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258B1 -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2258B1 KR101072258B1 KR1020090002689A KR20090002689A KR101072258B1 KR 101072258 B1 KR101072258 B1 KR 101072258B1 KR 1020090002689 A KR1020090002689 A KR 1020090002689A KR 20090002689 A KR20090002689 A KR 20090002689A KR 101072258 B1 KR101072258 B1 KR 101072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slab
- strength
- connection
- column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HLNERQLKQQLRZ-UHFFFAOYSA-N calc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Ca+2].[Ca+2].[O-][Si]([O-])([O-])[O-] JHLNERQLKQQL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12—Dis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fib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고강도 콘크리트로 기둥구조물을 시공하고,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과의 연결부위(A)를 일체로 통상의 강도를 가진 슬래브/빔 콘크리트로 연결부위 보강수단과 함께 형성시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이 개시된다.Construct column structure with high-strength concrete, and form the joint part (A)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together with slab / beam concrete with normal strength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means for economical and efficient column structure connection. A construction method is disclosed.
이러한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은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는 강도가 서로 다른 콘크리트를 혼합하지 않고, 슬래브/빔에 필요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필요한 연결부위의 강도를 사용할 기둥구조물용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또는 구속관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위 보강수단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lumn structure, the concrete having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slab / beam is to be cast without the mixing of the concrete having different strength i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It is to be secured by a connecting portion reinforcing means including a rod-shaped precast concrete member or a constrained pipe member made of high strength concrete that is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e structure.
기둥구조물, 고강도콘크리트 Column structure, high strength concre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슬래브/빔용 콘크리트를 그대로 타설하면서도 상,하부 기둥부 구조물에 대하여는 소요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connection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connecting portion to allow the high-strength concrete required to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illar structures while placing the slab / beam concrete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고강도 콘크리트는 최근 많이 실용화되어 구조물 시공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High-strength concrete has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통상 40-5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라고 하는데,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이 가져야하는 단면 크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용 부재에 그 전체 또는 일부에 사용되고 있고 있다.In general, concrete having a strength of 40-50 MPa or more is referred to as high-strength concrete, and since such high-strength concrete can relatively reduce the cross-sectional size that a conventional concrete structure should have, it is being used in all or part of a member for a concrete structure.
특히, 슬래브(SLAB)/빔(BEAM)와 기둥구조물(COLUMN)을 시공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통상 하층 기둥구조물을 시공하고, 슬래브/빔을 하층 기둥구조물과의 연결부위에 시공하고 다시 슬래브/빔에 상층 기둥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층수를 높이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slab / beam and column structure, the lower column structure is usually constructed, and the slab / beam is connected to the lower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is connected again.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pillar structure in the way will increase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이에 축력을 주로 받게 되는 기둥구조물의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기둥구조물의 단면크기를 슬림화하도록 설계되는 예가 많아 특히 기둥구조물용 고강도 콘크리트는 빈번히 건축물 설계에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olumn structure that is mainly subjected to axial force, by using high-strength concrete, many examples are designed to slim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olumn structure, in particular, high-strength concrete for the column structure is frequently used in building design.
이때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은 구조물의 단면크기를 감소시켜 슬림한 구조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장타설하여 구조부재를 제작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유동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거의 콘크리트 물을 타설하는 것과 같은 시공작업이 요구된다.In this case, the use of such high-strength concrete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a slim structural member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tructure. Construction work such as pouring concrete water is required.
즉, 콘크리트가 고강도화하게 되면 단위시멘트량이 커지고, 물-시멘트비가 대폭 낮아지므로 시멘트의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펌프압송이 곤란하며 낮은 충전성 및 간극투과성이 작으므로 과밀 배근된 구조물 타설시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아울러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여 온도응력에 의한 균열을 유발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crete is strengthened, the unit cement amount is increased and the water-cement ratio is significantly lowered. Therefore, pump viscous is difficult due to the high viscosity of cement, and the low filling and gap permeability are small.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concrete increases due to the heat of hydration of cement, causing cracking due to temperature stress.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등을 광물질 혼화재로 이용하여 콘크리트 중의 분체량을 늘리거나, 고성능감수제 및 증점제 등의 화학 혼화제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domestically, to solve these problems, industrial powders, such as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re used as mineral admixtures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der in concrete or to use chemical admixtures such as high-performance sensitizers and thickeners. Research is ongoing.
한편 같은 맥락에서 시멘트의 광물조성을 조정한 벨라이트(Belite)시멘트를 이용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벨라이트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벨라이트(C2S)성분이 많은 시멘트로서 화학혼화제에 의한 분산효과가 좋아 유동성을 증진시키며, 초기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재령에서의 강도증진이 크게 발현되는 여러 장점들이 보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tudied using a cement mineral composition to adjust the bell light (Belite) cement of the same token in progress also actively there Bell Light cement is usually due to the bell light (C 2 S) components chemical admixtures as a number of cement than the Portland cement The good dispersion effect improves the fluidity, reduces the temperature rise of concrete due to the initial heat of hydration,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strength increase in the long-term age.
이에 통상 고강도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가 대폭 낮아지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고유동 혼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 유동성이 상당히 크다는 특징이 있다.In general, high strength concret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fluidity is usually large because the high flow admixture is used to reinforce the disadvantage that the water-cement ratio is significantly lowered.
반면에 휨 부재로 설계되는 기둥구조물 사이에 시공되는 슬래브, 슬래브와 빔은 굳이 고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21-30MPa)를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labs, slabs and beams that are constructed between column structures designed as flexural members do not need to use high-strength concrete, so concrete (21-30 MPa) with general strength is constructed using formwork.
이에 관련 규정에 있어서도, 기둥구조물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시공할 경우에 있어서도 슬래브/빔의 경우에는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단지 슬래브/빔 콘크리트 강도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 강도보다 1.4배 이상 차이가 날 경우에는 특별시공 상세에 따라 시공하도록 규정되어있어 이러한 시공에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장에서는 슬래브/빔 콘크리트 강도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 강도보다 1.4배 이하가 되도록 적용하고 있다.In this regard, even when the column structure is constructed of high-strength concrete, low-strength concrete can be used in the case of slab / beam, except that the slab / beam concrete strength i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lumn structure concrete. In the case of raw materials, the construction is prescrib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city, and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the slab / beam concrete strength is applied to 1.4 times less than that of the column structure concrete.
즉, 건축물을 설계할 때, 기둥구조물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설계할 경우에는 슬래브/빔 콘크리트 강도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 강도의 1.4배 이하가 되도록 콘크리트 강도 기준을 정하게 된다. 말하자면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를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것을 이용하도록 하도록 하고 있는 셈이다.That is, when designing the building, when the column structure is design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the concrete strength standard is determined so that the slab / beam concrete strength is 1.4 times or less of the column structure concrete strength. In other words, the concrete for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fabrication is made to use different strengths.
하지만 시공에 있어서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는 강도가 서로 다른 콘크리트를 혼합사용하는 것은 현장 여건상 매우 시공성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므로 이에 대한 현실적인 방안에 의한 개선된 시공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However, the use of mixed concrete of different strength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in the construction is inefficient because the construction is very inferior in terms of site conditions. Therefore, the necessity of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by the realistic method is required. This was required.
또한, 예컨대 50MPa 강도를 가진 기둥구조물을 시공하려고 할 때, 관련 규정에 의하여 슬래브/빔은 35.7MPa(50/1.4= 35.7MPa) 이상의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슬래브/빔에 있어 20-30 MPa를 가진 콘크리트를 사용해도 구조적으로 하등 문제시 될 것이 없음에도 관련 규정충족을 위해 35.7MPa 이상의 강도를 가진 고가의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불합리 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ttempting to construct a column structure with 50 MPa strength, for example, the slab / beam must use concrete with a strength of at least 35.7 MPa (50 / 1.4 = 35.7 MPa), which is 20-30 for the slab / beam. Even though concrete having MPa does not have any structural problem, expensive concrete with a strength of 35.7 MPa or more must be used to satisfy the related regulations, which makes it economically unreasonable.
이에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 의한 기둥구조물과 고강도 콘크리트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에 의한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 있어서 관련 규정의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시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인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 시공방법을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pillar structure and slab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relevant regulations in the connection of the slab / beam made of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crete having a relatively lower strength than high strength concrete Providing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beam is a problem to be solv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첫째,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는 강도가 서로 다른 콘크리트를 혼합하지 않고, 슬래브/빔에 필요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필요한 연결부위의 강도를 사용할 기둥구조물용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또는 구속관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위 보강수단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Firs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the concrete having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slab / beam is cast without mixing the concrete with different strengths, but the strength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for the column structure to use the required connection strength It can be secured by connecting part reinforcing means including rod-shaped precast concrete member or constrained pipe member made of higher strength concrete.
둘째, 상기 연결부위 보강수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속관부재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특히 구속관 부재의 설치형태(병렬 설치)를 최적화시켜 보다 효율적인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Second, when the constrained pipe member can be used to more effectively transfer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olumn structure as the connecting portion reinforcing means,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form (parallel installation) of the constrained pipe member is optimized to more efficiently connect the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여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도 시공성 및 작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서도 경제적인 건축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slab / beam,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conomical building without degrading th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기본적으로 건축물 시공을 위한 여러 공종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은 기둥구조물을 설치하고, 이러한 기둥구조물에 슬래브 단독 또는 슬래브와 빔(보)을 함께 설치하는 공종을 기준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기둥구조물, 슬래브, 빔(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작업을 전제로 함을 미리 밝혀둔다.Basically, although several types of constructions ar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columnar structure, and look at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lone or the slab and the beam (beam) together in the columnar structure, such a columnar structure, slab, It is noted that the beams (beams) are premised on work by cast-in-place concrete.
이는 PC 부재로 기둥구조물, 슬래브, 빔(보)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과 같이 서로 다른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직접 타설해야 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특별히 위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부각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constructing a pillar structure, slab, beam (beam) with a PC member, it is rarely necessary to cast different concrete directly on sit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re not particularly highlighted.
이에 먼저, 도 1a와 같이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을 시공하게 된다. First, the
이러한 시공은 기둥구조물용 거푸집(통상 강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며, 사각단면 형태의 기둥구조물을 기준으로 살펴본다.Such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formwork for pillar structure (usually steel formwork), and looks at the columnar structur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즉, 일정한 사각단면 형태의 기둥구조물이 시공되도록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부에 타설한 후, 양생시켜 다시 거푸집을 해체함으로써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을 완성시키게 된다.That is, after the high-strength colum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 using a formwork not shown so that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constant rectangular cross-section is formed, curing is performed to dismantle the form to complete the
이때, 상기 완성된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은 후술되는 슬래브(310) 또는 슬래브(310) 및 보(320)의 형성위치보다 낮은 위치(도 1c의 B 부위가 남을 수 있도록 )에 해당되도록 그 형성높이가 정해지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슬래브와 빔이 기둥구조물과의 연결부위(A) 하부까지만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는 결국 후술되는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을 설치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leted lower
이때 사용되는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40-5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high-strength column concrete used at this time can use concrete having a strength of 40-50MPa or mo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다음으로는 도 1b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위 보강수단은 사용할 기둥구조물용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또는 원형 또는 사각관 형태의 구속관부재(220,230)를 사용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1b is to install the connecting portion reinforcement mean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reinforcement means may use a rod-shaped
먼저,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를 사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먼저, 완성된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 보다 작은 단면크기를 가진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의 하단을 앵커 볼트 등(111,112)으로 고정하고, First, referring to the example using the rod-shaped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주위의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내부철근은 도 1d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연결부위(A)를 지나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내부철근과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The internal reinforcement of the lower
이때,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의 형성높이는 추후 시공되는 슬래브(310)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이 형성되도록 하되, 그 상단이 후술되는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하단 내부까지 매입되도록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ming height of the rod-shaped
이러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는 연결부위(A)의 콘크리트 강도를 슬래브/빔 콘크리트에 맞추어 형성시킴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어야 하는 연결부위(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이와 같은 방식이 아니면 연결부위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슬래브/빔은 보다 낮은 강도의 콘크리트를 혼합 타설해야 한다.), The rod-shaped
또한 이러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는 예컨대, 하부 또는 상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의 강도가 40-50MPa 범위내라면 적어도 이러한 강도보다 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d-shaped
나아가,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는 RC(철근콘크리트) 또는 PC(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도록 하여 압축 및 인장을 부담시킬 수 있는 철근, 긴장재등에 의해서도 부가적으로 소요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rod-shaped
따라서, 이러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는 연결부위(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1개의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가 아니라 단면적의 제한이 없다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동일한 높이의 다수의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를 병렬로 배치되도록 함이 축력을 받은 연결부위에 있어 축력전달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rod-shaped
이는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상부면 단면적이 상당히 큰 경우에 있어서는 연결부위의 소요 강도를 1개의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만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This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의 하부는 하부 기둥부 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저면 사이에 있어서는 스터드 혹은 콘크리트 요철(211)에 의하여 결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하중의 전달이 충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도시 하였지만 편의상 스터드역할을 할 수 있는 수평철근이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의 하단을 관통하도록 하되 그 위치를 스터드의 설치 위치로 함으로써 대체가 가능하다.The lower part of the rod-shaped
이러한 스터드는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가 하부 기둥구조물과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기둥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작용하중이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를 거쳐 하부 기둥구조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This stud allows the rod-shaped
다음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속관부재(220,230)를 사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Next, look at the example using the
먼저, 완성된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역시 상기 상부면 보다 작은 단면크기를 가진 구속관부재(220)의 하단을 미도시된 클램프와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하고, First, fixing the lower end of the constrained
역시 상기 구속관부재(220) 주위의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내부철근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연결부위(A)를 지나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내부철근과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reinforcement of the lower
이때, 상기 구속관부재(220)의 형성높이도 역시 추후 시공되는 슬래브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이 형성되도록 하되, 그 상단이 후술되는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하단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ming height of the constrained
이러한 구속관부재(220)는 그 내부로 타설되는 슬래브/빔(300:310,320)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관통공(213)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이로서 그 내부에 충전된 슬래브/빔(300:310,320) 콘크리트는 구속관부재(220)에 의하여 구속됨으로서 보다 확실한 연결부위의 콘크리트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말하자면 연결부위의 콘크리트를 구속관부재(220)가 감싸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역시 이러한 구속관부재(220)는 연결부위(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1개의 구속관부재(220)가 아니라 단면적의 제한이 없다면, 역시 동일한 높이의 다수의 구속관부재(220)를 병렬로 배치되도록 함이 축력을 받은 연결부위에 있어 축력전달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such a
즉,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상부면 단면적이 상당히 큰 경우에 있어서는 연결부위의 소요 강도를 1개의 구속관부재(220)만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플레이트 부재(212) 상부면에 미리 다 수의 구속관부재(220)를 볼트 등(112,113) 및 용접하여 미리 제작해 놓은 상태에서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의 상부면에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일체화된 다수의 구속관부재(220)를 일체로 한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이러한 구속관부재(220)의 하부는 하부 기둥부 구조물과 슬래브/빔의 저면 사이에 있어서는 스터드(211) 또는 수평철근에 의하여 결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constrained
이때, 상기 구속관부재(220)는 PC 또는 RC 콘크리트 관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도 되고, 강재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At this time, the
또한, 구속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원형관 형태의 부재(230)를 사용하는 것이 구속효과에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strained tube memb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역시 앞서 살펴보았듯이 연결부위 보강수단으로써 구속관부재(220,230)는 연결부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구속관부재(220,230)를 PC 또는 RC 콘크리트 관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도 되고, 강재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Also,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에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구속관부재(220,230)가 콘크리트 재질의 경우에는 그 외주면을 스터드설치, 요철표면형태 혹은 스크래칭하는 방식으로 전단결합에 유리한 표면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속관부재(220,230)들도 하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 보다 큰 강도를 가진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rod-shaped precast
상기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구속관부재(220,230)가 강재 재질의 경우에는 통상 그 강도가 하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 강도보다는 크므로 특별한 강도적 제한은 없게 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rod-shaped precast
다음으로는 도 1c와 같이 먼저 슬래브, 빔 하부 부위(B)를 역시 거푸집을 이용하여 하부 기둥구조물 콘크리트로 타설 및 양생된 이후에, 슬래브, 빔용 콘크리트를 연결부위(A)와 함께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타설하여 완성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C, the slab and the beam lower part B are first cast and cured using the formwork, and the slab and the beam concrete are not shown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art A. Use to finish by pouring.
이때 상기 슬래브, 빔(300:310,320) 콘크리트용 콘크리트는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의 콘크리트 보다 작은 강도를 가진 통상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slab, beams 300: 310,320 concrete for concrete is integrally formed using a conventional concrete having a smaller strength than the concrete of the lower pillar structure (110).
이에 연결부위(A)에 있어서는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구속관부재(220,230)에 의한 연결부위 보강수단(200:210,220,230)이 매립되도록 슬래브, 빔 콘크리트가 형성되고, 슬래브/빔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현장 타설에 의하여 거푸집에 의 형상에 따른 슬래브/빔이 형성되게 된다.In the connection portion (A), the slab, beam concrete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reinforcing means (200: 210, 220, 230) by the rod-shaped precast
이때, 빔이 형성되지 않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슬래브 단독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슬래브와 빔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순서에 의하여 빔을 먼저 형성시키고, 슬래브를 추후 형성시켜도 상관은 없다. 이때 상기 슬래브는 시공된 빔에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시공해도 상관은 없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building in which no beam is formed, the slab may be formed alone, and in the case of forming the slab and the beam together, the beam may be formed first in order, and the slab may be formed later. In this case, the slab may be constructed by using a deck plate on the constructed beam.
이러한 슬래브,빔용 콘크리트가 최종 완성되면 슬래브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된 철골부재 등에 의한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이 노출되게 된다.When the slab, the concrete for the beam is finally completed, the connection portion reinforcing means 200 by steel members or the lik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is exposed.
이에 이러한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이 역시 매립되도록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과 동일하게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을 시공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nection portion reinforcement means 200 is also constructed to the
즉, 도 1d와 같이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노출된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의 상부가 매립되도록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를 다시 타설함으로서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을 완성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상부 기둥부 구조물(120)과 하부 기둥부 구조물(110)에 사용되는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는 서로 동일한 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high-strength pillar concrete used for the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는 하부 및 상부 기둥구조물에만 사용되도록 하고, 굳이 고강도 기둥부 콘크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슬래브/빔의 경우에는 통상의 소요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형성시키되, 연결부위(A)에 필요한 추가 강도는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으로써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기둥구조물과 슬래브/빔 연결부위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trength column concrete is used only for the lower and upper column structures, and in the case of the slab / beam tha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use the high-strength column concrete, it is formed using the concrete having the required strength, The additional strength required for the connecting portion (A) can be secured by the connecting portion reinforcing means 200, thereby enabling a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column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 beam connecting portion.
예컨대, 종래 상,하부 기둥구조물 고강도 콘크리트로써 50MPa 강도를 사용할 경우, 규정에 의하여 35.7MPa(50/1.4=35.7MPa) 이상의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로 슬래브/빔을 시공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연결부위 보강수단이 연결부위에 있어 강도를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통상 21MPa 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강도가 커질 수록 비용이 증가되는 콘크리트 사용비용을 상당량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For example, when using 50 MPa strength as a high-strength concrete of the upper and lower column structures, the slab / beam should be constructed of concrete having a strength of 35.7 MPa (50 / 1.4 = 35.7 MPa) or more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e reinforcement means can sufficiently resist the strength at the connecting part, so that concrete of about 21 MPa can be us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of using the concrete, which increases as the strength increases.
연결부위 보강수단으로써 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210) 또는 구속관부재(220,230)를 사용할 경우 PC 부재로서 긴장력 및 콘크리트 구속효과에 의하여 기둥구조물의 하중전달 및 저항에 있어 매우 유리한 구조적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When using rod-shaped precast
따라서, 연결부위(A)는 슬래브/빔이 기둥구조물에 연결되는 부위를 의미하게 되며, 이러한 연결부위(A)는 실제 기둥구조물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연결부위 보강수단(200)이 설치되고, 단지 이러한 연결부위(A) 콘크리트를 슬래브/빔 콘크리트로 타설되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connecting portion (A) means a portion where the slab / beam is connected to the columnar structure, the connecting portion (A)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means 200 is installed because it is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actual columnar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only this connection (A) concrete is to be cast into slab / beam concrete.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순서도이다.1a, 1b, 1c and 1d is a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of the column structur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위 보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2 and 3 show other embodiments of the connector reinforc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Signs>
110:하부 기둥구조물110: lower pillar structure
120:상부 기둥구조물120: upper column structure
200:연결부위 보강수단200: reinforcing means
210:봉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연결부위 보강수단)210: precast concrete member in the form of a rod (connection part reinforcing means)
220,230:구속관부재(연결부위 보강수단)220,230: Restriction pipe member (connection part reinforcement means)
310:빔(보)310: beam
320:슬래브320: slab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689A KR101072258B1 (en) | 2009-01-13 | 2009-01-13 |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689A KR101072258B1 (en) | 2009-01-13 | 2009-01-13 |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347A KR20100083347A (en) | 2010-07-22 |
KR101072258B1 true KR101072258B1 (en) | 2011-10-12 |
Family
ID=4264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2689A Active KR101072258B1 (en) | 2009-01-13 | 2009-01-13 |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22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667B1 (en) | 2015-04-28 | 2016-08-08 | 조상규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lumn with a progressive collapse prevention part included in rigidity reinforcement means |
KR20160128523A (en) | 2015-04-28 | 2016-11-08 |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lumn with a progressive collapse prevention par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930B1 (en) | 2014-11-24 | 2016-09-07 | 주식회사 블루폼 | Connection apparatus of column for concrete constru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6432A (en) * | 2001-03-12 | 2002-09-18 | Nkk Corp |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pipe concrete column and flat slab |
-
2009
- 2009-01-13 KR KR1020090002689A patent/KR1010722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6432A (en) * | 2001-03-12 | 2002-09-18 | Nkk Corp |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pipe concrete column and flat slab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667B1 (en) | 2015-04-28 | 2016-08-08 | 조상규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lumn with a progressive collapse prevention part included in rigidity reinforcement means |
KR20160128523A (en) | 2015-04-28 | 2016-11-08 |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lumn with a progressive collapse prevention p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347A (en) | 2010-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020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foundation for bridge | |
CN110821004B (en) | Assembled wall with high ductility TRC composite used as permanent formwork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088816B1 (en) | Bridge bearing for Retrofited Earthquake-Proof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60232B1 (en) | Precast Stairs, Unit Structures, and Stair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tairs | |
CN114197753B (en) | UHPC shuttering type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ylinder-shaped steel beam combined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44761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s | |
KR101199561B1 (en) |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arch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072258B1 (en) | Column connectiom par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98897B1 (en) | Top-opened and pre-stressed concrete-steel composite single span U-type girder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US7419543B2 (en) | Metal fiber concrete | |
JP5615015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 |
CN217027753U (en) | New truss structure | |
CN107288030A (en) | The method for making cylindrical concrete pier stud | |
KR101178875B1 (en) |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high-toughness concrete | |
KR100825269B1 (en) | Precast stairs with beam-reinforced thin slab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eam-reinforced thin slab stairs using them | |
KR100963488B1 (en) | Negative moment floor slab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for which precast concrete pc wire anchorage block and this were used | |
JP2009007925A (en) | Floor slab for steel bridge | |
JP7132180B2 (en) |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 |
JP6008227B2 (en) | Column beam connection method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CN101806112A (en) | Preparation method of cast-in-situ concrete hollow slab | |
CN112814150B (en) | Rectangular steel sleeve type connection method for basic magnesium sulfate cement concrete assembled frame nodes | |
CN112814151B (en) | Connecting method of basic magnesium sulfate cement concrete assembled frame nodes | |
KR100685222B1 (en) | Double concrete structure | |
JP2015006977A (en) | Fiber-reinforced flowable high strength concrete | |
KR20160114759A (en) |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high ductility flat plate slab-column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