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82B1 -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1082B1 KR101071082B1 KR1020110022791A KR20110022791A KR101071082B1 KR 101071082 B1 KR101071082 B1 KR 101071082B1 KR 1020110022791 A KR1020110022791 A KR 1020110022791A KR 20110022791 A KR20110022791 A KR 20110022791A KR 101071082 B1 KR101071082 B1 KR 101071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wall
- wall block
- block
- stone
- block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7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208341 Heder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이나 벽의 외관에 자연미를 살리기 위한 돌담블록의 시공이 용이하고 돌담블록의 내부에는 식물이 뿌리 내릴 수 있는 토사가 돌담블록 높이로 쌓이는 토사공간부가 구비되어 이와 관통된 돌담블록 표면의 식재구멍에서 덩굴식물 등을 식재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한 자연친화적인 돌담으로 이루어진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돌담블록에 있어서, 돌담 형상으로 된 표면에 체결구멍과 식재구멍이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다수의 돌담블록판과, 돌담블록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과, 상기 돌담블록판을 콘크리트 옹벽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과 콘크리트 옹벽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흙이 돌담블록 높이로 쌓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사공간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담블록판의 식재구멍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돌담블록의 최상단은 기와블록을 설치하여서 된 돌담블록과 그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onstruct a stone wall block to preserve the natural beauty of the wall or wall appearance, the inside of the stone wall block is provided with a soil-storage space that is piled up to the height of the stone wall blocks that can be planted roots of the stone wall block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wall block made of a natural stone wall which is grown by planting vine plants and the like in a planting hol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ne wall block, a plurality of stone wall block plate through which a fastening hole and a planting hole penetr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shape, a concrete retaining wall constructed in the height and length direction of the stone wall block, the stone wall block The earth and san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stone wall block plate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o that soil for plant roots can be stacked at the height of the stone wall block while the plate is fixed to the concrete retaining wall. Plants can be planted and grown, and the top of the stone wall block is characterized by the stone wall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by installing a tile b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담이나 벽의 외관에 자연미를 살리기 위한 돌담블록의 시공이 용이하고 돌담블록의 내부에는 식물이 뿌리 내릴 수 있는 토사가 돌담블록 높이로 쌓이는 토사공간부가 구비되어 이와 관통된 돌담블록 표면의 식재구멍에서 덩굴식물 등을 식재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한 자연친화적인 돌담으로 이루어진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wall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wall block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natural beauty to the exterior of the wall or wall is easy, and the inside of the stone wall block earthenware that can be planted roots stone wall block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wall block made of a natural-friendly stone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are provided with soil storage spaces piled up to allow planting and growing vine plants in the planting holes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block.
일반적으로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담 및 벽을 조성함에 있어서 단순히 벽돌블록을 쌓거나 또는 블록의 외부를 시멘트로 마감하여 조성한 담 및 벽을 많이 사용하였다.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of walls and walls for convenient construction and cost reduction, many bricks or walls made by simply cementing brick blocks or exteriors of blocks were used.
그러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 환경에도 많은 관심과 변화를 추구하게 되어 담 및 벽의 외관에도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살릴 필요성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종래의 담 및 벽보다는 부정형돌인 자연석을 이용한 돌담 및 돌벽을 많이 시공하고 있다.However, as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d chang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bringing eco-friendly natural beauty to the walls and walls continues to grow, so that stone walls and stone walls using natural stones that are irregularly shaped than conventional walls and walls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
하지만 이러한 돌담 및 돌벽은 직접 시공 현장에서 아래 바닥부터 부정형돌을 하나씩 맞춰가며 위로 쌓아올리는 방식이라 작업 환경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숙련기술이 필요하여 인건비를 포함한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stone walls and stone wall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work environment is inconvenient, time consuming, and requires a skilled worker's skills, which leads to high installation costs including labor costs.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또한, 최근에는 콘크리트 옹벽 등의 벽체를 입체적인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벽체를 타고 덩굴식물이 자랄 수 있는 담쟁이와 송악(헤데라) 등의 덩굴식물을 심어 삭막감 해소는 물론 쾌적한 주변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벽체를 타고 자라는 덩굴식물이 복사열 차단과 소음차단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green space for walls such as concrete retaining walls, planting vines such as ivy and songak (hedera), which can grow vines on the walls, planted vines and eliminated cuts and greatly created a pleasant environment. In addition to making contributions, the vine plants growing on the wall have the function of shielding radiant heat and noise.
그러나 돌담에서는 하부에 식재공간을 구비하여 덩굴식물이 기어오르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덩굴식물에 의해 벽체를 완전 녹화시키기 위해서는 2~3년 이상의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돌담블록 하부에 비해 돌담블록 상부의 녹화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tone wall has a planting space at the bottom, so the vine plants are climbing up, so it takes much more than 2 ~ 3 years to fully record the wall by the vine plant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cording rate of the drop.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돌담 표면 형상의 돌담블록판을 구비하고 그 돌담블록판의 후면부는 콘크리트 옹벽에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과 콘크리트 옹벽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흙이 쌓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사공간부가 구비되어 돌담블록판의 식재구멍을 통해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상단은 기와블록을 설치하여서 된 돌담블록으로 이루어져서 자연미를 살리고 덩굴식물 등을 식생조건을 최적화하면서 자연친화적인 돌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one wall block plate having a stone wall surface shap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can be fixed to the concrete retaining wall while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taken between the stone wall block plate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oil space is provided to allow the soil to be piled up so that plants can grow through the planting holes of the stone wall block board, and the top end is made of stone wall blocks by installing tile blocks to save natural beauty and vine plants. To provide a natural friendly stone wall block while optimizing
본 발명은 돌담블록에 있어서, 돌담 형상으로 된 표면에 체결구멍과 식재구멍이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다수의 돌담블록판과, 돌담블록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과, 상기 돌담블록판을 콘크리트 옹벽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과 콘크리트 옹벽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흙이 돌담블록 높이로 쌓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사공간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담블록판의 식재구멍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돌담블록의 최상단은 기와블록을 설치하여서 된 돌담블록과 그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ne wall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stone wall block plates having fastening holes and planting holes penet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stone wall shape; a concrete retaining wall formed in the height and length direction of the stone wall block; The soil is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to secure the soil between the stone wall block plate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o that the soil can be accumulated at the height of the stone wall block. Planted and grown, the top of the stone wall block is characterized by the stone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by installing a tile block.
본 발명의 돌담블록은 자연석과 콘크리크 몰탈을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콘크리트 몰탈과 도료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한 돌담블록판에 의해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가진 돌담블록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돌담블록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식재구멍을 통해 담쟁이와 송악(헤데라) 등의 덩굴식물뿐만 아니라 관엽식물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면서 돌담블록의 상,하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신속한 녹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식생조건을 부여하면서 입면녹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입체적인 녹지공간으로 녹지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지와의 접촉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The stone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friendly by forming natural stone and concrete mortar in the mold to have a pattern shape of the stone wall three-dimensional texture, or by molding the concrete mortar and paint in the mold to have the pattern shape of the stone wall three-dimensional texture It is easy to construct a stone wall block with natural beauty and can plant various kinds of plants such as ivy plants such as ivy and songak (hedera) as well as house plants through plant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block. It is possible to record uniformly and quickly throughou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one wall block, and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elevation while giving the optimal vegetation conditions. It can raise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일부 절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돌담블록판 및 기와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돌담블록판에서 기와블록이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돌담블록판에서 기본블록판의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돌담블록판이 콘크리트 옹벽의 일측에만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돌담블록에 적용되는 기와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에서 돌담블록판의 표면에 형성된 골 부분은 황토층을 구비하고 식물이 식재되기 전 상태를 예시한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에서 돌담블록판의 표면에 형성된 골 부분은 황토층을 구비하고 식물이 식재되어 입면녹화 상태를 예시한 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tate of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and til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that the tile block is assembled in the stone wall blo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sic block plate in the stone wall blo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one wall block plate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e block applied to the stone wall block of FIG.
11 is a bone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in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ess layer and a photograph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plant is planted.
12 is a bone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in the stone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 having an ocher layer and the plant is planted planting the elev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담이나 벽의 외관에 자연미를 살리기 위한 돌담블록(A)에 있어서, 돌담 형상으로 된 표면(12)에 체결구멍(14)과 식재구멍(16)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관통된 다수의 돌담블록판(10)과, 돌담블록(A)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20)과, 상기 돌담블록판(10)을 콘크리트 옹벽(20)에 체결부재(22)로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10)과 콘크리트 옹벽(20)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흙이 돌담블록 높이로 쌓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사공간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돌담블록판(10)의 식재구멍(16)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돌담블록(A)의 최상단은 기와블록(40)을 설치하되 상기 기와블록(40)은 하부에 돌출된 조립핀(42)이 형성되어 돌담블록판(10)의 상단 마감블록판(10c) 후면부에 끼움형태로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ne wall block (A) for utilizing the natural beauty to the appearance of the wall or wall, a plurality of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은 자연석과 콘크리크 몰탈을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 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콘크리트 몰탈과 도료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 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하며, 돌담블록판(10)의 후면은 매끄러운 형태에 보강힘살(18)이 형성되도록 하여 토사공간부(30)에 용이하게 흙을 쌓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또, 돌담블록판(10)은 기본블록판(10a)과, 하단 마감블록판(10b), 상단 마감블록판(10c), 측부 마감블록판(10d)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끼움결합부(11)가 구비되어 안정된 조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모서리 마감블록판(10e)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ne
상기 콘크리트 옹벽(20)은 콘크리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돌담블록(A)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어 콘크리트 옹벽(20)에 의해 돌담블록(A)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지탱력을 갖도록 한다.
The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구멍(14)에 앙카볼트 등의 체결부재(22)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옹벽(20)에 고정설치하되 간격유지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장봉의 체결부재(22)에 의해 돌담블록판(10)과 콘크리트 옹벽(20)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토사가 쌓여질 수 있는 토사공간부(30)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되는 돌과 돌 사이의 골 부분에 체결구멍(14)과 식재구멍(2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되는 골 부분은 황토를 바르는 황토층을 더 구비하여 미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부재(2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상기 토사공간부(30)에 쌓여지는 흙은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토양층(32)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The soil piled up in the earth and
또,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식재구멍(16)이 형성되어 그 토사공간부(30)의 토양층(32)에서 식물의 뿌리가 내리면서 자랄 수 있도록 하되 식물은 식재구멍(16)을 통해 직접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이용하여 식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된 식재구멍(16)을 통해 식재되는 식물은 주로 담쟁이와 송악(헤데라) 등의 덩굴식물뿐만 아니라 관연식물 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식물도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Plants that are planted through the
상기 기와블록(40)은 돌담블록(A)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커버 기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이러한 기와블록(40)은 하부에 돌출된 조립핀(42)이 형성되어 돌담블록판(10)의 상단 마감블록판(10c) 후면부에 끼움형태로 간편하게 조립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그리고 기와블록(40)은 기와 직선블록(40a), 기와 마감블록(40b), 기와 모서리블록(40c) 등으로 된 기와 단위블록이 구비되어 사용하되 기와 모서리블록(40c)의 경우에는 담장이 돌담블록(A)이 꺾여지는 형태로 조성되는 부분에 사용된다.
And the
또한, 상기 돌담블록판(10)은 콘크리트 옹벽(20)의 양측 또는 도 9와 같이 일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돌담블록판(10)이 콘크리트 옹벽(20)이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토사공간부(30)도 양측에 각각 구비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stone
상기와 같은 돌담블록에 따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one wall block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돌담블록(A)을 조성하되 돌담블록(A)의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20)의 설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옹벽(20)과 일정간격을 두고 돌담 형상의 표면(12)에 체결구멍(14)과 식재구멍(16)이 관통되어 있는 다수의 돌담블록판(10)을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10)과 콘크리트 옹벽(20) 사이에 토사공간부(30)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공간부(30)에 흙을 채워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토양층(3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담블록(A)의 상부에 기와블록(4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에 형성된 식재구멍(16)을 통해 식물이 식재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installing the
그리고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되는 골 부분에 황토를 바르는 황토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And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the ocher layer to apply ocher to the bone portion formed 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돌담블록은 자연석과 콘크리크 몰탈을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콘크리트 몰탈과 도료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한 돌담블록판(10)에 의해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가진 돌담블록(A)을 갖게 된다.
The stone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form a natural stone and concrete mortar in the mold to have a pattern of stone wall texture, or to mold the concrete mortar and paint in a mold to have a stone wall block texture pattern By (10) will have a stone wall block (A)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beauty.
이러한 돌담블록(A)의 표면(12)은 식재구멍(16)이 토사공간부(30)와 관통되는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식재구멍(16)을 통해 식재되는 식물이 토사공간부(30)에 흙이 채워져있는 토양층(32)에서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입체적인 녹지공간을 조성하게 된다.
The
즉,돌담블록(A)의 표면(1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식재구멍(16)을 통해 담쟁이와 송악(헤데라) 등의 덩굴식물뿐만 아니라 관엽식물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면서 돌담블록(A)의 상,하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신속한 녹화를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rough the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돌담블록(A)은 돌담블록판(10)에 의해 시공이 간편하면서 외관에도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갖도록 함과 아울러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서 일정간격으로 식물을 식재하여 내부의 토사공간부(30)에 쌓안 토양층(32)에서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최적의 식생조건을 부여하면서 입면녹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입체적인 녹지공간으로 녹지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지와의 접촉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입면녹화에 의해 여름철에 벽면을 일사로부터 보호하고 겨울철에는 벽면을 노출시켜 미관이 좋은 담장을 갖도록 한다.
Thus, the stone wall block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by the ston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 : 돌담블록 10 : 돌담블록판
10a : 기본블록판 10b : 하단 마감블록판
10c : 상단 마감블록판 10d : 측부 마감블록판
11 : 끼움결합부 12 : 표면
14 : 체결구멍 16 : 식재구멍
18 : 보강힘살 20 : 콘크리트 옹벽
22 : 체결부재 30 : 토사공간부
32 : 토양층 40 : 기와블록
40a : 기와 직선블록 40b : 기와 마감블록
40c : 기와 모서리블록 42 : 조립핀A: stone wall block 10: stone wall block
10a:
10c: Top
11: fitting portion 12: surface
14: fastening hole 16: planting hole
18: reinforcement 20: concrete retaining wall
22: fastening member 30: earth and sand space
32: soil layer 40: tile block
40a: Tiled
40c: tile edge block 42: assembly pin
Claims (9)
돌담 형상으로 된 표면(12)에 체결구멍(14)과 식재구멍(16)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관통된 다수의 돌담블록판(10)과,
돌담블록(A)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20)과,
상기 돌담블록판(10)을 콘크리트 옹벽(20)에 체결부재(22)로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10)과 콘크리트 옹벽(20)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흙이 돌담블록(A) 높이로 쌓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사공간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돌담블록판(10)의 식재구멍(16)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토사공간부(30)에 쌓여지는 흙은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토양층(32)과,
상기 돌담블록(A)의 최상단은 기와블록(40)을 설치하되 상기 기와블록(40)은 하부에 돌출된 조립핀(42)이 형성되어 돌담블록판(10)의 상단 마감블록판(10c) 후면부에 끼움형태로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
In the stone wall block (A),
A plurality of stone wall block plates 10 each having a fastening hole 14 and a planting hole 16 penetr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surface 12 having a stone wall shape;
Concrete retaining wall 20 is constructed in the height and length direction of the stone wall block (A),
While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fixed to the concrete retaining wall 20 by the fastening member 22, soil between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20 may have roots of the stone wall block A ) Is provided with the earth and sand space portion 30 to be stacked to a height so that the plant is planted by the planting hole 16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to grow,
Soil accumulated in the soil space portion 30 is the soil layer 32 and the organic material,
The top end of the stone wall block (A) is installed a tile block 40, but the tile block 4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pin 42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top block block plate (10c) A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fitting on the back.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은 자연석과 콘크리크 몰탈을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 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face 12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a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stone and the concrete mortar is molded in the mold to have a pattern shape of the stone wall three-dimensional texture.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은 콘크리트 몰탈과 도료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돌담 입체 질감의 무늬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face 12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a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attern of stone wall three-dimensional texture by molding the concrete mortar and paint in the mold.
상기 돌담블록판(10)은 기본블록판(10a)과, 하단 마감블록판(10b), 상단 마감블록판(10c), 측부 마감블록판(10d)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끼움결합부(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composed of a unit block consisting of a basic block plate (10a), the bottom closing block plate (10b), the top closing block plate (10c), the side finishing block plate (10d) and fitting parts ( 11)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되는 골 부분은 황토를 바르는 황토층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bone wall formed on the surface 12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ess layer for applying ocher.
돌담블록(A)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옹벽(20)의 설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옹벽(20)과 일정간격을 두고 돌담 형상의 표면(12)에 체결구멍(14)과 식재구멍(16)이 관통되어 있는 다수의 돌담블록판(10)을 고정설치하면서 돌담블록판(10)과 콘크리트 옹벽(20) 사이에 토사공간부(30)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공간부(30)에 흙을 채워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토양층(3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담블록(A) 상부에 기와블록(4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에 형성된 식재구멍(16)을 통해 식물이 식재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의 시공방법.
Create a stone wall block (A)
A step of installing the concrete retaining wall 20 constructed in the height and length direction of the stone wall block A;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is fixedly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stone wall block plates 10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le 14 and the planting hole 16 penetrate into the stone wall-shaped surface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crete retaining wall 20 ( 10) and the earth and sand space portion 30 between the concrete retaining wall 20,
Filling the soil with the soil space 30 to form a soil layer 32 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fall;
Installing a tile block 40 on the stone wall block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tep of planting plants through the planting hole (16)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상기 돌담블록판(10)의 표면(12)에 형성되는 골 부분에 황토를 바르는 황토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블록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ne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ocher layer on the bone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12) of the stone wall block plate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791A KR101071082B1 (en) | 2011-03-15 | 2011-03-15 |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791A KR101071082B1 (en) | 2011-03-15 | 2011-03-15 |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1082B1 true KR101071082B1 (en) | 2011-10-10 |
Family
ID=4503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2791A Active KR101071082B1 (en) | 2011-03-15 | 2011-03-15 |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10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128Y1 (en) | 2014-02-07 | 2014-06-12 | 지재훈 | block for construction |
KR101785785B1 (en) * | 2015-08-07 | 2017-10-17 | 정현조 | Bellflower roots growing method using stone wall |
KR20250061304A (en) | 2023-10-27 | 2025-05-08 | 이상국 | Manufacturing method of stone wall structure and stone wall structure by the same tha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0151Y1 (en) | 2006-04-14 | 2006-07-03 | 유민상 | Landscaping House Fence |
KR100780295B1 (en) * | 2006-01-25 | 2007-11-28 | 페이빙스톤(주) | Structure of the fence |
-
2011
- 2011-03-15 KR KR1020110022791A patent/KR1010710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0295B1 (en) * | 2006-01-25 | 2007-11-28 | 페이빙스톤(주) | Structure of the fence |
KR200420151Y1 (en) | 2006-04-14 | 2006-07-03 | 유민상 | Landscaping House Fen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128Y1 (en) | 2014-02-07 | 2014-06-12 | 지재훈 | block for construction |
KR101785785B1 (en) * | 2015-08-07 | 2017-10-17 | 정현조 | Bellflower roots growing method using stone wall |
KR20250061304A (en) | 2023-10-27 | 2025-05-08 | 이상국 | Manufacturing method of stone wall structure and stone wall structure by the same th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58096A (en) | Embankment element for stabilizing or supporting a slope | |
KR101071082B1 (en) | Stone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87406B1 (en) | Moss panel and method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KR101701001B1 (en) | Versatile Planting Block | |
KR101187407B1 (en) | Wall-greening apparatus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210396356U (en) | Regenerated light concrete assembled greening enclosing wall | |
CN211006526U (en) | Road soil slope green ecological protection structure suitable for ecological sensitive area | |
KR100951635B1 (en) | Modeling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pleasant environment | |
KR100192709B1 (en) | Landscape Construction Method of Rivers and Structures for Landscape Construction | |
KR102317257B1 (en) | artificial mountain with cave | |
CN2641128Y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permeable slope combination blocks | |
JP3026347U (en) | Earth retaining wall with a water collecting box on the back | |
KR102391732B1 (en) | The Landscaped Gardens compos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it laminated sheet module | |
KR101335543B1 (en) | Plantable gab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48578Y1 (en) | Lawn Protection Block | |
KR101041683B1 (en) | Vegetation Constru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1417672B1 (en) | Structure to plant on wall face | |
KR101353937B1 (en) | vegetational pannel for greening vertical plane | |
JP4948476B2 (en) | Rooftop greening planter and rooftop greening system | |
JP2004135627A (en) | Moss vegetation | |
KR101187405B1 (en) | Apparatus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KR101297778B1 (en) | Gutter for vegetable garden which is established in the road of the residential site | |
KR200361092Y1 (en) | Tiered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tree-planting road slope | |
KR20090033581A (en) | Green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vegetation nailing method | |
JP2003325036A (en) | Method for vegetating sedum and vegetation basis for the sed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