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7838B1 - Outlet - Google Patents

Out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838B1
KR101077838B1 KR1020060012525A KR20060012525A KR101077838B1 KR 101077838 B1 KR101077838 B1 KR 101077838B1 KR 1020060012525 A KR1020060012525 A KR 1020060012525A KR 20060012525 A KR20060012525 A KR 20060012525A KR 101077838 B1 KR101077838 B1 KR 10107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ver
rotor cover
coil spring
torsion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0953A (en
Inventor
히로키 오카다
마사히로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고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고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고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6001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838B1/en
Publication of KR2007008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83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while preventing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elastically press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아우트렛 본체(2)의 아우트렛 커버(4)는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식 단자를 삽입 가능한 끼움공(46, 47)을 갖는다. 로터 커버(6)는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끼움공(46, 47)을 폐쇄하는 비 사용 위치와 끼움식 단자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공(66, 67)이 끼움공(46, 47)에 꼭 맞추어지는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한다. 아우트렛 커버(4)와 로터 커버(6) 사이에 로터 커버(6)를 비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64)를 설치한다. 아우트렛 본체(2)와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본체(2) 및 로터 커버(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를 걸어 고정한다. The outlet cover 4 of the outlet body 2 has fitting holes 46 and 47 into which the pluggable terminal of the plug for the outlet can be inserted. The rotor cover 6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2, and the non-use position for closing the fitting holes 46 and 47 and the insertion holes 66 and 67 through which the fitting terminal is inserted are fitted. It is installed so that position is changeable to use position that is good to (46, 47). A support shaft portion 64 capable of supporting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rotor cover 6 to the non-use pos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 Each terminal portion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fixed to the outlet body 2 and the rotor cover 6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utlet body 2 and the rotor cover 6.

아우트렛, 로터 커버, 비틀림 코일 스프링, 플러그, 단말부 Outlet, rotor cover, torsion coil spring, plug, termination

Description

아우트렛{OUTLET}Outlet {OUTL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커버를 연 상태의 아우트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et with the cover open;

도 3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아우트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outlet with the cover removed;

도 4는 도 3의 IV-I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IV-IV of FIG.

도 5는 도 3의 V-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5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V-V line arrow of FIG.

도 6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rotor cover to the outlet body;

도 7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부착 구조를 상하 거꾸로 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rotor cover to the outlet body upside down;

도 8은 아우트렛 본체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outlet body;

도 9는 로터 커버의 요부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9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tor cover,

도 10은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조립에 따른 설명도이고,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according to the assembling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the outlet body,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let body, the rotor cover and the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 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let body, a rotor cover, and a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let body, a rotor cover, and a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let body, the rotor cover and the torsion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아우트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8은 아우트렛 본체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회전축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an outerlet main body, a torsion coil spring, and a rotating shaft.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아우트렛 2 : 아우트렛 본체1: Outlet 2: Outlet body

42 : 스프링 수용 오목부 43 : 걸림부42: spring receiving recess 43: engaging portion

46, 47 : 끼움공 6 : 로터 커버46, 47: fitting hole 6: rotor cover

62 : 스프링 수용 오목부 63 : 걸림부 62: spring receiving recess 63: engaging portion

64 : 지지축부 66, 67 : 삽입공64: support shaft 66, 67: insertion hole

7 : 비틀림 코일 스프링 7a : 코일부7: torsion coil spring 7a: coil part

7b : 단말부 P : 아우트렛용 플러그7b: terminal P: plug for outlet

P1, P2 : 끼움식 단자 P1, P2: Plug-in Terminal

본 발명은 예컨대 차내에서 가정용 전기 기기를 작동시킬 목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전원용 아우트렛(콘센트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outlet (also called an outlet)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household electrical equipment in a vehicle.

종래 이러한 종류의 아우트렛으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콘센트가 있다. 특허 문헌 1의 콘센트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끼움공(146)을 가리는 로터 커버(106)가 아우트렛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 커버(106)에는 사용 위치에서 끼움공(146)과 합치되는 삽입공(1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 본체(102)에 설치된 구멍(102a)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각 단말부(107b)가 아우트렛 본체(102)의 가늘고 긴 홈부(102b)(도 18 참조) 및 로터 커버(106)에 형성된 가늘고 긴 홈부(도시 생략)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에 의한 회전 탄성 가압 위치, 즉 비사용 위치에서 로터 커버(106)가 아우트렛 본체(102)의 끼움공(146)을 폐쇄한다. 또한 회전축(164)이 될 박아 넣기 압정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안쪽(도 17에서 하방)으로부터 로터 커버(106)로 박혀져서 고정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is type of outlet includes, for example, an outl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the outlet of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7, a rotor cover 106 covering the fitting hole 146 of the outlet body 102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outlet body 102. The rotor cover 106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66 that coincides with the fitting hole 146 at the use pos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107 is arranged in the hole 102a provided in the outlet body 102. Each of the terminal portions 107b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has an elongated groove portion 102b (see FIG. 18) of the outlet body 102 and an elongated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rotor cover 106 ( (Not shown). The rotor cover 106 closes the fitting hole 146 of the outlet body 102 in the rotationally elastic pressing position by the torsion coil spring 107, that is, in an unused position. In addition, the driving pushpin to be the rotating shaft 164 is fixed to the rotor cover 106 from the inside (downward in FIG. 17) of the outer body main body 102.

[특허 문헌 1] 특허 제 3299309호 공보[Patent Document 1] Patent No. 3299309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아우트렛 본체(102)의 구멍(102a) 내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도 18 참조). 그리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은 일반적으로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로터 커버(10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사용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외주면과 아우트렛 본체(102)의 구멍(102a)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100S)이 커지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이 흔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로터 커버(106)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박아 넣기 압정의 회전축(164)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내경보다 1/2∼1/3 정도 작은 축 지름이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즉, 특허 문헌 1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고안이 전혀 없었다. According to the patent document 1 mentioned above, the torsion coil spring 10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le 102a of the outlet body 102 (refer FIG. 18). And the torsion coil spring 107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which generally makes a coil diameter small. Therefore, when the rotor cover 106 is rotated to the use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e 102a of the outlet body 102. Since the torsional coil spring 107 is shaken because the interval 100S becomes large, there is a fear that the stability of the rotor cover 106 is impaired in severe cases.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shaft 164 of the push pin is a shaft diameter that is about 1/2 to 1/3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as shown in FIG. 18, the torsion coil spring 107 supports the torsion coil spring 107. It did not have a function. That is,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no design to prevent the tors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또한, 아우트렛 본체(102) 및 로터 커버(106)에 형성된 가늘고 긴 홈부(102b)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각 단말부(107b)를 일일이 위치 맞춤하여 끼워 넣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07)의 조립이 번잡하였다. In addition, since the respective end portions 1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107 are fitted into the elongated groove portions 102b formed on the outer body body 102 and the rotor cover 106, the torsion coil springs 107 are inserted. ) Was troublesome assemb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아우트렛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that can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while preventing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elastically press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 범위의 란에 기재된 구성을 요지로 하는 아우트렛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The said subject can be solved by the outlet which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in the column of a claim.

즉,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아우트렛은,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 단자를 삽입 가능한 끼움공을 갖는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끼움식 단자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아우트렛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끼움공을 폐쇄하는 비사용 위치와 상기 끼움공에 상기 삽입공이 꼭 맞추어지는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 커버와,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이 로터 커버를 비사용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That is, the outlet according to claim 1 of the claims has an outlet body having a fitting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terminal of the plug for the outlet can be inserted, and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fitting terminal can be inserted, A rotor cover rotatably mounted to the non-use position for closing the fitting hole and to a us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hole is tightly fitted to the fitting hole, and interposed betwee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The torsion coil spring which elastically presses this rotor cover to a non-use posi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 내에 끼워지고 그리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축부가 설치되어 있다. A support shaft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to fit withi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and to support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걸려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Further, by utiliz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 커버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비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이 로터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is closed by the rotor cover when the rotor co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let body is in the state of being elastically pressed in the non-use position by the torsion coil sp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또한, 아우트렛의 사용시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 단자를 로터 커버의 삽입공을 통하여 아우트렛 본체의 끼움공 내에 삽입함으로써 아우트렛에 아우트렛용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outlet, the insertion terminal of the plug for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outlet body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or cover while the rotor cover is rotated to the use position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he outlet plug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 사이에 설치된 지지축부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 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로터 커버의 사용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내주면과 지지축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S)이 작아짐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로터 커버의 안정성 향상에 유익하다. The support shaf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can prevent or reduce the shaking of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n particular, when the torsion coil spring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coil diameter as the rotor cover is rotated to the use pos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is reduced by decreasing the distance 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The shake of the coil por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is is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otor cover.

또한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걸려 고정되게 되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er body, each end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2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claim 2 of the claims is an outer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torsion coil springs is appli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by using a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er body. Locking portions are provided which the terminal portions can abut against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설치된 걸림부에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아우트렛 본체 및 로터 커버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의 조립 위치를 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말부의 조립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f the torsion coil spring are relatively abutted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er body when the engaging portions provided o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are respectively. Therefore, the assembling position of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is not limited to a fixed position, and the assembling range of the terminal portion can be expanded, and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can be easily assembled. .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3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claim 3 of the claims is the outl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cking portion can positio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al coil spring.

이와 같이 구성된 아우트렛에 의하면, 걸림부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위치 결정에도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configured in this way, the engaging portion can be used for positioning the torsion coil spring.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4에 따른 아우트렛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우트렛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according to claim 4 of the claims is the outl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pring for accommodating the torsion coil spring in at least one member of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An accommodation recess is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우트렛 본체와 로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 오목부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부를 갖지 않는 부재에 스프링 수용 오목부가 설치됨으로써, 그 부재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인정된다. If comprised in this way, a torsion coil spring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provided in at least one member of an outerlet main body and a rotor cover. Moreover, the effect which makes setting of a torsion coil spring with respect to the member by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provided in the member which does not have a support shaft part is also recogniz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이하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실시예 1> &Lt; Example 1 >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장비되는 AC 전원용 아우트렛에 대하여 예시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아우트렛(1)의 상하 좌우의 각 방위를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한다.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 AC power outlet provided in a vehicle is illustrated.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utlet 1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S. 1 to 9.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1)은, 아우트렛 본체(2)와, 커버(5)와, 로터 커버(6)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7)과, 나사(8) 및 와셔(washer; 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 the outlet 1 includes an outlet body 2, a cover 5, a rotor cover 6, a torsion coil spring 7, a screw 8, and a washer ( washer; 9) and the like. Hereinafter, it demonstrates in order.

상기 아우트렛 본체(2)는 그 하부를 형성하는 아우트렛 베이스(3)와 그 상부를 형성하는 아우트렛 커버(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우트렛 베이스(3)와 아우트렛 커버(4)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결합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아우트렛 본체(2)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AC 터미널(10), LED 터미널(11) 및 발광 소자인 LED(12) 등이 내장되어 있다. 나아가, 아우트렛(1)이 예컨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비될 때에는 커버(5)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측으로 하여 아우트렛 본체(2)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아우트렛(1)의 방향은 배치 장소에 따라 적당히 변경된다. The outlet body 2 is constituted by an outlet base 3 forming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cover 4 forming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outlet base 3 and the outlet cover 4 are made of a molded article of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nd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bonding (see Fig. 2). In the outlet body 2, the AC terminal 10, the LED terminal 11, and the LED 12 which are light emitting elements, etc. which are shown in FIG. Furthermore, when the outerlet 1 is equipp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for example, it arrange | positions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outerlet main body 2 in the instrument panel, making the cover 5 the front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 changes suitably according to a placement place.

또한, 아우트렛 본체(2)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이외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3-59579호 공보 참조)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uter body main body 2 is the same as that of what is widely known (for exampl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3-59579),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부재이다. 커버(5)는 그 일측부(도 1에서 후측부)가 아우트렛 커버(4)의 후측부에 스프링 핀(14)(도 1 참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5)의 닫힘 상태(도 2에서 2점 쇄선(5) 참조)에서는 커버(5)가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부에 끼워진다. As shown in Fig. 2, the cover 5 is, for example, a molded article of synthetic resin, and is a member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cover 4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ne side (rear side in FIG. 1) of the cover 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er cover 4 by a spring pin 14 (see FIG. 1),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otation. It is possibly installed. In addition,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5 (see the dashed-dotted line 5 in FIG. 2), the cover 5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outlet cover 4.

또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전측부에는 상기 커버(5)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4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5)의 전측부에는 걸림편(4a)이 결합 되는 결합부(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5)는 결합부(5a)가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편(4a)에 그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5)를 열림 방향으로 눌러 개방함으로써 걸림편(4a)에 대한 결합부(5a)의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버(5) 전측부에는 조작편(5b)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 front end portion of the outer cover 4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4a for hooking and fixing the cover 5. 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ortion 5a to which the engaging piece 4a is coupled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cover 5. The cover 5 is held in the closed state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5a to the engaging piece 4a of the outlet cover 4 using its elastic deformation. Further, the cover 5 is pushed in the opening direction to open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5a to the locking piece 4a is released. Moreover, the operation piece 5b is provided in the cover 5 front side par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커버판부(60)를 끼움 가능한 원형의 로터 수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의 중앙부 상에는 동일 축선(L)을 이루는 낮은 높이의 원형의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circular rotor accommodating recess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4 to which the cover plate 60 described later of the rotor cover 6 can be fitted. As shown in FIG. 6, on the center part of the bottom face of the rotor accommodating part 40, the circular convex part 41 of low height which comprises the same axis L is formed.

볼록부(41)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을 길게 한 대략 직사각형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밑면은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보다 한 단 낮은 평탄한 스프링 안착면(42a)으로 되어 있다. 그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는 로터 수용 오목부(40)와 동일 축선(L)을 이루는 원형의 축공(44)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center part of the convex part 41,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art 42 which extended the front-back direction is formed. The bottom face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42 is a flat spring seating surface 42a which is one step lower than the bottom face of the rotor accommodating recess 40. In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the circular shaft hole 44 which forms the same axis L as the rotor accommodating recessed part 40 is formed.

축공(44)은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안착면(42a)을 형성하는 벽부(40a)의 하면에 돌출된 중공 원통형의 통형부(45)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7 참조). 또한, 축공(44)은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짧은 방향, 즉 좌우 방향의 폭보다 소정량 작은 구멍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축공(44) 내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지지 축부(6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The shaft hole 44 extends downward by the hollow cylindrical tubular portion 45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40a forming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of the outlet cover 4 (FIGS. 4 and FIG. 7). In addition, the shaft hole 44 is formed with a hole diameter small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short direction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art 42, ie, the left-right direction (refer FIG. 8). In this shaft hole 44, the support shaft part 64 mentioned later of the rotor cover 6 is rotatably supported (refer FIG. 4 and FIG. 5).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짧은 방향에 면하는 양 벽면, 즉 좌우 양 벽면(42b)(도 8 참조)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코일부(7a)의 외주면에 면 접촉 또는 근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both wall surfaces, i.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see Fig. 8), facing the short direction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s 42 are the coil portions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7a) is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or close proximity.

또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에는 대략 삼각형의 걸림부(43)가 상기 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 형상 및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In addition, on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s 42, a substantially triangular engaging portion 43 is formed in a point symmetrical shape and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hape centering on the axis L (see Fig. 8). .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43)에서 상기 축공(44) 측(도 10에서 상측)의 경사면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코일부(7a)의 외주면에 면 접촉 또는 근접 가능하게 형성되고,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 (42b)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면(43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43)의 다른 하나(도 10에서 하측)의 경사면은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후술하는 하나의 단말부(7b)가 상대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걸림면(43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회전 방향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비틀림 코일 스프링(6)의 감김 방향을 좌측 감김으로 하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은 로터 커버(6)의 평면에서 우측 회전 방향이므로, 그 로터 커버(6)의 우측 회전 방향의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단말부(7b)가 걸림면(43b)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우측 회전 방향" 및 "좌측 회전 방향"이란, 아우트렛(1)의 평면에서의 둘 레 방향을 말한다.As shown in FIG. 1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43 on the side of the shaft hole 44 (upper side in FIG. 1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portion 7a described later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e coil part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formed as the positioning surface 43a which is formed so that the proximity is possible, and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art 42 are positionable.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ther one of the locking portions 43 (lower side in FIG. 10) is one terminal portion described later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2. 7b is formed as a locking surface 43b which can be relatively abutted.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2 is made into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which makes the coil diameter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small.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6 is left wou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diameter is reduced is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rotor cover 6,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rotor cover 6 The terminal portion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43b by using rota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erm "right rotation direction" and "left rotation direction" as used herein means the direction of circumference in the plane of the outlet 1.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41) 내에는 전후 방향을 길게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좌우 한 쌍의 끼움공("제1 끼움공"이라고 함)(46)이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에는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끼움공("제2 끼움공"이라고 함)(47)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in the convex part 41, a pair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left and right fitting holes (referred to as "first fitting holes") 46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 In additio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fitting hole (referred to as a "second fitting hole") 47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tor accommodating portion 40 in front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42.

제1 및 제2의 총 3개의 끼움공(46, 47)에는 세 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제1 및 제2 각 끼움식 단자(P1, P2)(도 2 참조)가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삽입공(66, 67)을 통하여 각각 꽂아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제1 끼움식 단자(P1)는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에 각각 접속되는 띠판 형상의 단자이고, 제2 끼움식 단자(P2)는 그라운드(접지)에 접속되는 막대 형상의 단자이다.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P1 and P2 (refer to FIG. 2) of the outlet plug P having a split shape into three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46 and 47. The cover 6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s 66 and 6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rst plug-in terminal P1 of the plug P for the outlet is a strip-shaped terminal connected to the positive or negative pole of the power supply, respectively, and the second plug-in terminal P2 is a rod connected to the ground (ground). It is a shaped terminal.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41) 전측부에는 소정 각도의 범위에 걸쳐 노치(notch) 형상을 이루는 원호상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홈(48)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도 6 참조)가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둘레 방향의 양 단면이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에 대한 스토퍼면(48a)으로 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하나의 스토퍼면(48a)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스토퍼면(48a)에 맞닿을 때까지의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예컨대 약 90°로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홈 밑면(48b)은 소정 반경을 이 루는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의 하면은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arc-shaped rotation angle control groove 48 which forms the notch shape over the range of predetermined angles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said convex part 41.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rotor cover 6 is coupled to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Moreover, both end surf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serve as the stopper surface 48a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over 6 from the one stopper surface 48a to the other stopper surface 48a is regul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90 °, from the stopper surface 48a to the other stopper surface 48a. It is. The groove bottom 48b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is formed of an arc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is formed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or accommodating portion 40.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 수용 오목부(40)의 밑면의 외주부에는 소정 수(예컨대 4개로서, 도 6에서는 2개가 표시되어 있음)의 대략 반구형의 작은 돌기(49)가 하나의 원주선 상에서 등간격(예컨대 90°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은 돌기(49) 상에는 로터 커버(6)의 후술하는 환상 플랜지(69)의 하면이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four, two of which are indicated in Fig. 6) of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mall protrusion 49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or accommodating portion 40. Protrude at equal intervals (eg, at 90 °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of. On the small protrusion 49, the lower surface of the annular flange 69 of the rotor cover 6 mentioned later is slid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 커버(6)는 예컨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에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판형의 커버판부(60)와 그 커버판부(60)의 하면으로부터 동일 축선(L) 상으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형의 지지축부(64)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rotor cover 6 is, for example, a molded articl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disc shaped cover rotatably fitted in the rotor accommodating portion 40 of the outlet cover 4 in the axial direction. It has the hollow cylindrical support shaft part 64 which protrudes on the same axis L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 part 60 and the cover plate part 60.

커버판부(60)에는 상기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각 끼움식 단자(P1, P2)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사용 위치(후술함)에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각각 대응 가능한 각 삽입공(66, 67)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The cover plate portion 60 is capable of inserting respective fitting terminals P1 and P2 of the plug for outlets P, and each fitting hole 46 of the outlet cover 4 in the use position (described later). Each insertion hole 66, 67 corresponding to 47 is formed (refer FIG. 2).

또한, 커버판부(60)의 상면에는 비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의 회전 방향(우측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65)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Moreover, the arrow 65 which shows the rotation direction (right rotation direction) from a non-use position to a use posit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part 60 (refer FIG.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60)의 하면에는 동일 축선(L)을 이루는 낮은 높이의 원형의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홈 밑면(48b)(도 8 참조)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cover plate part 60 is formed with the circular convex part 61 of low height which comprises the same axis L. As shown in FIG. The convex part 61 is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which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dius of the groove bottom 48b (refer FIG. 8) of the rotation angle control groove 48 of the said outerlet cover 4. As shown in FIG.

볼록부(61) 내에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안착면(42a) 및 두 걸림부(43)를 갖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에 대하여 상하 대칭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에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각 부위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10의 자리의 "4"를 "6"으로 대신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도 9 참조). 또한 두 걸림부(63)는 아우트렛 커버(4)의 두 걸림부(43)(도 8 참조)에 대하여 위상을 90°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The convex portion 61 has a spring accommodating recess 62 which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42 having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and the two catching portions 43 of the outlet cover 4. ) Is formed. Further, in the spring receiving recesses 62 of the rotor cover 6,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es 42 of the outlet cover 4 are set to " 4 " Instead, the description is omitted (see FIG. 9). In addition, the two locking portions 63 are formed by shifting the phase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wo locking portions 43 (see FIG. 8) of the outlet cover 4 (see FIG. 9).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 내에는 상기 커버판부(60)와 동일 축선(L)을 이루는 원주형의 지지축부(64)가 돌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부(64)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부(64)의 선단면(하단면)은 커버판부(60)의 후술하는 환상 플랜지(69)의 하단면이 아우트렛 커버(4)의 작은 돌기(49)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는 상태에서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a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62, a cylindrical support shaft 64 is formed to project the same axis L as the cover plate 60. have. 4 and 5, the support shaft 64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haft hole 44 of the outlet cover 4. Moreover, the front end surface (low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part 64 is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flange 69 mentioned later of the cover plate part 60 slidably contacts on the small protrusion 49 of the outlet cover 4.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5 of the outlet cover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60)의 하면에는 상기 볼록부(6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에 대하여 상기 로터 커버(6)의 소정의 회전 각도(90°)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스토퍼면(48a)에 맞닿음으로써 더 이상의 이동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As shown in FIG. 6,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onvex portion 61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portion 60.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is rotatable and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90 °)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of the outlet cover 4. The further movement is restricted by contacting the stopper surface 48a of the angle regulating groove 48 (see FIG. 8).

또한, 커버판부(60)의 외주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환상의 환상 플랜지(69)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환상 플랜지(69)의 하단면은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작은 돌기(49)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Further, an annular annular flange 69 project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ver plate portion 60 (see FIG. 6).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flange 69 is supported by the state which slidably contacted on the small protrusion 49 of the said outlet cover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은 소정 감김 수에 3/4회 만큼을 더하여 감겨진 좌측 감김 코일부(7a)와 그 코일부(7a)의 양 단부에서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각 단말부(7b)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7a)는 그 중공부 내에 상기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가 상대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코일부(7a)의 하부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 및 두 걸림부(43)의 위치 결정면(43a) 내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마찬가지로, 코일부(7a)의 상부는 상기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좌우 양 벽면(62b)과 함께 두 걸림부(63)의 위치 결정면(63a) 내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또한 각 단말부(7b)는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의 걸림면(43b) 또는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의 걸림면(63b)에 각각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radially outward at both ends of the left wound coil portion 7a and its ends of the coil portion 7a, which are added by three quarters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It has each terminal part 7b which protrudes toward. The coil portion 7a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relatively inserting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into the hollow portion thereof (see FIGS. 4 and 5).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coil part 7a is fitted in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art 42 of the said outlet cover 4, and the positioning surface 43a of the two locking parts 43, and is located (See FIG. 10). Similarly,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portion 7a is fitted into the positioning surface 63a of the two locking portions 63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62b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 62 of the rotor cover 6 to position the same. It becomes the structure that becomes. In addition, each terminal portion 7b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43b of the locking portion 43 of the outlet cover 4 or the locking surface 63b of the locking portion 63 of the rotor cover 6, respectively. It is.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8)는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된 냄비 태핑 나사로 이루어지며, 십자 구멍이 있는 머리부(8a)와 태핑 나사축부(8b)를 가지고 있다. 태핑 나사축부(8b)는 상기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중공부 내에 나사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crew 8 is made of, for example, a pan tapping screw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s a cross-headed head 8a and a tapping screw shaft 8b. The tapping screw shaft portion 8b can be screw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또한, 상기 와셔(9)는 예컨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난 쥬라콘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8)의 태핑 나사축부(8b)에 끼움 가능한 중공부(9a)를 갖는 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워셔(9)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통상부(45)와 상기 나사(8)의 머리부(8a) 사이에 개재되며,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하여 나사(8)를 포함하는 로터 커버(6)를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The washer 9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such as Juracon excellent in self-lubrication, and is formed in a ring plate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9a that can be fitted to the tapping screw shaft portion 8b of the screw 8. . The washer 9 is interposed between the normal portion 45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head 8a of the screw 8 and includes a rotor 8 with respect to the outlet cover 4. The cover 6 is configured to smoothly rotate (see FIGS. 4 and 5).

다음에, 상기 구성 부품의 조립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said component is demonstrated.

먼저,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끼운다.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좌우 양 벽면(42b) 및 두 걸림부(43)의 위치 결정면(43a)에 의해 소정 위치, 즉 축공(44)과 대략 동심형을 이루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도 10 참조). First,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fit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of the outlet cover 4. At this time,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e., shaft hole, by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42b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42 and the positioning surfaces 43a of the two locking portions 43. It is positioned so as to be substantially concentric with 44 (see Fig. 10).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는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스프링 안착면(62) 상에 맞닿는 상태, 즉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전후 양 벽면(42c)(도 8 참조) 부근에서의 스프링 안착면(62a) 상에 맞닿을 수 있는 범위이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도 10에서 2점 쇄선(7b) 참조). 따라서, 종래의 기술(도 18참조)에 의해 단말부(107b)를 가늘고 긴 홈부(102b)에 일일이 위치 맞춤하여 끼워 넣을 필요가 없다. 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상하 거꾸로 배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Further, the lower terminal portion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buts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of the outlet cover 4, that is,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It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arbitrary positions as long as it is a range which can be contact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a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and back both wall surfaces 42c (refer FIG. 8) of (). .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see FIG. 18), it is not necessary to align the terminal portion 107b to the elongated groove portion 102b one by one.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arranged upside down.

또한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를 포함하는 상부는 아우트렛 커버(4)의 볼록부(41) 상으로 돌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At this time,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terminal portion 7b on the upp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protrudes onto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outlet cover 4 (see FIGS. 4 and 5).

다음에,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 내에 삽입하고,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삽입한다. 이 때, 예컨대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 전측의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 있을 때에는 상측의 단말부(7b)의 지향 방향으로 로터 커버(6)의 제2 끼움공(47)을 대응시킨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의 후측의 스프링 안착면(42a) 내에 있을 때에는 상측의 단말부(7b)의 반 지향 방향으로 로터 커버(6)의 제1 끼움공(46)을 대응시킨다. 이 상태에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를 아우트렛 커버(4)의 축공(44) 내에 삽입하면,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의 볼록부(41) 상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로터 커버(6)의 커버판부(60)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수용 오목부(40) 내에 반 끼워진다. Next,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is inserted into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nd further into the shaft hole 44 of the outlet cover 4.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portion 7b on the low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within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on the front side of the outlet cover 4, the rotor cover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terminal portion 7b in the directing direction). The second fitting hole 47 of 6) corresponds. Moreover, when the terminal part 7b of the low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in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of the rear side of the outlet cover 4, the rotor cover 6 in the sem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upper terminal part 7b. ) Corresponds to the first fitting hole 46. In this state, when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44 of the outlet cover 4,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of the rotor cover 6 causes the outlet cover 4 to extend. Abuts on the convex portion 41. Thus, the cover plate portion 60 of the rotor cover 6 is half-fitted into the rotor water recessed portion 40 of the outlet cover 4.

이 상태에서 로터 커버(6)를 우측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가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에 대응하였을 때 스프링 수용 오목부(62) 내에 끼워진다. 이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를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에 스프링 안착면(62a) 상에 맞닿게 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In this state, the rotor cover 6 is rotated in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Then, when the terminal portion 7b on the upp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corresponds to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a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 62 of the rotor cover 6, it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recess 62. Lose.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terminal portion 7b of the low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of the outlet cover 4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a.

계속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에 대하여 로터 커버(6)에서의 좌측 회전 방향 부근에 위치하는 걸림부(43)의 걸림면(43b)이 맞닿는다.Subsequently, the engaging surface 43b of the engaging portion 43 located near the left rotational direction in the rotor cover 6 abuts against the terminal portion 7b on the upp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그런 다음에, 로터 커버(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추종 회전한다. 이 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하측의 단말부(7b)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우측 회전 방향 부근에 위치하는 걸림부(43)의 걸림면(43b)에 맞닿게 된다(도 10 참조). 이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상측의 단말부(7b)가 로터 커버(6)의 걸림부 (63)의 걸림면(63b)에 맞닿는 경우와 동일하다. Then, the torsion coil spring 7 follows th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Thereby, the terminal part 7b of the low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43b of the locking part 43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in the outer cover 4 ( See FIG. 10).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terminal portion 7b on the upper sid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buts against the locking surface 63b of the locking portion 63 of the rotor cover 6.

또한, 로터 커버(6)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 내에 끼워짐과 동시에, 로터 커버(6)의 커버판부(60)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에 완전히 끼워진다.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좌우 양 벽면(62b) 및 두 걸림부(63)의 위치 결정면(63a)에 의해 소정 위치, 즉 지지축부(64)와 대략 동심형을 이루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로터 커버(6)의 환상 플랜지(69)가 아우트렛 커버(4)의 로터 수용 오목부(40) 내의 작은 돌기(49)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는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하단면이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Further,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coil diameter as the rotor cover 6 rotates. Then,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of the rotor cover 6 is fitted into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of the outer cover 4, and the cover plate portion 60 of the rotor cover 6 is the outerlet. It fits completely in the rotor accommodating recess 40 of the cover 4. At this time,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e., by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62b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62 and the positioning surfaces 63a of the two locking portions 63. It is positioned in a state substantially coaxial with the shaft portion 64. In addition, the annular flange 69 of the rotor cover 6 slidably abuts on the small protrusion 49 in the rotor accommodating recess 40 of the outlet cover 4. In additi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is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5 of the outlet cover 4.

다음에, 아우트렛 커버(4)의 하면측으로부터 나사(8)를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에 박는다. 구체적으로는, 나사(8)의 태핑 나사축부(8b)를 와셔(9)의 중공 구멍(9a)을 통하여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의 중공 구멍(9a) 내에 박는다. 그러면, 와셔(9)가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64)에 체결됨과 동시에, 아우트렛 커버(4)의 통형부(4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거나 근접된다. 이에 따라,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하여 로터 커버(6)가 빠짐 방지된다(도 4 및 도 5 참조).Next, the screw 8 is screwed into the support shaft 64 of the rotor cover 6 from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outlet cover 4. Specifically, the tapping screw shaft portion 8b of the screw 8 is inserted into the hollow hole 9a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of the rotor cover 6 via the hollow hole 9a of the washer 9. Then, while the washer 9 is fastened to the support shaft 64 of the rotor cover 6, the washer 9 is slidably abuts or comes close to the cylindrical portion 45 of the outlet cover 4. Thereby, the rotor cover 6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with respect to the outlet cover 4 (refer FIG. 4 and FIG. 5).

이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터 커버(6)가 좌측 회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우측의 스토퍼면(48a)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로터 커버(6)가 "비사용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이 로터 커버(6)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각 끼움공(46, 47)으로부터 아우트렛 본체(2)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rotor cover 6 is elastically pressurized in the left rotational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nd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of the rotor cover 6 is removed from the outlet cover 4. The stopper surface 48a on the right side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abuts. Thus, the rotor cover 6 is maintained in the "non-use positi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 the fitting holes 46 and 47 of the outlet cover 4 are closed by the rotor cover 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outlet body 2 from each of the fitting holes 46 and 47.

또한 아우트렛(1)을 사용할 때에는, 로터 커버(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우측 회전 방향, 즉 로터 커버(6)에 붙여진 화살표(65)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로터 커버(6)의 회전 각도 규제 돌기(68)가 아우트렛 커버(4)에서의 회전 각도 규제 홈(48)의 좌측 스토퍼면(48a)에 맞닿음으로써 로터 커버(6)가 "사용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2 참조). 이 상태에서는,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로터 커버(6)의 각 삽입공(66, 67)이 각각 대응하고, 이에 따라 각 끼움공(46, 47)이 개구된다. When the outlet 1 is used, the rotor cover 6 is rotated in the right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65 attached to the rotor cover 6 by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en, the rotor cover 6 is "used" because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rojection 68 of the rotor cover 6 abuts against the left stopper surface 48a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groove 48 in the outlet cover 4. Position "(see Figure 2). In this state,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66, 67 of the rotor cover 6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fitting holes 46, 47 of the outlet cover 4, whereby the respective fitting holes 46, 47 Opening.

상기 로터 커버(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아우트렛용 플러그(P)(도 2 참조)의 끼움식 단자(P1, P2)를 로터 커버(6)의 삽입공(66, 67)을 통하여 아우트렛 커버(4)의 각 끼움공(46, 47)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아우트렛(1)에 아우트렛용 플러그(P)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접속 상태에서는 그 플러그(P)에 의해 로터 커버(6)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비사용 위치로의 회전(좌측 회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When the rotor cover 6 is in the use position, the fitting terminals P1 and P2 of the outlet plug P (see FIG. 2) ar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s 66 and 67 of the rotor cover 6. It can be inserted into each fitting hole 46 and 47 of the cover 4. That is, the outlet plug P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1. In addition, 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plug P for an outlet, the plug P rotates to the non-use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of the rotor cover 6 (rotation in the left rotational direction). It is stopped.

또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를 아우트렛(1)으로부터 빼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터 커버(6)가 좌측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비사용 위치로 돌아온다(도 3 참조). Further, when the plug P for the outlet is removed from the outlet 1, the rotor cover 6 is rotated in the left rotational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o return to the non-use position (see Fig. 3). ).

상기한 아우트렛(1)에 의하면, 아우트렛 본체(2)(구체적으로는 아우트렛 커버(4))와 로터 커버(6) 사이에 설치된 지지축부(64)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로터 커버(6)의 사용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이 코일 지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내주면과 지지축부(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S)이 작아짐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로터 커버(6)의 안정성 향상에 유익하다.According to the outlet 1 described above,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64 provided between the outlet body 2 (specifically, the outlet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The shaking of the coil part 7a can be prevented or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coil diameter as the rotor cover 6 rotates to the use pos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64 When the space | interval S between them becomes small, the shake of the coil part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can be suppressed effectively. This is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otor cover 6.

또한,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가 각각 걸려 고정되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outerlet cover 4, each of the terminal portions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hung on the outerlet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respectively. Since it is fixed, the torsion coil spring 7 can be assembled easily.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에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는다. 따라서,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의 조립 위치를 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 그 단말부(7b)의 조립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7b)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B)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outlet cover 4 is applied to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rotor cover 6. Each terminal portion 7b of 7) relatively touches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the assembling range of each terminal part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with respect to the outerlet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is not limited to a fixed position, and the assembling range of the terminal part 7b is limited. The terminal portion 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can be easily assembled.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에 비틀 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면(43a, 63a)이 형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따라서, 아우트렛 커버(4)의 걸림부(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부(63)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위치 결정에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positioning surfaces 43a and 63a capable of positioning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o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rotor cover 6. Is formed (see FIGS. 8 and 9). Therefore,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rotor cover 6 can also be used for positioning the torsion coil spring 7.

또한, 아우트렛 커버(4) 및 로터 커버(6)에 설치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62)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수용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지지축부(64)를 갖지 않는 부재인 아우트렛 커버(4)에 스프링 수용 오목부(42)가 설치됨으로써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보인다. In addition, the torsion coil spring 7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ring accommodation recesses 42 and 62 provided in the outlet cover 4 and the rotor cover 6 (see FIGS. 4 and 5). In addition,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setting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with respect to the outlet cover 4 is provided by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being provided in the outlet cover 4 which is a member having no support shaft 64. see.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has changed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a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In addition,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lso about a following example.

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및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에서 각각 걸림부(43)를 생략하고, 좌우 양 벽면(부호 242b, 262b를 붙임)을 평탄한 벽면으로 형성하며, 그 양 벽면(242b, 262b)이 걸림부를 겸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locking portions 43 are omitted from the spring receiving recesses 42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spring receiving recesses 62 of the rotor cover 6, respectively. Both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labeled 242b and 262b) are formed into a flat wall surface, and both wall surfaces 242b and 262b serve as locking portions.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207b를 붙임)는 코일부(7a)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벽면(242b, 262b)에 선 접촉 형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each terminal part (labeled 2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protrudes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coil part 7a, and is able to contact the said wall surfaces 242b and 262b in line contact shape. .

<실시예 3> <Example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도 11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 11).

본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부호 342를 붙임)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수용 가능한 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아우트렛 커버(4)에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342)와 어느 하나(도 12에서 좌측 방향)의 제1 끼움공(46)을 연통하는 위치 결정 홈(3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342)와 다른 하나(도 12에서 우측 방향)의 제1 끼움공(46) 사이에서의 아우트렛 커버(4)의 상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345)가 돌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d portion (labeled 342) of the outlet cover 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 The outer cover 4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groove 343 communicating with the spring receiving recess 342 and the first fitting hole 46 of any one (left direction in FIG. 12). In addition, a positioning protrusion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cover 4 between the spring receiving recess 342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first fitting hole 46 of the other one (the right direction in FIG. 12). 345 protrudes.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307b를 붙임)는 코일부(7a)에 대하여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Moreover, each terminal part (labeled 3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protrudes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oil part 7a.

또한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와 어느 하나(도 12에서 좌측 방향)의 제1 삽입공(66) 사이의 로터 커버(6)의 하면에는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 내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 돌기(365)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와 다른 하나(도 12에서 우측 방향)의 제1 삽입공(66)을 연통하면서, 상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를 끼우는 위치 결정 홈(363)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lower surface of the rotor cover 6 between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62 of the rotor cover 6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66 of any one (left direction in FIG. 12) is provided on the outer cover 4. The positioning projection 365 fitted in the positioning groove 343 protrudes. The rotor cover 6 also communicates with the spring receiving recess 62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66 of the other one (the right direction in FIG. 12), while the positioning protrusion 345 of the outlet cover 4 is connected. ), Positioning grooves 363 are formed.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의 두 홈 벽면(343a) 및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홈(363)의 두 홈 벽면(363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307b)에 대한 걸림부를 겸하는 것이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groove wall surfaces 343a of the positioning grooves 343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two groove wall surfaces 363a of the positioning grooves 363 of the rotor cover 6 are torsion coil springs. It also serves as a locking portion for each terminal portion 307b in (7).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홈(343)과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돌기(365)의 끼움 결합과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와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홈(363)의 끼움 결합에 의해 아우트렛 커버(4)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tting grooves of the positioning grooves 343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65 of the rotor cover 6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45 of the outlet cover 4 are fixed. By engaging the positioning groove 363 of the rotor cover 6, the positioning workability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outlet cover 4 can be improved.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위치 결정 돌기(345) 및 로터 커버(6)의 위치 결정 돌기(365)에 의해 아우트렛(1)에 대한 아우트렛용 플러그(P)의 접속시의 스파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generation of sparks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outlet plug P to the outlet 1 by the positioning protrusion 345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65 of the rotor cover 6.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r reduced.

<실시예 4> <Example 4>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도 11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 11).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부호 407b를 붙임)를 축선(L)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respective terminal portion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axis L an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의 스프링 안착면(42a) 및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의 스프링 안착면(62a)에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 (407b)를 각각 끼움 가능한 걸림공(443, 463)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body 2 is dispos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42a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 42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spring seating surface 62a of the spring receiving recess 62 of the rotor cover 6. The engaging holes 443 and 463 which can respectively fit the terminal parts 4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re provided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실시예 5>Example 5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4(도 13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ourth embodiment (see Fig. 13).

본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본체(2)의 걸림공(443) 및 로터 커버(6)의 걸림공(463)을 축선(L)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트렛 본체(2)에 대한 로터 커버(6)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걸림공(443, 463)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각 단말부(407b)를 끼워넣기 용이하게 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engaging hole 443 of the outlet body 2 and the engaging hole 463 of the rotor cover 6 are formed in an arc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L. The terminal parts 407b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are easily fitted into the engaging holes 443 and 463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6 with respect to the let body 2.

<실시예 6><Example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도 1∼도 10 참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see Figs. 1 to 10).

본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부호 64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실시예 1에서의 지지축부(64)(도 5 참조)가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644) 내에 삽입 가능한 회전축부(부호 664를 붙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부(664)의 하단부에 나사(8)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혀져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a support shaft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644) capable of supporting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is provided on the outlet cover 4. In the rotor cover 6, the support shaft portion 64 (see FIG. 5) in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as a rotation shaft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66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portion 644 of the outlet cover 4. . A screw 8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portion 664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7><Example 7>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일부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adds a change to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렛 커버(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하반부를 지지 가능한 지지 축부(부호 74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의 코일부(7a)의 상반부 를 지지 가능한 지지축부(부호 764를 붙임)가 설치되어 있다. 즉,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744)와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764)에 의해 하나의 연속된 지지축부(부호 64A를 붙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커버(6)의 지지축부(764)에는 아우트렛 커버(4)의 지지축부(64)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회전축부(764a)가 동축 상에 돌출되어 있다. 이 회전축부(764a)의 하단부에 나사(8)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혀져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outer cover 4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744)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half of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e rotor cover 6 is also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764)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half of the coil portion 7a of the torsion coil spring 7. That is, one continuous support shaft portion (denoted by 64A) is formed by the support shaft portion 744 of the outlet cover 4 and the support shaft portion 764 of the rotor cover 6. Moreover, the rotating shaft part 764a which can be inserted in the supporting shaft part 64 of the outerlet cover 4 protrudes coaxially in the support shaft part 764 of the rotor cover 6. The screw 8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is rotating shaft part 764a similarly to Example 1 abov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아우트렛(1)은 차량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가정용, 공장용, 빌딩용 등으로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렛 커버(4)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로터 커버(6)의 스프링 수용 오목부(62) 중 어느 하나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 오목부(42, 62)에서의 걸림부(43, 63)는 적당히 증감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3, 63)는 단순한 평면의 스프링 안착면(42a, 62a) 상에 돌출되는 돌기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3, 63)에 설치한 위치 결정면(43a, 63a)은 걸림부(43, 63)와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outl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vehicle, and can be widely applied to general household, factory, building, and the like. In addition, any one of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42 of the outerlet cover 4 and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 62 of the rotor cover 6 can be omitted. Moreover, the locking parts 43 and 63 in the spring accommodating recesses 42 and 62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s 43 and 63 can be formed by protrusions projecting on the spring mounting surfaces 42a and 62a in a simple plane. In addition, the positioning surfaces 43a and 63a provided in the locking parts 43 and 63 can be set separately from the locking parts 43 and 63. FIG.

본 발명의 아우트렛에 의하면, 로터 커버를 사용 위치에 탄성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저감함과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coil spring can be easily assembled while preventing or reducing the shaking of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or cover to the use position.

Claims (4)

아우트렛용 플러그의 끼움식 단자를 삽입 가능한 끼움공을 갖는 아우트렛 본체와, The outlet body which has a fitting hole which can insert a plug-in terminal of the plug for an outlet, 상기 끼움식 단자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아우트렛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끼움공을 폐쇄하는 비사용 위치와 상기 끼움공에 상기 삽입공이 꼭 맞추어지는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 커버와,It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terminal can be inserte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and a position changeable to a non-use position for closing the insertion hole and a us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hole is fitted to the insertion hole. The rotor cover,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이 로터 커버를 비 사용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A torsion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to elastically press the rotor cover to a non-use position,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 사이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 내에 끼워지고 그리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축부가 설치되어 있고, Betwee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a support shaft portion is provided which is fitted i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and can support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상기 아우트렛 본체와 상기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걸려 고정되고, By u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body and the rotor cov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에, 아우트렛 본체에 대한 로터 커버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단말부가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렛. In addition,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are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for allowing each end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abut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using a relative rotation of the rotor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The outlet which is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림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렛.And the locking portion can positio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아우트렛 본체 및 상기 로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렛.A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accommodating recess for accommodating the torsion coil spring is provided in at least one member of the outlet body and the rotor cover. 삭제delete
KR1020060012525A 2006-02-09 2006-02-09 Outlet Expired - Fee Related KR101077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25A KR101077838B1 (en) 2006-02-09 2006-02-09 O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25A KR101077838B1 (en) 2006-02-09 2006-02-09 Out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53A KR20070080953A (en) 2007-08-14
KR101077838B1 true KR101077838B1 (en) 2011-10-31

Family

ID=3860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7838B1 (en) 2006-02-09 2006-02-09 Out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83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53A (en)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1591B2 (en) Structural component coupling device
US7458831B2 (en) Power-source outlet
KR950032969A (en) Actuator unit for vehicle door lock
JP2004531046A (en) electrical plug
KR100891864B1 (en) Rotation control device of rotor
JP3788905B2 (en) Vehicle lamp and drive device for rotation
KR101077838B1 (en) Outlet
KR100803959B1 (en) Rotary electrical parts
JPH08306266A (en) Lever switch for vehicle
JPH11144564A (en) Operating mechanism of rotary type electric component
JP2006185787A (en) Lamp socket and lighting fixture
JP4036164B2 (en) Digital camera and switch device
JP6621018B2 (en) Rotary switch
JP2006059598A (en) Outlet
JP3897796B2 (en)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ntenna
JP2000252727A (en) Mount structure for antenna
JP7317356B2 (en) Automatic return mechanism unit
CN222867580U (en) Circuit breaker with indicating mechanism
JPH0648068Y2 (en) Door lock switch
CN213777381U (en) Rotary connection module, desk lamp accessory and desk lamp
KR200207610Y1 (en) Connector rotator of stop lamp switch
JP4035517B2 (en)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JPH064554Y2 (en) Socket for single-ended lamp
JPH088498Y2 (en) 3 mode switch
JP2545975Y2 (en) Portable wireless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