재층에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완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이 진행되는 리소그래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lm-type wafer unit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light transmissibility and flexibility for transmitting light in the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 cutting a PET film having flexibility to form a film type substrate layer; Washing the film base layer to remove organic impurities from the film base layer; Drying the washed film-like base layer; Plasma cleaning the dried film-like base layer; It may include a lithography step in which a lithography process for completing a film type wafer unit on the cleaned film type substrate layer.
또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은, 두께 160 내지 180 마이크로미터의 라미네이티드 PET(Polyester)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m base layer may be a laminated PET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0 to 180 micrometers.
또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필름형 기재층이 PR 스핀 코팅의 스피너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rming of the film type substrate layer, the film type substrate layer may be cut to correspond to the spinner shape and size of the PR spin coating.
또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에탄올 또는 시너(thinner)를 이용하여 30초 내지 1분간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탈이온수(dH2O: deionized water)에 의해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step, the step of washing the film-type base layer using ethanol or thinner (thinner) for 30 seconds to 1 minute; And washing the film-like base layer with deionized water (dH 2 O: deionized water).
또한,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PET 필름의 표면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클린 벤치(clean bench) 내에서 건조함과 동시에 상기 진공 흡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ying step, the vacuum suction may be performed while drying in a clean bench to maintain the surface of the PET film.
또한, 상기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에서는, 건조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 중 PR 스핀 코팅할 표면에 대해 출력 100W, 클리닝 시간 5분 내지 6분간, 진공도 0.65 torr, 공기 주입량 25 ~ 30 cc/min의 조건 하에서 공기 플라즈마(air plasma) 클리닝을 수행하여 상기 표면을 수성으로 개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lasma cleaning step, under the conditions of the output 100W, cleaning time 5 minutes to 6 minutes, vacuum degree 0.65 torr, air injection amount 25 ~ 30 cc / mi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PR spin-coated in the dried film type substrate layer The surface may b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air plasma cleaning to modify the surface to be aqueo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은 가시광선 영역 및 자외선 영역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PET 필름으로 형성된 필름형 기재층; 및 상기 필름형 기재층에 도포된 PR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may include a film base layer formed of a PET film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for transmitting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and an ultraviolet region; And it may include a PR layer applied to the film-like base layer.
또한, 상기 PR층은 상기 필름형 기재층이 플라즈마 클리닝된 후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film type substrate layer after plasma clean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연성과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형 기재층과, 필름형 기재층 위에 코팅된 PR(Photo Register)층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투과성을 발휘하여 레플리카를 만들기 위한 마스터용 몰드 소재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lm-type wafer unit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film-type base material layer having flexi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and a PR (Photo Register) coated on the film-type base layer By providing a film type wafer unit having a)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widely used as a mold material for making a replica by exhibiting flexi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또한, 기존의 웨이퍼 제품에 비해 매우 저렴하면서도 유연성과 광투과성을 모두 갖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it is very inexpensive compared to conventional wafer products, and has the advantages of both flexi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또한, 필름형 웨이퍼 유닛 자체가 기본적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므로, 다층식각(multi-layer lithography) 작업시, 별도의 고가의 정렬 장비(film aligner) 없이도 패터닝 마스크의 정렬 작업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m-type wafer unit itself is transparent in the visible region, it is relatively easy to align the patterning mask without the need for an expensive film aligner for multi-layer lithography.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do it.
또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의 필름형 기재층이 약 83.3%로서 우수한 자외선 투과력(UV light premeability)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을 위해 사용되는 360nm 파장대의 자외선(UV)을 사용한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m type substrate layer of the film type wafer unit is about 83.3%, and has excellent UV light premeability, back incident etching using ultraviolet light (UV) in the wavelength range of 360 nm used for photolithography is performed. The effect is that you can utilize backside lithograph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이용하면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를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the film-type waf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a double-sided patterned replic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웨이퍼 유닛은 절단(dicing)이 매우 용이하므로 웨이퍼 유닛의 핸들링의 자유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m-type waf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cut (dic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handling of the wafer unit is very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의 순서도다.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인 필름형 웨이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 상에 이중층 패터닝 마스크(double layer patterning mask)를 쌓아올린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이용한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PDMS 레플리카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심부 미세채널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이 3차원 형상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로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활용하여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를 제작하는 공정 개념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m type wafer unit that is an articl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
FIG. 3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in which a double layer patterning mask is stacked on the film type wafer unit shown in FIG. 2.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backside 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film type wafer unit shown in FIG. 2.
FIG. 5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of a PDMS replica manufactured using a film type wafer unit master. FIG.
FIG. 6 is a micrograph of the central microchannel shown in FIG. 5.
FIG. 7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ilm wafer unit illustrated in FIG. 2 is applied as a film wafer unit master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abricating a double-sided patterned replica using the film type wafer unit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of a film-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은 광투과성 유연 PET 필름을 원형판 형태로 재단하여 필름형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필름형 기재층으로부터 유기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유기용제로 세척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tting the light-transmissive flexible PET film into a circular plate to form a film base layer (S100), It may comprise the step (S120) of washing the film-like base layer with an organic solvent to remove the organic impurities from the film-like base layer.
이후, 본 실시예는 세척된 필름형 기재층을 진공 흡입(vacuum suction)으로 건조하는 단계(S120)와, 상기 건조된 필름형 기재층을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is embodiment may include drying the washed film-like base layer by vacuum suction (S120) and plasma cleaning the dried film-type base layer (S130).
S130 이후 공정은 실리콘 및 글라스 웨이퍼를 이용한 기존의 리소그래피 공정과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여, 클리닝된 필름형 기재층에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완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이 진행되는 리소그래피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리소그래피 단계(S140)에서의 수차례의 베이킹과, PR 스핀 코팅 및 최종 현상(develop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process after S130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lithography process using silicon and glass wafers, and a lithography step (S140) in which a lithography process for completing a film type wafer unit on a cleaned film type substrate layer may be performed. . For example, several times baking in lithography step S140, PR spin coating and final development may be included.
이러한 일련의 제조 방법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제조 조건과 통상의 반도체 제조장치 또는 리소그래피 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 및 기자재 등이 필요하지 않다.Such a series of manufacturing methods may be implemented through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a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or a lithographic apparatus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no additional equipment and equipment are needed.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인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m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언급한 단계(S100 ~ S140)를 통해서, 유연성과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형 기재층(210)과, 필름형 기재층(210) 위에 코팅된 PR(Photo Register)층(220)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이 제조될 수 있다.1 or 2,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eps (S100 ~ S140), the film
여기서, 필름형 기재층(210)은, 두께 160 내지 180 마이크로미터의 라미네이티드 PET 필름(이하에서는 'PET 필름'으로 약칭함) 또는 OHP 필름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film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형 기재층(210)이 PET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film
상세히, 필름형 기재층(210)은 두께 160 내지 18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두께 170 마이크로미터의 PET 필름으로 형성되어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며, 튜브 형상, 돔 형상, 원뿔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형상으로 가공될 경우, 필름형 기재층(210)의 형태가 대응되는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lm-
또한, 필름형 기재층(210)은 두께 17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 조건 하에서,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용 360nm 파장대의 자외선(UV)광에 노출될 때, 약83.3%의 우수한 자외선 투과율(UV light permeability)을 가질 수 있다. 즉, 필름형 기재층(210)은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높은 광투과율을 가짐과 동시에, 자외선 영역에서도 우수한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m
이때, 사진식각공정은 패턴 설계 데이터에 대응한 노광, 현상, 베이킹, 산화크롬막 에칭, 검사, 수정 등의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including exposure, development, baking, chromium oxide film etching, inspection, and cor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design data.
또한, PR층(220)은 두께 3 ~ 100 마이크로미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값을 가질 수 있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영역에서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필름형 기재층(210)을 형성하는 단계(S100)에 따르면, 필름형 기재층(210)은 PR 스핀 코팅(spin coating)용 스피너(spinner)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재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ep S100 of forming the film
예를 들면, 필름형 기재층(210)은 기존 공정장비에 적합하게 직경 4인치(또는 대략적으로 외경 φ100)의 PR 스핀 코팅의 스피너 직경 사이즈로 재단 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라운드 커터(round cutter)를 이용하거나 기존 커팅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필름형 기재층(210)을 재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m
또한, 필름형 기재층(210)은 직경 6인치 내지 8인치 이상의 대형 스피너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직경 6인치 내지 8인치에 대응하는 크기로 재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공정장비에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m
한편, 유기용제로 세척하는 단계(S110)에 따르면, 필름형 기재층(210)은 유기용제로서 에탄올 또는 시너(thinner)를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으며, 필름형 기재층(210)의 폴리머 필름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30초 내지 1분간 세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tep of washing with an organic solvent (S110), the film-
또한, 세척된 필름형 기재층(210)은 전기적 전하량의 변화 방지를 위해 탈이온수(dH2O: deionized water)에 의해 마무리 세척될 수 있다. 여기서, 마무리 세척은 수 차례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shed film-
또한, 건조하는 단계(S120)에 따르면, 공기 중 먼지 또는 입자성 물질의 증착을 피하기 위해 클린 벤치(clean bench) 내에서 건조함과 동시에 상기 진공 흡입을 통해 세척수의 건조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ying step (S120), in order to avoid the deposition of dust or particulate matter in the air it is preferable to dry in a clean bench (clean bench)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at no drying traces of the wash water through the vacuum suction. Do.
또한,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S130)에 따르면, 건조하는 단계(S120)에서 건조된 필름형 기재층(210) 중 PR 스핀 코팅할 표면에 대해 출력 100W, 클리닝 시간 5분 내지 6분간, 진공도 0.65 torr, 공기 주입량 25 ~ 30 cc/min의 조건 하에서 공기 플라즈마(air plasma) 클리닝을 수행하여 상기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lasma cleaning step (S130), the output 100W, cleaning time 5 minutes to 6 minutes, vacuum degree 0.65 torr for the surface to be PR spin coated in the film-
여기서,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S130)의 클리닝 시간은 플라즈마 클리닝 장비의 출력 및 공기 주입량에 대한 상보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장비 설정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Here, since the cleaning time of the plasma cleaning step (S130)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of the plasma cleaning equipment and the air injection amount, i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quipment setting.
이후, 세척된 필름형 기재층(210)의 표면에는 리소그래피 단계(S140)를 거쳐 PR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PR은 주지의 글래스 웨이퍼용 투명 감광성 고분자이거나, 동 업계에서 상용되고 있는 감광액일 수 있다.PR may be a well-known transparent photosensitive polymer for glass wafers, or may be a photosensitive liqui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industry.
리소그래피 단계(S140)에서는 PR 스핀 코팅(spin coating)용 스피너(spinner)를 갖는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PR을 필름형 기재층(210)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In the lithography step S140, the PR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필름형 기재층(210)과 PR층(220)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은 유연성과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가의 정렬 장비(film aligner) 등이 없이도 복수층의 패터닝 마스크(pattering mask)를 쌓아올려 다층식각(multi-layer lithography) 작업에 도 3과 같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lm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 상에 이중층 패터닝 마스크(double layer patterning mask)를 쌓아올린 도면 대용 사진이다.FIG. 3 i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drawing a double layer patterning mask on the film
도 3을 참조하면,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 상에 이중층 패터닝 마스크(300, 301)(double layer patterning mask)가 쌓아올려져 겹쳐지게 보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double
여기서,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과 이중층 패터닝 마스크(300, 301)가 각각 투명이되, 단지 배경이 회색으로 되어 있는 상태로 촬영되어 있음에 따라, 가시적으로는 회색으로 보임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film
또한, 각 패터닝 마스크(300, 301) 자체도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을 블랭크 마스크로 사용하여 패턴 형성용 리소그래피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tterning masks 300 and 301 itself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attern forming 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film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이용한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backside 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film type wafer unit shown in FIG. 2.
배면입사식각공정(backside lithography)에서는 도 4의 (a)와 같이, 필름형 기재층(210)에 PR층(220)이 코팅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의 배면에 패터닝 마스크(302)를 적층시킨 후 UV조사장치(미도시)로 UV(400)를 배면 방향으로 조사하는 노광 공정을 수행하고, 이하 기타 일반적인 사진식각공정의 나머지 공정(예: 현상, 베이킹, 산화크롬막 에칭, 검사, 수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the backside lithography process, as shown in FIG. 4A, the
이런 경우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은 도 4의 (b)와 같이, 패터닝 마스크(302)에 대응한 패턴(221)이 필름형 기재층(210) 상에 형성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a)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the film
여기서, 패턴(221)은 PR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웨이퍼 유닛(200)은 사진식각공정에 적용되어 레플리카(replica)를 만들기 위한 마스터(master)용 몰드 소재가 될 수 있다.Here, the
이렇게 UV(400)를 배면 방향으로 조사하여 패터닝(221)을 만드는 배면입사식각공정에 있어서, 필름형 기재층(210) 또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a)의 얇은 두께는 식각된 패턴(221)의 해상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In the back incident etching process in which the
즉, 기존의 글래스 웨이퍼(glass wafer) 대비, 필름형 기재층(210)은 1/100 이하 수준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UV(400)의 산란효과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 글래스 웨이퍼를 이용한 배면입사식각공정 대비 대폭 향상된 특성(feature)의 해상력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lass wafer (glass wafer), since the film-
도 4의 (c)와 같이, 이렇게 향상된 특성의 해상력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a)는 바이오칩 또는 PDMS(polydimethylsiloxane) 레플리카(replica)를 만들기 위해, PDMS와 같은 실리콘을 함유한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가 패턴(221)쪽 필름형 기재층(210) 위에 도포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4, the film type
이후,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는 베이킹 공정과,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a) 제거 공정을 거쳐서, 도 4의 (d)와 같은 PDMS 레플리카(500a)로 완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도 5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바이오칩용 PDMS 레플리카(500b)의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심부(A) 미세채널의 현미경 사진이다.FIG. 5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of a
PDMS 레플리카(500b)는 확대된 중심부(A) 미세채널의 형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높은 특성의 해상력을 갖질 수 있으면서도, 매우 저렴한 몰드 소재인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The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이 3차원 형상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로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ilm wafer unit illustrated in FIG. 2 is applied as a film wafer unit master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본 실시예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은 기존 딱딱한 웨이퍼들과 달리 유연성이 뛰어난 초박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도 7의 (a)와 같이 예시적으로 튜브 형상와 같이, 3차원 형상을 갖고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패턴(221)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b)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wafers, the film type wafe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extremely thin, with excellent flexibility. As shown in FIG. 7A, the film type wafer unit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tube shape, and is patterned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film-type
도 7의 (b)를 참조하면, 3차원 형상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b)의 내부 몰드 공간(230)에 PDMS와 같은 실리콘을 함유한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를 충진한다. 이후, 실리콘을 함유한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는 베이킹 공정 및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b) 제거 공정을 통해서, 도 7의 (c)와 같은 3차원 형상의 패턴을 갖는 PDMS 레플리카(500c)로 완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a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활용하여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를 제작하는 공정 개념도로서, 기존 복제 방식이 한 개의 마스터 위에 식각된 패턴을 복제하는 것에 반해, 도 8의 공정은 유연성과 광투과성을 갖는 복수개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를 이용하여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500d)를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abricating a double-sided patterned replica using the film-type wafer unit shown in FIG. 2, whereas the conventional copying method duplicates an etched pattern on one master. The double-sided
도 8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는 양면 패터닝 복제공정(Double-side pattering replica)에도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lurality of film type
각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도 앞서 설명한 필름형 웨이퍼 유닛에 패터닝 마스크를 적층하고,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만든 것이다.Each of the film type
각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는 패턴(221)과 필름형 기재층(210)을 가질 수 있고,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500d)를 만들기 매우 용이하다.Each film type
즉, 도 8의 (a)와 같이, 각 패턴(2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들은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A, the film type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이격 배치 공간을 몰드 공간(231)으로 활용하여, PDMS와 같은 실리콘을 함유한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는 몰드 공간(231)에 충진될 수 있다. 이후, 실리콘을 함유한 레플리카 형성용 폴리머(500)는 베이킹 공정 및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 제거 공정을 통해서, 도 8의 (c)와 같이 양면 패터닝된 레플리카(500d)로 완성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8, by using the spaced apart space as a mold space 231, a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의 재질 특성상 사진식각공정 이후 필요한 영역에 대한 절단(dicing)이 매우 용이하므로 양면 패터닝을 위한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200c, 200d)의 핸들링(handling)의 자유도가 매우 우수할 수 있다.Freedom of handling of film-typ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material, size and the lik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or can combine or substitute the embodiments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ang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 필름형 웨이퍼 유닛
200a, 200b, 200c, 200d : 필름형 웨이퍼 유닛 마스터
210 : 필름형 기재층
220 : PR층
300, 301, 302 : 패터닝 마스크200: film type wafer unit
200a, 200b, 200c, 200d: film type wafer unit master
210: film type substrate layer
220: PR floor
300, 301, 302: patterning mask
Claims (9)
상기 필름형 기재층으로부터 유기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필름형 기재층 중 PR 스핀 코팅할 표면에 대해 출력 100W, 클리닝 시간 5분 내지 6분간, 진공도 0.65 torr, 공기 주입량 25 ~ 30 cc/min의 조건 하에서 공기 플라즈마(air plasma) 클리닝을 수행하여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플라즈마 클리닝하는 단계;
클리닝된 필름형 기재층에 필름형 웨이퍼 유닛을 완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이 진행되는 리소그래피 단계를 포함하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
Forming a film type substrate layer by cutting a PET film having light transmissibility and flexibility for transmitting light in the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s;
Washing the film base layer to remove organic impurities from the film base layer;
Drying the washed film-like base layer;
Air plasma clean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to be PR spin-coated in the film-type substrate layer dried under a condition of 100 W of output, 5 to 6 minutes of cleaning time, 0.65 torr of vacuum degree and 25 to 30 cc / min of air injection amount. Performing plasma cleaning to modify the surface;
A lithography step in which a lithography process for completing a film type wafer unit is performed on the cleaned film type substrate layer.
A film 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상기 필름형 기재층은,
두께 160 내지 180 마이크로미터의 라미네이티드 PET(Polyester)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m base material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aminated PET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0 to 180 micrometers
A film 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필름형 기재층이 PR 스핀 코팅의 스피너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forming the film type substrate layer,
The film-like base layer is cut to correspond to the spinner shape and size of the PR spin coating
A film 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에탄올 또는 시너(thinner)를 이용하여 30초 내지 1분간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형 기재층을 탈이온수(dH2O: deionized water)에 의해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hing step,
Washing the film base layer with ethanol or thinner for 30 seconds to 1 minut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washing the film-like base layer with deionized water (dH 2 O: deionized water)
A film 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PET 필름의 표면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클린 벤치(clean bench) 내에서 건조함과 동시에 진공 흡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과 유연성을 갖는 필름형 웨이퍼 유닛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rying step,
In order to maintain the surface clean state of the PET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suction is performed while drying in a clean bench (clean bench)
A film type wafer unit manufacturing method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050A KR101077853B1 (en) | 2011-03-09 | 2011-03-09 |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050A KR101077853B1 (en) | 2011-03-09 | 2011-03-09 |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7853B1 true KR101077853B1 (en) | 2011-10-31 |
Family
ID=4503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050A Active KR101077853B1 (en) | 2011-03-09 | 2011-03-09 |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785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2134A (en) | 2003-03-28 | 2004-10-21 | Aichi Corp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erial work vehicles |
-
2011
- 2011-03-09 KR KR1020110021050A patent/KR1010778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2134A (en) | 2003-03-28 | 2004-10-21 | Aichi Corp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erial work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1961B1 (en) | Euv pellicle with increased euv light transmittance | |
TWI592737B (en) | Photolithography masks,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nd wafer manufacturing processes | |
US8535545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pellicle of EUV mask | |
US9140975B2 (en) | EUV pellicle frame with holes and method of forming | |
CN103907056B (en) | The manufacture of independent self-supporting film and its application in nanoparticle pattern synthesis | |
JP6802863B2 (en) | Super straight | |
CN106206262A (en) | The thin film of extreme ultraviolet photolithographic, photoetching metho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e semiconductor device | |
US20080152873A1 (en) | EUV pell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ies using same | |
CN109581806B (en) | Apparatus having pellicle, method of removing pellicle from photomask, and method of using pellicle | |
CN103858210B (en) | Reflective mask base, reflective mask and their manufacture method | |
TWI579641B (en) | Mask blank substrate, mask blank, and transfer mask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 |
CN102591136A (en) | Pellicle film and a pellicle for EUV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 |
KR20130088565A (en) | Euv pellicle uging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722855B1 (en) | Pellicle for euv mask and fabrication thereof | |
KR101399440B1 (en) | Method for making stamp for plasmonic nano lithography apparatus plasmonic nano lithography apparatus | |
JP7667252B2 (en) | Pellicle, exposure master, exposure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a pell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 |
KR101077853B1 (en) | Film type wafer unit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8187775B2 (en) | High resolution photomask | |
KR101505317B1 (en) | Metal-embedded photo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I471925B (en) | Method of forming an etch mask | |
US9069253B2 (en) | Mask structure | |
CN103353708A (en) | Multilayer negative photoresist mold manufacturing method | |
JP6717211B2 (en) | Substrate for mask blank, mask blank, and photomask | |
CN106249538B (en) | A mask structure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and its preparation method | |
CN104570630B (en) | Photoetching alignment mark and form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