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838B1 - Outlet - Google Patents
Out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7838B1 KR101077838B1 KR1020060012525A KR20060012525A KR101077838B1 KR 101077838 B1 KR101077838 B1 KR 101077838B1 KR 1020060012525 A KR1020060012525 A KR 1020060012525A KR 20060012525 A KR20060012525 A KR 20060012525A KR 101077838 B1 KR101077838 B1 KR 101077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cover
- rotor cover
- coil spring
- torsion c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while preventing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elastically press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아우트렛 본체(2)의 아우트렛 커버(4)는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식 단자를 삽입 가능한 끼움공(46, 47)을 갖는다. 로터 커버(6)는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끼움공(46, 47)을 폐쇄하는 비 사용 위치와 끼움식 단자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공(66, 67)이 끼움공(46, 47)에 꼭 맞추어지는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한다. 아우트렛 커버(4)와 로터 커버(6) 사이에 로터 커버(6)를 비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64)를 설치한다. 아우트렛 본체(2)와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본체(2) 및 로터 커버(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를 걸어 고정한다. The outlet cover 4 of the outlet body 2 has fitting holes 46 and 47 into which the pluggable terminal of the plug for the outlet can be inserted. The rotor cover 6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2, and the non-use position for closing the fitting holes 46 and 47 and the insertion holes 66 and 67 through which the fitting terminal is inserted are fitted. It is installed so that position is changeable to use position that is good to (46, 47). A support shaft portion 64 capable of supporting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rotor cover 6 to the non-use pos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 Each terminal portion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fixed to the outlet body 2 and the rotor cover 6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utlet body 2 and the rotor cover 6.
아우트렛, 로터 커버, 비틀림 코일 스프링, 플러그, 단말부 Outlet, rotor cover, torsion coil spring, plug, termin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도 2는 커버를 연 상태의 아우트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et with the cover open;
도 3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아우트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outlet with the cover removed;
도 4는 도 3의 IV-I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IV-IV of FIG.
도 5는 도 3의 V-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5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V-V line arrow of FIG.
도 6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rotor cover to the outlet body;
도 7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부착 구조를 상하 거꾸로 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rotor cover to the outlet body upside down;
도 8은 아우트렛 본체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outlet body;
도 9는 로터 커버의 요부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9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tor cover,
도 10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조립에 따른 설명도이고,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according to the assembling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the outlet body,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let body, the rotor cover and the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 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let body, a rotor cover, and a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let body, a rotor cover, and a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let body, the rotor cover and the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8은 아우트렛 본체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회전축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an outerlet main body, a torsion coil spring, and a rotating shaft.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아우트렛 2 : 아우트렛 본체1: Outlet 2: Outlet body
42 : 스프링 수용 오목부 43 : 걸림부42: spring receiving recess 43: engaging portion
46, 47 : 끼움공 6 : 로터 커버46, 47: fitting hole 6: rotor cover
62 : 스프링 수용 오목부 63 : 걸림부 62: spring receiving recess 63: engaging portion
64 : 지지축부 66, 67 : 삽입공64:
7 : 비틀림 코일 스프링 7a : 코일부7:
7b : 단말부 P : 아우트렛용 플러그7b: terminal P: plug for outlet
P1, P2 : 끼움식 단자 P1, P2: Plug-in Terminal
본 발명은 예컨대 차내에서 가정용 전기 기기를 작동시킬 목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전원용 아우트렛(콘센트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outlet (also called an outlet)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household electrical equipment in a vehicle.
종래 이러한 종류의 아우트렛으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콘센트가 있다. 특허 문헌 1의 콘센트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끼움공(146)을 가리는 로터 커버(106)가 아우트렛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 커버(106)에는 사용 위치에서 끼움공(146)과 합치되는 삽입공(1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 본체(102)에 설치된 구멍(102a)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각 단말부(107b)가 아우트렛 본체(102)의 가늘고 긴 홈부(102b)(도 18 참조) 및 로터 커버(106)에 형성된 가늘고 긴 홈부(도시 생략)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에 의한 회전 탄성 가압 위치, 즉 비사용 위치에서 로터 커버(106)가 아우트렛 본체(102)의 끼움공(146)을 폐쇄한다. 또한 회전축(164)이 될 박아 넣기 압정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안쪽(도 17에서 하방)으로부터 로터 커버(106)로 박혀져서 고정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is type of outlet includes, for example, an outlet described in
[특허 문헌 1] 특허 제 3299309호 공보[Patent Document 1] Patent No. 3299309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구멍(102a) 내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도 18 참조). 그리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은 일반적으로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로터 커버(10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사용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외주면과 아우트렛 본체(102)의 구멍(102a)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100S)이 커지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흔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로터 커버(106)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박아 넣기 압정의 회전축(164)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내경보다 1/2∼1/3 정도 작은 축 지름이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즉, 특허 문헌 1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고안이 전혀 없었다. According to the
또한, 아우트렛 본체(102) 및 로터 커버(106)에 형성된 가늘고 긴 홈부(102b)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각 단말부(107b)를 일일이 위치 맞춤하여 끼워 넣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조립이 번잡하였다. 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아우트렛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that can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while preventing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elastically press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 범위의 란에 기재된 구성을 요지로 하는 아우트렛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The said subject can be solved by the outlet which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in the column of a claim.
즉,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아우트렛은,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 단자를 삽입 가능한 끼움공을 갖는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끼움식 단자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아우트렛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끼움공을 폐쇄하는 비사용 위치와 상기 끼움공에 상기 삽입공이 꼭 맞추어지는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 커버와,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이 로터 커버를 비사용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That is, the outlet according to
또한,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 내에 끼워지고 그리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축부가 설치되어 있다. A support shaft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to fit withi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and to support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걸려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Further, by utiliz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 커버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비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이 로터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is closed by the rotor cover when the rotor co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let body is in the state of being elastically pressed in the non-use position by the torsion coil sp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또한, 아우트렛의 사용시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 단자를 로터 커버의 삽입공을 통하여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 내에 삽입함으로써 아우트렛에 아우트렛용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outlet, the insertion terminal of the plug for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or cover while the rotor cover is rotated to the use position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he outlet plug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 사이에 설치된 지지축부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 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로터 커버의 사용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내주면과 지지축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S)이 작아짐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로터 커버의 안정성 향상에 유익하다. The support shaf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can prevent or reduce the shaking of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n particular, when the torsion coil spring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coil diameter as the rotor cover is rotated to the use pos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is reduced by decreasing the distance 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The shake of the coil por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is is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otor cover.
또한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걸려 고정되게 되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er body, each end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2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이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설치된 걸림부에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의 조립 위치를 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말부의 조립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f the torsion coil spring are relatively abutted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er body when the engaging portions provided o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are respectively. Therefore, the assembling position of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is not limited to a fixed position, and the assembling range of the terminal portion can be expanded, and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can be easily assembled. .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3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이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걸림부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위치 결정에도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in this way, the engaging portion can be used for positioning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4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 오목부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부를 갖지 않는 부재에 스프링 수용 오목부가 설치됨으로써, 그 부재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인정된다. If comprised in this way, a torsion coil spring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provided in at least one member of an outerlet main body and a rotor cover. Moreover, the effect which makes setting of a torsion coil spring with respect to the member by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provided in the member which does not have a support shaft part is also recogniz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이하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실시예 1> ≪ Example 1 >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장비되는 AC 전원용 아우트렛에 대하여 예시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아우트렛(1)의 상하 좌우의 각 방위를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1)은, 아우트렛 본체(2)와, 커버(5)와, 로터 커버(6)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7)과, 나사(8) 및 와셔(washer; 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아우트렛 본체(2)는 그 하부를 형성하는 아우트렛 베이스(3)와 그 상부를 형성하는 아우트렛 커버(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우트렛 베이스(3)와 아우트렛 커버(4)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결합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아우트렛 본체(2)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AC 터미널(10), LED 터미널(11) 및 발광 소자인 LED(12) 등이 내장되어 있다. 나아가, 아우트렛(1)이 예컨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비될 때에는 커버(5)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측으로 하여 아우트렛 본체(2)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아우트렛(1)의 방향은 배치 장소에 따라 적당히 변경된다. The
또한, 아우트렛 본체(2)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이외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3-59579호 공보 참조)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uter body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부재이다. 커버(5)는 그 일측부(도 1에서 후측부)가 아우트렛 커버(4)의 후측부에 스프링 핀(14)(도 1 참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5)의 닫힘 상태(도 2에서 2점 쇄선(5) 참조)에서는 커버(5)가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부에 끼워진다.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전측부에는 상기 커버(5)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4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5)의 전측부에는 걸림편(4a)이 결합 되는 결합부(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5)는 결합부(5a)가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편(4a)에 그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5)를 열림 방향으로 눌러 개방함으로써 걸림편(4a)에 대한 결합부(5a)의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버(5) 전측부에는 조작편(5b)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 front end portion of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커버판부(60)를 끼움 가능한 원형의 로터 수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의 중앙부 상에는 동일 축선(L)을 이루는 낮은 높이의 원형의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circular rotor
볼록부(41)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을 길게 한 대략 직사각형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밑면은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보다 한 단 낮은 평탄한 스프링 안착면(42a)으로 되어 있다. 그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는 로터 수용 오목부(40)와 동일 축선(L)을 이루는 원형의 축공(44)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center part of the
축공(44)은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안착면(42a)을 형성하는 벽부(40a)의 하면에 돌출된 중공 원통형의 통형부(45)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7 참조). 또한, 축공(44)은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짧은 방향, 즉 좌우 방향의 폭보다 소정량 작은 구멍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축공(44) 내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지지 축부(6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The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짧은 방향에 면하는 양 벽면, 즉 좌우 양 벽면(42b)(도 8 참조)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코일부(7a)의 외주면에 면 접촉 또는 근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both wall surfaces, i.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see Fig. 8), facing the short direction of the
또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에는 대략 삼각형의 걸림부(43)가 상기 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 형상 및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In addition, on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of the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43)에서 상기 축공(44) 측(도 10에서 상측)의 경사면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코일부(7a)의 외주면에 면 접촉 또는 근접 가능하게 형성되고,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 (42b)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면(43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43)의 다른 하나(도 10에서 하측)의 경사면은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하나의 단말부(7b)가 상대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걸림면(43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회전 방향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비틀림 코일 스프링(6)의 감김 방향을 좌측 감김으로 하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은 로터 커버(6)의 평면에서 우측 회전 방향이므로, 그 로터 커버(6)의 우측 회전 방향의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단말부(7b)가 걸림면(43b)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우측 회전 방향" 및 "좌측 회전 방향"이란, 아우트렛(1)의 평면에서의 둘 레 방향을 말한다.As shown in FIG. 1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41) 내에는 전후 방향을 길게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좌우 한 쌍의 끼움공("제1 끼움공"이라고 함)(46)이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에는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끼움공("제2 끼움공"이라고 함)(47)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in the
제1 및 제2의 총 3개의 끼움공(46, 47)에는 세 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제1 및 제2 각 끼움식 단자(P1, P2)(도 2 참조)가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삽입공(66, 67)을 통하여 각각 꽂아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제1 끼움식 단자(P1)는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에 각각 접속되는 띠판 형상의 단자이고, 제2 끼움식 단자(P2)는 그라운드(접지)에 접속되는 막대 형상의 단자이다.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P1 and P2 (refer to FIG. 2) of the outlet plug P having a split shape into three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46 and 47. The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41) 전측부에는 소정 각도의 범위에 걸쳐 노치(notch) 형상을 이루는 원호상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홈(48)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도 6 참조)가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둘레 방향의 양 단면이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에 대한 스토퍼면(48a)으로 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하나의 스토퍼면(48a)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스토퍼면(48a)에 맞닿을 때까지의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예컨대 약 90°로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홈 밑면(48b)은 소정 반경을 이 루는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의 하면은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arc-shaped rotation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의 외주부에는 소정 수(예컨대 4개로서, 도 6에서는 2개가 표시되어 있음)의 대략 반구형의 작은 돌기(49)가 하나의 원주선 상에서 등간격(예컨대 90°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은 돌기(49) 상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환상 플랜지(69)의 하면이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four, two of which are indicated in Fig. 6) of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 커버(6)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에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판형의 커버판부(60)와 그 커버판부(60)의 하면으로부터 동일 축선(L) 상으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형의 지지축부(64)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커버판부(60)에는 상기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각 끼움식 단자(P1, P2)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사용 위치(후술함)에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각각 대응 가능한 각 삽입공(66, 67)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The
또한, 커버판부(60)의 상면에는 비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의 회전 방향(우측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65)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Moreover, th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60)의 하면에는 동일 축선(L)을 이루는 낮은 높이의 원형의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홈 밑면(48b)(도 8 참조)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볼록부(61) 내에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안착면(42a) 및 두 걸림부(43)를 갖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에 대하여 상하 대칭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에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각 부위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10의 자리의 "4"를 "6"으로 대신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도 9 참조). 또한 두 걸림부(63)는 아우트렛 커버(4)의 두 걸림부(43)(도 8 참조)에 대하여 위상을 90°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Th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 내에는 상기 커버판부(60)와 동일 축선(L)을 이루는 원주형의 지지축부(64)가 돌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부(64)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부(64)의 선단면(하단면)은 커버판부(60)의 후술하는 환상 플랜지(69)의 하단면이 아우트렛 커버(4)의 작은 돌기(49)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는 상태에서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60)의 하면에는 상기 볼록부(6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에 대하여 상기 로터 커버(6)의 소정의 회전 각도(90°)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스토퍼면(48a)에 맞닿음으로써 더 이상의 이동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As shown in FIG. 6, the rotation
또한, 커버판부(60)의 외주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환상의 환상 플랜지(69)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환상 플랜지(69)의 하단면은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작은 돌기(49)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Further, an annular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은 소정 감김 수에 3/4회 만큼을 더하여 감겨진 좌측 감김 코일부(7a)와 그 코일부(7a)의 양 단부에서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각 단말부(7b)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7a)는 그 중공부 내에 상기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가 상대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코일부(7a)의 하부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 및 두 걸림부(43)의 위치 결정면(43a) 내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마찬가지로, 코일부(7a)의 상부는 상기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좌우 양 벽면(62b)과 함께 두 걸림부(63)의 위치 결정면(63a) 내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또한 각 단말부(7b)는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의 걸림면(43b) 또는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의 걸림면(63b)에 각각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8)는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된 냄비 태핑 나사로 이루어지며, 십자 구멍이 있는 머리부(8a)와 태핑 나사축부(8b)를 가지고 있다. 태핑 나사축부(8b)는 상기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중공부 내에 나사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또한, 상기 와셔(9)는 예컨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난 쥬라콘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8)의 태핑 나사축부(8b)에 끼움 가능한 중공부(9a)를 갖는 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워셔(9)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통상부(45)와 상기 나사(8)의 머리부(8a) 사이에 개재되며,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하여 나사(8)를 포함하는 로터 커버(6)를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The
다음에, 상기 구성 부품의 조립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said component is demonstrated.
먼저,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끼운다.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 및 두 걸림부(43)의 위치 결정면(43a)에 의해 소정 위치, 즉 축공(44)과 대략 동심형을 이루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도 10 참조). First, the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는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스프링 안착면(62) 상에 맞닿는 상태, 즉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전후 양 벽면(42c)(도 8 참조) 부근에서의 스프링 안착면(62a) 상에 맞닿을 수 있는 범위이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도 10에서 2점 쇄선(7b) 참조). 따라서, 종래의 기술(도 18참조)에 의해 단말부(107b)를 가늘고 긴 홈부(102b)에 일일이 위치 맞춤하여 끼워 넣을 필요가 없다. 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상하 거꾸로 배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Further, the lower
또한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를 포함하는 상부는 아우트렛 커버(4)의 볼록부(41) 상으로 돌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At this time,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다음에,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 내에 삽입하고,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삽입한다. 이 때, 예컨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 전측의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 있을 때에는 상측의 단말부(7b)의 지향 방향으로 로터 커버(6)의 제2 끼움공(47)을 대응시킨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의 후측의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 있을 때에는 상측의 단말부(7b)의 반 지향 방향으로 로터 커버(6)의 제1 끼움공(46)을 대응시킨다. 이 상태에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를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삽입하면,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의 볼록부(41) 상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로터 커버(6)의 커버판부(60)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수용 오목부(40) 내에 반 끼워진다. Next, the
이 상태에서 로터 커버(6)를 우측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가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에 대응하였을 때 스프링 수용 오목부(62) 내에 끼워진다. 이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를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에 스프링 안착면(62a) 상에 맞닿게 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In this state, the
계속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에 대하여 로터 커버(6)에서의 좌측 회전 방향 부근에 위치하는 걸림부(43)의 걸림면(43b)이 맞닿는다.Subsequently, the engaging
그런 다음에, 로터 커버(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추종 회전한다. 이 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우측 회전 방향 부근에 위치하는 걸림부(43)의 걸림면(43b)에 맞닿게 된다(도 10 참조). 이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가 로터 커버(6)의 걸림부 (63)의 걸림면(63b)에 맞닿는 경우와 동일하다. Then, the
또한, 로터 커버(6)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에 끼워짐과 동시에, 로터 커버(6)의 커버판부(60)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에 완전히 끼워진다.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좌우 양 벽면(62b) 및 두 걸림부(63)의 위치 결정면(63a)에 의해 소정 위치, 즉 지지축부(64)와 대략 동심형을 이루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로터 커버(6)의 환상 플랜지(69)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의 작은 돌기(49)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는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하단면이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Further, the
다음에, 아우트렛 커버(4)의 하면측으로부터 나사(8)를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에 박는다. 구체적으로는, 나사(8)의 태핑 나사축부(8b)를 와셔(9)의 중공 구멍(9a)을 통하여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중공 구멍(9a) 내에 박는다. 그러면, 와셔(9)가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에 체결됨과 동시에,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거나 근접된다. 이에 따라,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하여 로터 커버(6)가 빠짐 방지된다(도 4 및 도 5 참조).Next, the
이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터 커버(6)가 좌측 회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우측의 스토퍼면(48a)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로터 커버(6)가 "비사용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이 로터 커버(6)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각 끼움공(46, 47)으로부터 아우트렛 본체(2)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또한 아우트렛(1)을 사용할 때에는, 로터 커버(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우측 회전 방향, 즉 로터 커버(6)에 붙여진 화살표(65)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좌측 스토퍼면(48a)에 맞닿음으로써 로터 커버(6)가 "사용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2 참조). 이 상태에서는,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로터 커버(6)의 각 삽입공(66, 67)이 각각 대응하고, 이에 따라 각 끼움공(46, 47)이 개구된다. When the
상기 로터 커버(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아우트렛용 플러그(P)(도 2 참조)의 끼움식 단자(P1, P2)를 로터 커버(6)의 삽입공(66, 67)을 통하여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아우트렛(1)에 아우트렛용 플러그(P)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접속 상태에서는 그 플러그(P)에 의해 로터 커버(6)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비사용 위치로의 회전(좌측 회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When the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를 아우트렛(1)으로부터 빼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터 커버(6)가 좌측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비사용 위치로 돌아온다(도 3 참조). Further, when the plug P for the outlet is removed from the
상기한 아우트렛(1)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2)(구체적으로는 아우트렛 커버(4))와 로터 커버(6) 사이에 설치된 지지축부(64)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로터 커버(6)의 사용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내주면과 지지축부(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S)이 작아짐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로터 커버(6)의 안정성 향상에 유익하다.According to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가 각각 걸려 고정되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에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는다. 따라서,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의 조립 위치를 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 그 단말부(7b)의 조립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B)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에 비틀 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면(43a, 63a)이 형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따라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위치 결정에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positioning surfaces 43a and 63a capable of positioning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설치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62)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수용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지지축부(64)를 갖지 않는 부재인 아우트렛 커버(4)에 스프링 수용 오목부(42)가 설치됨으로써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보인다. In addition, the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및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에서 각각 걸림부(43)를 생략하고, 좌우 양 벽면(부호 242b, 262b를 붙임)을 평탄한 벽면으로 형성하며, 그 양 벽면(242b, 262b)이 걸림부를 겸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locking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207b를 붙임)는 코일부(7a)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벽면(242b, 262b)에 선 접촉 형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each terminal part (labeled 207b) of the
<실시예 3> <Example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도 11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부호 342를 붙임)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수용 가능한 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아우트렛 커버(4)에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342)와 어느 하나(도 12에서 좌측 방향)의 제1 끼움공(46)을 연통하는 위치 결정 홈(3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342)와 다른 하나(도 12에서 우측 방향)의 제1 끼움공(46) 사이에서의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345)가 돌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ortion (labeled 342) of the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307b를 붙임)는 코일부(7a)에 대하여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Moreover, each terminal part (labeled 307b) of the
또한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와 어느 하나(도 12에서 좌측 방향)의 제1 삽입공(66) 사이의 로터 커버(6)의 하면에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 내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 돌기(365)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와 다른 하나(도 12에서 우측 방향)의 제1 삽입공(66)을 연통하면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를 끼우는 위치 결정 홈(363)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lower surfac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의 두 홈 벽면(343a) 및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홈(363)의 두 홈 벽면(363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307b)에 대한 걸림부를 겸하는 것이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groove wall surfaces 343a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과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돌기(365)의 끼움 결합과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와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홈(363)의 끼움 결합에 의해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tting grooves of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 및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돌기(365)에 의해 아우트렛(1)에 대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접속시의 스파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generation of sparks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outlet plug P to the
<실시예 4> <Example 4>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도 11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407b를 붙임)를 축선(L)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respective terminal portion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07b) of the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스프링 안착면(42a) 및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에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 (407b)를 각각 끼움 가능한 걸림공(443, 463)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실시예 5>Example 5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4(도 13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ourth embodiment (see Fig. 13).
본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본체(2)의 걸림공(4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공(463)을 축선(L)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걸림공(443, 463)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407b)를 끼워넣기 용이하게 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engaging
<실시예 6><Example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도 1∼도 10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see Figs. 1 to 10).
본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부호 64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실시예 1에서의 지지축부(64)(도 5 참조)가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644) 내에 삽입 가능한 회전축부(부호 664를 붙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부(664)의 하단부에 나사(8)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혀져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a support shaft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644) capable of supporting the
<실시예 7><Example 7>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하반부를 지지 가능한 지지 축부(부호 74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상반부 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부호 76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즉,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744)와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764)에 의해 하나의 연속된 지지축부(부호 64A를 붙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764)에는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64)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회전축부(764a)가 동축 상에 돌출되어 있다. 이 회전축부(764a)의 하단부에 나사(8)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혀져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아우트렛(1)은 차량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가정용, 공장용, 빌딩용 등으로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 중 어느 하나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62)에서의 걸림부(43, 63)는 적당히 증감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3, 63)는 단순한 평면의 스프링 안착면(42a, 62a) 상에 돌출되는 돌기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3, 63)에 설치한 위치 결정면(43a, 63a)은 걸림부(43, 63)와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본 발명의 아우트렛에 의하면,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함과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coil spring can be easily assembled while preventing or reducing the shaking of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2525A KR101077838B1 (en) | 2006-02-09 | 2006-02-09 | Out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2525A KR101077838B1 (en) | 2006-02-09 | 2006-02-09 | Out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0953A KR20070080953A (en) | 2007-08-14 |
KR101077838B1 true KR101077838B1 (en) | 2011-10-31 |
Family
ID=3860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2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7838B1 (en) | 2006-02-09 | 2006-02-09 | Out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7838B1 (en) |
-
2006
- 2006-02-09 KR KR1020060012525A patent/KR1010778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0953A (en) | 2007-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51591B2 (en) | Structural component coupling device | |
US7458831B2 (en) | Power-source outlet | |
KR950032969A (en) | Actuator unit for vehicle door lock | |
JP2004531046A (en) | electrical plug | |
KR100891864B1 (en) | Rotation control device of rotor | |
JP3788905B2 (en) | Vehicle lamp and drive device for rotation | |
KR101077838B1 (en) | Outlet | |
KR100803959B1 (en) | Rotary electrical parts | |
JPH08306266A (en) | Lever switch for vehicle | |
JPH11144564A (en) | Operating mechanism of rotary type electric component | |
JP2006185787A (en) | Lamp socket and lighting fixture | |
JP4036164B2 (en) | Digital camera and switch device | |
JP6621018B2 (en) | Rotary switch | |
JP2006059598A (en) | Outlet | |
JP3897796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ntenna | |
JP2000252727A (en) | Mount structure for antenna | |
JP7317356B2 (en) | Automatic return mechanism unit | |
CN222867580U (en) | Circuit breaker with indicating mechanism | |
JPH0648068Y2 (en) | Door lock switch | |
CN213777381U (en) | Rotary connection module, desk lamp accessory and desk lamp | |
KR200207610Y1 (en) | Connector rotator of stop lamp switch | |
JP4035517B2 (en) |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 |
JPH064554Y2 (en) | Socket for single-ended lamp | |
JPH088498Y2 (en) | 3 mode switch | |
JP2545975Y2 (en) | Portable wireless trans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