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019B1 -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5019B1 KR101065019B1 KR1020090080596A KR20090080596A KR101065019B1 KR 101065019 B1 KR101065019 B1 KR 101065019B1 KR 1020090080596 A KR1020090080596 A KR 1020090080596A KR 20090080596 A KR20090080596 A KR 20090080596A KR 101065019 B1 KR101065019 B1 KR 101065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npowder
- case
- wall structure
- blasting
- p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2—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demolition of tall structures, e.g. chimney sta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2—Arranging blasting cartridges to form an assemb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55—Silencing means for blast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약의 폭발력을 벽체방향으로만 집중시켜 파쇄 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적은 화약량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발파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o concentrate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to blast only precisely, efficiently and safely with a small amount of powder.
본 발명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내부에 물이 담기며 벽식 구조체(1)의 발파예정선(L)을 따라 배치되는 발파팩(30)과; 내부에 화약 수용부(11)가 구비되며 일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된 관형의 화약 케이스(10)와; 상기 화약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화약(20)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화약의 폭발력이 상기 화약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파팩에 집중되어 상기 벽식 구조체의 발파예정선을 따라 발파가 이루어진다.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st pack (30) is placed along the blasting line (L) of the wall structure (1) containing water; Gunpowder receiving portion 11 is provided inside the tubular gunpowder case 10 having an opening 12 formed on one side; It includes a gunpowder 20 is inserted into the gunpowder case, whereby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is concentrated in the blast pack through the opening of the gunpowder case is blasted along the blasting schedule of the wall structure.
발파, 벽, 케이스, 방호책 Blasting, wall, case, prot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약의 폭발력을 벽체방향으로만 집중시켜 파쇄 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적은 화약량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발파할 수 있는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capable of blasting precisely, efficiently and safely with only a small amount of powder to be broken by concentrating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It is about a method.
최근에 아파트나 건물 등이 대부분 고층으로 시공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해체공법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공법은 기계식 해체공법으로 중장비를 건물의 옥상에 올려 윗층부터 차례로 해체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Recently, most apartments and buildings are constructed on high floors, but the main method of dismantling is mechanical dismantling, which uses heavy equipment on the roof of a building to dismantle from the top.
그러나 상기 공법은 중기인양, 중기하중에 대한 위험요소 등으로 안전성에 검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한 종종 노후된 건물이 흔들림에 따라 중장비나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어 좀더 안전하고 신속한 해체공법을 생각해낸 결과 발파해체공법이 대두되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afety due to the heavy lifting, risk factors for heavy loads, and also the safety accidents that fall from high places of heavy equipment or workers due to the shaking of the old building often occurs more safely and quickly As a result of the demolition method, the blast dismantling method emerged.
즉, 상기 발파해체공법(Explosive demolition)은 구조물의 안정성에 관련된 주요 지점인 기둥이나 내력벽, 창사이의 벽(Pier)과 같은 구조물을 소량의 폭약을 이용하여 파괴시키는 것으로, 구조물의 안정성과 강성을 저하시켜 불안정한 상태로 만들어 구조물 자체의 하중으로 붕괴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In other words, the explosive demolition method is to destroy a structure such as a pillar, a bearing wall, and a pier between windows, which are the main point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using a small amount of explosives. It is a method of inducing a decay state by degrading it and causing it to collapse under the load of the structure itsel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파해체공법은 대량의 분진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으며, 공법이 경제적이나 실패할 경우 대량의 인명피해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석면가루 등 발암물질이 함유된 부산물이 비산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발파시 진동이나 소음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asting and dismantling method has been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a large amount of dust, and if the method is economic or unsuccessful, a large amount of lives and costs are requir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scattering by-products containing carcinogens such as asbestos powder, a big problem occurred that vibration or noise could not be completely removed during blasting.
또한 현재 국내에서 건축물, 토목 구조물의 발파해체 사례는 종종 있어도 벽식구조에 대한 발파사례는 전무하였고 그와 관련된 자료도 거의 없었다.In addition, there are no cases of blasting and dismantling of structures and civil structures in Korea.
즉, 국내 대부분의 아파트는 벽식 구조를 채택하여 시공하고 있고 구조물의 높이 또한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여서 벽식구조 아파트의 발파해체 기술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기술이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other words, most apartments in Korea are constructed by adopting a wall structure, and the height of the structure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blast dismantling technology of the wall structure apartment has emerged as an urgent task,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such technology at pre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벽체를 발파해체하는데 있어, 화약의 폭발력을 벽체방향으로만 집중시켜 파 쇄 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적은 화약량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발파하기 위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dismantling the long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ncentrate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only in the wall direction only the portion to be broken with a small amount of gunpowder accurate and effici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blasting.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내부에 물이 담기며 벽식 구조체의 발파예정선을 따라 배치되는 발파팩과; 내부에 화약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형의 화약 케이스와; 상기 화약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화약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화약의 폭발력이 상기 화약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파팩에 집중되어 상기 벽식 구조체의 발파예정선을 따라 발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last pack is placed along the blasting line of the wall structure containing water; A gunpowder case having a gunpowder accommodating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It includes a gunpowder inserted into the gunpowder case, whereby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is concentrated in the blast pack through the opening of the gunpowd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sting along the blasting schedule of the wall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벽식 구조체의 벽면상의 발파예정선에, 물을 채운 발파팩을 설치하여 비압축성인 물을 통해 전파되는 수중충격파가 발파예정선의 모든 곳에 충분히 작용하여 벽식 구조체를 발파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화약량을 이용하여도 벽식 구조체를 발파할 수 있으므로 발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blast pack filled with water on the wall blast line on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structure, the underwater shock wave propagated through incompressible water is fully applied to all parts of the blast line Not only can the structure be blasted, but also a small amount of powder can be used to blast the wall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blasting cost.
그리고, 물의 수중충격파에 의해 발파가 이루어져, 벽식 구조체의 발파시 분진과 소음이 감소됨에 따라 민원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발파 기술로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asting is caused by the water shock wave of the water, dust and noise are reduced during the blasting of the wall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civil complaints,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safety as the blasting technology.
<실시예 1>≪ Example 1 >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내부에 장약부(11)가 구비된 화약 케이스(10), 화약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화약(20), 화약(20)의 폭발력이 발파예정선(L)을 따라 작용하도록 내부에 물이 담기는 발파팩(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화약 케이스(10)는 화약(20)을 벽식 구조체(1)의 발파예정선(L)에 맞춰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이며 내부에 화약(20)이 수용되는 장약부(11)가 갖추어지며, 화약(20)의 폭발력이 발파예정선(L)에 집중되도록 개구부(12)가 구비된다. 즉, 개구부(12)와 발파예정선(L)이 일치하기 때문에 화약(20)의 폭발시 개구부(12)를 통과하여 발파예정선(L)에 집중될 수 있다.
화약(20)은 벽식 구조체(1)의 발파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제품이 사용되며, 벽식 구조체(1)의 단면적 등에 따라 1개 이상이 사용된다.The
1개의 화약(20)만 사용되는 경우 화약(20)의 일측에 뇌관(21)을 연결한다.If only one
2개 이상의 화약(20)을 사용하는 경우 도폭선(22)을 통해 다수의 화약(20)을 연쇄적으로 연결하며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화약(20)에 뇌관(21)을 연결한다.When two or
발파팩(30)은 내부에 담긴 물을 이용하여 화약(20)의 폭발력이 발파예정선(L)을 따라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비압축성 물에 의한 작용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발파팩(30)은 화약(20)의 폭발력에 의해 찢어지는 강도의 모든 재질로 가능 하며, 합성수지, 비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발파력 측면에서 볼 때 재질에 상관없이 발파팩(30)은 유연성과는 큰 관련이 없으므로 유연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단, 발파팩(30)은 발파 현장에서 물이 담길 것이므로 보관 및 운반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발파팩(30) 내부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및 캡이다.In the figure,
본 실시예에서 화약(20)이 수납된 화약 케이스(10), 발파팩(30)은 단품으로서, 벽식 구조체(1)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벽식 구조체(1)에 구멍을 천공(발파팩(30)의 상하부에 각각 천공)하여, 상기 구멍에 와이어(2)(철사 등을 포함)를 걸어 발파팩(30)과 화약 케이스(10)를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다르게는 화약 케이스(10)를 발파팩(30)에 테이프 등으로 부착하고 발파팩(30)을 테이프, 앵커 등으로 벽식 구조체(1)에 설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화약(20)의 폭발력이 화약 케이스(10)의 개구부(12)를 경유하여 벽식 구조체(1)를 향하고 또한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방호책(40)을 설치할 수 있다. 방호책(40)은 다수의 모래주머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를 이용한 발파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blasting method using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벽식 구조체(1)에 발파예정선(L)을 도시한다. 발파예정선(L)은 발파 설계의 초기 작업이면서 발파의 효율성을 가늠하는 것으로 화약(20)의 종류, 벽식 구조 체(1)의 단면적 등을 근거로 한 계산에 의거하여 산출된다.The blast line L is shown on the
화약(20)을 화약 케이스(10)에 넣고 화약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이 개방된 경우 개방된 좌우 양측을 캡 등으로 밀봉한다. 다수의 화약(20)을 사용하는 경우 화약(20)들을 도폭선(22)을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하여 준비하고, 화약(20)을 화약 케이스(10)에 차례대로 삽입한다. 즉, 여기서는 좌우측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화약(20)의 폭발력이 개구부(12)만을 향하도록 화약 케이스(10)의 다른 부분을 밀봉하는 것이다.When the
화약 케이스(10)와 발파팩(30)을 벽식 구조체(1)의 벽면에 발파예정선(L)을 따라 설치한다. 화약 케이스(10)와 발파팩(30)을 전술한 것처럼 벽식 구조체(1)에 설치한다.The
화약 케이스(10)와 발파팩(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방호책(40)을 설치한다. 방호책(40)은 화약(20)의 폭발력이 벽식 구조체(1)의 반대쪽을 향하지 않도록 방호하는 것이므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설치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뇌관(21)을 점화하면 뇌관(21)에 연결된 화약(20)에서부터 도폭선(22)을 따라 화약(20)이 순차적으로 폭발한다. 다수의 화약(20)이 도폭선(22)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약(20)이 순차적으로 폭발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모든 화약(20)이 동시에 폭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화약(20)의 폭발시 폭발력이 외부를 향하게 되는데, 화약(20)이 담긴 화약 케이스(10)의 구조 및 방호책(40) 등에 의해 화약(20)의 폭발력은 화약 케이스(10)의 개구부(12)를 향하게 된다. 즉, 화약(20)의 폭발력은 개구부(12)에 집중되는 것 이다.When the
화약(20)의 폭발력은 개구부(12)를 거쳐 발파팩(30)에 전달되며, 발파팩(30)은 화약(20)의 폭발력에 의해 찢어지게 되어 내부의 물이 비산되며, 화약(20)의 폭발력은 비압축성인 물을 통해 발파예정선(L)으로 전달된다. The explosive force of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약의 폭발력은 화약 케이스(10)에 의해 강하게 구속되어 증가하게 되고, 또한 그 폭발력은 개구부(12)로 집중되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12)를 거쳐 나온 폭발력은 물이 채워져 있는 발파팩(30)에 전달되어 수중충격파로 변환되고, 수중충격파는 화약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도 작용하여 벽식 구조체(1)의 모든 발파예정선(L)은 파쇄된다.In more detail,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is strongly constrained and increased by the
또한, 화약(20)은 방호책(40)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화약(20)의 폭발력은 벽식 구조체(1)의 반대쪽을 향하지 않고 벽식 구조체(1)를 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실시예 2><Example 2>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발파팩(30)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실시에 1은 발파팩(30)과 화약 케이스(10)가 단품이기 때문에 화약 케이스(10)와 발파팩(30) 모두를 떨어지지 않도록 잡은 상태에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본 실시예는 발파팩(30)에 화약 케이스(10)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수용부(32)가 형성되어 화약 케이스(10)를 발파팩(30)에 일체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케이스 수용부(32)는 화약(20)의 폭발 이전에 화약 케이스(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좌우 양측 또는 좌우 양측 중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이고, 개방부에는 막음캡(33)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막음캡(33)이 사용된 경우 뇌관(21)의 폭발을 간섭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The
또한, 케이스 수용부(32)는 화약 케이스(10)의 개구부(12)가 발파예정선(L)과 일치되도록 화약 케이스(10)를 지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위치설정부가 갖추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위치설정부는 위치설정돌기(13)와 위치설정홈(3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설정돌기(13)는 화약 케이스(10)의 개구부(12)의 반대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위치설정홈(32a)은 케이스 수용부(32)의 내부에 형성된다.The position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화약 케이스(10)의 위치설정돌기(13)를 케이스 수용부(32)의 위치설정홈(32a)에 끼워 삽입하면 화약 케이스(10)의 개구부(12)가 발파예정선(L)과 자연스럽게 일치된다.When the
<실시예 3><Example 3>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벽식 구조체(1)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발파팩(3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며, 발파팩(30)의 둘레부 예를 들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플랜지(34)가 형성되고, 플랜지(34)에는 하나 이상의 앵커(3)가 박혀 발파팩(30)을 벽시 구조체(1)에 설치한다.As shown in FIG. 5,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도 5에서는 실시예 2에 적용된 발파팩(30)으로 도시되었으나, 플랜지(34)와 앵커(3)에 의한 설치 구조는 실시예 1의 발파팩(30)에도 적용 가능하다.Although shown in FIG. 5 as the
<실시예 4><Example 4>
도 6a와 도 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는, 화약 케이스(10)의 설치를 실시예 2보다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6A and 6B,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실시예 2에서는 케이스 수용부(32)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었기 때문에 화약 케이스(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 넣어야 하며, 화약 케이스(10)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밀어 넣는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본 실시예에 적용된 발파팩(30)은 화약 케이스(10)를 상부에서 끼워 넣을 수 있을 만큼만 상부(상부 및 좌우 양측 중 일측 이상)가 개방된 케이스 수용부(35), 케이스 수용부(35)를 개폐하는 케이스 고정커버(36)를 포함한다. The blasting
케이스 수용부(35)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었기 때문에 화약 케이스(10)를 상부에서 하부로 넣는 작업만으로도 화약 케이스(10)를 케이스 수용부(35)에 수납할 수 있고, 케이스 고정커버(36)를 닫아 케이스 수용부(35)를 폐쇄할 수 있다.Since the
케이스 고정커버(36)는 화약 케이스(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일측이 힌지를 통해 케이스 수용부(35)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볼트나 회전핀 등을 통해 발파팩(30)에 록킹된다.The
케이스 고정커버(36)는 화약 케이스(1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하 양측에 각각 플랜지가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상하부의 플랜지가 앵커를 통해 발파팩(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지 않고 상하부가 발파팩(30)에 볼트나 회전핀 등을 통해 록킹될 수도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는 케이스 고정커버(36)를 발파팩(30)의 설치용으로도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스 고정커버(36)의 단부에는 벽식 구조체(1)의 벽면에 밀착되는 플랜지(37)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케이스 고정커버(36)는 케이스 수용부(32)를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The
발파팩(30)의 하부에는 실시예 3에 나타난 하부의 플랜지(34)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케이스 고정커버(36)의 플랜지(37)와 하부의 플랜지(34)가 앵커(3)를 통해 벽식 구조체(1)에 고정된다.The
즉, 케이스 고정커버(36)는 케이스 수용부(35)를 개폐하는 기능과 발파팩(30)을 설치하는 기능을 겸하게 되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7은 발파팩(30)의 용적율을 가변하기 위한 것으로, 발파팩(30)은 유연성 있는 주름부(30a)가 포함된다. 주름부(30a)는 절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넓게 펼쳐지거나 좁게 접히면서 발파팩(30)의 용적율을 변화한다.7 is for changing the volume ratio of the
도면에서는 주름부(30a)가 발파팩(30)의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발파팩(30)이 전체적으로 주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도 8은 화약(20)의 폭발력이 벽식 구조체(1)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발파안내커버(50)가 포함된 것을 보인 것이다. 발파안내커버(50)는 철재로 이루어지며 발파팩(3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플랜지(51)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51)에 앵커나 볼트 등의 체결구(52)를 박음으로써 벽식 구조체(1)에 설치될 수 있다.FIG. 8 shows that a
발파안내커버(50)는 발파팩(30)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Blasting guide cover 50 may be installed as a whole along the
도 9는 케이스 수용부(35)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케이스 수용부(35)는 일측(전방측)을 향해 개방되며, 케이스 고정커버(36)는 철재로 이루어지며 발파팩(3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에 앵커나 볼트 등의 체결구를 박음으로써 벽식 구조체(1)에 설치될 수 있다.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의 조립 상태도.2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of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의 설치 상태도.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적용된 발파팩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ast pack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적용된 발파팩의 설치상태도.5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last pack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적용된 발파팩의 사시도 및 설치 상태도.6a and 6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last pack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적용된 발파팩의 다른 예시도.Figure 7 is another illustration of the blast pack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발파안내커버가 적용된 도면.Figure 8 is a blast guide cover is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벽식 구조체 발파 장치에 적용된 케이스 수용부의 다른 예시도.Figure 9 is another illustration of the case receiving portion applied to the wall structur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벽식 구조체, 10 : 화약 케이스1: wall structure, 10: powder case
12 : 개구부, 20 : 화약12: opening, 20: gunpowder
30 : 발파팩, 40 : 방호책30: blast pack, 40: protective measures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0596A KR101065019B1 (en) | 2009-08-28 | 2009-08-28 |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0596A KR101065019B1 (en) | 2009-08-28 | 2009-08-28 |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020A KR20110023020A (en) | 2011-03-08 |
KR101065019B1 true KR101065019B1 (en) | 2011-09-15 |
Family
ID=439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0596A Active KR101065019B1 (en) | 2009-08-28 | 2009-08-28 |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501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9012B1 (en) * | 2013-12-24 | 2015-03-27 | 나상철 | A charging box of TNT for bridge rejecting facilities |
KR102060447B1 (en) * | 2014-03-04 | 2020-01-15 | 나상철 | A charging box of TNT for wire of cable-stayed or suspension bridge rejecting facilities |
KR101653175B1 (en) * | 2015-04-14 | 2016-09-02 | 대한민국 | Route Clearance Method U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Spray Penetr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90447A (en) | 1975-02-26 | 1978-05-23 | Johnsen Oscar A | Directional blasting tubes and method of use |
EP0142717A1 (en) | 1983-11-17 | 1985-05-29 | Manfred Meul | Blasting device for precision blasting |
JPH08201000A (en) * | 1995-01-30 | 1996-08-09 | Sato Kogyo Co Ltd | Natural ground reinforcing method for thermally soft resin |
KR20040011893A (en) * | 2002-07-31 | 2004-02-11 | 최찬규 | Explosive blasting equipment and method |
-
2009
- 2009-08-28 KR KR1020090080596A patent/KR1010650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90447A (en) | 1975-02-26 | 1978-05-23 | Johnsen Oscar A | Directional blasting tubes and method of use |
EP0142717A1 (en) | 1983-11-17 | 1985-05-29 | Manfred Meul | Blasting device for precision blasting |
JPH08201000A (en) * | 1995-01-30 | 1996-08-09 | Sato Kogyo Co Ltd | Natural ground reinforcing method for thermally soft resin |
KR20040011893A (en) * | 2002-07-31 | 2004-02-11 | 최찬규 | Explosive blasting equipment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020A (en) | 2011-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4820B1 (en) | Tube charged of explosives powder with air gap and method of constructing method for blasting bedrock using that | |
KR102162731B1 (en) | Eco friendly explosive case and Dispersion explosive assembly including this same and Blasting method using this same | |
CN101581188A (en) | Through shockproof wave door | |
KR101065019B1 (en) | Wall structure blasting device and method | |
US20250092733A1 (en) |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 closure | |
RU163752U1 (en) | STOP | |
KR20140022193A (en) | Blast pressure effusion inhibition device and method for blasting the vast hole using the same | |
JP2016514220A (en) | Dry containment curtain equipment | |
KR100450056B1 (en) | Explosive blasting equipment and method | |
CN111183329B (en) | Partially compressible antistatic collapsible container for blasting | |
KR100885925B1 (en) | Blasting and dismantling method of silo with large cross section cylindrical structure | |
RU2265797C1 (en) | Shelter of blast areas of automobile tires | |
WO2017105279A1 (en) | Stemming plug | |
US20160231091A1 (en) | Improved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 |
RU2688996C1 (en) | Charge retainer during drilling and blasting operations | |
US4712393A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manently locking a movable member in a framework | |
Zhou et al. | In-structure shock of underground structures: A revisit with experimental investigation | |
KR100460753B1 (en) | Blasting dissolution method of the infrastructure which uses a hydraulic pressure | |
KR102108135B1 (en) | A filling up type blasting kit for military disapproval facilities of road and tunnel | |
RU2265795C1 (en) | Method for blasting of benches under shelter | |
Hałys et al. | Military technology in mine rescue | |
RU2265799C1 (en) | Method for blasting of benches under chain mats | |
RU49973U1 (en) | SYSTEM FOR DISCONNECTING AN EXPLOSION DEVICE | |
KR102153411B1 (en) | Internal Propagation Protection of Jet Fuel Fire after Aircraft Impact | |
Forsen | Tunnel explosion characteris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