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4478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78B1
KR101074478B1 KR1020090039950A KR20090039950A KR101074478B1 KR 101074478 B1 KR101074478 B1 KR 101074478B1 KR 1020090039950 A KR1020090039950 A KR 1020090039950A KR 20090039950 A KR20090039950 A KR 20090039950A KR 101074478 B1 KR101074478 B1 KR 10107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head
capping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018A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09003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79Detection means therefor, e.g. for nozzle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대기부의 아래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인쇄 중일 때 공간부의 입구를 막아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송대; 상기 이송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하부를 차폐하는 캡핑부; 상기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39950
프린팅, 프린터, 캡핑, 개폐, 도어,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 {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대기부의 아래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인쇄 중일 때 공간부의 입구를 막아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프린팅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Magenta), 노랑(Yellow), 청록(Cyan)이라는 삼색을 공급하여 색을 프린팅용지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일반적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본체와 평행하게 이송대가 마련되며, 카트리지와 헤드를 구비한 헤드부가 이송대에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본체와 이송대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에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는 인쇄가 진행되지 전이나 인쇄가 완료된 후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부가 대기상태로 정지하고 있는 인쇄대기부가 구비된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헤드부가 이송대에서 왕복이동하면서 인쇄중일 때는 인쇄대기부의 아래에 구비되고,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부로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서 공간부가 지저분해지고 이로 인하여 각종 부품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쇄 대기부의 아래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인쇄 중일 때 공간부의 입구를 막아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송대; 상기 이송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하부를 차폐하는 캡핑부; 상기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핑부는 상기 헤드부의 헤드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상기 헤드부의 헤드에 밀착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측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결합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부와 캡핑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캡핑부, 도어부, 헤드부의 작동 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의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도어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캡핑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대기부의 아래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인쇄 중일 때 공간부의 입구를 막아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간부에 설치되는 캡핑부와 도어부 등의 각종 부품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작동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10)은, 바닥에 지지되고 일정한 공간부(30)를 가지는 본체(20)와, 본체(20)에 설치되는 이송대(40)와, 이송대(4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50)와, 헤드부(50)의 하부를 차폐하는 캡핑부(60)와, 공간부(3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70)와, 헤드부(50), 캡핑부(60), 도어부(7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80)를 포함한다.
본체(20)의 일측부에는 프린팅 작업이 완료된 후에 헤드부(50)가 정지하거나 프린팅 작업이 대기중일 때, 헤드부(50)가 파킹되는 인쇄대기부(51)가 구비된다.
여기서, 공간부(30)는 인쇄대기부(51)의 아래쪽에 구비되어 헤드부(50)의 하부에 밀착되는 캡핑부(60)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간부(30)는 헤드부(50)를 차폐하기 위하여 캡핑부(60)가 돌출되도록 하는 입구가 구비된다.
캡핑부(60)는 공간부(30)의 내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66)에 브래킷(67)으로 고정되는 제1구동부(61)와, 제1구동부(61)의 상부에 구비되어 헤드부(50)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62)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61)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구동부(61)가 실린더로 구성된 것이나, 헤드부(50)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밀폐부(62)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밀폐부(62)는 헤드부(50)의 하부에 밀착되는 접촉부재(62a)와, 접촉부재(62a)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62b)와, 완충부재(62b)가 설치되고 제1구동부(61)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62c)를 포함한다.
접촉부재(62a)는 헤드부(50)의 하부에 접촉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부(70)는 공간부(3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71)와, 도어(7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72)와, 도어(71)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73)를 포함한다.
도어(71)는 도어(71)와 공간부(30)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7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72)는 도어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엘엠가이드(LM GUID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구동부(73)는 공간부(30)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73a)와, 회동부재(73a)에 결합되고 회동부재(73a)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도어(71)의 측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73b)와, 회동부재(73a)를 회전시키는 모터(73c)를 포함한다.
즉, 모터(73c)의 구동에 의해 회동부재(73a)가 회동되고, 회동부재(73a)에 결합되는 결합부재(73b)가 회전되는 회동부재(73a)를 따라 왕복 이동될 때 도어(71)가 개폐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공간부(3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71)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동부재(73a)와 결합부재(73b)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볼 스크류의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그에 대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어(71)는 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어(71)를 실린더 로드에 고정하고, 실린더의 작동으로 도어(71)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작동부(80)는 도어부(70)와 캡핑부(6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81)와, 조작부(81)의 신호를 받아 제1구동부(61)와 제2구동부(73)를 제어하고 캡핑부(60)와 도어부(70)의 작동에 따라 헤드부(5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구동부(61)와 제2구동부(73)는 조작부(81)에 직접 연결되어 조작부(81)의 조작에 따라 바로 구동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작동부(80)는 도어부(70)와 캡핑부(60)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싱부(83)를 더 구비한다.
센싱부(83)는 밀폐부(62)의 승강을 감지하는 제1센서(83a)와, 도어(71)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83b)를 포함한다.
제1센서(83a)는 밀폐부(62)가 상승될 때 제1센서(83a)에서 밀폐부(62)가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밀폐부(62)가 하강하여 제1센서(83a)에 밀폐부(62)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신호를 제어부(8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센서(83a)는 밀폐부(62)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밀폐부(62)가 하강된 상태를 스위치가 눌려지는 것과 밀폐부(62)와 이탈되면서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는 것을 제어부(82)로 전달하는 리밋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센서(83a)는 리밋스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밀폐부(62)가 이동될 때 밀폐부(62)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제2센서(83b)는 도어(71)가 닫힐 때 제2센서(83b)에서 도어(71)가 떨어지는 신호와, 도어(71)가 개방될 때 도어(71)가 제2센서(83b)에 접촉되는 신호를 제어부(8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2센서(83b)도 제1센서(83a)와 같은 리밋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센서(83b)는 리밋스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71)가 이동될 때 도어(71)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82)는 밀폐부(62)와 제1센서(83a)가 접촉되면 밀폐부(62)가 하강된 상태로 판단하고, 밀폐부(62)와 제1센서(83a)의 접촉이 해제되면 밀폐부(62)가 상승되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82)는 도어(71)와 제2센서(83b)가 접촉되면 도어(71)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고, 도어(71)와 제2센서(83b)의 접촉이 해제되면 도어(71)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82)는 제1센서(83a)에서 밀폐부(62)가 떨어져 상승될 때 인쇄중이거나 인쇄대기부(41)로 이동중인 헤드부(40)를 제어하여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즉, 헤드부(40)가 인쇄중이거나 대기부로 이동 중일 때 사용자가 실수로 조작부(81)를 조작하여 캡핑부(60)가 작동되고 밀폐부(61)가 상승되어 공간부(30)의 입구를 막고 있는 도어(71)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82)는 도어부(70)의 도어(71)가 닫혀 있고, 캡핑부(60)의 밀폐부(62)가 하강되어 제1센서(83a)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도어(71)가 개방되어 제2센서(83b)에 접촉된 후에, 제2센서(83b)로부터 도어(71)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캡핑부(60)의 제1구동부(6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82)는 도어(71)가 개방되고, 밀폐부(62)가 헤드부(50)의 하부에 밀착되어 도어부(70)의 제2센서(83b)에 도어(71)가 접촉된 상태에서 조작부(81)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캡핑부(60)의 제1구동부(61)가 구동되어 밀폐부(62)를 하강시켜 제1센서(83a)에 접촉된 후에, 제1센서(83a)로부터 밀폐부(62)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도어부(70)의 제2구동부(73)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헤드부(50)가 이송대(40)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인쇄 중일 때, 공간 부(30)에 설치되는 캡핑부(60)의 밀폐부(62)는 하강되어 제1센서(83a)에 접촉되어 있고, 도어부(70)의 도어(71)는 제2센서(83b)에서 떨어져 공간부(30)의 입구를 막고 있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인쇄가 완료되어 제어부의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송대(40)에서 이동하면서 인쇄 중에 있는 헤드부(50)는 초기 상태 즉, 인쇄대기부(41)로 이동되어 파킹된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20)에 구비되는 조작부(81)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면, 도어부(70)의 제2구동부(73)는 구동되어 도어(71)를 이동시켜 막고 있던 공간부(30)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즉, 도어(71)는 제2구동부(73)에 의해 이동되어 공간부(30)의 입구를 개방하면서, 도 5와 같이, 제2센서(83b)에 접촉된다.
그러면, 제2센서(83b)는 도어(71)가 접촉된 상태의 신호를 제어부(82)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82)는 제2센서(83b)의 신호에 따라 캡핑부(60)를 작동시킨다.
캡핑부(60)의 제1구동부(61)는 제어부(82)에 의해 작동되어 밀폐부(62)를 상승시킨다. 이후에, 밀폐부(62)는 상승되어 도 6과 같이, 헤드부(50)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헤드(51)를 차폐하여 헤드(51)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으로 인쇄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자는 본체(20)에 구비되는 조작부(81)를 조작한다. 그러면, 캡핑부(60)의 제1구동부재(61)는 구동되어 헤드(51)를 차폐하고 있던 밀폐부(62)를 하강시킨다. 이후에 밀폐부(62)는 하강됨과 동시에 헤드(51)에서 떨어지고 계속 하강되어 도 5와 같이, 제1센서(83a)에 접촉된다.
그러면, 제1센서(83a)는 밀폐부(62)가 접촉된 상태의 신호를 제어부(82)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82)는 제1센서(83a)의 신호에 따라 도어부(7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어부(70)의 제2구동부(73)는 제어부(82)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71)를 이동시킨다. 도어(71)는 제2구동부(73)에 의해 이동되어 도 4와 같이, 공간부(30)의 입구를 막게 된다.
이렇게 도어(71)가 공간부(30)의 입구를 막게 되면, 헤드부(50)는 이송대(40)를 따라 인쇄 위치로 이동된 후에, 왕복 이동하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작동부를 보인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프린팅 머신 20 : 본체
30 : 공간부 40 : 이송대
41 : 인쇄대기부 50 : 헤드부
51 : 헤드 60 : 캡핑부
61 : 제1구동부 62 : 밀폐부
70 : 도어부 71 : 도어
72 : 가이드부재 73 : 제2구동부
80 : 작동부 81 : 조작부

Claims (8)

  1.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이송대;
    상기 이송대에서 인쇄를 위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헤드부의 헤드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구비하는 캡핑부;
    상기 공간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구비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와 상기 캡핑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캡핑부, 도어부 및 헤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헤드부의 헤드에 밀착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측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결합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프린팅 머신.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캡핑부와 도어부의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도어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캡핑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20090039950A 2009-05-07 2009-05-07 디지털 프린팅 머신 Active KR10107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50A KR101074478B1 (ko) 2009-05-07 2009-05-07 디지털 프린팅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50A KR101074478B1 (ko) 2009-05-07 2009-05-07 디지털 프린팅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18A KR20100121018A (ko) 2010-11-17
KR101074478B1 true KR101074478B1 (ko) 2011-10-17

Family

ID=4340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50A Active KR101074478B1 (ko) 2009-05-07 2009-05-07 디지털 프린팅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816A (ja) 1999-09-29 2001-06-1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171138A (ja) 1999-12-21 2001-06-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142564A (ja) 2004-11-17 2006-06-08 Canon Finetech Inc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816A (ja) 1999-09-29 2001-06-1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171138A (ja) 1999-12-21 2001-06-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142564A (ja) 2004-11-17 2006-06-08 Canon Finetech Inc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18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836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images when an ink jet recording head is installed thereon and reading images when an image reading head is installed thereon
JP7328781B2 (ja) 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輸送方法
US75851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807686B2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23089061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5915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S61185451A (ja) インクジエットプリンタのノズル目詰り防止装置
US11794479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US6474774B1 (en) Capping of ink jet recording head
US94094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include nozzle face capping control
CN115157862B (zh) 液体喷射装置、以及液体喷射装置的检测方法
KR101074478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CN116215079B (zh) 液体喷出装置
JP271689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10250107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2113029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85122B2 (ja) プリンタ
CN102069644A (zh) 喷墨打印机的冲洗控制方法及喷墨打印机
JP6257216B2 (ja) 記録装置
JP465838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回復方法
JP202212207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31288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캡핑장치
JP361098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回復装置
KR100299971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교환장치
JP2022071129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