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93B1 -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1093B1 KR101071093B1 KR1020090050309A KR20090050309A KR101071093B1 KR 101071093 B1 KR101071093 B1 KR 101071093B1 KR 1020090050309 A KR1020090050309 A KR 1020090050309A KR 20090050309 A KR20090050309 A KR 20090050309A KR 101071093 B1 KR101071093 B1 KR 101071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radio signal
- terminal device
- value
- femtocell 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Description | Value |
Macrocell/femtocell radius | 1000m / 10 m |
Macrocell transmit power, | 46 dBm |
Maximum femtocell transmit power, | 20 dBm or 10 dBm |
Macrocell/ femtocell target SIR | 3dB / 10 dB |
Wall penetration loss | -10 dB |
Outdoor, indoor path loss exponent | 4, 3 |
Outdoor, indoor lognormal shadow parameters | 8, 4 dB |
Claims (14)
- 펨토셀 기지국에 있어서,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의 관할 영역에 속하는 제1 단말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송신전력 결정부를 포함하고,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고,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과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2 비율 값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여기서, 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에서의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 는 최소값 함수, 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에서의 제1 무선신호의 최대 송신전력 값, 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과 상기 제2 단말 장치 간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크기 값, 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과 상기 제2 단말 장치 간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크기 값, 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 은 상기 제1 비율 값, 은 상기 어느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특정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개수, 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 장치 간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크기 값, 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 장치 간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크기 값, 는 상기 제2 비율 값을 각각 의미함
- 펨토셀 기지국에 있어서,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의 관할 영역에 속하는 제1 단말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2 무선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값은 기 설정된 SNR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송신전력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펨토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제3 무선신호의 SNR 값과 상기 기 설정된 SNR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상기 제3 무선신호의 SNR 값이 상기 기 설정된 SNR 값보다 작은 경우,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전력 결정부는상기 제3 무선신호의 SNR 값이 상기 기 설정된 SNR 값보다 큰 경우,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고,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과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2 비율 값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 펨토셀 기지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기 설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 값에 따라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의 관할 영역에 속하는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 방법.
- 단말 장치에 있어서,펨토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무선신호 및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무선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제2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추출하는 간섭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은 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단말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은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값은상기 펨토셀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1 비율 값보다 작고,상기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수신전력 값과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 제2 무선신호에 의한 간섭 값 간의 비율 값이 기 설정된 제2 비율 값보다 작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309A KR101071093B1 (ko) | 2009-06-08 | 2009-06-08 |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309A KR101071093B1 (ko) | 2009-06-08 | 2009-06-08 |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1620A KR20100131620A (ko) | 2010-12-16 |
KR101071093B1 true KR101071093B1 (ko) | 2011-10-10 |
Family
ID=4350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0309A KR101071093B1 (ko) | 2009-06-08 | 2009-06-08 |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10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1238A (ko) | 2011-04-27 | 2014-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11408A1 (en) | 2003-11-25 | 2005-05-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ele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US20070270151A1 (en) | 2006-05-22 | 2007-11-22 | Holger Claussen |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picocell base units |
-
2009
- 2009-06-08 KR KR1020090050309A patent/KR1010710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11408A1 (en) | 2003-11-25 | 2005-05-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ele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US20070270151A1 (en) | 2006-05-22 | 2007-11-22 | Holger Claussen |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picocell base uni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1620A (ko) | 2010-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6765B2 (ja) | 改善されたフェムトセルカバレージ及び効率的なセル探索のためのフェムトセルチャネル割り当て及び電力制御 | |
Uygungelen et al. | Graph-based dynamic frequency reuse in femtocell networks | |
Claussen et al. | An overview of the femtocell concept | |
US8428602B2 (en) | Method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open-access and closed-access femtocells | |
Mahmoud et al. |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deployment modes for femtocell networks | |
KR20120052878A (ko) |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간섭 노드로 부대역 주파수의 할당 방법,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컨트롤러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 | |
Bharucha et al. | Femto-cell resource partitioning | |
WO2009061585A2 (en) | A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 |
CN103098509B (zh) | 可作自动载波选择的方法和基站 | |
Bharucha et al. | Throughput enhancement through femto‐cell deployment | |
Mohjazi et al. | Deployment challenges of femtocells in future indoor wireless networks | |
Zhao et al. | Interference study for cognitive LTE-femtocell in TV white spaces | |
Kim et al. | Power headroom report-based uplink power control in 3GPP LTE-A HetNet | |
CN101494871A (zh) | 微小区建设的规划方法 | |
Ibhadode et al. | Interference mitigation among indoor phone subscribers in lte based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fast response frequency reuse technique | |
KR101071093B1 (ko) | 펨토셀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방법 및 단말 장치 | |
CN102711123A (zh) | 一种密集部署家庭基站网络中干扰抑制的方法 | |
CN103416091A (zh) | 用于移动辅助反向链路干扰管理的装置和方法 | |
Heiska | Effect of adjacent IS-95 network to WCDMA uplink capacity | |
Al-omari et al. | Effects of femtocell ultradense deployment on downlink performance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 |
Kalbkhani et al. | Interference management and six-sector macrocell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femto–macro cellular networks | |
Hamouda et al. | A game theoretic power control scheme for femtocells under macro-user QoS constraint | |
Sung et al. | Coexistence of LTE femtocells with GSM cellular network | |
Sambanthan et al. | R‐11‐based power control approach for overlaid femtocell networks | |
Safdar | UE admittance and contention free resource alloca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Net cognitive femtoce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