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677B1 - Clothes dryer - Google Patents
Clothes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5677B1 KR101065677B1 KR1020030085614A KR20030085614A KR101065677B1 KR 101065677 B1 KR101065677 B1 KR 101065677B1 KR 1020030085614 A KR1020030085614 A KR 1020030085614A KR 20030085614 A KR20030085614 A KR 20030085614A KR 101065677 B1 KR101065677 B1 KR 101065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flange surface
- clothes dryer
- front cabinet
-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캐비닛을 사이드 캐비닛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조립되어진 면사이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dryer so as to easily assemble the front cabinet to the side cabinet, to maintain a uniform gap between the assembled surface.
또한,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lothes dry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ront cabinet generated during transport or unloading the clothes dryer complete assembl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 양측에 플랜지면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cabinet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clothes dryer, respectively, the flange surface is formed on both rear sides; A pair of side cabinets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clothes dryer and having a flange surface at a front side thereof; When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at least one positioning means provided for positioning of the front cabinet: is provided with a clothes dryer comprising a.
의류건조기, 위치결정수단, 강도보강Clothes dryer, positioning means, strength reinforcemen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clothes dryer
도 2는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cology that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of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3 to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cology that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이도.Figure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holder is coupled to the flange surface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maintaining the uniformity of the g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200: 프론트 캐비닛 210: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00: front cabinet 210: flange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300: 사이드 캐비닛 310: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00: side cabinet 310: flange side of the side cabinet
410: 고정홀더 411: 제2체결공410: fixed holder 411: second fastener
420: 고정홀 430: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20: fixing hole 430: protrusion for maintaining uniform gap
431: 제1체결공431: First fasten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것과 더불어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을 결합시킬 경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inforcing the front cabinet strength of a clothes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dryer that can easily work when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a side cabinet.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종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a clothes dryer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drying a dry object (for example, clothing) in a wet state in which washing is completed, and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such a clothes dryer is as follows.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clothes dry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cology that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of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즉, 의류건조기 본체(B)는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0)와,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양측에 플랜지면(21)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20)과,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31)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30)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0)와, 상기 캐비닛 상부에 설치되는 톱커버(50)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 상단측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60)을 포함한다.That is, the clothes dryer main body (B) forms a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본체(B)를 구성하는 요소인 프론트 캐비닛(20)에 빨래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건조드럼(도시는 생략함)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general, the clothes dryer has an inlet formed in the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에는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2)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건조드럼에는 열풍공급유로 및 열풍배출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열풍 공급유로 상에는 건조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열풍배출유로 상에는 건조드럼 내부로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킴과 더불어 건조 완료후의 공기를 본체(B)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hot air supply passage and a hot air discharge passage are connected to the drying drum, and a heat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hot air supply passage to he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a high temperature state. A blower (not shown) for generating a blowing force is installed to force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to flow in and discharge the air after completion of dry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의류건조기에 따른 건조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건조드럼 내측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후, 건조행정을 수행시키면, 히터 및 모터(미도시)가 작동된다.First, after the drying object is put into the drying drum, the drying stroke is performed, and a heater and a motor (not shown) are operated.
그리고, 배기팬이 작동됨에 따라 열풍공급유로의 흡입측을 통해 본체(B) 내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히터를 지나면서 고온화 되어 생성된 열풍이 열풍공급유로를 통해 건조드럼 내측으로 강제 유입된다.As the exhaust fan is operated, hot air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of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B through the suction side of the hot air supply flow passage is forced to flow into the drying drum through the hot air supply flow passage.
이어서, 건조드럼 내로 유입된 열풍은 배기팬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열풍배출유로의 배출측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되며, 이 때 건조드럼은 벨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저속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drum repeats the circulatio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side of the hot air discharge passage while evaporating the moisture of the dry object in the wet state by the suction blowing force of the exhaust fan. The belt is rotated at a low spe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the belt, and the drying object is dried in this process.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30)에 프론트 캐비닛(20)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종래 의류건조기는 프론트 캐비닛(20)과 사이드 캐비닛(30)을 여러 군데의 나사 체결을 통해 조립하게 되어 있어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h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즉, 사이드 캐비닛(20)과 프론트 캐비닛(30)간의 조립을 행하기 위해서는, 옆에서 누군가가 프론트 캐비닛(30)이 처지지 않도록 잡아주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된다.That is, in order to perform the assembly between the
한편,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은 제작과정에서 그 면이 불균일하게 제작될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the
이 때, 사이드 캐빈닛(3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이 조립이 완료될 경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과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 사이의 틈새가 불균일 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assembly of the
이로 인해, 상기 의류건조기를 작동하거나 운반시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으로부터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shakes are generated from the
한편, 조립이 완성된 의류건조기를 컨테이너 혹은, 운반용 차량에 하역할 경우, 클램핑기를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unloading the clothes dryer is assembled or container or transport vehicle, a clamping machine is used.
이 때, 상기 클램핑기가 접촉되는 양측부위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프론를 캐비닛(20)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a load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clamping machine contac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formation of the prone i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프론트 캐비닛을 사이드 캐비닛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조립되어진 면사이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clothes dryer so as to easily assemble the front cabinet to the side cabinet,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assembled surface uniformly. There is this.
또한,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 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dryer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front cabinet generated during transport or unloading of the assembled clothes dry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양측에 플랜지면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ront of the clothes dryer, the front cabinet each formed with a flang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rear, and the side of the clothes dryer, a pair of side cabinets with a flang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when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provides a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ing means provided for positioning of the front cabinet.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3 to 6.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이도이다.3 to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cology that the front cabinet is coupled to the side cabinet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ange surface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maintaining the uniform ga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holder is coupled to the shaf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후방양측에 플랜지면(210)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200)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310)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30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프론트 캐비닛(200)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the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각 플랜지면(210) 및 각 사이드 캐비닛(300)의 전방측 플랜지면(3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다.Here, the positioning means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이 때,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21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이 조립되어질 경우, 우선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용이하게 조립을 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프론트 캐비닛 플랜지면(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ing means, when the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210) 혹은, 각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중 어느 한 플랜지면에 구비된 고정홀더(410)와, 상기 고정홀더(410)와는 대응하는 부위의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더(410)가 요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성된 고정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sitioning means may include 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420)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되는 것을 제시한다.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플랜지면(2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420)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형성되는 것을 제시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때,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에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물론,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됨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홀더(410)를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제시한다.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sten the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고정홀(420)에 요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고정홀더(410)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대략 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xed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수단에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사이의 틈새가 균일하게 유지되기 위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Further, more preferably, the positioning means further includes a gap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중 어느 한 플랜지면으로부터 다른 한 플랜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learance uniformly maintain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의 전방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210) 상하부측 혹은,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상하부측에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의 전방측면에 상기 고정홀더(410)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for maintaining the gap uniformity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각 플랜지면(210)(310)을 제작 할 경우, 상기 각 플랜지면에 포밍(foaming) 작업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gap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과정 및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프론트 캐비닛(2)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providing the positioning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ront cabinet 2 on the
우선,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을 제작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 중 한 플랜지면의 일부를 포밍 작업을 통하여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를 형성하도록 하고, 다른 플랜지면의 일부에는 고정홀(420)을 형성한다.First, when fabricating the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 중심부위에 상기 고정홀더(410)가 결합되어지도록 제1체결공(4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홀더(410) 중심부에 형성된 제2체결공(411)과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에 형성된 제1체결공(431)을 일치시킨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6, a
그 다음, 상기 서로 일치된 각 체결공(411)(431)에 스크류(100) 혹은,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Then, the fastening holes 411 and 431 coincide with each other by using a
여기서,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 및 고정홀더(410)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고정홀(420)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300)이 조립되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된 고정홀(420)에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된 고정홀더(410)를 요입한다.The fixing
이 때,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된 고정홀더(410)의 상단부가 뾰족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된 고정홀(420) 내로의 요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요입 완료시에는 프론트 캐비닛 플랜지면(210)의 단면적이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형성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에 접촉하게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xing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로 인하여,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사이에는 균일한 틈새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At this time, a uniform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다음, 상기 고정홀더(410)에 의해 가 조립된 상태의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을 스크류등을 이용하여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Next, the assembly of the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중 어느 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4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과 사이드 캐비닛(300)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강도가 보강되어 조립이 완료된 제품을 하역시 문제되었던 프론트 캐비닛(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fixing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상기 플랜지면을 이용하여 포밍작업을 통해 형성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홀더(410)를 제작할 경우, 일체로 제작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rance uniformly maintaining
또한, 상기 고정홀더(410)는 각 플랜지면(210)(310)에 용접과정을 통하여 장착됨도 이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fix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ositio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flange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or the flange surface of the side cabinet, it is easy to assemble the front cabinet to the side cabinet.
또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캐비닛과 프론트 캐비닛간의 조립완료 시, 그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gap uniform maintenance protrusion, when the assembly between the side cabinet and the front cabinet is comple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maintained uniformly.
특히, 고정홀더가 구비됨으로써, 프론트 캐비닛의 강도가 보강되어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fixing holder is provided, the strength of the front cabinet is reinforc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ront cabinet generated during transporting or unloading the clothes dry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5614A KR101065677B1 (en) | 2003-11-28 | 2003-11-28 | Clothes dryer |
US10/892,106 US20050116591A1 (en) | 2003-11-28 | 2004-07-16 | Home applianc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5614A KR101065677B1 (en) | 2003-11-28 | 2003-11-28 | Clothes dr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1928A KR20050051928A (en) | 2005-06-02 |
KR101065677B1 true KR101065677B1 (en) | 2011-09-19 |
Family
ID=3461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5614A Expired - Lifetime KR101065677B1 (en) | 2003-11-28 | 2003-11-28 | Clothes dry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16591A1 (en) |
KR (1) | KR1010656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01437A1 (en) * | 2006-01-10 | 2007-07-12 | Miele & Cie. Kg | Housing for a front-loading laundry treatment machine |
IT1399435B1 (en) * | 2010-04-13 | 2013-04-19 | Gatto S P A | DOOR FOR FURNITURE WITH REMOVABLE PANEL - INTERCHANGEABLE. |
KR20120136166A (en) * | 2011-06-08 | 2012-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2229295B1 (en) * | 2013-10-17 | 2021-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washing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1715B1 (en) * | 1998-01-14 | 2000-07-15 | 구자홍 | Drum type washing machine |
KR100353026B1 (en) * | 2000-07-20 | 2002-09-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abinet of clothes washing machine |
KR20030006100A (en) * | 2001-07-11 | 2003-01-23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structure for installing cabinet cover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56977A (en) * | 1974-11-18 | 1976-05-18 |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 Fume hood with removable enclosure panels |
US5584549A (en) * | 1995-04-26 | 1996-12-17 | General Electric Company | Front serviceable appliance cabinet |
TW472903U (en) * | 1999-12-28 | 2002-0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Computer panel |
-
2003
- 2003-11-28 KR KR1020030085614A patent/KR10106567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
- 2004-07-16 US US10/892,106 patent/US2005011659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1715B1 (en) * | 1998-01-14 | 2000-07-15 | 구자홍 | Drum type washing machine |
KR100353026B1 (en) * | 2000-07-20 | 2002-09-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abinet of clothes washing machine |
KR20030006100A (en) * | 2001-07-11 | 2003-01-23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structure for installing cabinet cover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1928A (en) | 2005-06-02 |
US20050116591A1 (en) | 2005-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3903B1 (en) | clothes dryer | |
CN113308842B (en) | Stacked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2493055B1 (en) | Stacking Type cloth treating apparatus | |
CN113308844B (en) | Stacked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0595181B1 (en) | Assembly structure of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clothes dryer | |
US7204039B2 (en) | Washing machine having a condensing duct | |
KR101065677B1 (en) | Clothes dryer | |
EP1595993A1 (en) | Clothes dryer | |
KR20040025139A (en) | structure of top cover in clothes dryer | |
KR100925425B1 (en) | Structure to prevent gaps between blower and connection duct in laundry dryer | |
KR100913083B1 (en) | Assembly structure between front cabinet and front support of laundry dryer | |
KR101141637B1 (en) | structure for stiffness-supporting side cabinet in clothes dryer | |
KR20050058015A (en) | Clothes dryer | |
KR20070006491A (en) | Clothes dryer | |
KR101012363B1 (en) | Heater Bracket Structure of Clothes Dryer | |
US20060048406A1 (en) | Clothing dryer | |
KR100587319B1 (en) | Clothes dryer | |
KR20040025140A (en) | structure for shielding exposed part of core wire of terminal block in clothes dryer | |
KR20040013278A (en) | structure of reinforcement for leg assembling part of base in clothes dryer | |
KR100452369B1 (en) | Front supporter mounting structure of dryer | |
KR100587295B1 (en) | Front cabinet assembly structure of the clothes dryer | |
KR101122068B1 (en) | Structure for power connecting part in clothes dryer | |
KR101147738B1 (en) | combine structure of inlet-duct and heater-case for clothes dryer | |
KR101065681B1 (en) | Power cord fixing device of clothes dryer | |
KR20040012003A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top cover and control panel in clothes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