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6907B1 -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 Google Patents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907B1
KR101066907B1 KR1020110022275A KR20110022275A KR101066907B1 KR 101066907 B1 KR101066907 B1 KR 101066907B1 KR 1020110022275 A KR1020110022275 A KR 1020110022275A KR 20110022275 A KR20110022275 A KR 20110022275A KR 101066907 B1 KR101066907 B1 KR 10106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ing chamber
frame
upper plate
serving table
operation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응
Original Assignee
김진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응 filed Critical 김진응
Priority to KR102011002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밧드(160)를 삽입하는 안치실(111)을 형성하되 안치실(111)의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가이드공(113)를 천공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하측에 설치하여 밧드(160)의 음식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바닥에 결합하여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관(13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둘레에 설치하되 가이드공(113)에 대응하여 업다운 하는 돌출봉(141)을 형성한 작동프레임(140), 상기 작동프레임(140)의 중앙 하부에 설치하여 작동프레임(140)을 업 다운시켜 밧드(160)를 들어올리는 캠(151)을 구비한 회전샤프트(150)로 구성하므로, 습식 또는 건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로 인하여 무거운 상태의 밧드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배식대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A dining table keeping warm}
본 발명은 보온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식대의 용기(밧드)를 업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습식과 건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병원 등의 대규모 단체 급식을 위한 식당에서는 밥과 반찬과 같은 여러 가지 음식물을 다수개의 용기(밧드)에 담아 두고 이용자가 원하는 양의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는 배식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식대는 조리된 각각의 음식물을 소정의 크기인 용기에 담아 두면 이용자는 미리 준비된 개인 식판에 원하는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으므로 배식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양 만큼만 덜어 먹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체 급식을 위한 대형 식당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식대의 일반적인 구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수개의 밧드와 밧드 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로 구성되며, 본체의 삽입공간 하부에는 가열기가 구비되어 보관된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열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이용자는 트레이를 따라 식판을 이동시키면서 보온이 된 상태의 원하는 음식물을 필요한 양 만큼 덜어서 먹을 수 있게 되는데, 배식대의 밧드 하부에 설치된 가열기가 밧드를 직접 가열하도록 건식과, 밧드 하부 측에 물을 채워 간접열이 밧드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습식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배식대에 습식 또는 건식의 삽입공간이 이미 설정되어 건식은 건식으로만 습식은 습식으로만 사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가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밧드를 배식대의 삽입공간에 분리할 때 틈새가 거의 없어 밧드를 들러 올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목적은 습식 또는 건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로 인하여 무거운 상태의 밧드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배식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는 다수개의 밧드를 삽입하는 안치실을 형성하되 안치실의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가이드공을 천공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안치실 하측에 설치하여 밧드의 음식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상판의 안치실 바닥에 결합하여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관과, 상기 상판의 안치실 둘레에 설치하되 가이드공에 대응하여 업다운 하는 돌출봉을 형성한 작동프레임, 상기 작동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설치하여 작동프레임을 업 다운시켜 밧드를 들어올리는 캠을 구비한 회전샤프트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밧드의 담긴 음식물이 카레나 자장 등으로 습식으로 보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샤프트를 회전시켜 캠의 동작으로 작동프레임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프레임의 돌출봉이 밧드의 플랜지를 밀어 올려 용이하게 안치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밧드의 바닥면과 안치실 바닥면에 사이에 공간에 물을 채워 습식으로 전환시켜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습식 또는 건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로 인하여 무거운 상태의 밧드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배식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의 업다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의 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의 다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의 돌출편을 나타낸 단면도.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100)는 다수개의 밧드(160)를 삽입하는 안치실(111)을 형성하되 안치실(111)의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가이드공(113)을 천공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하측에 설치하여 밧드(160)의 음식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바닥에 결합하여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관(13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둘레에 설치하되 가이드공(113)에 대응하여 업다운 하는 돌출봉(141)을 형성한 작동프레임(140), 상기 작동프레임(140)의 중앙 하부에 설치하여 작동프레임(140)을 업 다운시키는 캠(151)을 결합한 회전샤프트(150)로 구성한다.
상기 상판(110)은 다수개의 안치실(111)을 형성하고 안치실(111)의 테두리 분에 전후 또는 좌우로 상호 대응하는 가이드공(113)을 수직으로 천공하되 안치실(111)의 바닥면에 물의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공(112)을 천공한다.
여기서 안치실(111)의 테두리에는 상향으로 돌출편(114)을 형성하여 밧드(160)를 용이하게 안치하거나 외부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120)은 열선 등 다양한 보온수단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출입관(130)은 상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입공(112)의 하부에 결합하여 안치실(111)에 연통시키되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도록 3웨이밸브(131)를 구비하여 형성한다.
상기 작동프레임(140)은 각각의 안치실(111) 외향 측에 장방형으로 형성하되 수직프레임에 수직가이드베어링(142)을 결합하여 수직으로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측프레임에는 가이드공(113)에 대응하여 상판(110)의 상향으로 돌출되어 밧드(160)를 업 다운시키는 돌출봉(141)을 결합한다.
여기서 작동프레임(140)은 좌우 측의 안치실(111) 각각에 설치되어 그 사이를 동력전달프레임(143)으로 연결하여 상하 업/다운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샤프트(150)는 작동프레임(140)의 동력전달프레임(143) 하부 측에 설치하되 한 개 이상의 캠(151)을 결합하여 회전샤프트(150)의 회전으로 캠(151)에 의해 작동프레임(140)이 업 다운하므로 돌출봉(141)이 상판(110)의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샤프트(150)의 전단에는 레버(152)를 형성하여 배식대(100)의 몸체 전면에 형성되게 하고 레버(152)를 고정하는 안전고리(153)를 구비하여 업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밧드(160)는 상판(110)의 안치실(111)에 안치되어 밀착되게 하되 테두리에 플랜지(161)를 형성하여 작동프레임(140)의 돌출봉(141)에 대응하여 상하로 업 다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담은 밧드(160)를 배식대(100)의 상판(110) 안치실(111)에 안치하고 가열수단(120)으로 히팅하여 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밧드(160)의 담긴 음식물이 카레나 자장 등으로 습식으로 보온하고자하는 경우에는 회전샤프트(150)의 레버(152)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사 회전샤프트(150)의 회전으로 캠(151)이 회전하여 작동프레임(140)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프레임(140)의 돌출봉(141)이 상판(110)의 가이드공(113)을 통해 상향으로 돌출하게 되어 플랜지(161)를 밀게 되므로 밧드(160)를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밧드(160)의 바닥면과 상판의 안치실(111) 바닥면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3웨이밸브(131)를 오픈하여 공간에 물을 채워 히팅하므로 밧드(160)를 습식으로 전환시켜 보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식이 완료되면 3웨이밸브(131)의 드레인측으로 오픈하여 공간의 물을 배출하고 업 상태의 밧드(160)를 손쉽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식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이 밧드(160)를 업 시켜 간편하게 밧드(160)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작동프레임(140)의 업 다운을 수직가이드베어링(142)이 가이드 하므로 정확하게 업 다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고리(153)로 업 상태를 지지하여 고정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가열수단(120)이 설치하지 않은 상판(110)의 안치실(111)에는 돌출편(114)이 형성되어 밧드(160)를 편리하게 안치하거나 꺼낼 수 있는 것이다.
100 : 배식대 110 : 상판
111 : 안치실 112 : 유출입공
113 : 가이드공 114 : 돌출편
120 : 가열수단 130 : 유출입관
131 : 3웨이밸브 140 : 작동프레임
141 : 돌출봉 142 : 수직가이드베어링
143 : 동력전달프레임 150 : 회전샤프트
151 : 캠 152 : 레버
153 : 안전고리 160 : 밧드
161 : 플랜지

Claims (6)

  1. 다수개의 밧드(160)를 삽입하는 안치실(111)을 형성하되 안치실(111)의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가이드공(113)을 천공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하측에 설치하여 밧드(160)의 음식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바닥에 결합하여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관(130)과,
    상기 상판(110)의 안치실(111) 둘레에 설치하되 가이드공(113)에 대응하여 업다운 하는 돌출봉(141)을 형성한 작동프레임(140),
    상기 작동프레임(140)의 중앙 하부에 설치하여 작동프레임(140)을 업 다운시켜 밧드(160)를 들어올리는 캠(151)을 구비한 회전샤프트(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은 다수개의 안치실(111)을 형성하고 안치실(111)의 테두리 분에 전후 또는 좌우로 상호 대응하는 가이드공(113)을 수직으로 천공하되 안치실(111)의 바닥면에 물의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유출입공(112)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관(130)은 상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입공(112)의 하부에 결합하여 안치실(111)에 연통시키되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도록 3웨이밸브(131)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프레임(140)은 각각의 안치실(111) 외향 측에 장방형으로 형성하되 수직프레임에 수직가이드베어링(142)을 결합하여 수직으로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좌우 측의 안치실(111) 각각에 설치된 작동프레임(140)을 동력전달프레임(143)으로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50)는 작동프레임(140)의 동력전달프레임(143) 하부 측에 설치하되 한 개 이상의 캠(151)을 결합하여 회전샤프트(150)의 회전으로 캠(151)에 의해 작동프레임(140)이 업 다운하므로 돌출봉(141)이 상판(110)의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50)의 전단에는 레버(152)를 형성하여 배식대(100)의 몸체 전면에 형성되게 하고 레버(152)를 고정하는 안전고리(153)를 구비하여 업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KR1020110022275A 2011-03-14 2011-03-14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Active KR10106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75A KR101066907B1 (ko) 2011-03-14 2011-03-14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75A KR101066907B1 (ko) 2011-03-14 2011-03-14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907B1 true KR101066907B1 (ko) 2011-09-27

Family

ID=4495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75A Active KR101066907B1 (ko) 2011-03-14 2011-03-14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3303A (zh) * 2015-10-15 2015-12-30 重庆典果成实业有限公司 一种保温餐具的餐盆
CN106923698A (zh) * 2017-03-07 2017-07-07 北京晶都诚厨房设备有限责任公司 保温柜
KR200485389Y1 (ko) 2017-04-04 2018-01-23 주식회사 예림푸드 이동이 용이한 위생 안전 배식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713Y1 (ko)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보온 배식대
KR200400360Y1 (ko) 2005-06-09 2005-11-03 이승구 보온 배식대
KR200419641Y1 (ko) * 2006-03-20 2006-06-23 정광훈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KR20100088267A (ko) * 2009-01-30 2010-08-09 이남수 단열용기의 각도 조절용 거치대를 구비한 음식물 분배공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713Y1 (ko)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보온 배식대
KR200400360Y1 (ko) 2005-06-09 2005-11-03 이승구 보온 배식대
KR200419641Y1 (ko) * 2006-03-20 2006-06-23 정광훈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KR20100088267A (ko) * 2009-01-30 2010-08-09 이남수 단열용기의 각도 조절용 거치대를 구비한 음식물 분배공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3303A (zh) * 2015-10-15 2015-12-30 重庆典果成实业有限公司 一种保温餐具的餐盆
CN106923698A (zh) * 2017-03-07 2017-07-07 北京晶都诚厨房设备有限责任公司 保温柜
KR200485389Y1 (ko) 2017-04-04 2018-01-23 주식회사 예림푸드 이동이 용이한 위생 안전 배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922624B1 (pt) Cesta para cozimento de alimentos e sistema de cozimento correspondente
WO2006102214A3 (en) Food steamer with plurality of compartments
KR101066907B1 (ko)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CN203524458U (zh) 全自动快餐加工设备
CN104784715B (zh) 一种移动式实时高温蒸汽消毒机
KR20150071405A (ko) 중탕기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CN204839125U (zh) 一种子母多胆电饭锅
CN110367834A (zh) 一种饭煲
CN201076348Y (zh) 可拆洗的蒸锅
CN210989764U (zh) 一种饭煲
CN205386076U (zh) 便捷式多功能电饭煲
CN206062875U (zh) 一种带有蒸笼隔板的内胆和含有其的陶胆电炖锅
CN205411005U (zh) 一种多用途厨房用支架
KR200441724Y1 (ko) 다용도 요리기.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CN106235868A (zh) 一种可升降多功能锅
CN209351935U (zh) 一种圆柱型加热保温桶
WO2013097977A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222032087U (zh) 液体加热装置
CN206491664U (zh) 门式蒸饭煲
CN201911920U (zh) 食品加热器
CN104382483A (zh) 蒸锅
CN201046063Y (zh) 复合式饮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