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023B1 -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7023B1 KR101067023B1 KR20110012248A KR20110012248A KR101067023B1 KR 101067023 B1 KR101067023 B1 KR 101067023B1 KR 20110012248 A KR20110012248 A KR 20110012248A KR 20110012248 A KR20110012248 A KR 20110012248A KR 101067023 B1 KR101067023 B1 KR 101067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filtration
- tree
- layer
- penet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호습성 식물(10)을 식재하여 빗물이 호습성 식물(10)의 뿌리(10-1)와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부식토층(03), 조립토양층(04) 및 여과층(05)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목여과박스(6)와; 수생식물과 소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로서 부식토층(03-1), 조립토양층(04-1), 여과층(05-1)으로 구성되어 있는 침투화분(11)과; 강우가 지속되어 상기 수목여과박스(06)를 월류한 빗물을 땅속에 침투시키기 위한 빗물침투장치(13)와; 상기 침투화분(11)에서 여과된 빗물을 저류하거나 땅속에 침투시키는 빗물저류침투조(14)와; 빗물저류침투조(14)에 저장된 빗물의 측정, 배수, 이용을 원격조정 및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동제어장치(23)를 포함한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03, 03-1 부식토층(부엽토층) 04, 04-1 조립토양층
05, 05-1 여과층 05-2 실트층
06 수목여과박스 07 월류관(By Pass관)
07-1, 07-2 빗물유출관 08 수목여과박스의 구조체
08-1 침투화분의 구조체 09 수목여과박스의 뚜껑
10 호습성 식물군(교목)
10-1 호습성 식물의 뿌리와 메디아층
11 침투화분
12 수목여과박스의 빗물수위(측구하단과 동일한 레벨)
13 빗물침투장치 14 빗물저류침투조
15 빗물유입맨홀(콘크리트구조물) 15-1 빗물유입맨홀 뚜껑(주철재)
15-2 빗물유입맨홀 출입용사다리(철재) 16 도로
17 도로 측구 18 인도, 공원
19 저류조 구간의 수위 19-1 유입맨홀 수위한계
20 침투조 구간 21 수전(水栓)
22 배전반 23 자동제어장치
24 수중모터 25 입상전기배관
26, 26-1 배수관 27 시(市)우수하수관로
28 전자감응센서(Sensor) 29 빗물유출구멍
Claims (7)
- 내부에 호습성 식물(10)을 식재하여 빗물이 상기 호습성 식물(10)의 뿌리(10-1)와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부식토층(03), 조립토양층(04) 및 여과층(05)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강우가 지속되거나 폭우에 의하여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상기 3단계 토층(03,04,05)을 통과하는 속도보다 클 경우 빗물을 월류(Over Flow)시키는 월류관(07)을 구비하고 있는 수목여과박스(06)와; 빗물유출관(07-1)에 의하여 상기 수목여과박스(06)와 연결되고, 수생식물과 소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Biotop)로서 부식토층(03-1), 조립토양층(04-1), 여과층(05-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식처의 물마름을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28)가 구비되어 있는 침투화분(11)과; 상기 수목여과박스(06)를 월류(Over Flow)한 빗물을 땅속에 침투시키거나 타지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빗물침투장치(13)와; 상기 수목여과박스(06)와 침투화분(11)에서 여과된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빗물을 침투조 구간(20)에서 빗물유출구멍(29)을 통하여 땅속에 침투시키기 위한 빗물저류침투조(14)와; 상기 빗물저류침투조(14)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갈수기시 상기 침투화분(11)의 물마름을 감지한 전자감응센서(28)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빗물저류침투조(14)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침투화분(11) 및 수목여과박스(06)에 자동공급되도록 수중모터(24)를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23)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여과박스(06)의 조립토양층(04)은 부식토, 모래 및 우드-칩을 혼합하여 제공되고, 여과층(05)은 잔자갈, 고로쇄석을 혼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화분(11)의 조립토양층(04-1)은 부식토, 모래 및 우드-칩을 혼합하여 제공되고, 여과층(05-1)은 잔자갈, 고로쇄석을 혼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여과박스(06)와 침투화분(11)은 강우시 도로(16)면에서 빗물이 흘러들어오게 도로측구(17)의 일정 간격마다 빗물유입구멍(01, 01-1)을 설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화분(11)은 조립토양층(04-1)과 여과층(05-1)에 설치된 빗물유출관(07-1)을 통하여 수목여과박스(06)와 통수(通水)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통제실로부터 홍수경보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제어장치(23), 수중모터(24) 및 배수관(26-1)에 의하여 빗물저류침투조(14)에 저류된 빗물이 시(市)우수하수관로(27)로 배수되어 빗물저류침투조(14)의 빗물을 비울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12248A KR101067023B1 (ko) | 2011-02-11 | 2011-02-11 |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12248A KR101067023B1 (ko) | 2011-02-11 | 2011-02-11 |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7023B1 true KR101067023B1 (ko) | 2011-09-22 |
Family
ID=4495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12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7023B1 (ko) | 2011-02-11 | 2011-02-11 |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7023B1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269B1 (ko) | 2012-06-01 | 2012-11-29 | (주)자연과환경 | 저류 연계형 빗물 관리 시스템 |
KR101296348B1 (ko) | 2011-12-19 | 2013-08-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자유체결 및 지반변형 수용이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 |
KR101356690B1 (ko) | 2013-02-07 | 2014-01-28 | 조영철 |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
KR101362253B1 (ko) * | 2011-12-19 | 2014-02-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로수목 식재 박스 |
KR101365672B1 (ko) | 2011-11-03 | 2014-02-25 | (주)고려환경 | 자연순환형 나무화분 여과시스템 |
KR20150146484A (ko) | 2015-12-13 | 2015-12-31 | 한상관 |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13220A (ko) | 2016-01-04 | 2016-02-03 | 한상관 |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23748A (ko) | 2016-02-12 | 2016-03-03 | 한상관 |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27962A (ko) | 2016-02-21 | 2016-03-10 | 한상관 |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101603588B1 (ko) * | 2015-10-30 | 2016-03-15 | 녹스 코리아(주) | 생태순환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KR101674126B1 (ko) | 2016-05-12 | 2016-11-09 |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 빗물정원용 식생토 |
KR101889884B1 (ko) | 2017-12-08 | 2018-08-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인 제거 기능이 통합된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장치 |
CN113790941A (zh) * | 2021-09-10 | 2021-12-14 |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城镇生活污泥产品林地施用土壤淋溶液取样方法和系统 |
CN114737539A (zh) * | 2022-04-15 | 2022-07-12 | 安徽农业大学 | 一种可高效排控并进行污水处理的农田暗管排水装置 |
KR102559056B1 (ko) * | 2022-12-21 | 2023-07-21 |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 수목의 플랜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661B1 (ko) * | 2008-07-29 | 2009-08-05 | 신강하이텍(주) |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
KR20100039673A (ko) * | 2008-10-08 | 2010-04-16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빗물저류시설 |
-
2011
- 2011-02-11 KR KR20110012248A patent/KR1010670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661B1 (ko) * | 2008-07-29 | 2009-08-05 | 신강하이텍(주) |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
KR20100039673A (ko) * | 2008-10-08 | 2010-04-16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빗물저류시설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5672B1 (ko) | 2011-11-03 | 2014-02-25 | (주)고려환경 | 자연순환형 나무화분 여과시스템 |
KR101296348B1 (ko) | 2011-12-19 | 2013-08-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자유체결 및 지반변형 수용이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 |
KR101362253B1 (ko) * | 2011-12-19 | 2014-02-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로수목 식재 박스 |
KR101206269B1 (ko) | 2012-06-01 | 2012-11-29 | (주)자연과환경 | 저류 연계형 빗물 관리 시스템 |
KR101356690B1 (ko) | 2013-02-07 | 2014-01-28 | 조영철 |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
KR101603588B1 (ko) * | 2015-10-30 | 2016-03-15 | 녹스 코리아(주) | 생태순환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KR20150146484A (ko) | 2015-12-13 | 2015-12-31 | 한상관 |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13220A (ko) | 2016-01-04 | 2016-02-03 | 한상관 |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23748A (ko) | 2016-02-12 | 2016-03-03 | 한상관 |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20160027962A (ko) | 2016-02-21 | 2016-03-10 | 한상관 |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
KR101674126B1 (ko) | 2016-05-12 | 2016-11-09 |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 빗물정원용 식생토 |
KR101889884B1 (ko) | 2017-12-08 | 2018-08-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인 제거 기능이 통합된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장치 |
CN113790941A (zh) * | 2021-09-10 | 2021-12-14 |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城镇生活污泥产品林地施用土壤淋溶液取样方法和系统 |
CN114737539A (zh) * | 2022-04-15 | 2022-07-12 | 安徽农业大学 | 一种可高效排控并进行污水处理的农田暗管排水装置 |
CN114737539B (zh) * | 2022-04-15 | 2023-08-15 | 安徽农业大学 | 一种可高效排控并进行污水处理的农田暗管排水装置 |
KR102559056B1 (ko) * | 2022-12-21 | 2023-07-21 |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 수목의 플랜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7023B1 (ko) |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 |
KR101728208B1 (ko) |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 |
KR101923926B1 (ko) |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 |
KR102050045B1 (ko) |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 |
KR100691566B1 (ko) |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 |
CN102531282B (zh) | 一种雨水分质收集处理利用的装置及方法 | |
KR101701387B1 (ko) | 빗물 침투 시설 | |
KR101578551B1 (ko) |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 |
JP2008156974A (ja) | 雨水処理構造及び雨水処理方法 | |
JP5356115B2 (ja) | 貯水施設、給水用貯水施設および給水用貯水施設の構築方法 | |
US10865547B1 (en) |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 |
CN110012770B (zh) | 一种高效削减径流流速和污染物的雨水花园 | |
KR100601908B1 (ko) |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 |
KR100714315B1 (ko) |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 |
KR20080101132A (ko) |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 |
KR101404215B1 (ko) |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 |
JPH05132993A (ja) |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 |
CN211367163U (zh) | 一种用于矿山修复选择性渗透排水系统 | |
JPH08311938A (ja) | かん養型貯留施設 | |
JP2915389B1 (ja) | 濾過式貯水槽装置 | |
CN114197605A (zh) | 一种节水型雨水湿塘及构建方法 | |
JP4826975B1 (ja) | 雨水の浸透循環貯留槽。 | |
KR20150068885A (ko) |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 |
KR100930723B1 (ko) | 유입수를 지하수화 하는 맨홀 구조 | |
CN207829114U (zh) | 一种具有海绵功能的自动调蓄的景观水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