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8374B1 -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374B1
KR101068374B1 KR1020050034836A KR20050034836A KR101068374B1 KR 101068374 B1 KR101068374 B1 KR 101068374B1 KR 1020050034836 A KR1020050034836 A KR 1020050034836A KR 20050034836 A KR20050034836 A KR 20050034836A KR 101068374 B1 KR101068374 B1 KR 10106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ank
detergent
fixture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2421A (en
Inventor
양병선
김성근
박대환
서종현
황필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374B1/en
Publication of KR2006011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37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청소가 가능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제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탱크바디(510)와; 상기 탱크바디(5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탱크바디(510)의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커버(520)와;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탱크커버(520) 내부에 삽입되고, 세제물이 상기 탱크바디(510) 외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튜브(530)와; 내부가 관통된 구(球)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530)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튜브(530)의 유동을 규제하는 튜브고정구(540)와, 상기 튜브고정구(54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탱크커버(520)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튜브고정구(540)의 이탈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볼고정구(5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tank of a water cleaning combined use vacuum cleaner capable of water cleaning. Detergent tank of the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body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upper opening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water therein; A tank cover 5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ank body 510 and shielding an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510; A tube 530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tank cover 520 and guiding detergent water to flow out of the tank body 510; A tube fixture 540 and a tube fixture 540 for receiving the tube 530 therein and regulating the flow of the tube 530 therein, the tube fixture 540 is accommodated therein. It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ank cover 520 in a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 fixture 550 to selectively regulate the separation of the tube fixture 5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use is improved.

물청소, 진공청소기, 세제탱크, 볼고정구, 회동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detergent tank, ball fixture, rotation

Description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 { Cleanser tank of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Cleaner tank of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도 1 은 일반적인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도 2 는 일반적인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detergent tank of a general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cleaning combined use vacuum clea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detergent tank of the water cleaning a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tergent tank of the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세제탱크의 요부구성인 볼고정구의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 fixture of the main constitution of the water cleaning and vacuum cleaner detergen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흡입노즐 110 ..... 세제유동관100 ..... suction nozzle 110 ..... detergent cleaner

200 ..... 연장관 300 ..... 흡입호스200 ..... Extension pipe 300 ..... Suction hose

310 ..... 조작부 400 ..... 본체310 ..... Control panel 400 ..... Main unit

402 ..... 체결공 404 ..... 연결구402 ..... Fasteners 404 ..... End Connections

406 ..... 집진장착부 407 ..... 걸림돌기406 ..... Dust Collector 407 .....

408 ..... 씰링부 409 ..... 본체손잡이408 ..... Sealing part 409 ..... Body handle

410 ..... 바퀴 420 ..... 집진유니트410 ..... Wheels 420 ..... Dust collection unit

422 ..... 집진탱크 424 ..... 집진커버422 ..... Dust collection tank 424 ..... Dust collection cover

426 ..... 집진손잡이 428 ..... 안내유로426 ..... Dust Collector 428 .....

500 ..... 세제탱크 510 ..... 탱크바디500 ..... Detergent tank 510 ..... Tank body

520 ..... 탱크커버 522 ..... 고정구구속공Tank cover 522 .....

530 ..... 튜브 540 ..... 튜브고정구530 ..... tube 540 ..... tube fixture

542 ..... 튜브관통공 550 ..... 볼고정구542 ..... tube through hole 550 ..... ball fixture

552 ..... 삽입부 554 ..... 차폐부552 ..... Insert 554 ..... Shield

556 ..... 파지손잡이 558 ..... 볼수용공556 ..... Gripping Handle 558 .....

559 ..... 회동안내리브559 ..... times rib

본 발명은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탱크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구하여 세제물의 주입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세제물이 세제탱크 외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튜브가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볼고정구가 구비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for combined use of water, and more particularly, by selectively opening one side of the detergent tank to enable the injection of detergent, and at the same time a tube for guiding the detergent water to flow out of the detergent tank is const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tank for a water cleaning combined use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ball stopper that can be rotated at an angle.

진공청소기는 전원 인가에 의한 모터의 회전으로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마루 바닥 등 외부의 오염물을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집진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된 가전기구이다.The vacuum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generates strong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motor by applying power, and cleans the dust by sucking and collecting dust on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근래 들어 마른 먼지 등을 집진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물걸레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물걸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간단한 부속물, 예컨대 노즐 어셈블리를 교체하여 진공청소기 자체에서 물과 세제를 분사하고 다시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물청소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 개발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collecting dust and dust recently, a mop can be selectively removed and cleaned, or a simple accessory such as a nozzle assembly can be replaced to spray and re-inject water and detergent from the vacuum cleaner itself. It is being developed to be able to perform water cleaning while performing repeatedly.

도 1에는 일반적인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tank of a general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전원 인가시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팬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팬모터(미도시)의 흡입력으로 청소면의 이물이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호스(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30)와, 상기 본체(10)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커버(40)와, 세제물이 수용되는 세제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fan motor (not shown) in which suction power is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and a foreign material on a cleaning surface by suction power of the fan motor (not shown). (10) a suction hose (20) for guiding the flow into the interior, a dust collecting unit (3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main body (10), and a main body cover (40)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t comprises a detergent tank 50, the detergent is accommodated.

상기 본체(10)는 대략 상부가 개구된 통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청소 수행시에 본체(10)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바퀴(14)가 장착됨이 일반적이다.The main body 10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are installed therein.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pair of wheels 14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main body 10 when performing the cleaning.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호스(2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 체결공(16)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6)은 흡입호스(20)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유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부와 흡입호스(20)가 연통되도록 한다.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6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ction hose 20. The fastening hole 16 accommodates one side of the suction hose 20 therein to regulate the flow in a predetermined manner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ction hose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체결공(16)의 하측에는 상기 세제탱크(50) 내부에 수용된 세제물이 상기 본체(10) 외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연결구(1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18)는 일단부가 상기 세제탱크(50) 일측에 구비된 튜브(T)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호스(20)의 외주면을 따라서 구비된 관모양의 세제유동관(22)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세제탱크(50) 내부의 세제물은 청소영역으로 강제 가능하게 된다.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16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8 for guiding the detergent water contained in the detergent tank 50 to flow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connector 18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tube (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tergent tank 50, the other end of the tubular detergent flow pipe 22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hose (20) By being combined with the detergent water in the detergent tank 50 is forced to the cleaning area.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30)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호스(20)를 통해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물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유니트(30)의 전방에는 체결공(16)을 관통한 흡입호스(20)의 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흡입호스(20)와 집진유니트(30)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흡입가이드(32)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on unit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upper portion to allow the 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se 20 is accommodated therein, in fron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30 An end of the suction hose 20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16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guide 32 to allow the suction hose 2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3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흡입가이드(32)는 상방에서 볼 때 'ㄱ'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집진유니트(30) 내주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절곡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32)를 통해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물은 상기 집진유니트(30)의 내주면을 따라서 맴돌이되어 사이클론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사이클론에 의해서 발생된 상승기류로 인하여 이물 및 물과 공기를 분리 가능하게 된다.The suction guide 32 has a 'b'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bent and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30. Therefore, the 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uide 32 is circul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30 to form a cyclone, foreign matter, water and air due to the rising air generated by the cyclone Becomes separable.

따라서, 상기 집진유니트(30)를 상기 본체(10)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흡입가이드(32)와 체결공(16)의 중심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흡입가이드(32)는 내부에 상기 흡입호스(20)를 수용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e centers of the suction guide 32 and the fastening hole 16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nd the suction guide 32 is disposed therein. The suction hose 20 can be accommodated.

상기 집진유니트(30)의 상측에는 상기한 본체커버(4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커버(4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커버(40)의 상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본체손잡이(4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손잡이(42)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The body cover 40 is provided above the dust collecting unit 30. The main body cover 4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handle is formed rounded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 4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42 is formed. The body handle 42 facilitates the movement of the body 10 by allowing the user to grip.

상기 본체커버(40)의 하부에는 대략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된 물차단벽(46)이 구비된다. 상기 물차단벽(46)은 내부에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F)가 소정의 방식으로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필터(F)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커버(40)를 본체(10)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물차단벽(46)의 단부는 흡입가이드(32)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over 40 is provided with a water blocking wall 46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ubstantially lower opening. The water blocking wall 46 is a filter F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therein. The filter cover F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lter F is mounted. The end of the water barrier wall 46 is located below the suction guide 32.

따라서, 이물을 포함한 물이 상기 흡입가이드(32)를 통해서 상기 집진유니트(3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필터(F)는 물차단벽(46)에 의해서 오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건조한 상태로 사이클론에 의해서 상승되는 이물을 필터링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water including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30 through the suction guide 32, the filter F is in a dry state by blocking direct contact with the dirt by the water blocking wall 46. The foreign material raised by the cyclone can be filtered.

한편, 상기 세제탱크(5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방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크게 세제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탱크바디(52)와, 상기 탱크바디(52)의 내부를 차폐하는 탱크커버(54)와, 상기 탱크바디(52) 내부에 삽입되어 세제물이 세 제탱크(50) 외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튜브(T)와, 상기 튜브(T)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탱크커버(54)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T)의 이탈을 규제하는 튜브고정구(B)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etergent tank 50 is selectively removable in the inner rear of the main body 10, the tank body 52 is largely accommodated in the detergent water, and shielding the inside of the tank body 52 A tank cover 54, a tube T of a flexible material inserted into the tank body 52 to guide detergent water to flow out of the detergent tank 50, and the tube T inside. It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ank cover 54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tube fixing sphere (B) for regulating the separation of the tube (T).

상기 탱크커버(54)의 우측 상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천공 성형된 물주입구(55)가 구비된다. 상기 물주입구(55)는 세제탱크(50) 내부에 세제물을 유입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물주입구(55)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된 주입구마개(56)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세제물의 유입은 가능하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tank cover 54 is provided with a water injection hole 55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he water inlet 55 is used to inject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tank 50 and is selectively opened by an injection hole plug 56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water inlet 55 so that detergent water is introduced. Becomes possible.

상기 탱크커버(54)의 좌측 상면에는 상기 튜브고정구(B)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천공되고, 천공된 상하면 일측이 튜브고정구(B)의 외관 일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리브(Rib)모양으로 돌출된 볼고정부(58)가 구비된다. The left upper surface of the tank cover 54 is drilled in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tube fixture (B),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erforated rib (Rib) shap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ppearance of the tube fixture (B). A protruding ball fixing part 58 is provided.

상기 볼고정부(58)는 튜브고정구(B)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튜브고정구(B)를 내부에 수용시에 그 내주면이 상기 튜브고정구(B)의 외주면 일부와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튜브고정구(B)는 이탈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볼고정부(58)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The ball fixing portion 58 is formed in the same curvature as the tube fixture (B)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when receiving the tube fixture (B) in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fixture (B) The tube fixture (B)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a part to be rotatable inside the ball fixing portion 58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is restrict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탱크커버(54)에는 내부에 세제물을 주입하거나 주입된 세제물을 세제탱크(5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다수개 구비된다. That is, the tank cover 5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injecting the detergent water therein or for discharging the injected detergen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tank 50.

따라서, 세제탱크(50)의 관리가 난해하여 부품의 분실 또는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management of the detergent tank 50 is difficult, the loss or breakage of parts occurs frequently, resulting in a problem of ease of use.

또한, 많은 부품수로 인하여 진공청소기 자체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므로 가 격경쟁력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ice of the vacuum cleaner itself increas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it is not preferable in view of price competitiveness.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에 대한 구매욕 저하를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these problems are undesirable because it causes the user to lower the purchasing desire for the water cleaning combined vacuum cleaner.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탱크커버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도록 하는 볼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leaning combined use to increase the ease of use by providing a ball fixture for selectively shielding one side of the tank cover with the tube accommodated therein It is to provide a detergent tank of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고정구 단일의 부품으로 세제탱크의 세제물 주입 및 튜브고정구의 구속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ergent tank for a vacuum cleaner combined with a water clean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cleaner by allowing the detergent tank injection and the restraint of the tube fixture to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s a single part of the ball holder.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제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탱크바디와; 상기 탱크바디의 상측에 결합되어 탱크바디의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커버와;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탱크커버 내부에 삽입되고, 세제물이 상기 탱크바디 외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튜브와; 내부가 관통된 구(球)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튜브의 유동을 규제하는 튜브고정구과, 상기 튜브고정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탱크커버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상기 튜브고정구의 이탈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볼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한다.Detergent tank of the water cleaning combin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ank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upper opening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water therein; A tank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ank body to shield an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A tube which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tank cover and guides the detergent water to flow out of the tank body;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phere penetrates through the tube to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tube, and regulates the flow of the tube and the tube holder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ank cover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tank cover, It consists of a ball fixture that selectively regulates the release of the tube fixture.

상기 탱크커버의 일측에는 내부로 관통 성형되어 상기 볼고정구의 일측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볼고정구의 이탈을 구속하는 고정구구속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tank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xture restraint hole is formed to penetrate into the inside to accommodate the one side of the ball fixture to restrain the deviation of the ball fixture.

상기 볼고정구는, 상기 고정구구속공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구속공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볼고정구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구속공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 외측 테두리에서 상방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손잡이와, 상기 차폐부 일측에 상기 튜브고정볼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 성형되어 상기 튜브고정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볼수용공과, 상기 볼수용공의 외측테두리에서 돌출 성형되어 상기 튜브고정볼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튜브고정볼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all fastener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astener restraint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restraint hole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ball fastener is regulated,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 is fixed A shield for shielding the restraint hole, a gripping hand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shield to enable the user to grip, and punched to form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tube fixing ball on one side of the shield to fix the tube. Ball receiving hole to accommodate the ball and the outer edge of the ball receiv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ner rib during the rotation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tube fixing ball by surface contact with the tube fixing ball.

상기 회동안내리브는 튜브고정볼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rib during the ro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fixing ball.

상기 회동안내리브는 다수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rib during the first ti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탱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use of the detergent tank is increa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 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combined with wate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cleaning combined use vacuum clea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는 크게 바닥면의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00)과, 상기 흡입노즐(100)의 단부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관(200)과,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조작부(310)가 형성된 흡입호스(300)와, 상기 흡입호스(300)의 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전원 인가시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팬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4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100 to suck the foreign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large,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adjustable, flexible, A suction hose 300 formed of one material and having an operation part 3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an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end portion of the suction hose 300 to generate suction power when power is applied, are built in.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400.

상기 흡입노즐(100)은 바닥면의 이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물청소 수행시에 세제가 용해된 물이 청소 영역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노즐(100)의 저면에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관형상의 세제유동관(110)이 구비되며, 상기 세제유동관(110)은 그 단부가 아래에서 설명할 세제탱크(500) 일측과 연통되도록 고정 결합됨으로써 세제물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suction nozzle 100 sucks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dissolved in the detergent is sprayed to the cleaning area when performing the water clea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flexible having a small diameter Tubular detergent flow tube 110 is provided, the detergent flow tube 110 is fixedly coupled so that its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detergent tank 500 to be described below to enable the flow of detergent.

한편, 상기 본체(40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400') 내부에 상기 팬모터(미도시) 등의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곳이다. 즉, 전원 인가시에 청소영역에 세제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세제물을 이물과 함께 흡입하여 집진하는 진공청소기의 요부구성으로서 상기 본체케이스(400')의 하부에는 청소 수행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바퀴(410)가 장착됨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400 is a place where th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fan motor (not shown) is mounted in the main body case 400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at is, a main part of the vacuum cleaner which sprays detergent to the cleaning area when power is applied, and sucks and sprays the sprayed detergent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erial, and a pair of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case 400 'to facilitate cleaning. Wheels 410 are typically mounted.

그리고, 상기 본체(400)는 크게, 상기 본체(4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420)와, 상기 본체케이스(40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케이스(400')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커버(440)와, 상기 본체(400) 후방 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세제물을 수용하는 세제탱 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400 is largely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unit 42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400 and an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400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case 400'. The main body cover 440 to selectively shield the upper portion, and the main body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ergent tank 50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therein.

상기 본체케이스(400')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호스(30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 체결공(40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402)은 흡입호스(300)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유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본체(400) 내부와 흡입호스(300)가 연통되도록 한다.The front of the body case 400 ′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402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ction hose 300. The fastening hole 402 accommodates one side of the suction hose 300 therein to regulate the flow in a predetermined manner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00 and the suction hose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체결공(402)의 하측에는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에 수용된 세제물이 상기 본체(400) 외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연결구(40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404)는 일단부가 상기 세제유동관(110)의 일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소정의 유압을 발생하는 펌프(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에 수용된 세제물이 상기 흡입노즐(100)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402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404 for guiding the detergent water contained in the detergent tank 500 flow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400. The connector 40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etergent flow pipe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pump (not shown)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tank 500 is It is guided to flow to the suction nozzle (100).

상기 본체(400)의 전방부에는 양측면과 상면이 개구된 집진장착부(406)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장착부(406)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집진유니트(420)가 장착되는 곳으로 집진유니트(420)의 외형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양측면이 개구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420) 내부의 이물집진량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400 is formed with a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406, both sides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406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420 to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eign matter inside the dust collection unit 420 by opening both sides Of course, the amount of dust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상기 본체케이스(400')의 측면 상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기 본체커버(44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규제함으로써 본체커버(440)의 유동을 규제하는 걸림돌기(407)가 형성된다.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4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selectively regulate one side of the main body cover 440 to regulate the flow of the main body cover 440. A locking protrusion 407 is formed.

즉, 상기 걸림돌기(407)는 상기 본체커버(440)의 대략 중앙 하부에 돌출 성형된 걸림고리(442)와 걸림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강제하지 않는 한 상기 본체커 버(440)는 상기 본체케이스(4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407 is fixed to the locking ring 442 protrudingly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body cover 440, so that the main body cover 440 is the main body case unless the user is forced. 400 ').

상기 걸림돌기(407)의 상측에는 상기 팬모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이 상기 집진유니트(4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유니트(420) 일측과 씰링(Sealing)되는 씰링부(408)와, 회동에 의해서 중앙부가 상기 본체(400)의 상면과 소정의 높이로 이격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손잡이(409)가 장착된다. The sealing part 408 sealed to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so tha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fan motor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407. And a main body handle 409 which allows the user to grip the center part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by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상기 본체(400)의 후방에는 토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미도시)는 상기 흡입호스(300)를 통해서 본체(4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420)에 의해서 정화된 후에 상기 본체(40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필터(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재차 필터링되도록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A discharge part (not show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400. The discharge unit (not shown) allows the air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400 through the suction hose 3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400 after being purifi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By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filter (not shown), the discharged air can be configured to filter again.

한편, 상기 집진장착부(406)에는 상기한 집진유니트(420)가 장착된다. 상기 집진유니트(420)는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이물을 집진하는 구성으로 상기 집진장착부(406)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unit 406 is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dust collecting unit 420. The dust collection unit 420 is provided to be able to selectively withdraw / enter from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406 in a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by a cyclone method.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420)는 크게 상부가 개구된 통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천공된 흡입가이드(422')가 구비되어 이물을 포함한 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집진탱크(422)와, 상기 집진탱크(422) 내부에 장착되어 미세한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집진탱크(422)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집진커버(42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has a suction guide 422 ′ which is formed in a generally open upper portion and perforated therein, and includes a dust collecting tank 422 for receiving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therein, and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is provided with a filter (not shown) mounted inside to filter fine foreign matter, and a dust collecting cover 424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상기 흡입가이드(422')는 집진탱크(422)의 내주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개 구되며, 상기 흡입가이드(422')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한 물은 상기 집진탱크(422) 내부에서 맴돌이되어 하측에 집수되며, 가벼운 이물은 이러한 맴돌이에 의해서 발생된 사이클론으로 상승되어 상기 필터(미도시)에 의해서 필터링된다.The suction guide 422 'is opene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and water including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guide 422' is circ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and lowered. Light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cyclone generated by this eddy and is filtered by the filter (not shown).

한편, 상기 집진탱크(422) 상측에는 상기한 집진커버(424)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커버(424)는 집진탱크(422)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탱크(422)의 우측 상면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집진손잡이(426)가 형성되며, 저면과 후방을 관통해서는 상기 필터(미도시)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420)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로(428)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cover 424 is provided above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The dust collecting cover 424 selectively shields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and a dust collecting handle 426 is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ank 422 to allow a user to grip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a guide passage 428 is formed to guide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not shown)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따라서, 상기 안내유로(428)를 통해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본체(400) 내부에서 누설없이 상기 씰링부(408)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유로(428)은 상기 씰링부(40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guide passage 428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ortion 408 so that air exhausted through the guide passage 428 can flow into the sealing portion 408 without leaking inside the main body 4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한편, 상기 본체(400) 후방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세제탱크(500)가 장착된다. 상기 세제탱크(500)는 대략 반달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세제가 용해된 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펌프(미도시)와 소정의 방식으로 연통됨으로써 세제물은 상기 흡입노즐(100)로 분사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main body 400 is equipped with a detergent tank 5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tank 500 has a substantially half-moon-shaped cross s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accommodates water in which detergent is dissolved. The detergent tank communicates with the pump (not shown) in a predetermined manner so that the detergent water is sucked in. It is possible to spray by the nozzle 10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세제탱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세제탱크의 요부구성인 볼고정구의 종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ta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detergent tank of the dual-u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tank of the 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all fixing tool that is a main component of the water cleaning and vacuum cleaner detergen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탱크(50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세제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탱크바디(510)와, 상기 탱크바디(5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탱크바디(510)의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커버(52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미도시)와 그 단부가 연통되는 플렉시블한 튜브(530)에 의해서 세제탱크(500) 내부의 세제물은 상기 흡입노즐(100)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etergent tank 500 is a tank body 510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therein, and the tank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body 510 The exterior is formed by the tank cover 520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510, 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tank 500 by the flexible tube 530 that the end of the pump (not show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t is possible to flow to the suction nozzle (100).

상기 탱크바디(510)는 상단부가 도 5와 같이, 상기 탱크커버(520)의 하단부와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소정의 밀폐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의 세제물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에 보관 가능하게 된다.The tank body 510 is the upp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ank cover 520, as shown in Figure 5 by the fitting coupling metho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ealing force. Therefore, the detergent water inside the detergent tank 500 can be stored in the detergent tank 500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탱크커버(520)의 상면 좌측에는 소정의 크기로 관통 성형된 고정구구속공(5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은 상기 세제탱크(500)의 유일한 개구부로서 세제탱크(500) 내부에 세제물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cover 520 is provided with a fixing restraint hole 522 through a predetermined size. The fixture restraint hole 522 allows the injection of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tank 500 as the only opening of the detergent tank 500.

또한,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볼고정구(55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볼고정구(550)의 이탈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가 차폐되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astener restraint hole 522 also selectively accommodates one side of the ball fixture 550 to be described below to restrain the departure of the ball fixture 550 to simultaneously shield the inside of the detergent tank 500 To perform.

상기 세제탱크(500)의 상측에는 내부가 관통된 구(球)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530)의 유동을 규제하는 튜브고정구(540)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고정구(540)는 내부에 상기 튜브(53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천공된 튜브관통공(542)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530)의 관통을 가능하게 한다.An upper side of the detergent tank 500 is provided with a tube fixing sphere 540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phere penetrated therethrough to regulate the flow of the tube 530. The tube fixture 540 is formed therein through a tube through-hole 542 bored to the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530 to allow the tube 530 to penetrate.

따라서, 상기 튜브관통공(542)은 상기 튜브(53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53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tube through hole 54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so as not to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530 in the state in which the tube 530 is accommodated therein.

한편, 전술한 볼고정구(550)는 상기 튜브고정구(54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에 삽입 장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볼고정구(55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성형되는 삽입부(5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552)가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에 삽입되면 상기 볼고정구(550)는 세제탱크(500)로부터 이탈이 규제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ll fixture 55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ture fixture hole 522 in a state that accommodates the tube fixture 540 therein, the ball fixture 550 below the fixture fixture The insertion part 55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522. Therefore, when the inserting portion 552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restraint hole 522, the ball fixing tool 550 is restricted from the detergent tank 500.

상기 삽입부(552)의 상단부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차폐부(554)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554)는 상기 삽입부(552)의 외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삽입부(552)가 고정구구속공(522)에 삽입시에 저면이 상기 탱크커버(520)의 상면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세제탱크(500)의 내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552 is provided with a shield 554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The shield 554 is formed to have a slightly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552, the bottom surface is the tank cover 520 when the insertion portion 55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estraint hole 522.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tank 500 serves to shield the inside.

상기 차폐부(554) 외측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으로 상방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손잡이(556)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554)의 중앙부에는 상기 튜브고정구(540)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 성형된 볼수용공(558)이 구비된다. A gripping handle 556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part 554 to protrude upward with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a user can grip it, and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tube fixture 5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554. A ball receiving hole 558 is formed to have a hole.

따라서, 상기 볼수용공(558)에 튜브고정구(54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튜브고정구(540)는 상하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의 유동은 규제된다.Therefore, when the tube fixture 540 is inserted into the ball receiving hole 558, the tube fixture 540 is restricted in the flow in all directions except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볼수용공(558)의 외측테두리 상하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회동안내리브(559)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리브(559)는 그 내주면 이 상기 튜브고정구(54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튜브고정구(540)를 내부에 수용시에 튜브고정구(54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된다.The inner ribs 559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receiving hole 558 so as to protrude rounded to a predetermined width. Since the inner rib 559 is provid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fixture 540, the inner rib 559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fixture 540 when the tube holder 540 is accommodated therein. .

따라서, 상기 튜브고정구(540)가 회동안내리브(559)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튜브고정구(540)는 내부에 튜브(53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동안내리브(559)에 의해서 구속되어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며,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볼수용공(558)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ube fixture 54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ribs 559 for the first time, the tube fixture 540 is restrained by the inner rib 559 for the predetermined time with the tube 530 inserted therein. It can be rotated by an angle and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all holding hole 558 unless a strong tensile force is applied.

이하에서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를 사용한 카페트의 청소 수행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leaning a carpet using a water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집진유니트(420)를 집진장착부(406) 내부에 삽입한 후에 상기 흡입호스(300)의 단부를 상기 체결공(402)에 삽입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가이드(422')는 체결공(402)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서로 연통 가능하게 된다.First,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is inserted into the dust collecting mounting part 406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and then the end of the suction hose 3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02. In this case, the suction guide 422 ′ is plac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astening hole 402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상기 펌프(미도시)와 팬모터(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는 세제물의 분사 및 이물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 즉 청소 수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by operating power to the pump (not shown) and the fan motor (not shown)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310, the dual-purpose vacuum cleaner is capable of spraying detergent and inhaling foreign substances, that is, cleaning can be performed. It becomes a state.

이런 상태에서 오물에 의해서 오염된 카페트로 진공청소기를 이동시켜 상기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의 세제물을 분사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세제물은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로부터 튜브(530) 및 펌프(미도시)를 지나 상기 세제유동관(110)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흡입노즐(100)의 저면으로 토출됨으로써 카페트의 상면에 분사된다.In this state, the vacuum cleaner is moved to the carpet contaminated by the dirt to operate the pump (not shown) to spray the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tank 500. In more detail, the detergent flows through the tube 530 and the pump (not shown) from the inside of the detergent tank 500 to the detergent flow pipe 1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100 by carpet Spr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카페트(미도시)에 분사된 세제물은 카페트에 부착된 오염물을 중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노즐(100)에 의해서 흡입되며, 상기 흡입노즐(100)에 의해서 흡입된 오염물은 상기 연장관(200) 및 흡입호스(300)를 거쳐 상기 집진유니트(420) 내부로 유입된다.The detergent sprayed on the carpet (not shown) neutralizes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carpet and is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100, and the contaminants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100 are extended by the extension pipe 200. And i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through the suction hose 300.

상기 집진유니트(420) 내부로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세제물은 흡입가이드(422')의 형성방향에 의해서 상기 집진탱크(422) 내부에서 맴돌이되어 사이클론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무거운 이물 및 세제물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집수되고 가벼운 이물은 상기 필터(미도시)에 의해서 필터링됨으로써 정화된 공기는 상기 안내유로(428)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420) 외부로 배기된다.Detergent including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on unit 420 is circulated in the dust collection tank 422 by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guide 422 'to form a cyclone. In addition, the relatively heavy foreign substances and detergents are collected by falling downward and the light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by the filter (not shown) so that the purified air is exhausted ou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through the guide passage 428. .

상기 집진유니트(420)에 의해서 이물의 제거가 완료된 공기는 상기 씰링부(408) 및 팬모터(미도시)를 지나 상기 토출부(미도시)로 토출되면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청소 수행은 완료된다. The air, which has been remov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42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aling part 408 and the fan motor (not shown)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Is done.

한편, 청소 수행중에 상기 세제탱크(500) 내부의 세제물이 소진되면 상기 세제탱크(500)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파지손잡이(556)를 파지하여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볼고정구(550)를 고정구구속공(522)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water in the detergent tank 500 during the cleaning is exhausted, the detergent tank 500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 by holding the grip handle 556 to apply a tensile force to the ball fixture 550 To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restraint hole 522.

그리고, 상기 볼고정구(550)가 고정구구속공(522)으로부터 분리시에 상기 튜브고정구(540)는 튜브(53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탱크커버(52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며, 상기 세제탱크(500)는 내부가 개구됨으로써 세제물의 주입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all fixing tool 55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tool restraint hole 522, the tube fixing tool 540 is simultaneously separated from the tank cover 520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530 is accommodated therein. The tank 500 is opened to allow the injection of detergent.

세제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볼고정구(550)의 삽입부(552)를 상기 고정구 구속공(522)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고정구(540)는 내부에 상기 튜브(53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볼수용공(558)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회동안내리브(559)의 내주면에 의해서 구속되어 이탈은 규제된다.When the injection of the detergent is completed, the insertion portion 552 of the ball fixture 550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restraint hole 522. At this time, the tube fixture 540 is rotatable inside the ball receiving hole 558 in the state that accommodates the tube 530 therein and is restrain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b 559 during the rotation is restrained is restricted. .

그리고,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554)에 의해서 차폐됨으로써 상기 세제탱크(500) 외부로의 세제물 유출은 방지된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fastening hole 522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part 554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detergen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tank 50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는, 볼고정구 단일의 부품으로 세제탱크의 세제물 주입 및 튜브고정구의 구속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Combined water clean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the confinement of the detergent water injection and tube fixture of the detergent tank as a single part of the ball fixture.

따라서, 단일부품의 다기능화로 인하여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이 방지되며,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loss and damage of parts are prevented due to the multifunctionality of a single par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ase of use is increased.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인하여 진공청소기 자체의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erms of economics, the cost competitiveness of the vacuum cleaner itself is improved due to the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Claims (5)

상부가 개구된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제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탱크바디(510)와;A tank body 510 which is formed in a container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accommodate detergent therein; 상기 탱크바디(5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탱크바디(510)의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커버(520)와;A tank cover 5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ank body 510 and shielding an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510;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탱크커버(520) 내부에 삽입되고, 세제물이 상기 탱크바디(510) 외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튜브(530)와;A tube 530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tank cover 520 and guiding detergent water to flow out of the tank body 510; 내부가 관통된 구(球)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530)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튜브(530)의 유동을 규제하는 튜브고정구(540)와,A tube fixture 540 which is formed in a sphere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enetrated and accommodates the tube 530 therein and regulates the flow of the tube 530; 상기 튜브고정구(54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탱크커버(520)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튜브고정구(540)의 이탈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볼고정구(5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The ball holder 54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ank cover 520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holder 540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ncludes a ball holder 550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separation of the tube holder 540. Detergent tank for water vacuum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커버(520)의 일측에는 내부로 관통 성형되어 상기 볼고정구(550)의 일측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볼고정구(550)의 이탈을 구속하는 고정구구속공(52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tank cover 520 is provided with a fixture restraint hole 522 to constrain the separation of the ball fixture 550 by receiving the one side of the ball fixture 550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Detergent tank for water cleaning combine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고정구(550)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ll fixture 550, 상기 고정구구속공(522)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 구속공(522)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볼고정구(550)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삽입부(552)와,An insertion part 552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xing tool restraint hole 522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restraint hole 522 to restrict the separation of the ball fixing tool 550; 상기 삽입부(552)의 상면에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구속공(522)을 차폐하는 차폐부(554)와,A shielding portion 554 formed on a top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52 to shield the fastener restraint hole 522; 상기 차폐부(554) 외측 테두리에서 상방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손잡이(556)와,A grip handle 556 that protrudes upward from an outer edge of the shield 554 to enable a user to grip; 상기 차폐부(554) 일측에 상기 튜브고정구(540)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 성형되어 상기 튜브고정구(540)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볼수용공(558)과,A ball receiving hole 558 formed to be perforat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tube fixture 540 on one side of the shielding portion 554 and to accommodate the tube fixture 540; 상기 볼수용공(558)의 외측테두리에서 돌출 성형되어 상기 튜브고정구(540)와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튜브고정구(540)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리브(55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Water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ner rib 559 during the rotational projection of the tube holder 540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edge of the ball receiving hole 558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tube fixture 540 by surface contact with the tube fixture 540. Detergent tank for combined vacuum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리브(559)는 튜브고정구(54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The detergent tank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rib 559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tube fixture 54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리브(559)는 다수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5. The detergent tank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rib 559 is provided in plurality.
KR1020050034836A 2005-04-27 2005-04-27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101068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836A KR101068374B1 (en) 2005-04-27 2005-04-27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836A KR101068374B1 (en) 2005-04-27 2005-04-27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21A KR20060112421A (en) 2006-11-01
KR101068374B1 true KR101068374B1 (en) 2011-09-28

Family

ID=3762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8374B1 (en) 2005-04-27 2005-04-27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3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775A (en) * 1989-11-30 1991-06-29 시끼 모리야 Connection device
KR910010775U (en) * 1989-12-28 1991-07-29 주식회사 금성사 Blower device for vacuum cleaner for carpet cleaning
KR910016651A (en) * 1990-03-13 1991-11-05 미쉘 에리띠에 Process for preparing alkylated aromatic products using alkylated zeolites and dealkylated zeolites
KR20050019270A (en)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KR20050019275A (en)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cooling motor of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775A (en) * 1989-11-30 1991-06-29 시끼 모리야 Connection device
KR910010775U (en) * 1989-12-28 1991-07-29 주식회사 금성사 Blower device for vacuum cleaner for carpet cleaning
KR910016651A (en) * 1990-03-13 1991-11-05 미쉘 에리띠에 Process for preparing alkylated aromatic products using alkylated zeolites and dealkylated zeolites
KR20050019270A (en)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KR20050019275A (en)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cooling motor of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21A (en)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218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769232B1 (en) Cleaner and water cleaning devce
EP1535560B1 (en)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KR100934134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1249201B1 (en) Water circulation cleaner
KR100895129B1 (en) Nozzle of cleaner
RU2675093C1 (en) Vacuum cleaner and device for water cleaning
CN106163358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196128B1 (en) Open/closing apparatus of dust collecting unit
KR101903229B1 (en) Robot Cleaner
KR101068374B1 (en) Detergent tank for water and vacuum cleaner
CN210095642U (en) Accessory brush of cleaning equipment, accessory assembly and cleaning equipment
KR20190000620A (en) Cleaner
KR102328244B1 (en) Cleaner
KR20060100500A (en) Nozzle Assembly for Water Vacuum Cleaner
KR101761087B1 (en) Cleaner and water cleaning device
KR101199399B1 (en)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166576B1 (en)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KR102709217B1 (en) Carpet washing device
KR102720026B1 (en) Guide 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KR101903257B1 (en) Vacuum cleaner
KR100611016B1 (en) Power cord clea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230127687A (en) Cleaner
KR100944747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200460576Y1 (en) Vacuum cleaner for handy typ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