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4337B1 -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337B1
KR101064337B1 KR1020080030156A KR20080030156A KR101064337B1 KR 101064337 B1 KR101064337 B1 KR 101064337B1 KR 1020080030156 A KR1020080030156 A KR 1020080030156A KR 20080030156 A KR20080030156 A KR 20080030156A KR 101064337 B1 KR101064337 B1 KR 10106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ouble container
coupling member
handle
bul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965A (ko
Inventor
서덕용
Original Assignee
서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용 filed Critical 서덕용
Priority to KR102008003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3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3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내벽(10); 상기 내벽(10)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10)의 외측으로 성형시킨 외벽(12); 상기 내벽(10)의 측면과 외벽(12)의 종단을 결합시켜 내벽(10)과 외벽(12) 사이에 공간부(15)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여 상부의 이중벽 구조로 인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나 음료를 보온시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고, 하부를 가열할 수 있어 음료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열, 단열, 이중, 용기, 드로잉, 음료, 벌징

Description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Heatable Double Vessel for In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단열구조를 갖는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 또는 도기나 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컵이나 그릇의 형상이다. 이러한 용기로서, 단열구조를 갖는 용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내벽과 외벽으로 형성되거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 용기는 용기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차거나 또는 따뜻한 음식물이나 음료를 일정한 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취식하거나 음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 용기는 종래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제5,515,995호는 넓은 베이스를 갖는 이중벽 음료 용기로서, 하단부, 상부 및 중간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단부가 상부와 중간부에 비하여 폭이 넓게 구성되어 안정감을 갖는 구조를 가지며 용기에 담긴 음료의 열손실을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0-90호는 2중 머그컵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한 2중 머그컵으로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확관하는 벌징(bulging) 가공과 벌징된 파이프를 드로잉(drawing)하여 동일한 모재를 이용하여 내병과 외병을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성형한 2중벽 머그컵이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5-327803호는 머그컵 및 그 제조법으로서, 2중 머그컵을 제작할 때에 손잡이 부분의 별도 성형과정이 필요한 점을 보완하여 내벽을 외벽의 상단 테두리부에 매설하고 고정시킨 2중벽 머그컵이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내벽과 외벽을 갖는 연속되는 2중벽 구조로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열전도가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2중벽 머그컵에 담긴 음식물이나 음료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머그컵을 가열하거나 데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머그컵에 담긴 음식물이나 음료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열이 가능한 용기를 이용한 후에 머그컵에 다시 담아 일정 시간동안 보온유지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상부는 이중벽으로 처리하고, 하부는 가열이 가능한 단일의 벽으로 형성하여 단열과 가열이 동시에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과 더불어 가열할 때의 화염이 상부로 상승하지 않도록 하부를 확장시키는 벌징 처리를 하고, 상부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나 음료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2중벽으로 성형 처리한 이중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내벽; 상기 내벽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의 외측으로 성형시킨 외벽; 상기 내벽의 측면과 외벽의 종단을 결합시켜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키고,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킨 절곡부를 갖는 내벽; 상기 내벽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외벽; 상기 내벽의 측면과 외벽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제공한 것이 다른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내벽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의 외측으로 외벽을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외벽의 종단부를 컷팅하는 단계; (d) 상기 내벽의 측면과 외벽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를 삽입한 후에 억지끼움 또는 용접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내벽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외벽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내벽의 상부를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로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절곡부의 종단부를 컷팅하는 단계; (d) 상기 절곡부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외벽을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내벽의 측면과 외벽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를 삽입한 후에 억지끼움 또는 용접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내벽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는 단계; (g) 상기 외벽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상부의 이중벽 구조로 인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나 음료를 보온시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고, 하부를 가열할 수 있어 음료나 음식물을 데울 수 있으며, 하부의 벌징 처리나 화염차단부재의 적용으로 화염이 상부로 전달되지 않아 가열 후에도 직접 입을 데고 음용이 가능하고, 단열과 가열이 가능한 이중 용기의 기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을 유압 드로잉이나 역드로잉으로 내벽과 외벽을 형성하고, 내벽과 외벽을 결합부재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며, 하부는 단일의 내벽을 통해 가열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내벽(10)은 일정 크기로 재단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의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 늘림)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것이다. 내벽(10)은 유압 드로잉시켜 수 mm 내지 수백 μm이하의 얇은 벽으로 성형된다.
외벽(12)은 상기 내벽(10)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10)의 외측으로 성형시킨다. 외벽(12)은 내벽(10)과 절곡되어 연결된 형상이고, 외벽(12)과 내벽(10)은 2중벽의 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외벽(12)은 내벽(10)의 외측에 역드로잉으로 성형되고, 외벽(12)은 내벽(10)의 중앙부와 하부 사이까지 드로잉된다.
결합부재(20)는 상기 내벽(10)의 측면과 외벽(12)의 종단을 결합시켜 내벽(10)과 외벽(12) 사이에 공간부(15)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결합부재(20)는 내 벽(10) 및 외벽(12)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이 적용되고, 링 형상으로 내측은 내벽(10)의 외경과 동일 내지는 다소 큰 내경으로 피어싱(piercing, 관통) 처리된다. 결합부재(20)는 외벽(12) 종단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용접부(24a)와, 내벽(10)의 측면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2용접부(24b)가 형성되고, 외벽(12)의 종단면이 접촉되는 돌출된 단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용접부(24a)와 제2용접부(24b)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용접으로 용접한 후에 용접부위를 마감 처리한다. 이때, 결합부재(20)에 의하여 내벽(10)과 외벽(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5)는 진공 처리하여도 좋다.
화염차단부재(26)는 이중 용기의 바닥면을 가열할 때에 발생되는 화염이 이중 용기의 측면, 즉 외벽(12) 쪽으로 상승되어 외벽(12)을 가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화염차단부재(26)는 링 형상으로 내벽(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7a)와, 화염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27b)로 이루어진다. 내벽(10)에 고정되는 고정부(27a)의 상하에는 용접부가 형성된다. 차단부(27b)는 화염이 상승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너비를 갖는 것이 좋다. 화염차단부재(26)는 열전도가 작은 재질의 금속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내벽(10) 하부는 벌징(bulging)으로 처리하여 확장시킨 벌징부(14)를 성형함으로써, 이중 용기(1)의 안정감을 갖는 구조와 함께 가열면적을 넓히고, 가열할 때에 화염이 상승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재(20) 아래에 화염차단부재(26)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부 재(20) 아래로부터 내벽(10)을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벌징 처리한 벌징부(14)가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중 용기(1)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돌출된 돌기(16)를 형성시켜 이중 용기(1)를 탁자나 식탁 등에 놓았을 때에 수평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된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의 열전도가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외벽(1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고정시키고,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시킨다.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은 외벽(12)에 점용접이나 아르곤용접으로 고정시키고, 브래킷(30)에는 손잡이(3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나사와 같은 고정부재 등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10)을 성형한다. 이때 내벽(10)의 성형은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으로 제공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그리고 드로잉을 위한 각종 수단과 부재가 포함될 것이다. 원자재(2)는 스테인리스(SUS)나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으로 원통형의 모재로부터 일정 크기 및 중량으로 절단된 것이 적용된다.
내벽(10)이 일정 길이로 드로잉되면, 내벽(10)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10)의 외측방향으로 외벽(12)을 성형한다. 즉 내벽(10)이 성형되면, 내벽(10)이 성형되는 반대방향으로 외벽(12)이 내벽(10)을 감싸면서 역드로잉된다. 외 벽(12)은 내벽(10)의 중앙부로부터 하부 사이까지 일정 길이만큼 성형되면 외벽(12)의 종단부를 컷팅하여 잘라낸다. 종단부는 역드로잉되는 동안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상으로 드로잉되지 않거나 종단에 형성된 버(burr) 등을 일정하게 잘라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벽(10)과 외벽(12)이 각각 드로잉과 역드로잉으로 성형되면, 내벽(10)과 외벽(12) 사이에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결합부재(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즉 내벽(10)의 측면과 외벽(12)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20)를 삽입한 후에 억지끼움이나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결합부재(20)는 원자재(3)를 드로잉 또는 압착 성형한 후에 결합부재(20)의 내측을 피어싱으로 관통시킨다. 이때 결합부재(20)의 내경은 내벽(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피어싱하지만, 외경보다 다소 크게 피어싱 처리하여 내벽(10)의 측면으로 삽입시킨다. 결합부재(20)는 외벽(12)의 종단부 내측면과 내벽(10)의 측면에 접촉되고, 각 접촉부위에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부(24a, 24b)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0)를 외벽(12)과 내벽(10) 사이에 끼워 결합하면서 결합부재(20)가 외벽(12)과 내벽(10) 사이에 무단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외벽(12)의 종단면과 접촉되는 돌출된 단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20)가 외벽(12)과 내벽(10)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아르곤 용접으로 접촉되는 부위를 접합시킨다. 이때, 외벽(12)과 내벽(10), 그리고 결합부재(20)에 형성된 공간부(15)는 진공상태로 처리할 수도 있다. 용접부위는 사포나 샌딩머신 등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함으로써 접합부위가 외벽(12)과 내벽(10)과 의 이음처리가 매끈해지도록 한다.
이렇게 외벽(12)과 내벽(10) 및 결합부재(20)로 이중 용기(1)에 이중벽의 성형이 완료되면, 결합부재(20)의 아래에 화염차단부재(26)를 결합시킨다. 화염차단부재(26)는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을 가열할 때에 발생되는 화염이 이중 용기(1)의 측면으로 상승되어 이중 용기(1)의 외벽(12)이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화염차단부재(26)는 링 형상으로 내경이 내벽(10)의 외경과 동일하여 내벽(10)의 측면에 삽입 고정된다. 화염차단부재(26)는 용접에 의해 내벽(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벽(10)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여 벌징부(14)를 성형한다. 벌징부(14)는 결합부재(20) 아래로부터 내벽(10)을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벌징(bulging) 처리한 것으로, 벌징부(14)는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의 가열이 용이함과 동시에 화염이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벌징부(14)는 이중 용기(1)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중 용기(1)의 안정감을 제공한다. 상기 화염차단부재(26)와 벌징부(14)는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다음으로, 외벽(12)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하여 조립함으로써, 이중 용기(1)의 이동성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손잡이(32)는 외벽(12)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손잡이의 상부만 외벽(12)에 결합되는 형상이나 외벽(12)의 하부도 동시에 결합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의 사시도와, 도 5의 단면도 및 도 6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 및 제조과정으로 제조된다.
다만, 내벽(40)이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키고, 내벽(40)의 상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48)가 성형된다. 그리고 내벽(40)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50)로 이루어진 외벽(42)이 결합된다. 외벽(42)으로서 원통형 파이프(50)는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이 적용된다. 그리고 내벽(40)의 측면과 외벽(42)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벽(40)과 외벽(42) 사이에 공간부(45)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2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내벽(40)의 절곡부(48) 종단부와 외벽(42)의 상부가 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에 제3용접부(24c)가 형성되고, 외벽(42)의 하부와 결합부재(20)의 상부, 즉 단턱(21)까지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4용접부(24d)가 형성되며, 결합부재(20)의 하부와 내벽(40)의 측면이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5용접부(24e)가 형성되고, 외벽(42)의 종단면이 접촉되는 돌출된 단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용접부(24c), 제4용접부(24d) 및 제5용접부(24e)는 아르곤 용접으로 용접한 후에 용접부위를 마감 처리한다. 이때, 결합부재(20)에 의하여 내벽(40)과 외벽(4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5)는 진공 처리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벽(40)의 유압 드로잉 후에 내벽(40)의 상부를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시킨 절곡부(48)를 성형하고, 절곡부(48)의 종단에 원통 형 파이프(50)로 외벽(42)을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통형 파이프(50)로 결합된 외벽(42)과 내벽(40) 사이에 결합부재(20)를 삽입한 후에 용접으로 고정시켜 외벽(42)과 내벽(40) 사이에 공간부(45)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내벽(40)을 유압 드로잉한 후에 외벽(42)을 동시에 역드로잉으로 형성하지 않고, 원통형 파이프(50)를 외벽(42)으로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재(20) 아래에 화염차단부재(26)의 결합과, 내벽(40) 하부에 벌징 처리에 의한 벌징부(44)의 성형, 그리고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과 손잡이(32)의 결합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중 용기(1)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설명하면,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40)을 성형하고, 내벽(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48)를 성형하며, 절곡부(48)의 종단부를 일정한 길이로 컷팅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48)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50)로 이루어진 외벽(42)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에 내벽(40)의 측면과 외벽(42)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20)를 삽입한 후에 용접 처리한다. 상기 내벽(40)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여 벌징부(44)를 성형하고, 외벽(42)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더욱이 상기 벌징 처리 전에 피어싱 처리된 화염차단부재(26)를 결합부재(20) 아래에 삽입한 후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포함된다.
한편, 도 7a와 도 7b는 이중 용기의 바닥면에 원형의 돌기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 7a는 벌징부(14)가 형성된 바닥면에 원형의 돌기(51)가 형성된 것이다. 돌기(51)는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이 바닥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된 형상이다. 도 7b는 벌징부(14)가 형성된 바닥면에 하나 이상으로 원형의 돌기(52, 53)가 형성된 것이다. 돌기(52, 53)는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의 내측과 외측으로 원형의 돌기가 복수로 형성되어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이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이 보다 안정감이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중 용기(1)의 바닥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51, 52, 53)는 이중 용기(1)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위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중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규칙적인 호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을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이중 용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컵이나 포트 형상, 접시 또는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의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8a의 이중 용기(60)는 음식물을 담아 낼 수 있는 그릇의 형상으로 내벽(61)과 외벽(62)이 형성된 이중벽이고, 하부에는 내벽(61)으로만 이루어진 단일 벽으로 바닥으로부터 열을 가하여 용기(60)에 수용된 음료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b의 이중 용기(70)와 도 8c의 이중 용기(80)는 각각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의 형상으로 내벽(71, 81)과 외벽(72, 82)이 형성된 이중벽이고, 하부에는 내벽(71, 81)으로만 이루어진 단일 벽으로 바닥으로부터 열을 가하여 용기(70, 80)에 수용된 음료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용기(70)의 일측에 손잡이(73)를 부착하되, 손잡이(7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c는 용기(80)의 양측에 각각 손잡이(83)를 부착한 것으로, 두 손으로 용기(8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큰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부착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또는 크기나 용도에 적합한 이중 용기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8a 내지 도 8c의 용기(60, 70, 80)는 각각 하부에 벌징부 및/또는 화염차단부재를 구비하여 용기를 가열할 때에 화염이 용기의 측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중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이중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원형 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이중 용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60, 70, 80: 이중 용기 2, 3: 원자재
10, 40, 61, 71, 81: 내벽 12, 42, 62, 72, 82: 외벽
14, 44: 벌징부 15, 45: 공간부
16, 46, 51-53: 돌기 18, 48: 절곡부
20: 결합부재 21: 단턱
24a-24e: 용접부 26: 화염차단부재
30: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 32, 73, 83: 손잡이
50: 원통 파이프

Claims (7)

  1.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내벽(10);
    상기 내벽(10)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10)의 외측으로 성형시킨 외벽(12);
    상기 내벽(10)의 측면과 외벽(12)의 종단을 결합시켜 내벽(10)과 외벽(12)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여 이중 용기(1)를 형성하고,
    상기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을 가열할 때에 발생되는 화염이 이중 용기(1)의 측면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결합부재(20) 아래에 화염차단부재(26)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부재(20) 아래로부터 내벽(10)을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벌징(bulging) 처리한 벌징부(14)가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이중 용기(1)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16, 46, 51-53)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1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고정시키고,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2.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시키고,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킨 절곡부(48)를 갖는 내벽(40);
    상기 내벽(40)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50)로 이루어진 외벽(42);
    상기 내벽(40)의 측면과 외벽(42)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벽(40)과 외벽(42) 사이에 공간부(45)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여 이중 용기(1)를 형성하고,
    상기 이중 용기(1)의 바닥면을 가열할 때에 발생되는 화염이 이중 용기(1)의 측면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결합부재(20) 아래에 화염차단부재(26)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부재(20) 아래로부터 내벽(40)을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벌징(bulging) 처리한 벌징부(44)가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이중 용기(1)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16, 46, 51-53)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4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고정시키고,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3. 삭제
  4. 삭제
  5. (a)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10)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내벽(10)을 유압 역드로잉으로 내벽(10)의 외측으로 외벽(12)을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외벽(12)의 종단부를 컷팅하는 단계;
    (d) 상기 내벽(10)의 측면과 외벽(12)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20)를 삽입한 후에 억지끼움 또는 용접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피어싱 처리된 화염차단부재(26)를 결합부재(20) 아래에 삽입한 후에 고정시키는 단계;
    (f) 상기 내벽(10)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는 단계;
    (g) 상기 외벽(12)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
  6. (a) 일정 크기로 재단된 원자재(2)를 유압 드로잉(drawing)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내벽(40)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내벽(40)의 상부를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48)로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절곡부(48)의 종단부를 컷팅하는 단계;
    (d) 상기 절곡부(48)의 종단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50)로 이루어진 외벽(42)을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내벽(40)의 측면과 외벽(42)의 종단부에 드로잉한 후에 피어싱 처리된 결합부재(20)를 삽입한 후에 억지끼움 또는 용접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피어싱 처리된 화염차단부재(26)를 결합부재(20) 아래에 삽입한 후에 고정시키는 단계;
    (g) 상기 내벽(40)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벌징 처리하는 단계;
    (h) 상기 외벽(42)의 일측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손잡이 체결용 브래킷(30)에 손잡이(32)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
  7. 삭제
KR1020080030156A 2008-04-01 2008-04-01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06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156A KR101064337B1 (ko) 2008-04-01 2008-04-01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156A KR101064337B1 (ko) 2008-04-01 2008-04-01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965A KR20090104965A (ko) 2009-10-07
KR101064337B1 true KR101064337B1 (ko) 2011-09-16

Family

ID=415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156A Active KR101064337B1 (ko) 2008-04-01 2008-04-01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39A (ko) 2017-04-26 2018-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KR102194277B1 (ko) * 2019-01-09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KR102194276B1 (ko) * 2019-01-09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90A (ko) * 2000-03-09 2001-01-05 김화식 2중 머그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2중 머그컵
KR200341275Y1 (ko) 2003-09-15 2004-02-11 김화식 이중 머그컵
JP2005270460A (ja) * 2004-03-25 2005-10-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磁誘導加熱用の金属製真空二重容器
KR200418169Y1 (ko) *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90A (ko) * 2000-03-09 2001-01-05 김화식 2중 머그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2중 머그컵
KR200341275Y1 (ko) 2003-09-15 2004-02-11 김화식 이중 머그컵
JP2005270460A (ja) * 2004-03-25 2005-10-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磁誘導加熱用の金属製真空二重容器
KR200418169Y1 (ko) *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965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68831U (zh) 烹饪用具
US20080105692A1 (en) Dual container for heating and heat retaining
US20210163211A1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KR101064337B1 (ko)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64363Y1 (ko)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CN102028397A (zh) 绝热炊事用容器
KR101110498B1 (ko) 이중 구조의 가열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889B1 (ko) 평탄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의 제작 방법
WO2020139228A1 (en) Practical cup cooler
JP4923705B2 (ja) 紙製電磁誘導加熱容器
JP2024169355A (ja) フラットボトム構造を有する調理容器及びその製作方法
JP4827447B2 (ja) 食品加熱用皿
CN214803967U (zh) 隔热纸杯
JP2001353068A (ja) 加熱調理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968417B1 (en) A coffeepot
JP2004173897A (ja) 真空二重容器
JPH0628610B2 (ja) 金属製二重カップの製造方法
KR200252331Y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용기
ES2988873T3 (es) Recipientes de cocina con construcción tipo sándwich mejorada y movimiento de base reducido y método de producción y uso
JP3014092B2 (ja) 保冷機能付マグカップ
JP3003268U (ja) 鍋類、湯沸し類等容器の溶接用治具
JP2005253902A (ja) 電磁調理器用加熱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57698A (ko) 단열형 일회용 컵
KR200166058Y1 (ko) 음식물 용기
KR200315395Y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