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6818B1 -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18B1
KR101066818B1 KR1020100132225A KR20100132225A KR101066818B1 KR 101066818 B1 KR101066818 B1 KR 101066818B1 KR 1020100132225 A KR1020100132225 A KR 1020100132225A KR 20100132225 A KR20100132225 A KR 20100132225A KR 101066818 B1 KR101066818 B1 KR 101066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information
meter
slave
ma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열
우현욱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디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13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되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를 제외한 다른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가 되며,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마스터 게이트웨이 자신을 비롯하여 슬레이브 게이트로 구성된 각각의 게이트웨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게이트웨이에서 검침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검침 서버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검침 시스템으로 인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게이트웨이간의 데이터 송신이 충돌하지 않아, 검침 서버는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량계들의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using gatew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gateway of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량계의 정보를 원격으로 독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검침 시스템은, 예를 들면,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전력량계의 검침값을 원격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 수집하는 수집 시스템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1개의 데이터 수집 유닛과, 이러한 수집 유닛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 접속하는 각각의 단말 무선 유닛의 통신을 허용하며, 데이터 수집 유닛으로부터 각 단말 무선 유닛의 각각에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그리고, 계측 기기의 수요증가에 수반하여 많은 단말 무선 유닛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 유닛측에서의 데이터 수집 능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종 또는 동종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가 데이터 수집 유닛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다수의 전력량계들에 접근이 용이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다수의 전력량계들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에서 우선 순위를 할당하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력량계들의 검침 정보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되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를 제외한 다른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들이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부터 검침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는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력선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은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들에 대하여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구분되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연산된 대기시간의 정보를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수신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마스터 게이트웨이 자신을 비롯하여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각각의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검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각각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각각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된 검침 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검침서버로 직접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에 의해서, 게이트웨이들간에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더라도,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지므로, 이를 통해서 전력량계에 의하여 취합되는 검침 정보를 보다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전력량계에서 수집된 검침 정보를 마스터 게이트웨이에서 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검침 서버로 직접 전달함으로써, 검침 서버에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량계에 의하여 취합되는 검침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간의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전력 사용 수용가에서 전력 사용을 검침하는 복수의 원격지 전력량계들(111,112,211,212)과, 상기의 전력량계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뎀이 마련된 게이트웨이(130,230)와, 상기 게이트웨이(130,230)에서 수집되는 각 전력량계의 검침 정보들을 보관 관리하는 검침 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웨이(130,230)에는 PLC 통신 모뎀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력량계들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들간에는 마스터-슬레이브의 계층구조가 형성되고,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수집된 검침 정보들은 마스터 게이트웨이(130)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에 의하여 검침 서버(500)로 직접 전송된다.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본 실시예의 검침 서버(500)는 단일의 건물 내에서 복수의 공간들에 대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장소(건물)에 대해서 각각의 장소에 마련된 전력량계를 통하여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침 서버(500)가 특정 빌딩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각층마다 마련된 게이트웨이들(130,230)이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다수의 전력량계(111,112,211,212)들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선으로 도시된 도면부호 100과 200은 상기 게이트웨이들이 설치된 각층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검침 서버(500)가 특정 도시 구역에 대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라면, 점선으로 도시된 도면부호 100과 200은 별도의 건물 또는 지역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각각의 게이트웨이들은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조명, 공조기, 사무실, 보일러 등의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전력량계들과 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검침 서버(500)는 마스터 게이트웨이(130)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전달되는 각 장소별/지역별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침 서버(500)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시간대별/지역별로 전력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검침 서버(50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테이블 또는 그래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전력량계(111,112,211,212)는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는 기기 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사용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산 전력량을 정해진 주기, 예를 들면, 30분마다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는 정전 등의 정보도 함께 보관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 전달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 전력량에 관한 정보 이외에 정전 발생시 일자, 시간 등의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와, 전력량계들로부터 관리 대상의 지역/영역의 사용 전력량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사이는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지그비 방식으로 원격지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종 또는 동종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전력량계들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설명하여 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량계들과 데이터 통신하는 데이터 입력부(133)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133)를 통하여 수집되는 검침 정보들을 검침 서버(500)로 전달되도록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통신부(134)와, 게이트웨이로 수집되는 검침 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전력량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5)와, 전원 공급부(132)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1)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데이터 입력부(133)는 전력량계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력량계들과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PLC 모뎀(1332)이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들간에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결정된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게이트웨이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500)로 직접 전달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들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TCP/IP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134)가 구비된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133)에서 전력량계가 시리얼통신만 지원하는 경우 통신케이블 설치가 용이한 Multi Drop방식의 RS-485 통신이 가능한 시리얼통신부와 전력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와의 통신은 PLC모뎀(1332)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게이트웨이들간의 통신과 원격검침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은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34)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통신부(134)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LAN, 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과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량계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입력부(133)로 전달되는 데이터에는 사용 전력량에 관한 검침 정보 이외에 정전이 있었는지 여부와, 정전 시기 및 그 시간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의 제어부(131)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33)를 통하여 전달되는 검침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를 통신부(134)를 통하여 검침 서버(50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5)는 IHD(In Home Display) 기능을 포함하여 각 전력량계로부터 측정되는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에 입주해 있는 사무실, 공용공간과 설비(화장실, 보일러등)와 같이 구역별로 게이트웨이를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필요시 에너지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위 시스템인 AMI 또는 건물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DR(Demand Response) 관련화면을 제공받아 적절한 설비운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집되는 검침 정보들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조명, 공조기, 사무실, 보일러 등의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130)가 가정에 설치된 전력량계들과 전력선 통신하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TV나, 전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 전력량이 그래프/도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전력 계통에 다수의 전력량계와 다수의 게이트웨이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력량계 통신에서 DLMS/COSEM 규약의 OBIS 코드에 따른 리퀘스트(request)와 리스판스(response) 통신 절차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경우, 복수의 게이트웨이들 간에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들간에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의 수집 및 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간의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검침 서버(500)와 네트워크 연결된 게이트웨이들 중에는, 특정의 게이트웨이가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게이트웨이의 설정은 상기 검침 서버(500)에 접속가능한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웨이들 중에서 특정의 게이트웨이가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다음에는, 마스터 게이트웨이를 제외한 다른 게이트웨이들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가 되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의 주소 정보를 보관한다.
이하에서는, 조명과 공조기의 사용 전력량을 검침하는 제 1 게이트웨이(130)가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로 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사용자가 설정하여 놓은 주기마다 전력량계에 의해 검침된 사용 전력량을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330)들에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한다(S101).
여기서, 게이트웨이의 대기시간은 게이트웨이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량계의 전체 통신시간을 가리키며, 각각의 게이트웨이는 그와 연결된 전력량계들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거나 상시 전력을 소모하는 지역에 설치된 전력량계의 경우는 수집 데이터의 양이 큰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는 필요한 통신시간이 많이 요구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 대기시간은, 해당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전력량계의 수량에 1대당 수집시간(DLMS/COSEM)의 곱으로 연산될 수 있다.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로부터 게이트웨이 대기시간 요청을 수신한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330)들은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로 연산한 대기시간을 회신한다(S102,S103).
그 다음,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마스터 게이트웨이(130) 자신을 비롯하여 슬레이브 게이트웨어(230,330)로 구성된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수행한다(S104).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상태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시간이 작은 게이트웨이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가 보다 양호하게 되었을 때에 대기시간이 긴(수집 데이터량이 많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통신 이력을 참조하여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침 정보의 전달도중,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 등 다른 요인으로 정보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적이 있는 게이트웨이에 대해서는 우선순위를 낮게 부여하여, 순차적인 검침 정보 수집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에 의하여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다음에는,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순차적으로(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로 정보 수집을 요청한다(S105,S107,S109).
한편,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검침 정보 수집시마다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지 않고, 이전에 정보 수집이 사용된 우선순위를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이전 자료 수집시에 사용한 우선순위에 따라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 전달을 생략하고, 사용한 바 있는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로 검침 정보 수집의 요청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에 의한 우선순위 결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주기적으로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대기시간을 수집하여 결정하거나,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가능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자신을 1순위로, 제 1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를 2순위로, 제 2 슬레이브 게이트웨이(330)를 3순위로 결정한 경우에, 1순위인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는 그 하부에 연결된 복수의 전력량계에 의하여 검침된 사용 전력량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500)로 전달한다(S106).
그 다음에,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2순위의 제 1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하고(S107), 정보수집 요청의 응답으로 상기 제 1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는 각 전력량계로부터 수집된 검침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500)로 전달한다(S108).
그 다음에,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3순위의 제 2 슬레이브 게이트웨이(330)로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하고(S109), 정보수집 요청의 응답으로 상기 제 2 슬레이브 게이트웨이(330)는 각 전력량계로부터 수집된 검침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500)로 전달한다(S110).
상기와 같이,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330)는 대기시간 수집 요청이 수신되어 그에 대한 응답으로 계산된 대기시간을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로 전달한 다음에는, 각각의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행하여 계산된 대기시간보다 빠르게 상기 검침 서버(500)로 수집된 검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게이트웨어(130,230,330)는 마스터 게이트웨이(130)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 검침 정보를 수집한 후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검침 서버(5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간의 데이터 통신 도중에 네트워크 상황의 악화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타임-아웃 룰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보내거나(S201),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한 경우(S301)에, 통신 상태의 악화 등의 문제로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필요한 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설정한 대기시간 내에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부터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S202)에,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로 통신상태 확인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한다(S203). 이때, 상기 통신상태 확인 요청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230)는 통신상태 정보와, 계산된 대기기간을 마스터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하거나(S204), 수집된 검침 정보를 검침 서버(500)로 직접 전송한다(S302).
한편,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130)가 통신상태 확인 요청의 메시지 발신 후에도, 기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와의 통신 중단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차순위의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여기서, 전력선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우선순위를 낮게 배정하거나, 차기의 우선순위 결정시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마스터 게이트웨이(130)에서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에서 검침 정보를 수집한 후 직접 검침 서버(500)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게이트웨이(130,230,330)간의 데이터 송신이 충돌하지 않아 상기 검침 서버(500)는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량계들의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130, 230, 330 : 게이트웨이
131 : 제어부
132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3 : 데이터 입력부
134 : 통신부
500 : 검침 서버

Claims (5)

  1.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되고,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를 제외한 다른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가 되며,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는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에, 수집한 검침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에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들이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들은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력선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4.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침 시스템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를 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들에 대하여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구분되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대기시간 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연산된 대기시간의 정보를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수신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마스터 게이트웨이 자신을 비롯하여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각각의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검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각각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각각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된 검침 정보를 상기 검침서버로 직접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정보수집 요청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는, 전력선 통신으로 연결된 전력량계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정전이 있은 경우에 상기 정전의 발생일자 또는 발생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검침 서버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KR1020100132225A 2010-12-22 2010-12-22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Active KR10106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25A KR101066818B1 (ko) 2010-12-22 2010-12-22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25A KR101066818B1 (ko) 2010-12-22 2010-12-22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18B1 true KR101066818B1 (ko) 2011-09-23

Family

ID=4495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225A Active KR101066818B1 (ko) 2010-12-22 2010-12-22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1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82B1 (ko) * 2011-11-24 2013-03-15 주식회사 케이티디에스 스마트 미터기의 측정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미터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94319B1 (ko)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의 통신 방법
KR101304724B1 (ko) * 2011-11-21 2013-09-05 네이셔널 치아오 텅 유니버시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전기기구 탐지 방법과 시스템
KR101594237B1 (ko) * 2014-03-11 2016-02-15 정정규 계량기용 디바이스 서버와 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798001B1 (ko) * 2016-06-24 2017-11-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집중장치의 동적인 검침 우선순위 결정 방법
CN107786672A (zh) * 2017-11-16 2018-03-09 积成电子股份有限公司 支持dlms/cosem协议的电表数据采集终端
CN110300401A (zh) * 2019-07-29 2019-10-01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非公开加密算法加密的蓝牙mesh的远程抄表系统
KR20200141712A (ko) * 2019-06-11 2020-12-21 (주)미르시스템 세대 구역에 대한 전력종단 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
KR20220085629A (ko) * 2020-12-15 2022-06-2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계기에 대한 계시별 구분계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계기용 게이트웨이
WO2024117277A1 (ko) * 2022-11-28 2024-06-06 주식회사 이아이피그리드 다중 수용가 게이트웨이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9803A (ja) 1999-06-03 2000-12-15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インターネット接続型soho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3016563A (ja) * 2001-07-02 2003-01-17 Japan Radio Co Ltd Uui利用型無線自動検針システム及びそのゲートウエイ
KR100382464B1 (ko) 2001-01-17 2003-05-09 주식회사 젤파워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KR100417330B1 (ko) * 2000-07-13 2004-02-05 주식회사 젤라인 저압 배전망에서 전력선 통신을 위한 전력선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9803A (ja) 1999-06-03 2000-12-15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インターネット接続型soho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417330B1 (ko) * 2000-07-13 2004-02-05 주식회사 젤라인 저압 배전망에서 전력선 통신을 위한 전력선 결합장치
KR100382464B1 (ko) 2001-01-17 2003-05-09 주식회사 젤파워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JP2003016563A (ja) * 2001-07-02 2003-01-17 Japan Radio Co Ltd Uui利用型無線自動検針システム及びそのゲートウエ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24B1 (ko) * 2011-11-21 2013-09-05 네이셔널 치아오 텅 유니버시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전기기구 탐지 방법과 시스템
KR101243982B1 (ko) * 2011-11-24 2013-03-15 주식회사 케이티디에스 스마트 미터기의 측정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미터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94319B1 (ko)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의 통신 방법
KR101594237B1 (ko) * 2014-03-11 2016-02-15 정정규 계량기용 디바이스 서버와 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798001B1 (ko) * 2016-06-24 2017-11-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집중장치의 동적인 검침 우선순위 결정 방법
CN107786672A (zh) * 2017-11-16 2018-03-09 积成电子股份有限公司 支持dlms/cosem协议的电表数据采集终端
KR20200141712A (ko) * 2019-06-11 2020-12-21 (주)미르시스템 세대 구역에 대한 전력종단 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57091B1 (ko) * 2019-06-11 2021-05-27 (주)미르시스템 세대 구역에 대한 전력종단 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
CN110300401A (zh) * 2019-07-29 2019-10-01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非公开加密算法加密的蓝牙mesh的远程抄表系统
KR20220085629A (ko) * 2020-12-15 2022-06-2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계기에 대한 계시별 구분계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계기용 게이트웨이
KR102454326B1 (ko) * 2020-12-15 2022-10-14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계기에 대한 계시별 구분계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계기용 게이트웨이
WO2024117277A1 (ko) * 2022-11-28 2024-06-06 주식회사 이아이피그리드 다중 수용가 게이트웨이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18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KR101463664B1 (ko) 전기 공익사업자 서비스 포인트 내외로의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687463B (zh) 网络系统和控制网络系统的方法
AU2010235877B2 (en) Packet acknowledgement for polled mesh network communications
CA2725678C (en) Safety interlocks for electricity meter control relays
JP5462806B2 (ja) 電気、水又はガスの消費量を遠隔計量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1531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power management
KR101768679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원격 검침시스템
CA2612939A1 (en) Optimization of reduncancy and throughput in an automated meter data collection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US20140167735A1 (en) Identifying phase connections in an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JP5606977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型電源管理システム
KR20190113326A (ko)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모듈 설정 방법
KR20090032411A (ko) 수용가의 소비 전력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전력서비스 정책을 제공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EP3793174B1 (en) Monitoring of heat consumption
JP6173068B2 (ja) 電力抑制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JP5595157B2 (ja) 無線検針システム
KR101125907B1 (ko) 통신 설정 기능을 구비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설정 방법
KR101167903B1 (ko) 아이피기반 서비스 단말기,이를 이용한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갖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JP5291529B2 (ja) 情報管理方法
DK2913636T3 (en)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082523B1 (ko) 원격검침을 위한 전력량계 어드레스 등록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JP5189657B2 (ja) 電力線通信利用の自動検針方法、電力線通信利用の自動検針システム、及び自動検針用の中継機
US20170108904A1 (en) Location based 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2041156B1 (ko) 스케줄러 기반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JPH10336766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