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876B1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Google Patents
Garbage collection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4876B1 KR101064876B1 KR1020090028091A KR20090028091A KR101064876B1 KR 101064876 B1 KR101064876 B1 KR 101064876B1 KR 1020090028091 A KR1020090028091 A KR 1020090028091A KR 20090028091 A KR20090028091 A KR 20090028091A KR 101064876 B1 KR101064876 B1 KR 101064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storage chute
- opening
- chute
- clos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슈트의 쓰레기가 이송관로 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이송관로와, 쓰레기 투입구와 이송관로를 연결하며 소정량의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슈트와, 저장슈트 하부를 개폐하는 배출밸브와, 이송관로 내에 이송을 위한 흡입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저장슈트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 내부로 밀어주는 배출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그 출구가 이송관로 내부와 연통하도록 저장슈트 하부 쪽에 마련된 공기유입유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that allows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to be discharged smoothly toward the transport pipe.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disclosed is connected to a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waste, a storage chute that connects the waste inlet and the transport pipe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a discharge valv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ute, and transfers the transport into the transport pipe. In the automatic waste collection facility including a blower for forming an intake air flow for the waste, i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hute so that the outle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to form an exhaust air flow to push the waste falling from the storage chute into the transfer pipe; It includes a prepared air inflow pass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슈트의 쓰레기를 이송관로로 배출시킬 때 쓰레기의 이송을 돕는 배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to enable the discharge airflow to help the transfer of waste when discharging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into the transfer pipe.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각 가정 등으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땅속에 매설된 이송관로를 통하여 중앙 집하장이나 쓰레기 소각장으로 모으는 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쓰레기를 수집장까지 들고 갈 필요 없이 가까운 투입구에 넣기만 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투입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이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쾌적하고 깨끗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Garbage collection facility is a facility that collects garbag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etc., into a central garage or garbage incinerator through a transport pipeline embedded in the ground. These facilities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ecause they can be disposed of by simply putting them in a nearby slot without having to carry them to a collection site, and provide a pleasant and clean living environment because most of the facilities except the slot are buried underground. do.
통상적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집하장의 쓰레기 수집설비와, 수집설비 쪽으로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된 이송관로와, 쓰레기 투입장치의 투입구와 이송관로를 연결하며 소정량의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저장슈트와, 저장슈트 내부의 쓰레기 배출을 위해 저장슈트 하부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한다. 또 쓰레기 이송을 위해 이송관로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송풍장치와, 송풍장치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설비를 포함한다.A typical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is a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by connecting a waste collection facility in a storage area, a transport pipeline underground to transfer waste toward the collection facility, and an inlet and a transport pipeline of a waste input device. Storage chute with a discharg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ute for discharging waste inside the storage chute. It also includes a blower for forcibly sucking the air in the conveying pipe for conveying waste, and an air purifying facility for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er.
쓰레기를 수집할 때는 송풍장치에 의해 이송관로에 내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배출밸브가 저장슈트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저장슈트의 쓰레기가 이송관로의 흡입기류에 의해 이송관로를 따라 수집설비로 수집된다. When collecting the waste, the discharge valve opens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ute while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transportation line by the blower, and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is collected by the suction line of the transportation line to the collecting facility along the transportation line.
그러나 이러한 자동집하시설에서는 쓰레기 수거를 위해 배출밸브가 저장슈트의 하부를 개방하더라도 간혹 저장슈트의 쓰레기가 이송관로로 배출되지 않아 쓰레기의 수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처럼 무겁고 봉투의 외면이 젖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슈트의 쓰레기가 배출밸브의 개폐부재에 걸려 이송관로로 낙하하지 않아 수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었다.However, in such an automatic collection facility, even if the discharge valve opens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chute to collect the waste, sometimes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is not discharged into the transport line, thereby preventing the collection of garbage. Particularly, if the bag is heavy like food was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is wet,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is caught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discharge valve, and thus it may not be smoothly collec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슈트의 쓰레기가 이송관로 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that allows the waste of the storage chute to be discharged smoothly toward the delivery li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이송관로와, 쓰레기 투입구와 상기 이송관로를 연결하며 소정량의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슈트와, 상기 저장슈트 하부를 개폐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이송관로 내에 이송을 위한 흡입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장슈트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를 상기 이송관로 내부로 밀어주는 배출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그 출구가 상기 이송관로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슈트 하부 쪽에 마련된 공기유입유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waste, a storage chute connecting a waste inlet and the transport pipe, and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ute. In the automatic waste collection facility comprising a discharge valve and a blower for forming an intake air flow for conveying in the conveying pipe, in order to form an exhaust stream for pushing the waste falling from the storage chute into the conveying pipe It includes an air inflow passage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hute so that the outle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상기 공기유입유로는 상기 저장슈트의 외면에 설치되며 그 입구가 상기 저장슈트의 상부 쪽에 배치된 공기안내덕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flow passag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hute and its inlet may be formed by an air guide duc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chute.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저장슈트 하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저장슈트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valve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ut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ute lower portion, and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n open or closed direction.
상기 공기유입유로의 출구는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of the air inflow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개폐부재는 개방상태에서 상기 저장슈트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를 상기 이송관로의 이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면이 이송관로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pipe in order to guide the waste falling from the storage chut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open state.
상기 공기유입유로의 출구는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을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of the air inflow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open state.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공기유입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강력한 배출기류가 저장슈트로부터 개폐부재 상면으로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 내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쓰레기를 저장슈트로부터 이송관로 쪽으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t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discharge the garbage from the storage chute toward the transportation pipeline because the powerful discharge air flow formed by the air inflow passage pushes the garbage falling from the storage chu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nto the transportation pipeline. It has an effec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쓰레기 집하장(100) 쪽에 마련된 쓰레기 수집설비(10) 쪽으로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된 이송관로(11), 쓰레기 투입장치(12)의 투입구(12a)와 이송관로(11)를 연결하며 내부에 소정량의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저장슈트(13), 저장슈트(13) 내부의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저장슈트(13) 하부를 개폐하는 배출밸브(30)를 구비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ng facilit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automatic waste collection facility is a
쓰레기 집하장(100) 쪽에는 이송관로(11) 내에 흡입기류를 형성하여 쓰레기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관로(11)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송풍장치(14)와, 송풍장치(1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설비(15)가 설치된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장치(12)가 설치된 위치의 지하에는 저장슈트(13), 배출밸브(30) 등을 수용하며, 그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된 기기들의 보수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공간(17)이 마련된다. 이 공간(17)은 지하에 매설되는 철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1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18)의 상부에는 공간(17) 내부로 외기가 도입될 수 있는 공기흡입구(19)를 설치하고, 공간(17) 내부의 이송관로(11)에는 송풍장치(14)가 동작할 때 이송관로(11)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20)를 설치하고, 공기 유입을 개폐하는 공기흡입밸브(21)가 마련된다.In the
도 1과 도 2는 일반쓰레기의 배출과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투입장치(12)가 설치되고, 각 투입장치(12)와 이송관로(11)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각각 저장슈트(13)가 설치된 예를 보인 것이다. 배출밸브(30)는 각 저장슈트(13)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각 저장슈트(13)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1 and 2 are the
배출밸브(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슈트(13) 하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디스크형태로 마련되며 저장슈트(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부재(31)와, 개폐부재(31)를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구동장치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3)와, 구동모터(33)의 축으로부터 연장된 구동링크(34)와, 개폐부재(31)의 축지지부(31a)로부터 연장되며 연결축(35)을 통해 구동링크(34)와 연결된 피동링크(36)를 포함한다. 또 피동링크(36)에는 구동링크(34)가 동작할 때 구동링크(34)에 고정된 연결축(35)이 소정구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홈(37)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이러한 배출밸브(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3)의 동작에 의해 구동링크(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동링크(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동링크(36)와 연결된 개폐부재(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부재(31)가 저장슈트(13)의 하단을 개방한다. 반대로 구동링크(34)가 역으로 동작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가 역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부재(31)가 저장슈트(13)의 하단을 폐쇄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러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밸브(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송풍장치(14)가 동작하면 이송관로(11) 내에 흡입기류(A)가 생 긴다. 이 상태에서 배출밸브(30)가 저장슈트(13) 하단을 개방하면 저장슈트(13) 내에 저장된 쓰레기가 이송관로(11) 내부로 낙하한 후 이송관로(11) 내를 흐르는 흡입기류(A)에 의해 수집설비(10) 쪽으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개폐부재(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의 배출을 위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슈트(13)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11)의 이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이송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θ) 경사를 구비한다. 즉 경사를 유지하는 개폐부재(31)가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쓰레기가 이송관로(11)를 통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
저장슈트(13)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의 수집동작이 더욱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저장슈트(13)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11) 내부로 밀어주는 배출기류(B)를 형성하는 공기유입유로(40)가 마련된다. 공기유입유로(40)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가 저장슈트(13)의 상부 쪽에 위치하고 출구가 저장슈트(13)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저장슈트(13)의 외면에 설치된 공기안내덕트(41)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공기입유로(40)의 입구에는 흡입루버(43)가 설치된다.유 그리고 공기유입유로(40)의 출구(40a)는 이송관로(11) 내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고, 개폐부재(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저장슈트(13) 하단과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또 개방상태에서 출구(40a)의 방향이 개폐부재(31) 상면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2 and 3, the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가 저장슈트(13) 하부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이송관로(11) 쪽으로 배출시킬 때 이송관로(11) 내에 작용하는 흡입력 에 의해 공기유입유로(4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면서 강력한 배출기류(B)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기류(B)는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재(31) 상면을 따라 이송관로(11) 내부로 흐르면서 개폐부재(31) 상면으로 낙하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11) 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저장슈트(13)로부터 낙하하는 쓰레기가 이송관로(11) 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처럼 무겁고 봉투의 외면이 젖은 경우에도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opening /
또 공기유입유로(40)는 도 3의 예처럼 개폐부재(31)가 저장슈트(13) 하부를 개방하는 경우(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만 강한 배출기류(B)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출구(40a)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가 저장슈트(13) 하부를 폐쇄하면 그 출구(40a)도 개폐부재(31)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이때는 배출기류(B)가 형성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도 6은 흡입기류(A)와 배출기류(B)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저장슈트(13) 이후의 이송관로(11) 내 흡입기류(A)는 압력이 P, 유속이 V이고, 저장슈트(13) 이전의 이송관로 내 흡입기류는 압력이 P1, 유속이 V1이며, 공기유입유로(40)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기류(B)는 압력이 P2, 유속이 V2이다. 이를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아래의 식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ake air flow A and the exhaust air flow B. FIG. Here, the intake air flow (A) in the
---------- [식 1] ---------- [Equation 1]
여기서 실질적으로 P2 = Patm(대기압)이고, P ≒ P1 이며, V ≒ V1이므로, 이를 간략화 하면 아래의 식 2로 정리될 수 있다.Since substantially P2 = Patm (atmospheric pressure), P ≒ P1, and V ≒ V1, it can be summarized as
-------------- [식 2] -------------- [Equation 2]
이는 -1.0332 * 10⁴= (1.2 * V2²)/(2 * 9.8)이므로, V2 = - 410 m/sec 가 될 수 있다. 즉 이론적으로 개폐부재(31)의 상면에 작용하는 배출기류(B)의 최대 속도 - 410 m/sec가 될 수 있다.Since this is -1.0332 * 10⁴ = (1.2 * V2²) / (2 * 9.8), V2 =-410 m / sec. That is, the theoretical maximum speed of the discharge air stream B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본 실시 예는 배출기류(B)를 형성하는 공기유입유로(40)가 저장슈트(13) 외면에 설치된 공기안내턱트(41)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공기유입유로는 이러한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저장슈트(13) 외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배관이나 덕트 등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고, 저장슈트(13)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유로나 덕트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exemplifies only the case where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저장슈트와 이송관로의 연결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orage chute and the transport pipe of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저장슈트 하단부 상세도로, 배출밸브가 저장슈트 하단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hute of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valve opened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hu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저장슈트 하단부 상세도로, 배출밸브가 저장슈트 하단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hute of the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valve is closed the bottom of the storage chute.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 of FIG.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이송관로에 형성되는 흡입기류와 공기유입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intake air stream formed in a transport line of a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haust air stream formed by an air inflow passag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이송관로, 12: 투입장치,11: feed line, 12: feeder,
13: 저장슈트, 30: 배출밸브,13: storage chute, 30: discharge valve,
31: 개폐부재, 33: 구동모터,31: opening and closing member, 33: drive motor,
34: 구동링크, 36: 피동링크,34: drive link, 36: driven link,
40: 공기유입유로, 41: 공기안내덕트.40: air inflow passage, 41: air duc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091A KR101064876B1 (en) | 2009-04-01 | 2009-04-01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091A KR101064876B1 (en) | 2009-04-01 | 2009-04-01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700A KR20100109700A (en) | 2010-10-11 |
KR101064876B1 true KR101064876B1 (en) | 2011-09-16 |
Family
ID=4313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80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4876B1 (en) | 2009-04-01 | 2009-04-01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48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812B1 (en) * | 2011-08-18 | 2013-07-23 | 효림산업주식회사 | Discharge Valve disposed on temporary storage shoot of Garbage Collection System |
FI124837B (en) | 2013-07-30 | 2015-02-13 | Maricap Oy | Procedure and equipment for loading and handling of waste material |
CN107814115A (en) * | 2017-09-12 | 2018-03-20 | 合肥富通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underground garbage collecting pipe applied to house refuse air-transport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1683U (en) * | 1973-07-16 | 1975-04-08 | ||
JPS5294787U (en) | 1976-01-13 | 1977-07-15 | ||
KR20020018460A (en) * | 2000-09-01 | 2002-03-08 | 박민식 | Kitchen waste collection system |
KR20090008598A (en) * | 2007-07-18 | 2009-01-22 | 현대건설주식회사 | Garbage Flotation Device of Garbage Disposal Transport System |
-
2009
- 2009-04-01 KR KR1020090028091A patent/KR1010648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1683U (en) * | 1973-07-16 | 1975-04-08 | ||
JPS5294787U (en) | 1976-01-13 | 1977-07-15 | ||
KR20020018460A (en) * | 2000-09-01 | 2002-03-08 | 박민식 | Kitchen waste collection system |
KR20090008598A (en) * | 2007-07-18 | 2009-01-22 | 현대건설주식회사 | Garbage Flotation Device of Garbage Disposal Transpor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700A (en) | 2010-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24487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waste material from an input shaft | |
KR100757174B1 (en) | Garbage collec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ES2752150T3 (en) | Procedure and apparatus for feeding and handling waste material | |
WO2015070326A1 (en) | Silo dust collection | |
KR101064876B1 (en)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
WO2018150817A1 (en) | Air-supported belt conveyor device | |
KR20090106125A (en) | Household garbage disposal device | |
KR20090000523A (en) | Garbage Collection System Combining Vacuum Transfer and Blower Transfer | |
KR101091586B1 (en)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
KR20090057739A (en) | Garbage storage | |
KR100900299B1 (en) | Device that facilitates the transportation of garbage in automatic waste disposal facility | |
KR100884812B1 (en) | Garbage collection system of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
CN106697690A (en) | Automatic environment-friendly small-sized garbage collection system | |
JP2005029349A (en) | Waste storage device, wast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 |
KR101388187B1 (en) | Food waste collection apparatus | |
KR101145828B1 (en) | Dust transfer device of dust collector | |
KR100631292B1 (en) | Paving-type dosing device of air-recyclable resources and waste collection facility | |
KR200401857Y1 (en) | automatic collecting apparatus for kitchen refuse in suction operated | |
CN1533963A (en) | Garbage input device, garbage collec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4942492B2 (en) | Equipment to prevent clogging of ash transport pipes such as combustion ash | |
KR200394937Y1 (en)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transfering pipe of suction operated refuse collection machines | |
KR100729718B1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onveying pipes for garbage collection facility | |
KR100939967B1 (en) | Flap device for volume limit type inlet of household waste of building waste suction transport system for building | |
KR100877607B1 (en)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of High-Rise Building with Swirl Flow Generator | |
KR200432697Y1 (en) | Garbage Collection Facility of High-Rise Building with Swirl Flow Gen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