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2710B1 -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710B1
KR101072710B1 KR1020100073591A KR20100073591A KR101072710B1 KR 101072710 B1 KR101072710 B1 KR 101072710B1 KR 1020100073591 A KR1020100073591 A KR 1020100073591A KR 20100073591 A KR20100073591 A KR 20100073591A KR 101072710 B1 KR101072710 B1 KR 10107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um
damper
integrated
dam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07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710B1/ko
Priority to US13/191,846 priority patent/US8752827B2/en
Priority to CN201110213487.8A priority patent/CN10243182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7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1Cross section, i.e.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 B65H2404/513Cross section, i.e.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with limited number of activ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2Rear, i.e. portion opposite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매체를 안정적으로 집적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 구조를 갖는 매체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집적 장치는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집적프레임(20)과, 상기 집적공간으로 매체가 인입되는 매체입구(24)를 통하여 매체가 인입되면 매체의 선단과 충돌하여 매체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댐퍼(32)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매체입구(24)를 향하여 상기 매체입구(24)와 마주하는 상기 집적프레임(20)의 일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매체의 집적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리브(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의 크기의 차이와 상관없이 댐퍼가 매체 선단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매체의 손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그 선단이 댐퍼에 충돌한 후에 집적가이드에 고르게 정렬된다. 그에 따라 매체는 집적가이드의 일면에 그 크기에 상관없이 고르게 정렬되어 매체의 집적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MEDIA STACKING APPARATUS 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 자동 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에서 매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매체를 안정적으로 집적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 구조를 갖는 매체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체 자동 지급기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지폐 등의 매체를 취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는 은행, 관공서, 학교 등에 설치되어 다양한 매체를 취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에는 복수의 매체를 정렬하여 집적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가 구비된다. 매체집적장치에는 하나씩 분리되어 이송된 매체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하기 위하여, 이송된 매체가 집적 공간의 일면에 부딪힐 때 매체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완충수단이 집적 공간의 일면에 구성되더라도, 집적 공간에 비해 매체의 길이가 짧으면 매체의 유동량이 커져서 집적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수단이 집적공간 내에서 매체의 길이에 따라 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댐퍼의 이동을 위한 구동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댐퍼 이동을 위한 구동 수단이 또 다른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기계 장애의 확률을 높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크기가 다른 매체가 고르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 집적 시 매체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매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동작시 오류가 적고, 제조 단가가 낮은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는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집적프레임과; 상기 집적공간으로 매체가 인입되는 매체입구를 통하여 매체가 인입되면 매체의 선단과 충돌하여 매체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댐퍼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매체입구를 향하여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매체의 집적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리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리브와 매체가 접촉하는 상기 완충리브의 표면에는, 매체의 집적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에 탄성적으로 부착되는 댐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매체의 집적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완충리브는,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완충리브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무링으로 구성되어, 그 한 변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 고정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매체집적장치에 집적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둘 이상의 종류의 매체 중, 매체 이송 방향에 대하여 최장 길이를 갖는 매체와 최단 길이를 갖는 매체 사이의 길이 차이에 대응하여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적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의 크기의 차이와 상관없이 댐퍼가 매체 선단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매체의 손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그 선단이 댐퍼에 충돌한 후에 쉬트롤러에 의해 집적가이드에 고르게 정렬된다.
그에 따라 매체는 집적가이드의 일면에 그 크기에 상관없이 고르게 정렬되어 매체의 집적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매체 집적 장치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매체 집적 장치의 완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매체 집적 장치의 완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집적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집적프레임(20)이 형성한다. 상기 집적프레임(20)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매체집적장치의 외곽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집적프레임(20)의 내부에는 매체(m)가 집적되기 위한 소정의 집적공간(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프레임(20)에는 매체(m)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24)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매체입구(24)에 인접한 부분에는 이송롤러(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26)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6')에 구비된다. 상기 이송롤러(26)는 상기 회전축(26')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26)는 상기 매체입구(24)로 매체(m)가 인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송롤러(26)는 외주면에 매체(m)를 밀착시켜 상기 매체입구(24)로 매체(m)가 한 장씩 인입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6')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쉬트롤러(28)가 구비된다. 상기 쉬트롤러(28)는 상기 이송롤러(26)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쉬트롤러(28)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와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쉬트롤러(28)는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쉬트롤러(28)는 매체(m)와 이송롤러(26)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서 매체(m)가 상기 집적공간(22)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체(m)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32)와 충돌한 후에 집적가이드(30)에 정렬될 수 있도록 매체(m)의 하단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집적공간(22)에는 집적가이드(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적가이드(3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적가이드(30)는 상기 집적공간(22)으로 집적되는 매체(m)의 장수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일면에 매체(m)가 밀착되어 고르게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적가이드(30)는 도 2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매체(m)를 집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공간(22)의 상기 매체입구(24)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댐퍼(32)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32)는 매체(m)가 인입될 때 매체(m)의 선단이 충돌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댐퍼(3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탄성 부재 등이 구비되어 충돌시에 매체(m)가 완충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32)가 상기 집적프레임(20)의 일면에 스프링(S)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매체(m)의 이동 속도에 따른 상기 댐퍼(32)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댐퍼 플레이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 플레이트(32)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등을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의 양면 중 상기 매체입구(24)와 마주보는 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32a)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인입되는 매체(m)의 폭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매체(m)가 상기 댐퍼(32)와 충돌할 때 매체(m)의 선단을 가이드하고, 매체(m)가 상기 댐퍼(32)와 충돌한 후에 미끄러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매체(m)의 선단이 충돌한 후에 하방으로 미끄러지더라도 인접한 다른 가이드돌기(32a)에 걸리기 때문에 매체(m)의 선단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의 양면 중 상기 매체입구(24)와 마주보는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리브(32b)가 구비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완충리브(32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한 변은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의 일면에 고정되고, 다른 한 변은 상기 댐퍼 플레이트(3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어 상기 매체입구(24)를 향해 전진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리브(32b)가 상기 댐퍼 플레이트(32')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은 장치에 집적될 매체(m)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종류의 매체를 집적하고자 하는 경우, 매체(m)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더 긴 길이를 갖는 매체(m)의 길이(W1)와 상기 집적공간의 폭(W1)이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긴 매체(m)의 길이(W)와 더 짧은 매체(m)의 길이(W2) 사이의 차(W1-W2)와 상기 완충리브(32b)의 한 변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32')로부터 이격되는 폭(W1-W2)이 서로 대응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댐퍼(32)에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32)나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완충리브(32b)가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돌출된 형태로 상기 댐퍼(32)가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댐퍼(32)에는 상기 완충리브(32b)가 포함되지만,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와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댐퍼(32)에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에 상기 완충리브(32b)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포함되지 않는 구성이 선택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32a)와 상기 완충리브(32b)가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는 구성이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리브(32b)는 고무와 같이 플렉서블하여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다시 원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리브(32b)의 경도는 충분히 적게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매체(m)가 상기 완충리브(32b)에 충돌한 후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에 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리브(32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가 집적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매체(m)가 상기 댐퍼(32)와 충돌하는 폭에 대응하여 다수의 완충리브(3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m)가 충돌하는 상기 완충리브(32b)의 표면에는 매체(m)의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매체(m)의 집적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적공간(22)의 폭(W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매체(m)가 인입되더라도 경우, 적어도 상기 완충리브(32b)에 까지는 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완충리브(32b)와의 충돌에 의하여 그 후단이 상기 쉬트롤러(28)의 회전범위에 머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집적공간(22)의 폭(W1)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는 매체(m)가 인입되더라도 매체(m)가 상기 이송롤러(26)를 떠난 후 상기 완충리브(32b)에 충돌하면서 그 이동 속도가 느려져 매체(m)의 후단이 상기 쉬트롤러(28)에 의해 하방으로 쳐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집적공간(22)의 폭(W1)에 대응하는 매체(m)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매체(m)의 길이가 충분히 길뿐 아니라, 상기 이송롤러(26)에 의한 구동력을 더 오래 받게 되므로, 상기 완충리브(32b)와 충돌한 이후에도 매체(m)의 이동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에 까지 도달한 후 집적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매체(m)는 이송롤러(26)에 밀착되어 매체입구(24)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26)와 매체(m)의 접촉이 끝나면 매체(m)는 상기 쉬트롤러(28)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집적공간(22)으로 인입된다. 그 후 상기 매체(m)는 그 선단이 상기 댐퍼(32)에 충돌한다. 이때 상기 매체(m)의 길이가 상기 집적공간의 폭(W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상기 완충리브(32b)에 의해 완충되어 그 후단이 상기 쉬트롤러(28)에 의해 하방으로 타격된다.
한편 상기 매체(m)의 길이가 상기 집적공간의 폭(W1)에 대응할 정도로 충분히 긴 경우, 상기 완충리브(32b)에 충돌한 후 계속 전진하여 상기 댐퍼 플레이트(32')의 상기 가이드돌기(32a)에 충돌한다. 그리고 상기 쉬트롤러(28)에 의하여 그 후단이 상기 집적가이드(30) 쪽으로 밀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매체(m)의 후단이 아래로 기울어지면서 매체(m)가 집적가이드(30) 상에 집적된다. 이와 같이 되면 매체(m) 한 장의 집적이 끝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집적프레임 22: 집적공간
24: 매체입구 26: 이송롤러
28:쉬트롤러 30: 집적가이드
32:댐퍼 32': 댐퍼 플레이트
32a: 가이드돌기 32b: 완충리브

Claims (5)

  1.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집적프레임과;
    상기 집적공간으로 매체가 인입되는 매체입구를 통하여 매체가 인입되면 매체의 선단과 충돌하여 매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댐퍼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매체입구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매체의 집적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완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리브와 매체가 접촉하는 상기 완충리브의 표면에는,
    매체의 집적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집적프레임의 일면에 탄성적으로 부착되는 댐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매체의 집적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리브는,
    상기 매체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리브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무링으로 구성되어, 그 한 변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 고정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매체집적장치에 집적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둘 이상의 종류의 매체 중, 매체 이송 방향에 대하여 최장 길이를 갖는 매체와 최단 길이를 갖는 매체 사이의 길이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KR1020100073591A 2010-07-29 2010-07-29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Active KR10107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91A KR101072710B1 (ko) 2010-07-29 2010-07-29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US13/191,846 US8752827B2 (en) 2010-07-29 2011-07-27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1110213487.8A CN102431828B (zh) 2010-07-29 2011-07-28 媒介叠放装置及包括媒介叠放装置的金融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91A KR101072710B1 (ko) 2010-07-29 2010-07-29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710B1 true KR101072710B1 (ko) 2011-10-11

Family

ID=4503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591A Active KR101072710B1 (ko) 2010-07-29 2010-07-29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52827B2 (ko)
KR (1) KR101072710B1 (ko)
CN (1) CN102431828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914B1 (ko) * 2012-04-16 2013-1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KR102074818B1 (ko) * 2019-10-14 2020-02-07 주식회사 한메가 매체분리장치
KR102119566B1 (ko) * 2019-08-12 2020-06-05 주식회사 한메가 종이매체 자동 지급기의 종이매체 스택 장치
KR20210150202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집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20230023880A (ko) * 2021-08-10 2023-02-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이격부재 및 이를 포함한 매체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1698B1 (fr) * 2011-01-28 2013-05-29 Neopost Technologies Dispositif de stockage pour machine de traitement de courrier
JP5673944B2 (ja) * 2011-02-28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案内装置、記録装置
JP6319764B2 (ja) * 2014-06-20 2018-05-09 株式会社Isowa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シート積載方法
CN104794807A (zh) *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US10457516B2 (en) * 2017-02-27 2019-10-2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orage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682A (en) * 1951-06-15 1956-09-04 Buccicone Dario Piler stop mechanism
US2821391A (en) * 1955-12-13 1958-01-28 Bucciconi Engineering Company Bumper pad for sheet piling mechanism
US2904335A (en) * 1958-03-04 1959-09-15 Rabinow Jacob Stacker for mail sorters and the like
US3032340A (en) * 1958-05-23 1962-05-01 Miehle Goss Dexter Inc Sheet handling apparatus
US3358993A (en) * 1965-09-23 1967-12-19 Alvey Conveyor Mfg Company Sheet impact cushion device
US3907128A (en) * 1973-12-13 1975-09-23 Ppg Industries Inc Lead edge stop device
JPS50146588U (ko) * 1974-05-21 1975-12-04
JP3746096B2 (ja) * 1996-01-05 2006-02-1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複写装置又は印刷装置の排紙台
JP3557325B2 (ja) * 1997-03-12 2004-08-2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
JP2000198606A (ja) * 1998-12-28 2000-07-18 Riso Kagaku Corp 排紙収納装置
US6494450B2 (en) * 2000-01-31 2002-12-17 Riso Kagaku Corporation Paper discharge bas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4160362B2 (ja) * 2002-10-30 2008-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集積装置および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2005162461A (ja) * 2003-12-05 2005-06-23 Tohoku Ricoh Co Ltd 排紙収納装置
JP4257705B2 (ja) * 2004-03-04 2009-04-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繰出装置、回転部材、及びガイド部材
JP2007308233A (ja) * 2006-05-17 2007-11-29 Shinko Electric Co Ltd 紙葉類処理装置
KR101387794B1 (ko) 2007-12-13 2014-04-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JP5771894B2 (ja) * 2010-01-21 2015-09-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914B1 (ko) * 2012-04-16 2013-1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KR102119566B1 (ko) * 2019-08-12 2020-06-05 주식회사 한메가 종이매체 자동 지급기의 종이매체 스택 장치
KR102074818B1 (ko) * 2019-10-14 2020-02-07 주식회사 한메가 매체분리장치
KR20210150202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집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355445B1 (ko) * 2020-06-03 2022-01-2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집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20230023880A (ko) * 2021-08-10 2023-02-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이격부재 및 이를 포함한 매체저장장치
KR102621893B1 (ko) 2021-08-10 2024-01-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이격부재 및 이를 포함한 매체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31828A (zh) 2012-05-02
CN102431828B (zh) 2014-10-29
US8752827B2 (en) 2014-06-17
US20120027554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710B1 (ko)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JP5010270B2 (ja) 紙葉類の集積装置
WO2011089793A1 (ja) 紙葉類集積装置
JP4998105B2 (ja) 媒体集積繰出装置
US7997577B2 (en) Pivoting sheet discharging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tray
AU2013284133B2 (en) Sheet-like medium stacking apparatus
EP2784013A2 (en) Recording apparatus
JP4760629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20080091610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US8240663B2 (en) Security container for value documents
US9421797B2 (en) Printer having separating device
KR10138779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1330914B1 (ko)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US20180286165A1 (en) Bill separating and stacking unit
US8899569B2 (en) Sheet procecessing apparatus
KR20100050960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집적장치
KR10105587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20130072494A (ko) 매체 조출 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3682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490633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3291485A (en) Record card stacking apparatus
US3628788A (en) Jam detection device for document stacking
KR20160139222A (ko) 지폐집적장치 및 지폐집적방법
JP4478629B2 (ja)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26893B1 (ko) 지폐류 출금장치의 스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