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0252B1 -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252B1
KR101070252B1 KR1020110083802A KR20110083802A KR101070252B1 KR 101070252 B1 KR101070252 B1 KR 101070252B1 KR 1020110083802 A KR1020110083802 A KR 1020110083802A KR 20110083802 A KR20110083802 A KR 20110083802A KR 101070252 B1 KR101070252 B1 KR 10107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ste vinyl
fishing net
vinyl
blad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알
김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알, 김휘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알
Priority to KR102011008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어망에 묻어 있는 이물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 등을 절단, 세척, 탈수, 압축하여 재활용하는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잘게 분쇄되어 공급되는 폐비닐 또는 잘게 파쇄되어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어망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 날개수단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분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재활용 효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a cleansing device}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어망에 묻어 있는 이물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 등을 절단, 세척, 탈수, 압축하여 재활용하는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잘게 분쇄되어 공급되는 폐비닐 또는 잘게 파쇄되어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어망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 날개수단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분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재활용 효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이나 화훼단지 등에서는 비닐을 이용하여 다양한 품종의 농작물이나 화훼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비닐은 농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해주기 위한 보온성 및 방수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농작물 등의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신선한 농작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어장에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어망 등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양식 획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 재배 등에 사용되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어망 등은 아세틸렌을 주된 원료로 하는 합성수지로서 제조 단가 및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닐이나 어망 등은 토양 속에서 잘 썩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근래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경작지에 방치되는 폐비닐이나 폐어망 등은 토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에 따른 농어촌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폐비닐 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폐비닐 전처리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폐비닐 전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수거된 폐비닐을 임의 크기로 절단하는 장치와, 절단된 폐비닐을 세척하는 장치와, 세척된 폐비닐을 건조시키는 장치, 그리고 건조된 폐비닐을 압축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며, 각 장치 사이에는 폐비닐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가 기본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폐비닐 전처리 장치(5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수조(51)와, 상기 저수조(51)에 장착되며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52)가 구비된 세척 드럼부(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수조(51)의 일측에 결합되는 컨베이어(54)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51)에 저장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저수조(51)에 장착된 각 상기 세척 드럼부(53)의 저면 날개(52)가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세척 드럼부(53)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각 세척 드럼부(53)에 전달되면 세척 드럼부(53)의 날개(52)는 차례로 물을 밀쳐 내게 되고, 상기 저수조(51)에 저장된 물은 격벽(55)을 따라 직선으로 운동하다가 격벽(55)의 일단에서 회전하여 방향이 바뀌게 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51)의 물이 순환하게 되면 임의 크기로 절단된 폐비닐(56)이 상기 저수조(51)에 차례로 투입되어 물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과정에서 폐비닐(56)에 묻어 있던 이물질들 중 일부는 물과 접촉하면서, 일부는 세척 드럼부(53)의 날개(52)가 폐비닐(55)을 물과 함께 밀어내는 과정에서 모두 씻겨져 컨베이어(30)에 의해 다음 장치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세척장치는 저수조의 격벽을 따라 직선 운동하던 물이 저수조의 내 측면과 격벽의 끝단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아 격벽 사이의 공간에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없어 폐비닐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등록 실용신안 제20-0365659호의 '비닐 세척장치'가 등록 공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실용신안 제20-0365659호의 '비닐 세척장치'는 폐루프를 이루는 저수조와,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조의 폐루프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세척 드럼부와, 상기 저수조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각 세척 드럼부를 구동시키는 세척 드럼부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비닐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에는 상기 저수조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2회전축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와, 상기 제2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막대형의 지지대와, 일단은 상기 저수조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방으로 경사져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물 받이대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 세척장치' 이외에도, 등록특허 제10-0748704호의 '폐비닐 세척장치' 등 매우 다양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분쇄된 폐비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재활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종래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분쇄된 폐비닐이 다량으로 유입될 경우 이를 처리하지 못하고 그 처리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쇄된 폐비닐 등이 유입되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드럼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2개의 회전디스크가 1개 세트로 구성되는 디스크수단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되 상기 각 디스크수단에는 디스크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봉에 칼날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드럼로 유입되는 다량의 폐비닐 분쇄물량을 칼날플레이트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 및 이송시키면서 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벽하고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비닐 또는 폐어망의 이물질을 세척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폐비닐 또는 폐어망이 유입되는 투입구와,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어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공구멍, 및 이물질이 탈리된 폐비닐 또는 폐어망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출호퍼로 구성된 타공드럼과, 원통형상의 상기 타공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설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에 삽설 고정되는 제1회전디스크 및 제2회전디스크, 상기 제1,2회전디스크 사이에 설치 구비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 구비되는 칼날플레이트로 구성된 한쌍의 디스크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회전축에는 상기 디스크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수단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2회전디스크 사이에서 상기 구동회전축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되, 연이어 설치되는 디스크수단으로 갈수록 각각 그 설치 각도가 일정각도만큼 순차적으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폐비닐 등을 절단, 세척, 탈수, 압축하여 재활용하는 전처리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타공드럼 내부에 2개의 회전디스크가 1개 세트로 구성되는 디스크수단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이들을 구동수단으로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장치로 유입되는 다량의 폐비닐 분쇄물량을 디스크수단에 구비된 칼날플레이트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 및 이송시키면서 이물질을 완벽하게 탈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다수개의 디스크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짧은 시간에 다량의 폐비닐 분쇄물량을 유입시켜 세척할 수 있어 단위시간당 처리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에 분쇄된 폐비닐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이송되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일반적인 폐비닐 전처리장치에 본 발명의 세척장치가 적용되는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6은 종래의 폐비닐 세척장치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쇄된 폐비닐 또는 폐어망(이하 폐비닐이라 함)이 유입되는 투입구(111)와 외부면에 형성되되 그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어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공구멍(112) 및 이물질이 탈리된 폐비닐이 외부로 빠져가 다음단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호퍼(113)가 형성된 타공드럼(110)과,
원통형상의 상기 타공드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설되어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회전축(130)과,
상기 구동회전축(130)에 삽설 고정되는 제1회전디스크(141) 및 제2회전디스크(142),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 설치 구비되는 연결로드(143), 상기 연결로드(143)에 설치 구비되는 칼날플레이트(144)로 되어 상기 구동회전축(13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디스크수단(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폐비닐이 상기 타공드럼(110) 내부에서 상기 디스크수단(140)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깨끗하게 세척된 폐비닐은 상기 배출호퍼(113)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상기 타공드럼(110)에 형성된 상기 타공구멍(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공드럼(110)은 이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면서 지면 등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지대(150)와, 이를 상부측에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고정지지대(16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지지대(150)는 지면에 고정되는 세로지지대(151)와 상기 타공드럼(110)을 안착 지지하는 가로지지대(1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지지대(160)는 상기 타공드럼(110)을 그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143)에 설치되는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서 이들의 원주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연결로드(143)의 길이방향 대비 일정각도 비틀어진(트위스팅) 형상으로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연결로드(143)의 일정 높이(t)에서 트위스팅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플레이트(144)가 트위스팅되는 각도는 30~60도 사이로 하되 45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 설치된 상기 연결로드(143)는 체결볼트(145)와 체결너트(146)로 체결 고정되되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경우 상기 연결로드(143)는 상기 체결볼트(145)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수단(140)은 상기 구동회전축(1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도 2에서는 첫번째 디스크수단(a)에서부터 다섯번째 디스크수단(e)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설치 개수는 상기 타공드럼(110)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수단(140)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로드(143)와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며, 그 설치각도는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첫번째 디스크수단(a)에 설치되는 연결로드와 칼날플레이트는 두번째 디스크수단(b), 세번째 디스크수단(c), 네번째 디스크수단(d), 다섯번째 디스크수단(e)로 갈수록 각각 그 설치 각도가 일정각도(ß)만큼 순차적으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농경지 등에 경작용으로 사용된 폐비닐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비닐 전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비닐을 잘라주는 파쇄기(170)와 이를 더욱 잘게 잘라 주는 분쇄기(180)를 지나 이송되는 분쇄된 폐비닐이 다시 교반기(190)와 비중분리기(200)를 통과 하면서 어느 정도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어 상기 세척장치(100)를 통해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압축기(210)와 탈수기(220)를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100)는 상기 비중분리기(200)를 거켜 컨베이어(230)를 통해 상기 투입구(111)로 유입되는 폐비닐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회전축(130)에 의해 상기 각 디스크수단(a,b,c,d,e)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물질이 탈리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의 트위스팅 각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디스크수단(e)측까지 이송된 폐비닐은 그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배출호퍼(113)에 떨어지게 되고 이어 컨베이어(230)를 통해 다음 공정인 압축기(210)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30)를 통해 상기 투입구(111)로 과대한 물량의 분쇄된 폐비닐이 유입되게 되면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상기 연결로드(143)가 자체적으로 일정각도 회동되면서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걸리는 과부하를 해소시켜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100)는 분쇄된 폐비닐 등이 유입되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드럼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동회전축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2개의 회전디스크가 1개 세트로 구성되는 디스크수단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되, 상기 각 디스크수단에는 디스크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봉에 칼날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타공드럼(110)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폐비닐 분쇄물량을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 및 이송시키면서 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동시에 짧은 시간에 다량의 폐비닐을 처리할 수 있어 폐비닐 재처리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00:세척장치 110:타공드럼 120:구동모터 130:구동회전축
140:디스크수단 150:하부고정지지대 160:상부고정지지대
170:파쇄기 180:분쇄기 190:교반기 200:비중분리기 210:압축기
220:탈수기 230:컨베이어
111:투입구 112:타공구멍 113:배출호퍼
141:제1회전디스크 142:제2회전디스크 143:연결로드 144:칼날플레이트
145:체결볼트 146:체결너트

Claims (5)

  1. 폐비닐 또는 폐어망의 이물질을 세척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폐비닐 또는 폐어망이 유입되는 투입구(111)와,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어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공구멍(112), 및 이물질이 탈리된 폐비닐 또는 폐어망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출호퍼(113)로 구성된 타공드럼(110)과,
    원통형상의 상기 타공드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설되어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회전축(130)과,
    상기 구동회전축(130)에 삽설 고정되는 제1회전디스크(141) 및 제2회전디스크(142),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 설치 구비되는 연결로드(143), 상기 연결로드(143)에 설치 구비되는 칼날플레이트(144)로 구성된 한쌍의 디스크수단(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회전축(130)에는 상기 디스크수단(14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수단(140)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로드(143)는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서 상기 구동회전축(130)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되,
    연이어 설치되는 디스크수단(b,c,d,e)으로 갈수록 각각 그 설치 각도가 일정각도(ß)만큼 순차적으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143)에 설치되는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서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의 원주방향과 직각으로 하여 상기 타공드럼(110)의 내벽을 향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플레이트(144)는 상기 연결로드(143)로부터 일정 높이(t) 위치에서 상기 연결로드(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틀어져 트위스팅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플레이트(144)가 트위스팅되는 각도는 30~60도 사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디스크(141,142) 사이에 설치된 상기 연결로드(143)는 체결볼트(145)와 체결너트(146)로 체결 고정되되 상기 칼날플레이트(144)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경우 상기 연결로드(143)는 상기 체결볼트(145)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20110083802A 2011-08-23 2011-08-23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7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02A KR101070252B1 (ko) 2011-08-23 2011-08-23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02A KR101070252B1 (ko) 2011-08-23 2011-08-23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252B1 true KR101070252B1 (ko) 2011-10-06

Family

ID=4503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8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0252B1 (ko) 2011-08-23 2011-08-23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25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05B1 (ko) * 2014-12-23 2015-12-11 김태길 폐비닐 세척장치
KR200485043Y1 (ko) * 2017-04-07 2017-11-24 유한회사 토리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KR101854415B1 (ko) * 2018-02-23 2018-05-03 김준섭 폐그물 세척장치
KR20180091231A (ko) * 2017-02-06 2018-08-16 김두현 타격식 세척 탈수기
KR101890087B1 (ko) * 2018-01-31 2018-08-20 박기홍 토양폐기물 분리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15331A (ko) 2018-04-02 2019-10-11 김요환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KR102723545B1 (ko) 2024-02-08 2024-10-28 김동용 어망 세척 장치
CN118893739A (zh) * 2024-10-09 2024-11-05 南通瑞童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加工用颗粒原料筛选破碎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04B1 (ko)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100849411B1 (ko) 2007-02-21 2008-08-01 최홍철 폐비닐 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04B1 (ko)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100849411B1 (ko) 2007-02-21 2008-08-01 최홍철 폐비닐 세척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05B1 (ko) * 2014-12-23 2015-12-11 김태길 폐비닐 세척장치
KR20180091231A (ko) * 2017-02-06 2018-08-16 김두현 타격식 세척 탈수기
KR101953232B1 (ko) 2017-02-06 2019-02-28 김두현 타격식 세척 탈수기
KR200485043Y1 (ko) * 2017-04-07 2017-11-24 유한회사 토리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KR101890087B1 (ko) * 2018-01-31 2018-08-20 박기홍 토양폐기물 분리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4415B1 (ko) * 2018-02-23 2018-05-03 김준섭 폐그물 세척장치
KR20190115331A (ko) 2018-04-02 2019-10-11 김요환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KR102723545B1 (ko) 2024-02-08 2024-10-28 김동용 어망 세척 장치
CN118893739A (zh) * 2024-10-09 2024-11-05 南通瑞童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加工用颗粒原料筛选破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1529644B1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KR102558450B1 (ko) 폐비닐 재생 자동화장치
CN202490765U (zh) 滚筒式餐厨垃圾分离装置
KR102131356B1 (ko)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3750513B (zh) 咖啡生熟果分离脱皮脱胶组合机
CN105381971A (zh) 鸭蛋清洗筛选风干设备
KR100748704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106391444A (zh) 通用式农作物种子清洗、分级筛选设备及其使用方法
CN109123500B (zh) 一种蔬菜加工处理机
MX2014009341A (es) Sistema modular para el beneficio humedo de cafe sin contaminacion de las aguas.
KR20160043283A (ko)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및 이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0732B1 (ko) 폐비닐 세척장치에 설치되는 비닐 승강 회전부재
CN107986474B (zh) 一种具有废物回收功能的屠宰污水处理系统
KR100922300B1 (ko)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탈수 및 건조 장치
CN109123499B (zh) 一种蔬菜加工装置
CN217093869U (zh) 一种咖啡鲜果浮选、无水脱皮、带胶烘干处理系统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1390730B1 (ko) 폐비닐 세척 이동장치
CN106426641A (zh) 一种全自动纯物理机械处理农田废地膜再生生产线
CN110447700B (zh) 一种贻贝加工装备
KR20130134634A (ko) 파쇄된 폐비닐과 pet병 조각들의 탈수장치
KR101865528B1 (ko) 폐양식 플라스틱기자재의 재활용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제조방법
CN109052684B (zh) 固体废弃物粉碎装置及其生活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