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6890B1 -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90B1
KR101066890B1 KR1020100041501A KR20100041501A KR101066890B1 KR 101066890 B1 KR101066890 B1 KR 101066890B1 KR 1020100041501 A KR1020100041501 A KR 1020100041501A KR 20100041501 A KR20100041501 A KR 20100041501A KR 101066890 B1 KR101066890 B1 KR 10106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evator
protection
customized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김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577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68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준 filed Critical 김경준
Priority to KR102010004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면 중에서 배면패널은 좌우로 분리하고, 나머지 패널은 핸드레일을 기준으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구획하여 착탈방식으로 구성하고, 특히 상부패널을 접이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 1인이 혼자서도 쉽게 설치 및 탈거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내벽과 하물의 보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는,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된 정면하부패널과, 좌우로 접힘 가능하게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되고 정면하부패널의 상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정면상부패널로 이루어진 정면보호패널; 엘리베이터의 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바깥쪽 테두리에는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된 한쌍의 배면패널과, 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한쌍의 배면패널 사이에서 탈장착하게 설치되는 사이패널를 포함하는 배면보호패널; 서로 마주보는 연결날개부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하부패널과, 좌우로 접힘가능하며 측면하부패널 상부에서 연결날개부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상부패널을 포함하는 한쌍의 측면보호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ORDER-MADE PROTECTOR FOR THE INTERIOR WALLS OF ELEVATOR CAB}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장착이 용이하고, 엘리베이터 내벽과 이송물품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는 승객을 위한 승객용 엘리베이터와 화물을 옮길 수 있도록 하물용 엘리베이터가 구비된다. 하지만, 하물용 엘리베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건물의 경우에는 승객용 엘리베이터로 하물을 이송한다. 이처럼 승객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하물을 이송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내벽과 하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양재(엘리베이터 캡 패드)를 설치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109호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를 갖는 단위패널 형태로 제작되는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면(11)과 제2면(12)의 사이에 중공부를 가지도록 다수의 격벽(13)이 마련된 합성수지 패널(10)과, 합성수지 패널(10)의 제2면(12)에 접착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20)와, 합성수지 패널(10)의 제2면(12)측이 엘리베이터 내장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그 엘리베이터 내장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탈부착기재(30)로 이루어지는 단위 패널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은 복잡한 구성으로 제조의 어려움과 함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게 되었다. 게다가, 단위패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구조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 제20-2009-0011988호에는 접을 수 있는 복수의 모서리보호기개와 면보호기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은, 도 5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세워 그 엘리베이터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되,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접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는 복수의 모서리보호기재(40); 엘리베이터의 내측 면부분에 세워 엘리베이터의 내측 면을 보호하는 복수의 면보호기재(50); 및 벨크로테이프(41,51)를 매개로 상기 복수의 면보호기재(50)와 상기 복수의 모서리보호기재(40)에 부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면보호기재(50)와 상기 복수의 모서리보호기재(40)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탄성기재(60)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은, 탄성기재를 이용하여 면보호기재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구성요소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설치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혼자서는 엘리베이터 보호패널를 설치하고 탈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면 중에서 배면패널은 좌우로 분리하고, 나머지 패널은 핸드레일을 기준으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구획하여 착탈방식으로 구성하고, 특히 상부패널을 접이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 1인이 혼자서도 쉽게 설치 및 탈거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내벽과 하물의 보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는,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된 정면하부패널과, 좌우로 접힘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되고 정면하부패널의 상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정면상부패널로 이루어진 정면보호패널; 엘리베이터의 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바깥쪽 테두리에는 각각 연결날개부가 형성된 한쌍의 배면패널과, 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한쌍의 배면패널 사이에서 탈장착하게 설치되는 사이패널를 포함하는 배면보호패널; 서로 마주보는 연결날개부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하부패널과, 좌우로 접힘가능하며 측면하부패널 상부에서 연결날개부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상부패널을 포함하는 한쌍의 측면보호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정면하부패널 및 측면하부패널은 엘리베이터의 내부바닥면과 핸드레일 사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정면상부패널 및 측면상부패널은 핸드레일의 상부와 엘리베이터의 천정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면보호패널과 한쌍의 측면보호패널은 핸드레일과 맞닿는 면에 핸드레일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요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날개부에는 각각 암매직테이프가 구비되고, 연결날개부와 마주하는 각 측면하부패널과 측면상부패널의 양측 테두리부에는 수매직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면보호패널, 배면보호패널 및 한쌍의 측면보호패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엘리베이터 조작을 위하여 조작패널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를 압출하여 얻어진 단프라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파이텍스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핸드레일보양재와 바닥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성확보를 위한 단프라와 충격흡수를 위한 파이텍스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내벽과 하물의 보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둘째, 내측면이 카페트와 같은 파이텍스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물에 대하여 긁힘이 발생하거나 눌림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경량으로 탈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1명의 작업자가 단시간에 탈장착하는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두께가 얇아 보양재를 보관하는데에도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양재 셋트를 한번에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설치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보호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정면이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였을 때에 정면에 보이는 면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1000)는, 엘리베이터의 정면에 설치되는 정면보호패널(100), 엘리베이터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보호패널(200), 그리고 이 정면보호패널(100)과 배면보호패널(200)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을 포함한다. 특히, 정면보호패널(100)과 배면보호패널(200)은 각각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패널은 보관 및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접힘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들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면보호패널(100)은 엘리베이터의 정면과 같은 크기로 제작되며, 특히 상하로 구획하여 정면하부패널(100a)과 정면상부패널(100b)로 구성된다.
이때, 정면하부패널(100a)과 정면상부패널(100b)의 구획기준은 정면하부패널(100a)의 높이가 정면상부패널(100b)보다 낮게 구획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을 기준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정면하부패널(100a)과 정면상부패널(100b)의 각 양측 테두리 부분에는 각각 연결날개부(110,120,130, 140)가 접을 수 있게 형성되며, 이들 연결날개부(110,120,130, 140)는 후술하게 될 측면보호패널(300)의 각 측면 테두리 부분과 중첩되게 된다. 또한, 연결날개부(110,120,130, 140)에는 중첩되는 면에 각각 암매직테이프(111,121,131,141)가 구비된다.
또한, 정면상부패널(100b)은 중앙에 수직으로 접이선(160)이 형성된다. 이는 사용시 정면상부패널(100b)을 좌우로 펼쳐서 사용하고, 미사용시 접이선(160)을 기준으로 접어 전체 크기를 줄이기 위함이다.
배면보호패널(200)은 엘리베이터의 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부분에 설치되는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과, 이 출구부의 윗쪽에 설치되는 사이패널(20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에는 마주보는 각 테두리의 상부에 연결날개부(210b,220b)가 형성되고, 이 연결날개부(210b,220b)에는 사이패널(200c)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암매직테이프(212,2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사이패널(200c)에는 양측 테두리 부분에 암매직테이프(212,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수매직테이프(240a,240b)가 구비된다.
또한,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각각 측면보호패널(300)의 테두리 부분과 겹침가능하도록 연결날개부(210a,220a)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 측면보호패널(300)과 겹쳐지는 연결날개부(210a,220a)에는 각각 암매직테이프(211,221)가 구비된다.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은 동일한 구성으로 한쌍이 구비되며, 엘리베이터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보호패널(300)은 측면하부패널(300a)과 측면상부패널(30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정면보호패널(100)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다.
즉, 측면하부패널(300a)은 핸드레일의 저면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고, 측면상부패널(300b)은 핸드레일의 윗면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천정면까지 길이로 제작된다. 이때, 측면상부패널(300b)은 중앙에 접이선(330)을 중심으로 좌우로 접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측면보호패널(30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상기 정면보호패널(100)과 배면보호패널(2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각 테두리 부분에 수매직테이프(320a~320d)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보호패널(100)과 상기 배면보호패널(200) 그리고 상기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설치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구멍이란 엘리베이터를 내부에서 조작하기 위한 버튼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버튼이 구비된 조작반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 자리면을 뜻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구멍은 배면보호패널(200)을 기본으로 정면보호패널(100)과 측면보호패널(300)에는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는, 통상 엘리베이터에는 배면에 이러한 조작반이 있는 것이 기본이나, 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 이러한 조작반이 2~3개가 정면보호패널(100)과 측면보호패널(300)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1000)는, 핸드레일보양재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평균 신장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높이에 핸드레일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보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1000)는, 엘리베이터의 바닥을 보호하기 위한 바닥패드가 더 구성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바닥 보호 뿐만 아니라 미끌림 방지 등을 통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1000)는, 외층의 단프라와 내층의 파이텍스의 이중구조로 제작한다. 이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를 압출하여 얻어진 단프라는 가벼우면서도 내유·내약품성이 강햐여 탄력과 강성을 갖는 재질로서 보양재(10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파이텍스는 카펫과 같은 정도의 내구성은 가지고 있지 않으나 단프라에 비하여 부드럽기 때문에 운반하고자 하는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함께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변형예 )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상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1000')는, 핸드레일을 중심으로 상하로 구획된 상기 정면보호패널(100)과 상기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요홈(150,310)을 형성한다.
삽입요홈(150,310)은 핸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지지바)의 단면 형상에 따라 반원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절단하여 형성함으로써 맞춤형 보양재(1000')가 보다 매끄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 삽입요홈(150,310)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설치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의 설치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상기 맞춤형 보양재(1000)의 구성을 기준으로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H"는 핸드레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보양재(1000)의 설치는 기본적으로 6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나, 핸드레일보양재와 바닥패드를 설치하는 경우 8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제1단계는, 도 3(a)와 같이 정면하부패널(100a)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정면하부패널(100a)은 먼저 상부를 핸드레일(H)의 뒷쪽으로 밀어 넣고 하부를 바닥으로 밀어넣어 설치한다.
제2단계는, 도 3(b)와 같이 정면상부패널(100b)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정면상부패널(100b)은 상부가 엘리베이터의 상단부에 맞닿게 한 다음 하부를 엘리베이터의 정면으로 밀어 핸드레일(H)의 상부에 걸쳐지게 하여 설치한다.
제3단계는, 도 3(c)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면패널(200a,200b)을 설치한다. 이때, 배면패널(200a,200b)에는 미리 설치구멍(230)을 형성할 수도 있고, 설치후에 설치구멍(2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c)에서는 예시적으로 배면패널(200b)에 설치구멍(230)이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제4단계는, 도 3(d)와 같이, 사이패널(200c)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설치는 사이패널(200c)의 상부를 엘리베이터 상부에 맞닿게 하고서 그 하부를 상기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때, 사이패널(200c)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눌러주게 되는데, 이는 미도시된 암매직테이프(212,222)가 각각 사이패널(200c)의 수매직테이프(240a,240b)에 결합되게 하여 이들 배면패널(200a,200b) 사이에 사이패널(200c)이 장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5단계는, 도 3(e)와 같이, 한쌍의 측면하부패널(300a)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측면하부패널(300a)는 상기 정면하부패널(100a)의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핸드레일(H)의 뒷쪽으로 밀어 넣고 하부를 엘리베이터의 내벽쪽으로 밀게 되면 쉽게 장착된다. 이때, 각 측면하부패널(300a)은 양측 테두리 부분의 미도시된 수매직테이프(320a,320b)가 각각 정면하부패널(100a)의 미도시된 암매직테이프(111,121)와, 배면패널(200a,200b)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미도시된 암매직테이프(211,221)에 결합되게 된다.
제6단계는, 도 3(f)와 같이, 한쌍의 측면상부패널(300b)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측면상부패널(300b)는 상기 정면상부패널(100b)의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엘리베이터의 상부 테두리에 닿게 한 다음 하부를 핸드레일(H)의 뒷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쉽게 장착된다. 이때, 각 측면상부패널(300b)은 양측 테두리 부분의 미도시된 수매직테이프(320c,320d)가 각각 정면상부패널(100ㅠ)의 미도시된 암매직테이프(131,141)와, 배면패널(200a,200b)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미도시된 암매직테이프(211,221)에 결합되게 된다.
제7단계와 제8단계는, 도 3(g) 및 도 3(h)와 같이, 핸드레일보양재(500)와 바닥패드(4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바닥패드(400)는 통상 사각 형태로 제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쪽부터 밀어서 깔게 된다. 그리고, 핸드레일보양재(500)는 통상 그 단면이 "C"자 형상 또는 핸드레일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핸드레일에 끼우거나 테이프 형태로 형성하여 핸드레일에 감아서 설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로 구획된 패널을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고 사용후에도 쉽게 그 역순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혼자서도 보양재 설치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양재의 전체 중량이 가벼워 이송과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정면보호패널 100a : 정면하부패널
100b : 정면상부패널 110, 120, 130, 140 : 연결날개부
111, 121, 131, 141, 211, 221, 212, 222 : 암매직테이프
150 : 삽입요홈 160 : 접이선
200 : 배면보호패널 200a, 200b : 배면패널
200c : 사이패널 210a, 210b, 220a, 220b : 연결날개부
230 : 설치구멍 240a, 240b : 수매직테이프
300 : 측면보호패널 300a : 측면하부패널
300b : 측면상부패널 310 : 삽입요홈
320a~320d : 수매직테이프 330 : 접이선
400 : 바닥패드 500 : 핸드레일보양재

Claims (7)

  1.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110,120)가 형성된 정면하부패널(100a)과, 좌우로 접힘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양측 테두리에 각각 연결날개부(130,140)가 형성되고 상기 정면하부패널(100a)의 상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정면상부패널(100b)로 이루어진 정면보호패널(100);
    엘리베이터의 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바깥쪽 테두리에는 각각 연결날개부(210a,220a)가 형성된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과, 상기 출구부의 상부에서 상기 한쌍의 배면패널(200a,200b)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패널(200c)를 포함하는 배면보호패널(200);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날개부(110,120,210a,220a)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하부패널(300a)과, 좌우로 접힘가능하며 상기 측면하부패널(300a) 상부에서 상기 연결날개부(130,140,210a,220a) 사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상부패널(300b)을 포함하는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하부패널(100a) 및 상기 측면하부패널(300a)은 엘리베이터의 내부바닥면과 핸드레일 사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면상부패널(100b) 및 상기 측면상부패널(300b)은 상기 핸드레일의 상부와 엘리베이터의 천정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보호패널(100)과 상기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은 핸드레일과 맞닿는 면에 핸드레일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요홈(150,31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날개부(110,120,130,140,210a,220a)에는 각각 암매직테이프(111,121,131,141,211,22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날개부(110,120,130,140,210a,220a)와 마주하는 상기 각 측면하부패널(300a)과 상기 각 측면상부패널(300b)의 양측 테두리부에는 수매직테이프(320a~320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보호패널(100), 상기 배면보호패널(200) 및 상기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엘리베이터 조작을 위하여 조작패널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보호뿐만 아니라 미끌림 방지를 위한 바닥패드(400)와 핸드레일을 보호하기 위한 핸드레일보양재(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보호패널(100), 상기 배면보호패널(200), 그리고 상기 한쌍의 측면보호패널(300)은 각각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를 압출하여 얻어진 단프라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파이텍스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KR1020100041501A 2010-05-03 2010-05-03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Active KR10106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01A KR101066890B1 (ko) 2010-05-03 2010-05-03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01A KR101066890B1 (ko) 2010-05-03 2010-05-03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90B1 true KR101066890B1 (ko) 2011-09-27

Family

ID=4495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501A Active KR101066890B1 (ko) 2010-05-03 2010-05-03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9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80B1 (ko) * 2012-07-31 2013-09-10 김수현 엘리베이터 카펫 보양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10933B1 (ko) 2012-09-28 2013-09-23 최은영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양재
KR20160001798A (ko) 2014-06-26 2016-01-07 이중용 충격감소용 보호패드
KR101609863B1 (ko) 2015-11-25 2016-04-20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재
KR101682173B1 (ko) 2015-07-06 2016-12-06 이중용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 패드
KR101682180B1 (ko) 2015-05-28 2016-12-06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KR20170089464A (ko) 2016-01-26 2017-08-04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 패드 및 보호 패드 고정프레임
RU210865U1 (ru) * 2021-02-13 2022-05-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ВЕР ГРУП"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кабины лифта с магнитным креплением
WO2022268948A1 (de) * 2021-06-25 2022-12-29 Inventio Ag Aufzugskab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979A (ja) * 1995-01-18 1996-07-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養生装置
JP2006290596A (ja) 2005-04-14 2006-10-26 Takara Protect Materials Co Ltd 養生パネルの連結材と該連結材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の養生構造
KR20080001538U (ko) * 2006-11-29 2008-06-03 이중용 승강기 커버패드
KR20080003953U (ko) * 2007-03-13 2008-09-19 이영진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979A (ja) * 1995-01-18 1996-07-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養生装置
JP2006290596A (ja) 2005-04-14 2006-10-26 Takara Protect Materials Co Ltd 養生パネルの連結材と該連結材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の養生構造
KR20080001538U (ko) * 2006-11-29 2008-06-03 이중용 승강기 커버패드
KR20080003953U (ko) * 2007-03-13 2008-09-19 이영진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80B1 (ko) * 2012-07-31 2013-09-10 김수현 엘리베이터 카펫 보양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10933B1 (ko) 2012-09-28 2013-09-23 최은영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양재
KR20160001798A (ko) 2014-06-26 2016-01-07 이중용 충격감소용 보호패드
KR101682180B1 (ko) 2015-05-28 2016-12-06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KR101682173B1 (ko) 2015-07-06 2016-12-06 이중용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 패드
KR101609863B1 (ko) 2015-11-25 2016-04-20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재
KR20170089464A (ko) 2016-01-26 2017-08-04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 패드 및 보호 패드 고정프레임
RU210865U1 (ru) * 2021-02-13 2022-05-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ВЕР ГРУП"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кабины лифта с магнитным креплением
WO2022268948A1 (de) * 2021-06-25 2022-12-29 Inventio Ag Aufzugskabine
US12246943B2 (en) 2021-06-25 2025-03-11 Inventio Ag Elevator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90B1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EP3498936B1 (en) Interlocking modular mat with sponge insert
CA2551042A1 (en) Overlapping secured mat system
TW201620474A (zh) 攜帶用斜板
US8011401B1 (en) Toilet bowl protecting method and assembly
US20080292827A1 (en) Car mat module
KR101339325B1 (ko)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KR200444498Y1 (ko)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JP6384914B2 (ja) スロープ装置
KR101271336B1 (ko) 기립 특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보양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82180B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JP3195360U (ja) 鋼製階段用防滑マット
GB2463510A (en) Work mat for restricted access environments
KR101306680B1 (ko) 엘리베이터 카펫 보양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098693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PL1880067T3 (pl) Podłoga
KR102154515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A2928474C (en) Roll-in shower and shower base
JP2007031074A (ja) パッド
KR200406670Y1 (ko) 이중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고무 바닥재유닛
KR20140000619U (ko) 바닥 보양재
JP2014194143A (ja) 組み立て式仮設トイレ用台座天井ユニット及び組み立て式仮設トイレ
JP3956714B2 (ja) 保護バリヤー
KR20120137830A (ko) 화물 보호 아대
JP7255061B2 (ja) エスカレータ用保護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109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21211

Request date: 20120615

Appeal identifier: 201210000164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615

Effective date: 2012121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2121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20615

Decision date: 20121211

Appeal identifier: 201210000164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