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5702B1 -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702B1
KR101075702B1 KR1020090071179A KR20090071179A KR101075702B1 KR 101075702 B1 KR101075702 B1 KR 101075702B1 KR 1020090071179 A KR1020090071179 A KR 1020090071179A KR 20090071179 A KR20090071179 A KR 20090071179A KR 101075702 B1 KR101075702 B1 KR 10107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unctional
parts
seated
interi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34A (ko
Inventor
이형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7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7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내장 부품(3)인 도어트림과 기능성 부품(5)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할 때에 작업자가 부품안착공간(11)으로 삽입되어 안착된 상기 내장 부품(3)을 한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주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작업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을 안착시킬 때에는 한번에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내장 부품, 기능성 부품, 도어 트림, 스피커 그릴, 조립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Jig for assembling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인 도어트림과 기능성 부품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지그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인 도어트림과 기능성 부품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할 때에는 도 1과 같은 경사작업대(1)를 이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경사작업대(1)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머리와 허리를 숙이는 각도가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의 피로도 감소와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경사작업대(1)에는 내장 부품인 도어트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부품안착공간(1a)이 마련되어 있는 바,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먼저 경사작업대(1)의 부품안착공간(1a)으로 내장 부품(3)에 해당하는 도어트림을 안착시킨다.
상기 내장 부품(3)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부품삽입공간(3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부품삽입공간(3a)으로 기능성 부품인 스피커 그릴을 삽입시킨 다음, 조립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경사작업대(1)의 부품안착공간(1a)으로 내장 부품(3)을 안착시키면 상기 내장 부품(3)의 뒤쪽에 마련된 부품삽입공간(3a)은 상기 경사작업대(1)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부품안착공간(1a)에 안착된 내장 부품(3)의 하단을 한 손으로 잡고 도 3과 같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주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기능성 부품(5)인 스피커 그릴을 부품안착공간(1a)으로 안착시켜 위치시키고, 한 손으로 들어 올려주고 있던 내장 부품(3)의 하단을 다시 하강시켜 도 4와 같이 부품안착공간(1a)으로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기능성 부품(5)은 내장 부품(3)의 부품삽입공간(3a)으로 삽입되며, 작업자는 스크루(screw) 조립이나 초음파 융착 및 열 융착 등의 조립방법을 선택하여 내장 부품(3)과 기능성 부품(5)을 서로 조립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내장 부품(3)과 기능성 부품(5)을 조립할 경우, 작업자가 내장 부품(3)을 한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주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이 반복됨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한 손으로 내장 부품(3)을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준 후 나머지 한 손으로 기능성 부품(5)을 부품안착공간(1a)으로 안착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부품안착공간(1a)으로 안착된 기능성 부품(5)이 경사작업대(1)의 경사에 의해 정위치에 올바르게 위치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므로, 작업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고 더 나아가 생산성 감소 및 조립 후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사작업대의 부품안착공간으로부터 내장 부품을 들어 올려주는 작업과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기능성 부품을 안착시킬 때에는 한번에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그는, 내장 부품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품안착공간 및 상기 부품안착공간과 연결되면서 후방으로 개구된 블록작동구멍이 구비됨과 더불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작업대와; 상기 블록작동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작동구멍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내장 부품과 조립되는 기능성 부품이 윗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슬라이딩블록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은, 슬라이딩블록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을 안착시키고 작업경사대의 부품안착공간으로 내장 부품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상기 내장 부품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안착된 상기 기능성 부품을 상기 내장 부품에 구비된 부품삽입공간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품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기능성 부품과 상기 내장 부품을 일체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내장 부품인 도어트림과 기능성 부품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할 때에 작업자가 부품안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안착된 상기 내장 부품을 한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주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작업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딩블록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을 안착시킬 때에는 한번에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부품(3)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품안착공간(11) 및 상기 부품안착공간(11)과 연결되면서 후방으로 개구된 블록작동구멍(13)이 구비됨 과 더불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작업대(10)와, 상기 블록작동구멍(1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작동구멍(13)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내장 부품(3)과 조립되는 기능성 부품(5)이 윗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블록(2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장 부품(3)은 도어트림(door trim)이고, 상기 기능성 부품(5)은 상기 도어트림에 결합되는 스피커 그릴(speaker grill)이다.
상기 내장 부품(3)인 도어트림과 상기 기능성 부품(5)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할 때에 경사작업대(10)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가 머리와 허리를 숙이는 각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의 피로도 감소와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장 부품(3)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부품삽입공간(3a)이 구비되는데, 상기 부품삽입공간(3a)은 상기 내장 부품(3)이 상기 부품안착공간(11)으로 삽입되어 안착될 때 상기 블록작동구멍(13)과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30)는, 상기 경사작업대(10)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41)에 고정 설치되면서 유압 또는 공압을 전달받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로 공급된 동력원에 의해 상기 실린더(31)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0)에 일단이 연결된 실린더로드(33)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는,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블록(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서포트브라켓(41)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의 이동 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샤프트(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43)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블록(20)에 결합된 샤프트홀더(45)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43)의 타단은 상기 서포트브라켓(41)에 설치된 부시부재(47)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31)가 유압 또는 공압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31)는 관로를 통해 유체탱크 및 공기탱크와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31)가 유압 또는 공압을 전달하기 위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의 조립 방법은,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을 안착시키고 작업경사대(10)의 부품안착공간(11)으로 내장 부품(3)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을 상기 내장 부품(3)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0)에 안착된 상기 기능성 부품(5)을 상기 내장 부품(3)에 구비된 부품삽입공간(3a)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품삽입공간(3a)으로 삽입된 상기 기능성 부품(5)과 상기 내장 부품(3)을 일체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이 경사작업대(10)의 블록작동구멍(13)속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이 상기 경사작업대(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나면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인 스피커 그릴을 도 6과 같이 안착시킨다.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안착된 기능성 부품(5)은 블록작동구멍(13)속에 위치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서 미끄러지거나 움직이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을 한번에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을 안착시키고 나면, 도 7과 같이 경사작업대(10)의 부품안착공간(11)으로 내장 부품(3)인 도어트림을 안착시킨다.
상기 내장 부품(3)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부품삽입공간(3a)이 구비되는 바, 상기 내장 부품(3)이 상기 부품안착공간(11)으로 삽입되어 안착되고 나면,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안착된 기능성 부품(5)은 상단의 일부분이 상기 부품삽입공간(3a)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내장 부품(3)의 안착이 종료되고 나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31)로 유압 또는 공압이 전달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33)는 도 8과 같이 신장되고 동시에 슬라이딩블록(20)은 부품안착공간(11)을 향하여 상승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딩블록(20)에 안착된 기능성 부품(5)은 내장 부품(3)에 구비된 부품삽입공간(3a)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기능성 부품(5)이 내장 부품(3)의 부품삽입공간(3a)으로 삽입되고 나면, 작업자는 스크루(screw) 조립이나 초음파 융착 및 열 융착 등의 조립방법을 선택하여 내장 부품(3)과 기능성 부품(5)을 서로 조립시키게 된다.
내장 부품(3)과 기능성 부품(5)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경사작업대(10)로부터 기능성 부품(5)이 조립된 내장 부품(3)을 언로딩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기능성 부품(5)이 조립된 내장 부품(3)의 언로딩 후에는 실린더(31)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블록(20)은 도 5와 같이 윗면이 상기 블록작동구멍(13)속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사작업대(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됨으로써,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내장 부품(3)인 도어트림과 기능성 부품(5)인 스피커 그릴을 조립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부품안착공간(11)으로 삽입되어 안착된 상기 내장 부품(3)을 한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주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는 바, 이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작업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블록(20)의 윗면에 기능성 부품(5)을 안착시킬 때에는 한번에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내장 부품 3a - 부품삽입공간
5 - 기능성 부품 10 - 경사작업대
11 - 부품안착공간 13 - 블록작동구멍
20 - 슬라이딩블록 30 - 동력발생장치

Claims (9)

  1. 삭제
  2. 스피커 그릴인 기능성 부품(5)을 결합하는 도어트림인 내장 부품(3)이 부품안착공간(11)으로 삽입해 안착시키는 경사작업대(10)와, 상기 내장 부품(3)의 하부로 위치된 슬라이딩블록(20)을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경사작업대(10)에는 상기 부품안착공간(11)과 연결되면서 후방으로 개구된 블록작동구멍(13)이 상기 내장 부품(3)의 후방으로 개구된 부품삽입공간(3a)과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작업대(10)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41)에는 실린더로드(33)를 매개로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블록(20)과 연결되어진 상기 실린더(31)가 수용되며;
    상기 서포트브라켓(41)을 관통하는 가이드샤프트(43)는 상기 서포트브라켓(41)에 설치된 부시부재(47)를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홀더(45)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20)에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브라켓(41)은 상기 경사작업대(10)의 하면부위로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71179A 2009-08-03 2009-08-03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Expired - Fee Related KR10107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79A KR101075702B1 (ko) 2009-08-03 2009-08-03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79A KR101075702B1 (ko) 2009-08-03 2009-08-03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34A KR20110013634A (ko) 2011-02-10
KR101075702B1 true KR101075702B1 (ko) 2011-10-21

Family

ID=4377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5702B1 (ko) 2009-08-03 2009-08-03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48B1 (ko) 2013-12-19 2014-05-12 (주)티오피 도어트림 접착제 도포용 고정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5535B (zh) * 2016-10-31 2019-05-31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自动导正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793Y1 (ko) * 1997-12-24 2000-07-15 김태구 부품조립용턴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793Y1 (ko) * 1997-12-24 2000-07-15 김태구 부품조립용턴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48B1 (ko) 2013-12-19 2014-05-12 (주)티오피 도어트림 접착제 도포용 고정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34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384B1 (ko) 차량용 후드패널 지그장치
US10800471B2 (en) Removable seat frame for engine installation
CN104760633A (zh) 车辆用门铰链装载装置
KR1006647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장치
DE102010035575A1 (de) Flexibles Halterungssystem für maschinelle Bearbeitungsoperationen
KR101075702B1 (ko)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KR101975492B1 (ko)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JP2007022310A (ja)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KR101491121B1 (ko) 2차원 twb 공법에 적용 가능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장치
KR20090053078A (ko) 도어 패널 이송 그립퍼
KR100572394B1 (ko) 서브프레임용 지그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KR100893605B1 (ko) 메인 벅 공정
JP3752899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101850626B1 (ko) 엔진용 흡배기매니폴드의 디버링장치
CN212793704U (zh) 一种用于副车架当中控制臂安装支架的焊接定位机构
KR100471269B1 (ko)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장치
CN212495461U (zh) 一种汽车白车身零部件圆孔加工机床
KR101817135B1 (ko)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CN110587353B (zh) 一种数控车床后定位装置
CN213916324U (zh) 一种裙板焊缝镂铣设备
KR20060068584A (ko)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CN105195954A (zh) 汽车踏板的上件焊接装置
KR200484213Y1 (ko) 내장재 원단 감싸기 장치
CN222095100U (zh) 一种背门内饰板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