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7409B1 -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409B1
KR101067409B1 KR1020100090767A KR20100090767A KR101067409B1 KR 101067409 B1 KR101067409 B1 KR 101067409B1 KR 1020100090767 A KR1020100090767 A KR 1020100090767A KR 20100090767 A KR20100090767 A KR 20100090767A KR 101067409 B1 KR101067409 B1 KR 10106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resin composition
carb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9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1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ketones with phen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60 ~ 80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4 중량% , 탄소나노물질 0.5 ~ 1.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2 ~ 8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항균 성분으로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0.005 ~ 0.1 중량%,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 4 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4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용 파이프 및 이음관의 성형재료로 사용되었을 때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과 우수한 항균성을 발휘함은 물론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분말로 인하여 음이온을 방사하면서 탈취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A POLY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HAVING DEODORIZING ACTIVITY}
본 발명은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과 우수한 항균성을 가짐은 물론 음이온 방사와 탈취 효과를 가지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은 상수도와 같은 급수용 파이프 또는 그 이음관에 사용되어 뛰어난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은 염화비닐의 단독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중합체(混成重合體)를 일컫는 것이다.
폴리염화비닐은 결정성이 낮고, 가공시 접착이 어려운 특징이 있으며, 연질 제품으로서 포장용농업용 등의 시트나 필름에 사용되고, 경질 제품에서는 압출성형에 의한 수도관의 제조 등에 쓰이고 있다.
한편, 수돗물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대장균 등의 세균을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염소를 사용하고 있지만 수돗물에 잔존하는 잔류 염소가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체된 수돗물에서 증식하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기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철관이나 합성수지관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수돗물의 염소 냄새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으로 역한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 우리나라의 일반 가정에서 수돗물을 그대로 식수로 음용하는 예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돗물의 수돗물의 염소 냄새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으로 역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할 수 있는 상수도 파이프 및 그 이음관용 수지 조성물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높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안전성과 항균성의 지속력이 뛰어나면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분말로 인하여 음이온을 방사하면서 탈취 능력이 뛰어난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60 ~ 80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4 중량% , 탄소나노물질 0.5 ~ 1.5 중량% 및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2 ~ 8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항균 성분으로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0.005 ~ 0.1 중량%,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 4 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4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입경, 섬유 직경 또는 층 두께가 200nm 미만인 탄소 나노입자, 20nm 미만인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 또는 200nm 미만의 층상 탄소 나노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황토, 장석, 벤토나이트, 고령토, 포졸란 및 토르말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평균 입자크기가 10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파이프 또는 파이프 이음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함께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탄소나노물질 및 실란계 커플제를 함유하여 높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고, 은과 아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화합물이 복합으로 사용되어 조성물 중의 실란계 커플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최소화하면서도 안전성과 항균성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수도와 같은 급수용 파이프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염소나 곰팡이에 의한 역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할 수 있어 급수용 파이프 및 이음관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60 ~ 80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4 중량% , 탄소나노물질 0.5 ~ 1.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2 ~ 8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항균 성분으로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0.005 ~ 0.1 중량%,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 4 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4 ~ 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1000의 값을 가지는 현탁 또는 괴상 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서 60 ~ 80 중량% 포함된다.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탄산칼슘, 탄소나노물질, 은 나노 및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등의 첨가제의 사용량이 제한되어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없고,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적성이 떨어져 균일한 제품 성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는 폴리머 체인 내에 에테르기와 카보닐기를 갖는 고내열성 수지로서, 제조 방법에 따라 말단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극성(Polar) 성질을 띠게 되며, 극성을 나타내는 충진제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말단을 가지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 극성 무기충진제의 균일한 분산에 더욱 유리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수평균분자량(Mn)은 65,000 내지 9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87,000 내지 92,000인 것이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수평균분자량(Mn) 5,000당 3.0~4.5개의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전체조성물에서 5 ~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8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강성을 얻을 수 없고 극성 무기충진제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내충격성과 강성을 높이기 위한 무기 충진제로 탄산칼슘 및 탄소나노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평균입경이 0.1 ~ 50 ㎛의 것으로, 스테아린으로 코팅된 것이 분산에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전체 조성물에서 2 ~ 4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내충격성 개선효과가 크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내충격성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가공성과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탄산칼슘 단독으로 사용시 원하는 수준으로 내충격성과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물질을 무기 충진제로 더 포함한다.
상기 탄소 나노물질은 약 200nm미만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치수(예를 들어, 입경, 섬유 직경, 층 두께)를 갖는 임의의 탄소 물질로서 바람직하게 그 치수는 1 ~ 50 nm이다. 탄소 나노물질의 예로는, 약 200nm 미만의 3개의 치수를 갖는 탄소 나노입자, 예를 들어, 중공형 구, 및 풀러렌; 약 20nm 미만의 2개의 치수를 갖는 섬유상 탄소 나노물질, 예를 들어, 나노튜브(예를 들어, 단일벽 나노튜브 및 다중벽 나노튜브) 및 나노섬유(예를 들어, 축에 따라 정렬된 소판, 오늬무늬형(herringbone) 또는 물고기 가시형 나노튜브); 및 약 200nm 미만의 하나의 치수를 갖는 층상 탄소 나노물질, 예를 들어, 탄소 나노판(예를 들어, 박락형(exfoliated) 흑연 및 그라핀(graphene)시트)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소 나노물질은 상기 탄소 나노물질을 고온에서 산화 산 또는 산들의 혼합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된, 산화된 탄소 나노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나노물질은, 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내에서 탄소 나노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산화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전체 조성물에서 0.5 ~ 1.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4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내충격성 및 강도의 개선효과가 크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내충격성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는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향상과 파이프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유도체 및 폴리 초산 비닐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의 수지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p-클로로 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아클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니트릴 등이 단독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는 전체 조성물에서 2 ~ 8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및 파이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무기 충진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과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계 커플제를 포함한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라디칼 반응성 관능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계 커플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전체 조성물에서 1 ~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5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무기 충진제나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의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다른 성분과 함께 직접 혼합될 수도 있으나,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개선을 위해서는 미리 무기 충진제와 실란계 커플제를 반응시킨 후 그 반응물을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항균력의 증진을 위하여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및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는 은 나노 6 ~ 20 중량%, 제올라이트 80 ~94 중량%를 함유한다. 은 나노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충분한 항균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올라이트에 담지되지 않고 유출되는 함량이 많아져 성형성을 저하시키고, 항균력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는 아연 6 ~ 20 중량%, 제올라이트 80 ~94 중량%를 함유한다. 아연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충분한 항균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올라이트에 담지되지 않고 유출되는 함량이 많아져 성형성을 저하시키고, 항균력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및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은 이온을 함유하는 질산은 수용액 또는 아연 이온을 함유하는 질산아연 수용액을 이용하고, 제올라이트의 알카리금속 이온 또는 수소이온과 이온 교환을 통해 은 및 아연이 제올라이트에 담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는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0.005 ~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 0.1 중량% 사용된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항균력이 미미해서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가 추가로 사용되더라도 충분한 항균력을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항균력은 증가되지만 실란계 커플제가 무기 충진제를 분산시키는 것을 저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파이프 등의 성형체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고, 제조된 성형체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충분한 항균력을 발휘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가 추가로 사용됨으로써 항균력은 충분히 보완되면서 성형성에 지장은 주지 않게 된다.
상기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는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0.05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4 중량% 사용된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와의 항균력 상승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성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체의 강도 등의 물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보다 항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및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중량비가 1: 20 내지 1 : 200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기준으로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중량비가 20배 미만 또는 200배를 초과할 경우 전체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및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이 증가하더라도 항균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와 탈취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을 사용한다.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황토, 장석, 벤토나이트, 고령토, 포졸란 및 토르말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이고, 평균 입자크기는 1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크기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인장강도 등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본 발명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4 ~ 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방출량이 낮아 실질적인 탈취 효과를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인장강도 등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의 구성성분 이외에 계면활성제, 퍼록사이드계 중합개시제, 착색제, 충진제, 대전방지제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성분들을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서 미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 상, 하수도용 파이프나 물받이 부속용 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각종 산업용, 가정용 파이프 및 이음관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뛰어난 안전성과 항균력으로 급수용 파이프의 제작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파이프의 제조에 대해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1]
폴리염화비닐 레진 75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2.5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4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8%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2]
상기 비교예1에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을 제외하고, 폴리염화비닐 레진 83 중량%, 평균입자크기 1㎛ 탄산칼슘 5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5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4.5 중량%, 폴리메타크릴레이트 6 %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3]
폴리염화비닐 레진 74.9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2.5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4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8%, 은 나노가 10 중량% 담지된 제올라이트 0.1 중량%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4]
폴리염화비닐 레진 73.45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2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4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8%, 은 나노가 10 중량%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중량%, 아연이 10 중량% 담지된 제올라이트 2 중량%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1]
폴리염화비닐 레진 70.45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1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3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8%, 은 나노가 10 중량%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중량%, 아연이 10 중량% 담지된 제올라이트 2 중량%, 황토, 벤토나이트, 포졸란 및 토르말린을 동일 중량으로 혼합하여 평균 입자크기 60 ㎛ 로 분쇄한 혼합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5 중량%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상기 비교예 1 내지 4와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파이프에 대하여, 인장강도, 비카트 연화온도, 낙추충격, 침지시험, 편평시험, 수압시험을 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 시험법(KS M3401)에 따른 결과 및 성형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성형성은 파이프 성형 후 표면의 거친 정도에 따라 거친표면 없음(양호), 약간 거친 표면 있음(보통), 거친 부분 많음(불량)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기준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인장강도 15℃에서
4900N/cm2이상
5500 4850 5400 5450 5250
비카트
연화온도
76℃이상 82 75 81 81 80
낙추충격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편평시험 관경의 1/2 압축시 균열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수압시험 수압 4.0MPa에 견딤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성형성 성형체의 표면 거칠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와 비카트 연화온도에서 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 시험법(KS M3401)을 통과하지 못한 비교예2를 제외하고는 모두 수도용 파이프로 사용되기에 문제가 없었다.
[실험예 2]
비교예 1 내지 4와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파이프를 시편으로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il)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사용하였다.
항균시험을 위하여 고체 배지에 배양하여 둔 시험균주를 하루전 사면배지에 전배양(35℃, 24시간)하여 사용하며, 전배양된 시험균주를 500배로 희석하여 접종액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각각 복수로 준비된 비교예 및 실시예의 시편과 대조시편을 각각 멸균 페트리디쉬에 넣고, 상기 접종액을 0.4ml를 접종한 후 그 위를 피복필름으로 덮었다.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의 복수로 준비된 시편과 대조시편 중 하나는 즉시 SCDLP borth 10ml를 사용하여 균액을 씻어낸 후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로 하였다. 상기 피복필름을 덮은 시편은 35℃, 90% 이상의 습도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각의 시편에 부착된 시험균을 SCDLP broth 10ml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피복필름으로는 Stomacher 400용 폴리주머니 멸균 백을 사용하였다. 또한 세균수는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단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을 경우는 추출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접촉직후
(CFU/ml)
24시간 후
(CFU/ml)
감소율
(%)
접촉직후
(CFU/ml)
24시간 후
(CFU/ml)
감소율
(%)
대조시편 4.5×105 7.5×105 -66.7% 2.2×105 6.5×104 70.5%
비교예1 4.5×105 3.1×105 31.1% 2.2×105 3.8×104 82.7%
비교예2 4.5×105 4.0×105 11.1% 2.2×105 4.2×104 80.9%
비교예3 4.5×105 2.9×104 93.6% 2.2×105 1.1×104 95.0%
비교예4 4.5×105 1.2×102 99.9%이상 2.2×105 1.6×102 99.9%이상
실시예1 4.5×105 4.2×102 99.9%이상 2.2×105 1.9×102 99.9%이상
감소율(%)은 접촉직후 균수에서 24시간 후 균수를 뺀 값을 접촉직후 균수로 나눈 값의 백분율로 계산하였고, 감소율이 음수인 경우는 오히려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1 및 비교예4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은 나노 담지 제올라이트 및 아연 담지 제올라이트가 복합적으로 사용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파이프는 대장균군과 포도상구균의 감소율이 99.9% 이상으로 비교예에 비해 항균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비교예 1 내지 4와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파이프를 시편으로 항곰팡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로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 9642), 페니실리움 피노필룸(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캐토미움 글로보섬(Chaetomium globosum, ATCC 6205)를 혼합하여 ASTM G-21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배양접시에 포테이토 덱스트로즈 아가를 제조하여 각 시료를 얹고, 혼합 포자 현탁액을 시료 및 배지에 골고루 분무하여 온도 25~28℃, 상대습도 85%이상인 배양기에 넣어 균의 성장 정도로 결과를 판독하였다.
구분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비교예1 0 0 1 2
비교예2 0 0 1 2
비교예3 0 0 0 1
비교예4 0 0 0 0
실시예1 0 0 0 0
표 3에서 0은 곰팡이균의 성장이 없는 것이고, 1은 시편에서 약 10% 이내로 균이 성장한 경우, 2는 시편에서 균이 10~30% 성장한 경우를 나타낸다.
[실험예 4]
비교예 3 및 4와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파이프를 시편으로 암모니아의 탈취력 시험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KICM-FIR 1085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시편을 넣지 않고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고, 시험을 위한 각 시편은 4 × 4 ×1 cm로 준비하였다.
구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 470 427 378 332
비교예3 280 262 244 239
비교예4 250 225 215 196
실시예1 120 67 32 25
[실험예 5]
비교예 3 및 4와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파이프를 시편으로 음이온 방사능력을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의 KFIA-FI-1042에 따라 측정하였다.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3 ℃, 습도 47%, 대기중 음이온수 106/cc 조건에서 시험하여 시편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단위체적당 이온수로 나타내었다.
구분 음이온(이온/cc)
대조군 175
비교예3 185
비교예4 240
실시예1 635

Claims (4)

  1. 폴리염화비닐 수지 60 ~ 80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4 중량% , 탄소나노물질 0.5 ~ 1.5 중량% 및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2 ~ 8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항균 성분으로 은 나노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0.005 ~ 0.1 중량%, 아연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0.05 ~ 4 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4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입경, 섬유 직경 또는 층 두께가 200nm 미만인 탄소 나노입자, 20nm 미만인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 또는 200nm 미만의 층상 탄소 나노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황토, 장석, 벤토나이트, 고령토, 포졸란 및 토르말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은 평균 입자크기가 10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파이프 또는 파이프 이음관.
KR1020100090767A 2010-09-15 2010-09-15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06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67A KR101067409B1 (ko) 2010-09-15 2010-09-15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67A KR101067409B1 (ko) 2010-09-15 2010-09-15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409B1 true KR101067409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7409B1 (ko) 2010-09-15 2010-09-15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928B1 (ko) 2012-02-22 2012-09-28 주식회사 티지에프 항균, 탈취 및 기계적 물성이 보강된 합성수지 수도관 및 제조방법
WO2014052159A1 (en) * 2012-09-26 2014-04-03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KR20160035868A (ko) * 2014-09-24 2016-04-01 이관홍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또는 항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D766597S1 (en) 2014-06-27 2016-09-20 Multiple Energies Technologies Llc Apparel with bioceramic surface ornamentation
US9833509B2 (en) 2014-05-05 2017-12-05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and biomodulatory uses thereof
US10368502B2 (en) 2017-09-25 2019-08-06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737A (ko) * 2005-08-26 2005-09-23 김진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수지 조성물
KR20070030625A (ko) * 2005-09-13 2007-03-16 송순이 은나노 물질을 함유한 폴리염화비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396B1 (ko)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1000302B1 (ko) 2010-08-20 2010-12-13 주식회사 프라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737A (ko) * 2005-08-26 2005-09-23 김진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수지 조성물
KR20070030625A (ko) * 2005-09-13 2007-03-16 송순이 은나노 물질을 함유한 폴리염화비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396B1 (ko)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1000302B1 (ko) 2010-08-20 2010-12-13 주식회사 프라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928B1 (ko) 2012-02-22 2012-09-28 주식회사 티지에프 항균, 탈취 및 기계적 물성이 보강된 합성수지 수도관 및 제조방법
US10252945B2 (en) 2012-09-26 2019-04-09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WO2014052159A1 (en) * 2012-09-26 2014-04-03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CN104903273A (zh) * 2012-09-26 2015-09-09 复合能源技术有限公司 生物陶瓷组合物
US12234191B2 (en) 2012-09-26 2025-02-25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US9833509B2 (en) 2014-05-05 2017-12-05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and biomodulatory uses thereof
US9962441B2 (en) 2014-05-05 2018-05-08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and biomodulatory uses thereof
USD766597S1 (en) 2014-06-27 2016-09-20 Multiple Energies Technologies Llc Apparel with bioceramic surface ornamentation
KR20160035868A (ko) * 2014-09-24 2016-04-01 이관홍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또는 항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4547B1 (ko) * 2014-09-24 2016-09-06 이관홍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68502B2 (en) 2017-09-25 2019-08-06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076539B2 (en) 2017-09-25 2021-08-03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985923B2 (en) 2017-09-25 2024-05-21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409B1 (ko)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070313B1 (ko)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214800B1 (ko)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CN108194713B (zh) 一种高强度纳米抗菌ppr管及其制备方法
KR101449496B1 (ko) 정균성 중합 형성된 물품
EP2115057B1 (e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oelastomers and expanded perlite
WO2014030123A2 (en) Polymeric materials with antifouling, biocidal, antivir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elaboration method and its uses
KR100981118B1 (ko)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Islam et al. Rheolog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poxy-based hybrid nanocoatings
Jankauskaitė et al. Silicone rubber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osite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CN107501695A (zh) 一种抗菌型聚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CN1147542C (zh) 纳米抗菌塑料
KR101260031B1 (ko) Pvc 파이프 성형용 수지조성물 및 pvc 파이프
KR101186928B1 (ko) 항균, 탈취 및 기계적 물성이 보강된 합성수지 수도관 및 제조방법
CN101519516A (zh) 纳米改性聚氯乙烯复合材料
CN106907529B (zh) 一种地下用排水管道
KR101381310B1 (ko) 3층 구조로 된 삼중 상하수도관
JP2020041094A (ja) 抗菌防カビ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CN111234434B (zh) 一种抗菌塑料与使用该抗菌塑料的门柜
CN117089317B (zh) 一种长效抗菌防霉硅酮胶及其制备方法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va et al. Functional clays as reinforcement of nitrile latex films
KR101179718B1 (ko) 친환경 고기능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관
KR101554027B1 (ko) 기능성 도료 조성물
KR101000302B1 (ko)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