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921B1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3921B1 KR101073921B1 KR1020050118210A KR20050118210A KR101073921B1 KR 101073921 B1 KR101073921 B1 KR 101073921B1 KR 1020050118210 A KR1020050118210 A KR 1020050118210A KR 20050118210 A KR20050118210 A KR 20050118210A KR 101073921 B1 KR101073921 B1 KR 101073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time code
- signal
- antenna system
- eq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 개의 안테나와 m 개의 타임 슬롯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입력된 복소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빙 및 위상 천이를 수행하는 시공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입력된 신호에 상기 시공간 코드를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인코딩 복잡도가 낮은 시공간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pace-time code for interleaving and phase shifting the input complex signal using n antennas and m time slots as one unit, and applies the space-time code to the input signal to provide a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lied to a multi-antenna system including a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multi-antenna system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by providing a space-time code with higher performance and a lower encoding complexity. It is effective.
다중 안테나, 최대 다이버시티, 최대 공간 다중화, 시공간 부호, 인터리빙, 위상천이 Multiple antennas, maximum diversity, maximum spatial multiplexing, space-time code, interleaving, phase shift
Description
도 1 은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송신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transmitter using multiple antennas.
도 2 는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수신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eiver using multiple antennas.
도 3 은 Ck 와 Cl 의 차분 행렬(difference matrix)의 디터미넌트 분포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eterminant distribution of a difference matrix of C k and C l ; FIG.
도 4 는 상기 수학식 8 에 기재된 시공간 코드와 표 1 의 SM 및 GOD(Generalized Optimal Diversity)부호와의 성능 비교 결과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space-time code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성능이 좋은 STC 코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lied to a multi-antenna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better STC code.
정보통신 서비스의 보편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등장, 고품질 서 비스의 출현 등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신 시스템의 용량이 증대되어야 한다. 무선통신에서는 기본적으로 가용 주파수 자원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무선통신 환경에서 통신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The demand for communication services is rapidly increasing, including the gener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the emergence of various multimedia services, and the emergence of high quality services. To cope with this actively, the capac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increased. Since the available frequency resources are basically limited in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use the available frequency band more effici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capacit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송수신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자원활용을 위한 공간적인 영역을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대역폭의 증가 없이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통해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높이는 시공간 부호(Space Time Code; 이하 'STC')나,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이하 'SM')를 통한 병렬 전송을 통하여 전송 용량을 높이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또한, 다중화 이득과 공간다중화 이득을 동시에 얻는 최대 다이버시티 및 최대 공간 다중화 시공간 부호(Full Diversity Full Rate Space Time Code; 이하 'FDFR-STC')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s, the transceiver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to secure an additional spatial area for resource utiliza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link through diversity gain without increasing bandwidth. Methods of increasing transmission capacity through parallel transmission through Space Time Code (STC) or Spatial Multiplexing (SM) have been proposed. In addition, a maximum diversity and maximum spatial multiplexing space time code (FDFR-STC) for simultaneously obtaining a multiplexing gain and a spatial multiplexing gain has been proposed.
도 1 은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송신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채널 인코더(11)는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에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채널 인코딩(channel encoding)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 인코딩은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에 부가 비트(redundancy)를 부가하여, 보다 잡음에 강한(robust)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맵퍼(mapper)(12)는 채널 인코딩을 거친 비트에 대하여 콘스털레이션(constellation) 맵핑을 수행하여 심볼(symbol)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직/병렬 변환기(13)는 상기 맵퍼에서 출력된 심볼이 다중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직렬로 입력되는 심볼을 병렬로 변환한다. 그리고, 다중 안테나 인코더(14)는 병렬로 입력된 채널 심볼들을 다중 안테나 심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transmitter using multiple antennas. Referring to FIG. 1, the
도 2 는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수신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다중 안테나 인코더(21)는 다중 안테나 심볼을 수신하여 채널 심볼로 변환한다. 한편, 병/직렬 변환기(22)는 병렬로 입력된 채널 심볼들을 직렬로 변환한다. 또한, 디맵퍼(demapper)(23)는 직렬로 입력된 채널 심볼들에 대하여 콘스털레이션 디맵핑을 수행하여 비트로 전환하고, 채널 디코더(24)는 상기 디맵퍼로부터 입력받은 비트들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eiver using multiple antennas.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와 같이, 다중 안테나 인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인코딩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중 안테나에 따른 이득(gain)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최적의 성능을 위한 최대 다이버시티 및 최대 공간다중화 시공간 코딩을 위한 인코딩 행렬이 필요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multi-antenna encoding, the gain according to the multi-antenna varies depending on how the encoding is perform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encoding matrix for maximum diversity and maximum spatial multiplexing space-time coding for optimal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MIMO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용량은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알라무티(Alamouti)에 의해 제안된 시공간 블록 부호 기법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SAC, vol. 16, no. 8, Oct. 1998)은 송수신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채널에서의 페이딩을 극복하기 위한 송신 다이버시티 기술이다. 상기 기법은 2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송기법으로서 다이버시티 등급 (diversity order)이 송신 안테나 개수와 수신 안테나 개수의 곱으로 최대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By using the above MIMO technology,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ace-time block coding technique proposed by Alamouti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SAC, vol. 16, no. 8, Oct. 1998) uses a plurality of antennas in the transceiver to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to overcome fading in the channel. The above technique is a transmission technique us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the diversity order can obtain a maximum diversity gain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nd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그러나, 방식은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두 타임슬롯(time slot) 동안 두 개의 데이터 심볼 만을 전송하므로 전송율(rate)이 1 로서, 수신 안테나의 개수에 상관없이 공간 다중화 이득을 얻지 못하며, 송신 안테나가 3 개 이상인 경우에 대한 전송 방식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method transmits only two data symbols during two time slots through two transmit antennas, the rate is 1, and thus the spatial multiplexing gain is not obtain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The transmission method for three or more cases is not presented.
한편, 공간 다중화 이득을 얻는 방법으로는 V-BLAST (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Detection algorithm and initial laboratory results using V-BLAST space-time communication architecture', IEE, Vol. 35, No. 1, pp.14~16, 1999)이 있다. 상기 방식은 송신기에서 각 전송 안테나마다 서로 다른 신호를 같은 송신 전력과 전송률로 동시에 전송하며, 수신기에서는 전송신호를 검출할 때 크게 검출 오더링(detection ordering), 간섭 널링(interference nulling), 간섭 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의 세 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처리하여, 불필요한 간섭신호를 제거해 줌으로써 신호대 잡음비를 높일 수 있다. Meanwhile, a method of obtaining a spatial multiplexing gain is V-BLAST (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Detection algorithm and initial laboratory results using V-BLAST space-time communication architecture', IEE, Vol. 35, No. 1 , pp. 14-16, 1999). In this method, the transmitter transmits different signals for each transmit antenna at the same transmission power and rate at the same time, and the receiver greatly detects the transmission ordering, interference nulling,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when detecting the transmission signal.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increased by eliminating unnecessary interference signals.
상기 방식은 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송신 안테나의 개수와 같거나 많다면 송신 안테나의 개수에 해당하는 독립적인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공간 다중화 이득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안테나 수가 송신안테나 수보다 많아야 하며, 다중화 이득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다이버시티 등급이 1 로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없으므로 채널 환경이 나쁜 경우 한번 신호가 잘못 복원되면 그 다음 전송신호를 검출할 때도 영향을 주게 되어 심각한 성능 열화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e above scheme, if the number of receiving antennas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tennas, independent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tennas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hereby maintaining the maximum spatial multiplexing gain. However, since the number of receiving antennas should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tennas, and diversity gain cannot be obtained as the diversity class is 1 in order to maximize the multiplexing gain, if the channel environment is bad, once the signal is restored incorrectly, the next transmission signal may be detected. It can also have an impact, which can lead to serious performance degradation.
한편, tilted-QAM 방식('Structured space-time block codes with optimal diversity-multiplexing tradeoff and minimum delay', Globecom, pp.1941-1945, 2003)은 최적의 다이버시티-멀티플렉싱 트레이드 오프(diversity-multiplexing tradeoff)를 만족시키는 최대 다이버시티 및 최대 다중화 이득(full diversity & full rate)(FDFR)를 얻는 STC 코드이다. 상기 방식은 2개의 송신 안테나와 2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에서 최소의 코드길이 2 를 갖는 쇼트 시공간 블럭 코드(short space-time block code) 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부호화 이득을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으며, 여러개의 데이터 심볼 조합으로 부호를 구성하므로 인코딩 복잡도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Meanwhile, the tilted-QAM method ('Structured space-time block codes with optimal diversity-multiplexing tradeoff and minimum delay', Globecom, pp. 1941-1945, 2003) is an optimal diversity-multiplexing tradeoff. STC code that obtains maximum diversity and full diversity & full rate (FDFR) that satisfy. The scheme is a short space-time block code with a minimum code length of 2 in a system hav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two receive antennas.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sufficiently obtain a coding gain,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encoding complexity is high because a code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data symbols.
따라서, 다이버시티 및 코딩 이득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낮은 인코딩 복잡도를 가지는 시공간 코드가 필요하다. Thus, there is a need for space-time codes that are more efficient and have lower encoding complexity in terms of diversity and coding gain.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인코딩 복잡도가 낮은 FDFR-STC 코드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 효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FDFR-STC code having higher performance and lower encoding complexity in a multi-antenna system, and to increase communication efficiency by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 개의 안테나와 m 개의 타임 슬롯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입력된 복소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빙 및 위상 천이를 수행하는 시공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입력된 신호에 상기 시공간 코드를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ace-time code for performing interleaving and phase shifting on an input complex signal using n antennas and m time slots as a unit, and And applying a space-time code to transmit the signal.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중 안테나를 통한 통신 기술은 시스템의 용량(capacity), 처리량(throughput) 및 통화영역(coverage)를 증가를 위해 사용된다.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기술의 일례로서, 공간 분할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이하 'SM') 방식과 시공간 코딩(Space Time Coding; 이하 'STC') 방식이 있다. 상기 SDM 방식은 송신단에서 각 안테나를 통해 각각 독립적인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송신 율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STC 방식은 공간 도메인(domain)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심볼 수준에서 코딩을 수행 함으로써,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과 코딩 이득을 얻기 위한 것이다. Communication techniques through multiple antennas are used to increase the capacity, throughput and coverage of the system. As an example of a technique using multiple antennas, there are a spatial multiplexing (SM) scheme and a space time coding (STC) scheme. The SDM method is a method of maximizing a transmission rate by transmitting independent data through each antenna at a transmitting end. Meanwhile, the STC scheme is to obtain antenna diversity gain and coding gain by performing coding at the symbol level in the spatial domain and the time domain.
표 1 은 STC 를 위한 시공간 코드를 나타낸 일례이다.Table 1 shows an example of a space time code for STC.
표 1 에서, (1)은 알라무티(Alamouti) 코드로서 공간 다중화율은 1 이지만, 다이버시티와 부호화 이득을 최대로 얻을 수 있다. 한편, (2)는 공간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 이하 'SM')으로, 2 개의 송신안테나와 2개의 수신안테나를 이용하여 공간 다중화율 2 를 얻으면서 데이터율(data rate)을 높일 수 있다. 또한, (3)은 FDFR-STC로 공간 다중화율 2 를 얻으면서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최대로 얻을 수 있다.In Table 1, (1) is an Alamouti code, but the spatial multiplexing rate is 1, but maximum diversity and coding gain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2) is a spatial multiplexing (S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ata rate while obtaining a
다중 안테나에 적용되는 시공간 코딩 방식은 선형 분산 코딩(Linear Dispersion Coding; 이하 'LDC') 행렬(matrix)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즉, 다중 안테나 인코딩은 수학식 1 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space-time coding scheme applied to multiple antennas may be represented by a linear dispersion coding (LDC) matrix. That is, the multi-antenna encoding may be expressed as
수학식 1 에서, S 는 전송행렬 이고, 전송행렬 S 의 i 번째 행은 i 번째 시간에 전송되는 심볼들이고, j 번째 열은 j 번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심볼을 의미한다. 한편, 는 q 번째 송신 데이터 심볼 곱해지는 분산 매트릭스이고, S 는 전송 매트릭스이다. 여기서, T 는 LDC 구간, 는 송신 안테나 개수를 의미한다. 한편, Q 는 하나의 LDC 구간 동안 전송하는 데이터의 수를 의미하고, 로 나타낼 수 있다. In
일반적으로,의 실수부() 와 허부수()가 각각 다른 분산행렬에 의해 시공간 영역에 확산되는 경우, 전송행렬은 수학식 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enerally, Real part of ) And imaginary numbers ) Is spread in the space-time region by different dispersion matrices, the transmission matrix can be expressed by
수학식 2 에서, 및 는 각각 실수부와 실수 부와 허수 부에 곱해지는 분산행렬(dispersion matrix)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를 전송한 경우,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에 곱해지는 LDC 행렬이 같은 경우, 수학식 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수학식 3 에서, 은 r 번째 안테나의 수신 잡음, 는 k 번째 수신안테나 신호 값이고, 는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나타낸다. 한편,는 수학식 4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또한, 수학식 1 과 같이 표현된 LDC 에 있어서, 동등 채널 응답(equivalence channel response)은 수학식 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in an LDC expressed as in
여기서, 는 동등 채널 응답이고, 는 단위행렬이고, 는 채널행렬이다. here, Is an equivalent channel response, Is Unit matrix, Is Channel matrix.
보다 일반적으로, LDC 가 수학식 2 로 표현되는 경우, 수신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는 수학식 6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ore generally, when the LDC is represented by
수학식 6 에서, 아래첨자 R 은 복소 형식으로 나타낸 신호의 실수부(real part), 아래첨자 I 는 허수부(imaginary part)를 나타낸다. 이때, 동등채널응답 는 수학식 7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수학식 7 에서, , , 를 타나낸다. 한편, 은 n 번째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응답 벡터의 실수부이고, 은 n 번째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응답 벡터의 허수부이다. 다중안테나 디코딩은 상기 수학식 3 또는 6 혹은 이와 동등한 식으로부터 및 를 추정하는 과정이다. In Equation 7, , , Appears. Meanwhile, Is the real part of the channel response vector received through the nth receive antenna, Is an imaginary part of the channel response vector received through the nth receive antenna. Multi-antenna decoding may be performed from
2 개의 송신 안테나와 1 개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다중화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시공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하나의 타임슬롯동안 한 개의 안테나로부터만 신호가 전송되며 모든 데이터 심볼이 최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각 복소 데이터심볼을 성상도(constellation) 상에서 회전(rotation) 시킨 후, 회전된 두 신호의 허수부(imaginary part)를 인터리빙 함으로써 최대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one receive antenna, a method for generating a space-time code for obtaining maximum multiplexing gain and diversity gain is as follows. That is, only one antenna transmits a signal during one time slot and all data symbols are rotated on constellation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diversity gain. By interleaving the imaginary part of the two signals, a code for obtaining maximum diversity gain can be generated.
먼저 수학식 8 과 같은 시공간 코드를 정의한다. 시공간 코드에서, First, a space-time code such as
수학식 8 에서, 이고, (는 의 실수부(Real Part)를 나타내고, 는 의 허수부(Imaginary Part)를 나타냄) 이다. 수학식 8 의 부호를 다이버시티 이득을 유지하면서 공간 다중화율 2 가 되도록 하기 위해, 수학식 9 의 디터미넌트(determinant)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In
수학식 9 에서, Ck 는 데이터 심볼 셋트에 의해 생성되는 C 의 k 번째 데이터 심볼 셋트로부터 생성되는 부호를 의미하며, Cl 은 l 번째 데이터 심볼 셋트로부터 생성되는 부호를 의미한다.In Equation 9, C k denotes a sign generated from the k-th data symbol set of C generated by the data symbol set, and C l denotes a sign generated from the l-th data symbol set.
수학식 9 의 값이 0 이 아니면 수학식 8의 시공간 부호는 최대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값이 클수록 높은 코딩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8 에서,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시공간 코드가 최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Of Equation 9 If the value is not 0, the space-time code of
도 3 은 Ck 와 Cl 의 차분 행렬(difference matrix)의 디터미넌트 분포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 의 각 데이터 심볼은 4-QAM 변조 방식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먼저, 공간 다중화율 2 를 얻는 시공간 부호를 얻기 위해, 수학식 8 의 Ck 와 Cl 의 차분 행렬(difference matrix)의 디터미넌트 분포를 살펴보면 도 3 과 같다. 즉, 수학식 8 의 시공간 부호의 차분 행렬의 디터미넌트 분포는 실수부(real part) 영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터미넌트가 허수부(imaginary part)으로 분포하도록 하기 위해, 수학식 10 과 같이, 수학식 8 의 비대각 부분(off-diagonal)에 두개의 다른 데이터 심볼을 삽입하고, 도 3 상에서 분포도를 회전시키면, 최소 디터미넌트의 크기는 영향을 받지 않고, 공간 다중화율은 2 로 증가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과 부호화 이득을 최대로 할 수 있다. FIG. 3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determinant distribution of a difference matrix between C k and C l . Each data symbol of FIG. 3 is an example of using the 4-QAM modulation scheme. First, in order to obtain a space-time code for obtaining a
수학식 10 은 2 개의 타임 슬롯을 단위로 하여 각 타임슬롯에서 각 안테나마다 다른 시공간신호를 전송하되, 각 시공간 신호는 데이터 심볼의 회전과 인터리빙에 의해 생성되는 시공간 부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공간 코드의 행은 안테나 별로 전송되는 신호를 나타내며, 열은 타임 슬롯을 나타낸다.
수학식 8 에서, 이고, (는 의 실수부(Real Part)를 나타내고, 는 의 허수부(Imaginary Part)를 나타냄) 이다. 는 복소값을 가지는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며, 값과 값은 위상각(phase angle)를 나타내는데,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값을 정할 수 있다. 수학식 8 에서, 는 상기 도 3 에서 디터미넌트 분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In
일례로, 값이 수학식 11 과 같이 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lue may be determined as in
또한, 가 수학식 12 의 관계에 있을 때는 최대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Also, Is in the relation of
또한, 수학식 10 의 유니터리 변환(unitary transformation)에 의해 생성된 시공간 코드 역시 동일한 성능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spatiotemporal code generated by the unitary transformation of
한편, 수학식 10 을 확장하여, 수학식 13 과 같이 4 개의 송신안테나에서 최대의 다이버시티 이득과 다중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시공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상기와 같은 시공간 코딩을 수행하여 전송된 신호에 대해, 수신단에서는 ML (Maximum Likelihood) 디코더, 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 디코더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er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performing the space-time coding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maximum likelihood (ML) decoder or a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decoder.
도 4 는 상기 수학식 8 에 기재된 시공간 코드와 표 1 의 SM 및 GOD(Generalized Optimal Diversity)부호와의 성능 비교 결과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space-time code described in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D 부호 (3)와 성능이 동일하고, 동일한 공간 다중화율을 가지는 SM 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수학식 10 에 기재된 시공간 코드는 GOD 부호 (3)보다 인코딩 복잡도가 낮아 더욱 우수한 시공간 코드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표 1 의 (1) 번 코드는 공간 다중화율이 낮으므로 비교를 수행하지 않았다. As shown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발명은 보다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인코딩 복잡도가 낮은 시공간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ore efficiently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using a multi-antenna system by providing a spatiotemporal code having higher performance and lower encoding complexity.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8210A KR101073921B1 (en) | 2005-12-06 | 2005-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TW095145532A TWI422178B (en) | 2005-12-06 | 2006-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PCT/KR2006/005233 WO2007066972A2 (en) | 2005-12-06 | 2006-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EP06823940.9A EP1958346B1 (en) | 2005-12-06 | 2006-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US12/096,560 US8559541B2 (en) | 2005-12-06 | 2006-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8210A KR101073921B1 (en) | 2005-12-06 | 2005-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9400A KR20070059400A (en) | 2007-06-12 |
KR101073921B1 true KR101073921B1 (en) | 2011-10-17 |
Family
ID=3835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82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3921B1 (en) | 2005-12-06 | 2005-12-06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39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508B1 (en) * | 2006-11-06 | 2014-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05
- 2005-12-06 KR KR1020050118210A patent/KR1010739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9400A (en) | 2007-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63924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KR10089599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number of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 |
KR10075479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of frequency space block codes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 |
US8229016B2 (en) | MIMO receiver and MIMO communication system | |
US782657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ignal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 |
KR100772987B1 (en) | Linear Space-Time Code Generation Method for Maximum Diversity and Maximum Multiplexing and Multiple-antenna System Using Space-Time Codes | |
KR20050005461A (en) |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ulti-transmit multi-receive antenna arrays | |
NO34039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in a MIMO-OFDM system | |
US2006009306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time-frequency block coding | |
KR20090025135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Multiple Codewords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 |
KR101627890B1 (en) |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relay method | |
KR101241881B1 (en) | Method for encoding space-time codes in multi-antenna system | |
EP1610487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ull-diversity, full-rate space-time block coding for even number of transmit antennas | |
KR100599192B1 (en) | A structured space-time code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and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 |
JP2010093815A (en) | Method for time-space en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decoding radio signal | |
JP2004222281A (en) | Transmitter /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our transmitting antennas | |
CN111917443A (en) |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for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 |
KR101319878B1 (en) |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ination Of Codeward And Stream In The MIMO Communication System | |
Mesleh et al. | On the performance of trellis coded spatial modulation | |
KR101073921B1 (en) |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for Multiple Antenna System | |
KR2006001944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time block encoding with maximum diversity maximum data rate for two transmit antennas | |
JP2009518924A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patial multiplexing by symbol diffusion | |
CN106953674B (en) | Spatial modulation method and system | |
KR101378266B1 (en) |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 |
Yoon et al. | A novel ZF detection scheme for double SFBC based OFDM system in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