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3462B1 - 조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462B1
KR101073462B1 KR1020110042827A KR20110042827A KR101073462B1 KR 101073462 B1 KR101073462 B1 KR 101073462B1 KR 1020110042827 A KR1020110042827 A KR 1020110042827A KR 20110042827 A KR20110042827 A KR 20110042827A KR 101073462 B1 KR101073462 B1 KR 10107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ower generation
gates
gate
tidal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경
이한석
Original Assignee
이한석
문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석, 문제경 filed Critical 이한석
Priority to KR102011004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62B1/ko
Priority to PCT/KR2011/008425 priority patent/WO2012153896A1/en
Priority to CN201210003482.7A priority patent/CN102767166B/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8Tide or wave power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수문이 구비된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3 및 제4 수문이 구비된 제2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2 수문과 제4 수문과 연결된 제3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저수조의 물을 제2 저수조로 배출시켜 수차를 회전하고,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력발전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수문과 제3 및 제4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되어, 만조, 간조 뿐만 아니라 이외의 공백 시간에도 계속 발전이 수행되므로 조력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조절이 용이하고, 종래 동일한 대수의 수차를 사용하는 경우 복류식 발전에 비해 발전량이 큰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력발전 시스템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하여 수차의 회전 방향 전환 없이 복류식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조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력발전은 조수(潮水) 간만(干滿)의 수위차로부터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간조에서 만조로 갈수록 점차 해수면이 차오르게 되어 조수가 연안쪽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수의 유입 방향쪽에 수차를 설치하면, 수차가 조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 조력발전이다. 지구와 달이 존재하는 한 항상 균일한 조수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차세대 에너지원인 조력발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력발전은 호수의 수에 따라 단조지식과 복조지식, 해수의 이용방향에 따라 단류식과 복류식으로 구분된다.
단조지식은 하나의 호수를 조성하여 해수와 호수간의 수위차를 이용하는 발전이고, 복조지식은 통상적으로 지형상 2개의 호수 형성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2개의 호수간의 수위차를 이용하는 발전이다.
대표적인 조력발전소의 일례인, 프랑스 랑스 조력발전소는 단류식 발전, 양수식 발전 및 복류식 발전이 모두 가능하다.
단류식 발전은 외해에서 호수, 또는 호수에서 외해로 단향의 발전이 수행되는 방법이고, 양수식 발전은 밤에 남은 전력을 사용하여 호수에 물을 퍼올려 두었다가 낮에 방류하여 발전하는 방법이다.
또한, 복류식 발전은 밀물과 썰물 때 발생하는 외해와 호수(조지)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양쪽방향으로 발전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외해에서 호수로의 발전을 시작하고, 외해와 호수와의 수위가 같아지면 수문을 닫는다. 이후 외해에 비해 호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다시 수문을 열고 수차를 역회전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랑스 조력발전소는 양방향 발전이 가능한 수차를 설치해야 하므로 단류식 수차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특히 복류식 발전은 외해에서 호수로 발전을 수행한 후, 외해에 비해 호수의 수위가 높아질 때 다시 발전을 수행하므로 외해의 조차가 아주 큰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은 지형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복류식 발전은 외해와 호수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2회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단류식 발전에 비해 외해와 호수의 수위차이가 낮아 발전량이 작다. 따라서, 단류식 발전을 2회 하는 경우와 동일한 발전량을 유지하려면 수차의 대수를 늘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서해안 시화호의 조력발전소는 도 1과 같이, 밀물 시 외해와 호수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고 썰물 시 발전을 수행하지 않고 호수의 물을 외해로 방류하는 단류식 발전을 채택하고 있다.
단류식 발전은 밀물 시에만 발전이 가능하므로 이용율이 낮으며, 원하는 시간대에 필요한 전력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없고 발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서해안은 연간 조석간만의 수위 변화가 균일하지 않아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차의 회전 방향 전환없이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해 복류식 발전 수행이 가능한 조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일방향의 수차 설비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연속적인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조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의 변화(만조, 간조 등의 수위 변화)에 대한 영향 없이 복류식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조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3개의 저수조에 설치된 4개의 수문을 적절히 개폐조작하면, 단방향 수차 발전설비로도 복류식 발전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수문이 구비된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3 및 제4 수문이 구비된 제2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2 수문과 제4 수문이 연결된 제3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저수조의 물을 제2 저수조로 배출시켜 수차를 회전하고,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수문과 제3 및 제4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되는 조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수문과 제4 수문이 동시에 개폐되고 제2 수문과 제3수문이 동시에 개폐되며, 상기 제1 수문과 제2 수문이 교차로 개폐조작 되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수조는 제1 수문과 제2 수문이 서로 대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수조는 제3 수문과 제4 수문이 서로 대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문과 제3 수문은 서로 동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문과 제3 수문은 외해의 해수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문 및 제4 수문은 개방하고, 제2 수문 및 제3 수문은 폐쇄하여 해수가 제1 수문으로 유입되고, 발전설비 및 제4 수문을 통과하여 제3 저수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문 및 제4 수문은 폐쇄하고, 제2 수문 및 제3 수문은 개방하여 제3 저수조에 저장된 해수가 제2 수문으로 유입되고 발전설비 및 제3 수문을 통과하여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를 사용하여 만조, 간조 뿐만 아니라 이외의 공백 시간에도 발전설비를 계속 가동하여 복류식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류식 발전이 가능하고, 저수조 사이의 수위차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발전량 및 발전시간 등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를 사용하여 복류식 발전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대수의 수차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복류식 발전에 비해 발전량이 큰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우리나라 서해안 시화호의 조력발전소 발전 원리의 개념도 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조력발전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조력발전 시스템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조력발전 시스템은 제1 및 제2 수문이 서로 대향하여 구비된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3 및 제4 수문이 서로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2 수문과 제4 수문이 연결된 제3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저수조의 물을 제2 저수조로 배출시켜 수차를 회전하고,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력발전 시스템은 제1 및 제2 수문과 제3 및 제4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외해(50)의 해수가 만조일 때이고, 도 3은 외해(50)의 해수가 간조일 때이다.
제1 저수조(10)는 제1 수문(11)과 제2 수문(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수문(11)과 제2 수문(12)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수조(20)는 상기 제1 저수조(1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저수조(20)는 제3 수문(21)과 제4 수문(22)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수문(21)과 제4 수문(22)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저수조(10)의 제1 수문(11)과 제2 저수조(20)의 제3 수문(21)은 서로 일직선상에 직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저수조(10)의 제1 수문(11)과 제2 저수조(20)의 제3 수문(21)은 외해(50)와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및 유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저수조(10)의 제2 수문(12)과 제2 저수조(20)의 제4 수문(22)은 제3 저수조(3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수조(10)에서 제2 저수조(20)로 발전이 수행된 후 제2 저수조(20)에 저장된 해수는 제4 수문(22)을 통하여 제3 저수조(30)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제3 저수조(30)에 저장된 해수는 제2 수문(12)을 통하여 제1 저수조(10)로 유입된다.
제1 저수조(10)의 제2 수문(12)과 제2 저수조(20)의 제4 수문(22)은 서로 일직선상에 직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수문(11, 12, 21 및 22)은 해수의 유입 및 유출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설계 및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각 수문(11, 12, 21 및 22)은 기계식, 유압식 및 공압식 등을 사용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문은 발전소 설치 지형의 특성, 발전 계획량 등을 고려하여 수문의 위치, 수문의 크기, 수문 사이의 간격, 설치되는 수문의 개수 및 수문 개폐방식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각 수문 위치에 10개 이상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저수조(30)는 조력발전이 수행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조력발전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저수조(10) 또는 제2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저장조 역할을 한다.
또한, 외해의 해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조력발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저수조(10) 또는 제2 저수조(20)로 유출하여 물을 공급하는 공급처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저수조(30)는 하기 도 2 및 3과 같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저수조(30)는 하기 도 4 내지 도 6의 조력발전 시스템의 시공상태와 같이 방조제를 축조하고 상기 제1 저장조(10) 및 제2 저장조(20)를 설치한 후 남은 호수 부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수문의 배치에 따른 조력발전 시스템의 시공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은 제1 수문(11)과 제2 수문(12)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3 수문(21)과 제4 수문(22)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수문(11)과 제3 수문(21) 및 제2 수문(12)과 제4 수문(22)이 각각 서로 일직선상에 직렬로 설치된 시공상태이다.
도 5는 제2 수문(12)이 제1 수문(11)에 대하여 측면 방향에 설치되고, 제4 수문(22)이 제3 수문(21)에 대하여 측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문(11)과 제3 수문(21)은 서로 일직선상에 직렬로 설치되며, 제2 수문(12)과 제4 수문(22)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시공상태이다.
도 6은 제2 수문(12)이 제1 수문(11)에 대하여 측면 방향에 설치되고, 제3 수문(21)과 제4 수문(22)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문(11)과 제3 수문(21)은 서로 일직선상에 직렬로 설치된 시공상태이다.
발전설비(40)는 상기 제1 저수조(10)와 제2 저수조(20) 사이에 설치된다.
발전설비(40)는 제1 저수조(10)의 해수를 제2 저수조(20)로 배출시켜 수차를 회전하고,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도 전환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수차는 발전효율 향상과 발전운영 및 유지비 등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한 방향으로의 물 흐름에 의해서만 회전되는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저수조(10)에서 제2 저수조(20)로 흐르는 물에 의해서만 회전한다.
상기 발전설비(40)는 발전량의 계획 등을 고려하여 위치, 수문 사이의 간격 및 개수를 조절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수차를 10기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력발전 시스템은 상기 제1 수문과 제4 수문이 동시에 개폐되고 제2 수문과 제3수문이 동시에 개폐되며, 상기 제1 수문과 제2 수문이 교차로 개폐조작 되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된다. 즉, 수차의 회전 방향 전환없이 복류식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해(50)가 만조인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제1 저수조(10)의 제1 수문(11) 및 제2 저수조(20)의 제4 수문(22)은 개방하고, 제1 저수조(10)의 제2 수문(12) 및 제2 저수조(20)의 제3 수문(21)은 폐쇄한다. 이 경우 해수가 제1 저수조(10)의 제1 수문(11)으로 유입되어 발전설비(40)에 의해 발전이 수행되고, 제2 저수조(20)의 제4 수문(22)을 통과한 해수는 제3 저수조(30)에 저장된다.
또한, 외해(50)가 간조인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제1 저수조(10)의 제1 수문(11) 및 제2 저수조(20)의 제4 수문(22)은 폐쇄하고, 제1 저수조(10)의 제2 수문(12) 및 제2 저수조(20)의 제3 수문(21)은 개방한다. 이 경우 제3 저수조(30)에 저장된 해수가 제1 저수조(10)의 제2 수문(12)으로 유입되어 발전설비(40)에 의해 발전이 수행되고, 제2 저수조(20)의 제3 수문(21)을 통과한 해수는 외해(50)로 유출된다.
본 발명의 조력발전 시스템은 하루에 적어도 4회의 연속적인 발전 수행이 가능하여, 현재 시화호와 동일한 발전설치 지형, 물의 높이차 및 수차 대수 등을 유지하는 경우 시화호의 예상 발전량인 약 5억 5천만 Kw/h에 비해 적어도 2배 정도 증가된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력발전 시스템은 단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 및 저수조를 사용하여 복류식 발전을 수행하므로, 상기 저수조 사이의 수위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사이의 수위차 제어가 가능하므로 동일한 대수의 수차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초기에 비해 점차 수위차가 줄어드는 복류식 발전에 비해 발전량이 크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1 저수조
11 : 제1 수문 12 : 제2 수문
20 : 제2 저수조
21 : 제3 수문 22 : 제4 수문
30 : 제3 저수조
40 : 발전설비
50 : 외해

Claims (8)

  1. 제1 및 제2 수문이 구비된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3 및 제4 수문이 구비된 제2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2 수문과 제4 수문이 연결된 제3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와 제2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저수조의 물을 제2 저수조로 배출시켜 수차를 회전하고,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수문과 제3 및 제4 수문의 개폐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되는 조력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과 제4 수문이 동시에 개폐되고 제2 수문과 제3수문이 동시에 개폐되며, 상기 제1 수문과 제2 수문이 교차로 개폐조작 되어 연속적으로 발전이 수행되는 조력발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는 제1 수문과 제2 수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조력발전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수조는 제3 수문과 제4 수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조력발전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과 제3 수문은 서로 일직선 상에 직렬로 설치되는 조력발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과 제3 수문은 외해의 해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인 조력발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 및 제4 수문은 개방하고, 제2 수문 및 제3 수문은 폐쇄하여 해수가 제1 수문으로 유입되고, 발전설비 및 제4 수문을 통과하여 제3 저수조로 저장되는 것인 조력발전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 및 제4 수문은 폐쇄하고, 제2 수문 및 제3 수문은 개방하여 제3 저수조에 저장된 해수가 제2 수문으로 유입되고 발전설비 및 제3 수문을 통과하여 유출되는 것인 조력발전 시스템.
KR1020110042827A 2011-05-06 2011-05-06 조력발전 시스템 Active KR10107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27A KR101073462B1 (ko) 2011-05-06 2011-05-06 조력발전 시스템
PCT/KR2011/008425 WO2012153896A1 (en) 2011-05-06 2011-11-07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CN201210003482.7A CN102767166B (zh) 2011-05-06 2012-01-06 潮汐发电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27A KR101073462B1 (ko) 2011-05-06 2011-05-06 조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462B1 true KR101073462B1 (ko) 2011-10-17

Family

ID=4503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827A Active KR101073462B1 (ko) 2011-05-06 2011-05-06 조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73462B1 (ko)
CN (1) CN102767166B (ko)
WO (1) WO201215389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578B1 (ko) 2011-08-03 2013-05-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조지식 조력 발전 방법 및 장치
KR20160072073A (ko) * 2015-05-20 2016-06-22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단류발전기를 설치하여 복류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의 시공방법
WO2016186446A1 (ko) * 2015-05-20 2016-11-24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단류발전기를 설치하여 복류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의 시공방법
KR101747190B1 (ko) 2016-03-25 2017-06-14 윤형완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장치
KR101951272B1 (ko) 2017-09-22 2019-02-22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조력발전시스템
KR20190091902A (ko) 2018-01-30 2019-08-07 유원기 조력 발전장치
KR102032685B1 (ko) 2019-07-23 2019-10-15 김인국 양수기능을 가진 조력발전 시스템
KR20240103559A (ko) 2022-12-27 2024-07-04 장춘명 조차를 이용한 회전력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5616B (zh) * 2013-11-29 2017-02-01 福州耕耘专利开发有限公司 潮汐涌流漩涡轮发电机
GB2605174B (en) * 2021-03-25 2023-06-07 Verderg Ltd Tidal bar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463A (en) 1979-09-12 1981-04-18 Nippon Tetorapotsuto Kk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wave and tide energy
JPS6098175A (ja) 1983-11-04 1985-06-01 Shunji Oba 潮力発電装置
JPH10115279A (ja) 1996-08-18 1998-05-06 Hiromitsu Katsura 海水の満潮と干潮を利用して出来たダムによる海水車発電
KR100723639B1 (ko) 2006-01-24 2007-06-04 모진희 조력발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5896A (en) * 1926-08-13 1930-12-23 Defour Andre Method of utilizing the tides for power purposes
GB2376506B (en) * 2001-03-15 2004-08-04 Augustine Pascal Joseph Murphy Tidal power generation
AUPS175802A0 (en) * 2002-04-15 2002-05-23 Hastings, Stephen John A system for generating power
KR20040066989A (ko) * 2003-01-21 2004-07-30 김태호 조수간만 차를 이용한 수력 발전시스템
CN100559024C (zh) * 2005-11-19 2009-11-11 叶建华 海水发电站
KR100834184B1 (ko) * 2007-02-12 2008-05-30 김태호 조격 조부 수거 연좌 발전
CN100491719C (zh) * 2007-11-15 2009-05-27 林斌炎 一种潮汐能发电方法
CN101591902A (zh) * 2009-07-09 2009-12-02 贾志培 海水蓄水发电水利工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463A (en) 1979-09-12 1981-04-18 Nippon Tetorapotsuto Kk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wave and tide energy
JPS6098175A (ja) 1983-11-04 1985-06-01 Shunji Oba 潮力発電装置
JPH10115279A (ja) 1996-08-18 1998-05-06 Hiromitsu Katsura 海水の満潮と干潮を利用して出来たダムによる海水車発電
KR100723639B1 (ko) 2006-01-24 2007-06-04 모진희 조력발전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578B1 (ko) 2011-08-03 2013-05-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조지식 조력 발전 방법 및 장치
KR20160072073A (ko) * 2015-05-20 2016-06-22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단류발전기를 설치하여 복류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의 시공방법
WO2016186446A1 (ko) * 2015-05-20 2016-11-24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단류발전기를 설치하여 복류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의 시공방법
KR101705326B1 (ko) * 2015-05-20 2017-02-09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단류발전기를 설치하여 복류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의 시공방법
KR101747190B1 (ko) 2016-03-25 2017-06-14 윤형완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장치
KR101951272B1 (ko) 2017-09-22 2019-02-22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조력발전시스템
KR20190091902A (ko) 2018-01-30 2019-08-07 유원기 조력 발전장치
KR102032685B1 (ko) 2019-07-23 2019-10-15 김인국 양수기능을 가진 조력발전 시스템
KR20240103559A (ko) 2022-12-27 2024-07-04 장춘명 조차를 이용한 회전력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7166A (zh) 2012-11-07
WO2012153896A1 (en) 2012-11-15
CN102767166B (zh)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462B1 (ko) 조력발전 시스템
KR100867547B1 (ko) 조력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통합발전시스템
US20100327594A1 (en) Complex ocean power system combining sluice power and ocean current power
AU2019416221B2 (en) Advanced gravity-moment-hydro power system
JP6754752B2 (ja) 潮流発電用浮游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発電方法
US20180023537A1 (en)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ebb and flow of seawater
GB2454913A (en) Tide energy generator with flexible bladder
KR20130053120A (ko) 양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장치 및 그 방법
KR101180641B1 (ko)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KR102099385B1 (ko) 조력 발전장치
US20210123410A1 (en) Movable and semi-submerged power generator using waterwheel turbine
KR20070061488A (ko) 조력발전 방식
KR101747190B1 (ko)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장치
CN100559024C (zh) 海水发电站
CN203362382U (zh) 一种水力发电系统
KR101951272B1 (ko) 조력발전시스템
KR200389031Y1 (ko) 조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102032685B1 (ko) 양수기능을 가진 조력발전 시스템
KR101385565B1 (ko) 양수기능을 갖는 조력발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64831A (ko) 조력발전시스템
KR20100119294A (ko) 수력발전장치
Swane Tidal power plant in Saemangeum
CN206770093U (zh) 一种利用水的压力和重力发电的装置及系统
Goyal et al. Integrated Renewable Energy-A Green Source of Energy for The Future-A
WO2022248417A1 (en) Hermetic cap tidal pulse respo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7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