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7600B1 - 오토 스토퍼 - Google Patents

오토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600B1
KR101067600B1 KR1020090106289A KR20090106289A KR101067600B1 KR 101067600 B1 KR101067600 B1 KR 101067600B1 KR 1020090106289 A KR1020090106289 A KR 1020090106289A KR 20090106289 A KR20090106289 A KR 20090106289A KR 101067600 B1 KR101067600 B1 KR 10106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door
fixed
support
inne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320A (ko
Inventor
이찬봉
Original Assignee
이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봉 filed Critical 이찬봉
Priority to KR102009010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6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6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는 오토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 커버, 상기 제1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 커버를 중심으로 바닥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탄성체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라도 지지바가 도어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토 스토퍼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오토 스토퍼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토 스토퍼{AUTO DOOR STOPPER}
본 발명은 오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되어 고정된 문을 매우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어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오토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 스토퍼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닫히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되, 주로 도어 클로우저가 장착되어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 강제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 도어 스토퍼는 도어상에 체결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일단이 지지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과 마찰되는 지지부재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작동상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사용자가 발이나 손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당기면 중력에 의해 지지부재가 베이스부재상에서 회동되어 아래 로 내려와 저면이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로 정지되고, 도어를 닫을시 도어를 후방으로 살짝 밀면서 다시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들어올린 상태로 도어를 닫게 된다.
이처럼, 도어 스토퍼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시키거나 다시 닫을 경우 일일이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아래로 내리거나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따르고,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한발로 균형을 잡고 다른 한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조작하는 동작이 사실상 어려워 주로 손을 사용함에 따라 상당히 비위생적인 실정이다.
한편, 상기 전술하는 도어 스토퍼의 조작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지지핀상에 토션 스프링을 개재하여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시 발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지지부재를 내리고, 도어를 닫을시 도어를 후방으로 살짝 밀어주면 지지부재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 도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닫을 수 있는 자동 도어 스토퍼(오토 스토퍼: auto stopper)가 시중에 제조/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한 스토퍼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이지 못하고 고장이 잦으며, 바람 등에 의한 작은 충격에도 문이 닫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바가 회동하여 문에 부딪히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거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지지바가 문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고, 지지바가 도어 방향으로 회동시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를 상하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으로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 커버, 상기 제1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 커버를 중심으로 바닥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제2가이드홈을 가지는 한 쌍의 구형턱을 가지는 외측 커버;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상면에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제2가이드홈과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선단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을 가지는 내측 커버; 상기 내·외측 커버의 제1, 2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 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제1축공, 및 타단에 구비되어 도어를 지지하도록 바닥면에 접지되는 접지부재를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 커버를 중심으로 바닥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매우 편리하게 닫을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오토 스토퍼가 제공된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고,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에 따라 도어에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 의하여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가 회동시 도어에 근접하는 경우 속도를 감쇄시킬 수 있어 도어 표면에 흠집이 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지지바를 회동시키는 탄성체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라도 지지바가 하부로 늘어져 내려오지 않고 도어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오토 스토퍼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오토 스토퍼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오토 스토퍼를 고정시킬 수 있고, 오토 스토퍼의 마모나 다양한 형태의 바닥면 및 높이에 대응하여 충분한 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를 강제로 정지시키는 오토 스토퍼에 관련되며, 이때 오토 스토퍼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의 하부 귀퉁이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를 강제로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키면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해 도어가 정지되므로 사용자가 도어를 정지시키거나 다시 닫을 경우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 커버, 지지바 그리고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가 도어(D)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내측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는 내측 커버(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커버(20)는 제1가이드홈(22a)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D)에 고정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22a)에는 지지바(30)가 탄성에 의하여 회동하는 경우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지지핀(32a) 등이 안착된다. 상기 제1지지핀은 상기 내측 커버(20) 또는 지지바(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과는 분리된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22a)은 상기 내측 커버(20)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서 돌출된 가이드바(22) 의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커버(20)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상기 도어(D)에 고정될 수도 있고, 내측 커버(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체결공(24)등을 통하여 나사결합 등의 방식 등으로 도어(D)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바(30)가 상기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지지바(30)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30)가 예를 들면 도어(D)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30)가 회동하는 경로의 상기 내측 커버(20)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홀딩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 스토퍼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도어(D)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지지바(30)가 탄성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어(D)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D)는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가 이동하는 경로인 상기 내측 커버(20)의 내측에 예를 들면, 돌출된 형태의 제1홀딩부(27)를 형성하면, 상기 지지바(30)가 회동하다가 상기 제1홀딩부(27)가 형성된 구간에서는 마찰에 의하여 (뻑뻑하게 되고) 속도가 감소되고,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오토 스토퍼가 도어(D)에 강하게 부딪혀서 소음이나 도어(D)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토 스토퍼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탄성부재(40)가 제공하는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 도어(D)가 닫혀 있을 때에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측에 고정되지 않고 아래로 늘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돌출된 형태의 제1 홀딩부(27) 쪽에 위치시키면 도어(D) 측으로 지지바(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는 지지바(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0)는 제1가이드홈(22a)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32a)을 중심으로 바닥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D)에 맞닿는 위치가 회동한다. 상기 지지바(30)가 바닥면에 맞닿는 경우 도어(D)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D)가 개방된 상태이면 도어(D)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0)는 인위적인 힘 등에 의하여 도어(D)가 밀리는 경우 바닥면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 경우 후술하는 탄성부재(4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는 다른 일단에 접지부재(50)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미끄럼방지턱(34)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턱(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의 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지지바(30)를 밟을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접지부재(50)는 바닥면에 마찰되어 도어(D)가 닫히지 않도록 제2지지핀(52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지지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오토 스토퍼는 상기 지지바(30)가 상기 내측 커버(20)를 중심으로 바닥면에서 상기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항시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30)는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항상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지만, 지지바(30)가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지지바(30)와 바닥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지만, 이와 같은 마찰력이 없어지면 상기 지지바(30)를 도어(D)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 다.
한편, 상기 내측 커버(20)에 형성되어 고정부재(E)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지지바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지지바(3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E)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 고정부와 지지바(30)에 형성된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고무줄이나 끈 등의 고정부재(E)로 연결하여 고정하여 두면, 사람이 문을 밀어도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쪽으로 회동하지 않고 바닥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어(D)가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 등으로 도어(D)가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E)로 상기 제1지지바 고정부와 상기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연결하여 고정하면, 도어(D)가 바닥면을 지지하여 도어(D)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지지바 고정부는 상기 내측 커버(20)에 형성된 홀이나 걸림턱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바 고정부(36) 역시 상기 지지바(30)에 형성된 홈이나 걸림턱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E)를 연결하여 고정하여 둘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오토 스토퍼는 상기 도어(D)에 고정되고 이동레일을 가지는 접착 보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 커버(20)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측 커버(20)는 상기 접착 보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D)에 고정된다.
상기 접착 보조판은 상기 도어(D)에 나사못이나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 커버(20)가 이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내측 커버(20)보다 상기 도어(D)에 접하는 부분이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커버(20)는 상기 접착 보조판(6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30)가 마모된 경우, 최초에 정확한 위치에 오토 스토퍼를 설치하지 못한 경우, 바닥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한 경우 등의 경우도 편리하고 간단하게 오토 스토퍼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충분한 접지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도어(D)를 개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 커버(20)를 상기 접착 보조판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 보조판 및 상기 내측 커버(20)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요철을 구성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도 9 및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토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내측 커버 및 외측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들이고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접지부 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외측 커버(10), 내측 커버(20), 지지바(30), 탄성부재(4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 커버(10)는 상기 도어(D)에 직접 결속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 보조판(60)을 통하여 상기 도어(D)에 결속된다. 이러한 결속은 예를 들면, 나사 결합이나, 양면 테이프를 통한 접착 등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나사 결합을 하는 경우 상기 외측 커버(1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10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도어(D)에 결합된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통한 접착을 하는 경우 상기 외측 커버(10)는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도어(D)표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의 경우보다 더 넓은 접착면적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커버(10)의 중앙부분에는 결합공(12)과 함께 제2가이드홈(14a)이 구비되는 한 쌍의 구형턱(14)이 돌출되고, 외측 커버(10)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커버(10)는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결합공(12)이 형성되되, 결합공(12)은 후술하는 내측 커버(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외측 커버(10)가 도어(D)에 고정되면 상기 내측 커버(20)도 함께 도어(D)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외측 커버(10)와 내측 커버(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홈이나 돌출부 등이 필요없다. 따라서 기존의 오토 스토퍼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커버(10)의 양단에 한 쌍의 구형턱(14)이 형성된다. 한 쌍의 구형턱(14)은 외측 커버(1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후술하는 지지바(30)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내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제2가이드홈(14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홈(14a)은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외측 커버(10)의 결합공(12)을 통하여 체결되는 후술하는 내측 커버(20)의 제1가이드홈(22a)과 맞물려 제1지지핀(32a)의 양단이 결속된다.
한편,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제1지지핀(32a)을 양단에서 결속하기 위한 지지구로서, 제1지지핀(32a)의 양단이 제1, 2가이드홈에 결속된 상태로 좌우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외측 커버(10)는 제3지지바 고정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 고정부(16)와 후술하는 지지바(30)에 형성된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고무줄이나 끈 등의 고정부재(E)로 연결하여 고정하여 두면, 사람이 문을 밀어도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쪽으로 회동하지 않고 바닥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어(D)가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 등으로 도어(D)가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E)로 상기 제3지지바 고정부(16)와 상기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연결하여 고정하면, 도어(D)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제3지지바 고정부(16)를 상기 외측 커버(10)에 형성된 홀로 표시하였으나, 상기 제3지지바 고정부(16)의 형태는 이 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E)를 연결하여 고정하여 둘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외측 커버(10)의 구형턱(14) 내측에는 상기 도어(D) 방향으로 지지바(30)가 회동할 때, 상기 지지바(30)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30)의 회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홀딩부(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 스토퍼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도어(D)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지지바(30)가 탄성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어(D)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D)는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가 이동하는 경로인 상기 구형턱(14)의 내측에 예를 들면, 돌출된 형태의 제2홀딩부(17)를 형성하면, 상기 지지바(30)가 회동하다가 상기 제2홀딩부(17)가 형성된 구간에서는 마찰에 의하여 (뻑뻑하게 되고) 속도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2홀딩부(17)를 형성하면 오토 스토퍼가 도어(D)에 강하게 부딪혀서 소음이나 도어(D)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토 스토퍼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탄성부재(40)가 제공하는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 도어(D)가 닫혀 있을 때에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측에 고정되지 않고 아래로 늘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돌출된 형태의 제2홀딩부(17) 쪽에 위치시키면 도어(D) 측으로 지지바(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커버(20)는 외측 커버(10)의 결합공(12)에 삽입되면서 상면에 제2가이드홈(14a)과 맞물리도록 한 쌍의 가이드바(22) 가 돌출되어 선단면에 제1가이드홈(22a)이 형성된다. 내측 커버(20)는 외측 커버(10)의 결합공(12)형상과 동일한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커버(20)는 외측 커버(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상태로 제2가이드홈(14a)과 대응하는 일면에 한 쌍의 가이드바(22)와 함께 제1가이드홈(2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22)는 내측 커버(20)의 일면에서 구형턱(14)의 제2가이드홈(14a)에 인접하도록 돌출되고, 제2가이드홈(14a)과 대응하는 상면에 반구형태의 제1가이드홈(22a)이 형성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 커버(20)(10)를 조립시 반구형태의 제1, 2가이드홈(14a)(22a)이 서로 맞물려 원형을 이루므로 후술하는 제1지지핀(32a)의 양단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30)는 내·외측 커버(20)(10)의 상기 제1, 2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32a)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선단부에 제1축공(32)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접지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30)는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에 제1축공(32)이 형성되어 제1지지핀(32a)이 삽입된다. 제1지지핀(32a)은 제1축공(32)을 통하여 지지바(30)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이 내·외측 커버(20)(10)의 상기 제1, 2가이드홈에 맞물려 결속된다.
이에, 상기 지지바(30)가 제1지지핀(32a)을 축으로 내·외측 커버(20)(10)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동은 탄성부재(4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0)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중 토션 스프 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0)로서 2중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바(30)의 제1지지핀(32a) 양단에 삽입되어 일단이 내측 커버(20)에 결속되면서 다른 일단은 지지바(3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2중 토션 스프링은 한 쌍의 토션 스프링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써, 도 6에서처럼 지지바(30)의 제1축공(32)상에 삽입된 제1지지핀(32a)의 양단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이 내측 커버(20)의 상면에 결속되고, 다른 일단은 지지바(30)상에 맞물려 탄성력에 의해 지지바(30)가 상부로 접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2중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토션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바(30)의 양단에서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함에 따라 지지바(30)가 절첩되는 중에 탄성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뒤틀림이나 오작동이 방지됨은 물론 도어(D)를 닫을 시보다 신속하게 상부로 접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는 다른 일단에 접지부재(50)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미끄럼방지턱(34)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턱(34)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의 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지지바(30)를 밟을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접지부재(50)는 바닥면에 마찰되어 도어(D)가 닫히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50)는 저면에 패드(50a)가 구비되면서 지지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축공(52)상에 제2지지핀(52a)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3축공(53)이 형성되되, 지지바(30)와 접지부재(50)사이에 코일스프링(54)이 개재되어 접지부재(50)가 일방향으로 탄지된다. 접지부재(50)는 지지바(30)와 별도로 분할제작되면서 도 8과 같이 음양각 구조로 맞물려 제2, 3축공(52)(53)과 제2지지핀(52a)을 통하여 지지바(30)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접지부재(50)가 설치되는 지지바(30)의 끝단위치에 제2축공(52)이 관통되고, 제2축공(52)과 대응하는 접지부재(50)의 양단에 제3축공(53)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지지바(30)상에 접지부재(50)를 조립한 상태로 제2, 3축공(52)(53)을 연통되도록 일치시키고 제2지지핀(52a)을 체결하면 접지부재(50)가 제2지지핀(52a)을 축으로 지지바(30)상에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이때 접지부재(50)는 코일스프링(54)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스프링(54)은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핀(52a)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지부재(50)와 지지바(30)사이에 개재되되, 제2지지핀(52a)의 측방에 설치되어 접지부재(50)를 일방향으로 탄지시킨다. 이에 접지부재(50)의 저면이 바닥면과 평형하게 유지되지 않더라도 제2지지핀(52a)을 축으로 회동되어 저면이 전체적으로 바닥면에 접지되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특히 도어(D)가 미끄러지려고 할 때 더 강한 접지력이 발생되어 도어(D)를 더욱 건실하게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50)는 저면에 패드(50a)가 설치되는 바, 패드(50a)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부재(50)가 바닥면에 접지시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도어(D)가 정지된 상태로 미끄러짐에 의해 닫히는 작동불량이 미연에 예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고정부재(E)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 지지바 고정부(36)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바 고정부(16)와 제2지지바 고정부(36)를 고정부재(E)를 사용하여 묶어두면, 도어(D)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바닥면 상태 및 문에서 바닥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D) 상에서 상기 오토 스토퍼의 고정 위치를 조절 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의 위치조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어(D)에 접착되는 접착 보조판(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 보조판(60)은 나사못이나 양면 테이프 등으로 도어(D)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커버(10)가 이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외측 커버(10)보다 상기 도어(D)에 접하는 부분이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보조판(60)은 상기 외측 커버(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62)을 가진다. 상기 이동레일(62)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홈(64)의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동레일(62)을 따라 상기 외측 커버(10)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제1위치고정 체결부재(62) 및 제2위치고정 체결부재(19)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 체결부재(62) 및 제2위치고정 체 결부재(19)로는 상기 외측 커버(10)를 상기 도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접지면이 마모된 경우, 오토 스토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바닥면의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등에도 충분한 접지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도어(D)를 개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작동상에 있어서, 도어(D)를 개방한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발을 사용하여 오토 스토퍼의 지지바(30)를 밟아 접지부재(50)를 바닥면에 밀착시키면 도어(D)가 닫히려는 반발력에 의해 접지부재(50)가 바닥면에 마찰되어 도어(D)가 정지된다.
그리고 도어(D)를 닫을 경우, 사용자가 도어(D)를 후방으로 살짝 밀어 개방시키면 지지바(30)가 탄성부재(40)에 의해 상부로 접히면서 원점으로 복귀되므로 자동 닫힘 도어(D)의 위치 정지 및 해제에 따른 편이성이 제공된다. 한편, 외측커버(10)를 사용하는 경우 오토 스토퍼의 연결부분 및 제1지지핀(32a), 탄성부재(40), 제2지지핀(52a), 코일스프링(54) 등과 같은 구성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오토 스토퍼의 내부로 모두 수용되도록 설치되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심미감이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내측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내측 커버 및 외측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접지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의 위치조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외측커버 10a: 제2체결공
12: 결합공 14: 구형턱
14a: 제2가이드홈 16: 제3 지지바 고정부
17: 제2홀딩부 19 : 제2 위치고정 체결부재
20: 내측커버 22: 가이드바
22a: 제1가이드홈 24: 제1 체결공
27: 제1 홀딩부 30: 지지바
32: 제1축공 32a :제1지지핀
34: 미끄럼방지턱 36 : 제2 지지바 고정부
40: 탄성부재 50: 접지부재
52: 제2축공 52a: 제2지지핀
53: 제3축공 54: 코일스프링
60: 접착 보조판 62: 제1 위치고정 체결부재
64: 이동홈

Claims (8)

  1. 제1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
    상기 제1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가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지지바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가 회동하는 경로의 상기 내측커버 상에 형성된 제1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지지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바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지지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 고정부 및 상기 제2지지바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이동레일을 가지는 접착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커버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접착 보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5.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제2가이드홈을 가지는 한 쌍의 구형턱을 가지는 외측커버;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상면에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제2가이드홈과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선단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을 가지는 내측커버;
    상기 내·외측커버의 제1, 2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지지핀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제1축공, 및 타단에 구비되어 도어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재를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가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지지바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가 회동하는 경로의 상기 외측커버 상에 형성된 제2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3지지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바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지지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바 고정부 및 상기 제2지지바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이동레일을 가지는 접착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접착 보조판을 사이에 두고 제1위치고정체결부 및 제2위치고정체결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KR1020090106289A 2009-11-05 2009-11-05 오토 스토퍼 Expired - Fee Related KR10106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89A KR101067600B1 (ko) 2009-11-05 2009-11-05 오토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89A KR101067600B1 (ko) 2009-11-05 2009-11-05 오토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320A KR20110049320A (ko) 2011-05-12
KR101067600B1 true KR101067600B1 (ko) 2011-09-28

Family

ID=4436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2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7600B1 (ko) 2009-11-05 2009-11-05 오토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260B1 (ko) * 2011-11-21 2013-07-15 이찬봉 오토 스토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67B1 (ko) 2003-10-14 2005-11-29 윤창용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100821931B1 (ko) 2000-11-08 2008-04-14 가부시키가이샤 닛쇼 도어스톱장치, 도어스톱장치의 바닥면용부재 및 도어용부재
KR100916357B1 (ko) 2007-08-21 2009-09-11 전기용 도어 스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31B1 (ko) 2000-11-08 2008-04-14 가부시키가이샤 닛쇼 도어스톱장치, 도어스톱장치의 바닥면용부재 및 도어용부재
KR100532267B1 (ko) 2003-10-14 2005-11-29 윤창용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100916357B1 (ko) 2007-08-21 2009-09-11 전기용 도어 스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320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7154B (zh) 铰链
US20130239363A1 (en) Slow-Down Mechanism Placed in Furniture Hinge
BR112019027835A2 (pt) acessório de obturador e peça de móvel
US20110232036A1 (en) Door Construction with Closing Pivot Hinges Integrated Into Door Panel
US6017293A (en) Doorway supported swing assembly
WO2018149156A1 (zh) 一种美式阻尼液压铰链
US20140001775A1 (en) Clip on doorstop
KR101067600B1 (ko) 오토 스토퍼
CN106320906A (zh) 固定装置
US20070099760A1 (en) Arm exerciser
KR100916357B1 (ko) 도어 스톱장치
KR101284260B1 (ko) 오토 스토퍼
US20050225100A1 (en) Rocking doorstop
KR200367636Y1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KR102440735B1 (ko) 도어용 스토퍼
KR100987120B1 (ko) 스토퍼가 내장되는 도어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KR200325008Y1 (ko) 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KR200454762Y1 (ko) 자동복귀 도어스토퍼
KR20220059614A (ko) 도어 스토퍼
KR101295636B1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20130002667U (ko) 도어 스토퍼
CA2129262A1 (en) Combination walking stick and seat
KR200388946Y1 (ko) 스토퍼 기능을 갖는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110121180A (ko) 도어 클로저 일체형 도어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61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3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