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526B1 - Ceiling air conditioners - Google Patents
Ceiling air conditio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3526B1 KR101063526B1 KR1020090001264A KR20090001264A KR101063526B1 KR 101063526 B1 KR101063526 B1 KR 101063526B1 KR 1020090001264 A KR1020090001264 A KR 1020090001264A KR 20090001264 A KR20090001264 A KR 20090001264A KR 101063526 B1 KR101063526 B1 KR 101063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inlet
- door panel
- guide hole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패널에 대하여,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어 제품의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흡입구 패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됨으로써 그 교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panel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the inlet panel formed with the air inlet is rotated with the doo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It is arranged to op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product breakdown / repair, and the door panel is detach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panel, thereby providing an easy replacement operation.
도어 패널, 스토퍼, 착탈, 공기 흡입구, 승강, 개폐 Door panel, stopper, putting on and taking off, air intake, lifting, opening and clo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외관미를 개선함과 아울러, 부품의 교체 작업 시간 또는 부품의 고장/수리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ing that can reduce the replacement work time or component breakdown / repair time It's about the flag.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상측에 해당하는 천장에 설치되고, 그 하부의 재실자가 위치된 곳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room, and refer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by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o the place where the occupants of the lower part.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내의 온도 조절 기능 외에도,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실내 공기가 순환되는 동안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등 넓게 실내를 공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The function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room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f circulating the air in the room, and the air conditioning the room, such as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while the indoor air is circulated It can also be done.
이와 같은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킴과 아울러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과정 동안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동작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인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정화 필터가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이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function of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indoor air during the process of inhaling and exchanging the indoor air into the body and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back into the room. To this end, an air intake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which are portions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are formed, and a purification filter is disposed in the portion where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sucked ai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공기 흡입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거나,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되어 있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상기 그릴을 교체하기 위해 탈거하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s always open, or is formed in a shape such as a grill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s, thereby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to remove to replace the grill.
본 발명은,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패널에 대하여,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어 제품의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흡입구 패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됨으로써 그 교체 작업이 용이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op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n operation in which the inlet panel formed with the air inle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with respect to the outlet panel having the air outlet formed there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at is easy to replace / replace the door panel by being detach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panel while facilitating a product failure / repair.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패널과, 상기 토 출구 패널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 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흡입구 패널의 하부에 승강되게 배치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도어 패널의 하강을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패널의 하방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승강기구에 착탈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ixed to a ceiling and an open bottom surface, a discharge port pan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port, and coupled to the toe exit panel, and having an air suction port. A panel, a door panel disposed to be elevated below the intake panel to open and close the air intake port, an eleva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door panel, and a lowering of the door panel while limiting the downward drop of the door panel. And a stopp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ing mechanism to prevent it.
여기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흡입구 패널에 이격되게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각각 상기 샤프트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승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mechanism is a motor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anel, a shaft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an interlocking member for interlocking the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shaft of the Rota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rotated at both ends, and may be included in the door panel, a moving member which is elevated in the rotation of each of the rotating members.
또한, 상기 흡입구 패널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되어 승강되도록 이격되게 승강 안내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inlet panel may be formed so that the lifting guide hole is vertically penetrat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moving member penetrates.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안내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착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protruding upward of the lifting guide hole.
또한,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끼움 리브에 슬라이딩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흡입구 패널의 상면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fitting ribs in which the stopper sli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stopper includes a detachable part that is slidably attached to the fitting rib, and a locking part that is cau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let panel. can do.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하면서 상기 흡입구 패널의 상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착탈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detachable portion so that the movable member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panel while descending.
여기서, 상기 흡입구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하면이 걸림되어 안착 되는 안착단이 상기 승강 안내홀의 주변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a seating e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panel to be stepped around the lifting guide hole.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안내홀을 차폐하면서 상기 승강 안내홀의 안착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승강 안내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elevating guide hole to be seated on the seating end of the elevating guide hole while shielding the elevating guide hole.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패널에 대하여,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어 제품의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흡입구 패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됨으로써 그 교체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of the main body, in which an inlet panel having an air inlet port is rotated together with a doo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port, with respect to the outlet panel having an air outlet po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door panel is detachably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panel, and the replacement operation is eas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토출구 패널과 흡입구 패널 및 도어 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흡입구 패널 및 도어 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도어 패널에 이동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discharge port panel and the inlet panel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an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oor panel,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let panel and the door panel of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oving member is mounted to the door panel.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천장(1)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2)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그 저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팬(5) 및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7) 등 각종 열교환 부품이 내장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박스체로써, 그 하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 부품(5)(7)이 내장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대략 상기 천장 마감재(2)와 매칭되게 수평으로 배치된 토출구 패널(100)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구 패널(10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구된 상태의 상기 본체(10)의 하단부를 은닉시킴과 아울러, 후술하는 흡입구 패널(200)이 설치되도록 그 중간 부분에 개구부(10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패널(10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110)가 형성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토출구 패널(100)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단부를 은닉시키기 위하여 대략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형상, 즉 직육면체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110)에는 소정 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각각의 공기 토출구(110)를 개폐하면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풍향 조절베인(115)이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i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05)를 차폐하도록 상기 토출구 패널(100)에 설치되는 흡입구 패널(200)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상기 흡입구 패널(20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중간 부분이 상하로 개구된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205)의 상측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정화 필터(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화 필터(210)가 설치되도록 정화 필터 설치부(미도시)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205)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가운데로 집중되어 흡입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흡입구 패널(200)은, 상기 정화 필터(210)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를 제공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Here, the
그러나, 반드시 상기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더 많은 공기가 한꺼번에 흡입될 수 있도록 정사각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하부에 승강되게 설치되고, 승강되는 동작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여기서, 상기 도어 패널(300)은 대략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크기와 대응 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패널(300)은 상승되는 동작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폐쇄할 때 상기 흡입구 패널(200)이 실내측, 즉 하부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관찰되지 않고 은닉되도록 상기 흡입구 패널(20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개구부(105)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패널(200) 또한 상기 개구부(105)를 차폐하는 형상, 즉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105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r square shape, and the
한편,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패널(300)을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하부에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 구동부(230)를 더 포함한다.1 and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 구동부(230)는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 일측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하나의 상기 복수개의 승강 구동부(230) 중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 타측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상기 승강 구동부(230) 중 나머지 하나가 배치된다.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the
상기 승강 구동부(230)는,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모터(231)와,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의 회전축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샤프트(232)와, 상기 복수개 모터(231)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각각 상 기 복수개의 샤프트(232)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연동부재(233)와,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23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는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 전반부 및 후반부 또는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하나씩 2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232) 또한 2개의 상기 모터(231)가 배치된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 전반부 및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2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모터(231)가 배치된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 좌측부 및 우측부에 전후로 길게 2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wo of the plurality of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23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모터(231)와 상기 연동부재(233)를 "샤프트 구동부(230')"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하여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의 회전 구동속도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하 승강이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의 구동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도어 패널(300)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승강되어 작동 외관을 해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연동부재(233)는 상기 모터(231)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 기어(233A)와 상기 모터 기어(233A)에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23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232)에 연결된 샤프트 기어(2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interlock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승강 구동부(230)는, 사용자가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작동 온(On)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231)가 회전 구동되고, 이때, 상기 연동부재(233)가 회전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232)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232) 양 끝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234)가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The
한편, 상기 도어 패널(300)은,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승시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하부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 패널(300)은 하강시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직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개방하여, 상기 흡입구 패널(200)과 상기 도어 패널(300) 사이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한편,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부에는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승강 구동부(230) 중 상기 회전부재(234)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이동부재(350)가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b,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이동부재(350)는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하 승강시 상기 도어 패널(30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50) 또한 상기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상기 승강 구동부(230)의 구성(상기 모터(231)와 상기 샤프트(232)와 상기 연동부재(233), 상기 회전부재(234))과 상기 이동부재(350)를 포함한 구성을 "승강 기구(400)"라고 넓게 총칭하여 설명한다.Here, the moving
상기 흡입구 패널(200) 중 상기 회전부재(234)가 각각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이동부재(350)가 상하로 관통되게 승강되도록 승강 안내홀(240)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The lifting
여기서, 상기 승강 기구(400) 중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샤프트(23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rotating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로 길게 중공부(35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면에 수직되게 돌출 배치된 수직부(353)와, 상기 중공부(35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34)와 접촉되는 동력 전달부(355)와, 상기 중공부(351)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53)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안내부(3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상기 이동부재(355)의 구성 중 상기 동력 전달부(355)는 상기 회전부재(234)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34)가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경우 회전되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동작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동력 전달부(355)는 상기 중공부(351)의 일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50)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부재(234)가 상기 중공부(351)의 내부에서 랙 기어로 이루어진 상기 동력 전달부(355)와 치합되면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부재(23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서 상하로 승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34)가 상기 중공부(351)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기 위해서는,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의 일부분이 랙 기어에 치합되도록 위치 되되,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중공부(351) 내부의 어떠한 구조물과도 간섭이 되어서는 안 된다. Here, the
이때, 상기 승강 안내부(357)는, 상기 회전부재(234)의 기어치가 형성된 나머지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351)의 일측면이 상하로 길게 절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lifting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동부재(3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34)가 상기 중공부(351)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회전부재(234)가 상기 중공부(351) 내부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355)와 치합되면서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재(2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350)가 승강되면, 상기 이동부재(350)가 결합된 상기 도어 패널(300)이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개폐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한편, 상기 도어 패널(300)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대하여 하강 이동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개방할 때, 상기 도어 패널(300)과 상기 흡입구 패널(200) 사이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통하여 흡입되는 유로인 흡입 유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50)는 상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되는 바, 실내 공기의 흡입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이동부재(350)와 부딪히면서 풍절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50)의 구성 중 상기 수직부(353)의 외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승강 기구(40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패널(300)의 하강을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패널(300)의 하방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6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상기 스토퍼(600)는, 도 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구(400)의 구성 중 상기 승강 안내홀(24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에 착탈된다.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350)는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은 상기 도어 패널(300)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대하여 승강되게 설치되면, 상기 이동부재(350)는 상기 도어 패널(300)이 승강될 때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측에서 상하로 승강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00)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착탈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600)가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에 착탈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 패널(300)에 장식부재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 패널(200)로부터 탈거가 필요한 경우 상기 스토퍼(600)를 간단하게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토퍼(6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되도록 한 쌍의 끼움 리브(3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한 쌍의 끼움 리브(370)에 슬라이딩 착탈되는 착탈부(610)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걸림되는 걸림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a pair of
즉,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끼움 리브(370) 사이에 상기 스토퍼(600)의 상기 착탈부(610)가 슬라이딩 착탈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이동부재(350)가 상하 승강시 함께 승강되어 상기 도어 패널(300)이 최하점으로 하강될 때 상기 걸림부(620)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걸림되면서 상기 도어 패널(300)과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at is, the
상기 걸림부(620)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걸림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부(61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620)는 상기 승강 안내홀(240)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 걸림되는 것은 당연하다. In order for the locking
여기서, 상기 승강 안내홀(240)은 상기 본체의 내부와 직접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205) 외에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통하여 흡입될 우려가 있다. Here, the elevating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상기 도어 패널(300)이 하강되어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개방하는 바, 이때 상기 공기 흡입구(205) 외에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정화 필터(210) 등에 의하여 정화됨이 없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600)의 걸림부(620)가 상기 도어 패널(300)의 하강시 함께 하강되어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차폐하게 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한편,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620)의 하면이 걸림되 어 안착되는 안착단(245)이 상기 승강 안내홀(240)의 주변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승강 안내홀(240)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620)가 상기 안착단(245)에 안착되면 보다 긴밀하게 수밀성이 유지되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이슬이 맺힌 경우라도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통하여 실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상기 이동부재(3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면 4군데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도어 패널(300)의 승강시 상기 도어 패널(300)이 가지는 작동 하중을 분산하고, 상기 스토퍼(600)의 상기 걸림부(620)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4군데 모서리 부분에서 걸림되어 그 하중을 전달하는 바, 상기 도어 패널(300)의 낙하를 방지하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리모컨 등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작동 온(On)시키면서, 미도시된 제어부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기(5) 및 상기 열교환기(7) 등 상기 열교환 부품을 공조 작동시키고, 아울러 상기 승강 구동부(230)의 상기 모터(231)를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킨다.First, when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while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using an operation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그러면, 상기 승강 구동부(230)의 연동부재(233)가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샤프트(232)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232)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234)가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Then, the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이동부재(350)의 상기 중공부(351)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동력 전달부(355)와 치합되도록 배치되는 바, 상기 회전부재(234)의 회전시 상기 이동부재(350)가 상기 회전부재(2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The rotating
이때, 상기 회전부재(234)의 일부가 상기 승강 안내부(357)에 끼움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재(350)의 수직부(353)는 상기 승강 안내부(357)에 의하여 그 하강이 안내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하강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a part of the rotating
또한, 상기 이동부재(350)의 수직부(35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600)가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상기 승강 안내홀(240) 주변에 형성된 상기 안착단(245)에 안착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 패널(300)과 상기 흡입구 패널(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 안내홀(240)을 차폐한다. In addition, while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리모컨 등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작동 오프(Off)시키면서, 미도시된 제어부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기(5) 및 상기 열교환기(7) 등 상기 열교환 부품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승강 구동부(230)의 상기 모터(231)를 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킨다.Next, when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while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using an operation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그러면,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작동 순서와는 반대되는 동작으로 상기 연동부재와 상기 샤프트(232)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재(350)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이때 상기 도어 패널(300)의 상면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의 하면과 면접되면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폐쇄시키게 된다.Then, as the interlocking member and the
이때,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도어 패널(300)과 함께 상방으로 상승되고, 상기 도어 패널(300)이 상기 흡입구 패널(200)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205)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하면 외관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토출구 패널과 흡입구 패널 및 도어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 panel, a suction port panel, and a door panel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흡입구 패널과 도어 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let panel and the door panel of the configuration of FIG. 2;
도 4a 및 도 4b는 흡입구 패널과 도어 패널의 결합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4A and 4B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n inlet panel and a door panel,
도 5는 도 1의 도어 패널에 상면에 결합된 이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panel of FIG. 1,
도 6은 도 5의 이동부재에 샤프트 및 스토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ft and a stopper in the moving member of FIG. 5;
도 7은 도 4b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B,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천장 2: 천장 마감재1: ceiling 2: ceiling finish
5: 송풍기 7: 열교환기5: blower 7: heat exchanger
10: 본체 100: 토출구 패널10: main body 100: discharge port panel
110: 공기 토출구 115: 풍향 조절베인110: air discharge port 115: wind direction control vane
200: 흡입구 패널 205: 공기 흡입구200: inlet panel 205: air inlet
210: 정화 필터 230: 승강 구동부210: Purification filter 230: Lifting drive unit
230': 샤프트 구동부 231: 모터230 ': shaft drive unit 231: motor
232: 샤프트 233: 연동부재232: shaft 233: interlocking member
234: 회전부재 240: 승강 안내홀234: rotating member 240: lifting guide hole
245: 안착단 300: 도어 패널 245: seating end 300: door panel
350: 이동부재 351: 중공부350: moving member 351: hollow part
353: 수직부 355: 동력 전달부 353: vertical portion 355: power transmission portion
357: 승강 안내부 370: 끼움 리브 357: lifting guide 370: fitting rib
400: 승강기구 600: 스토퍼400: lifting mechanism 600: stopper
610: 착탈부 320: 걸림부610: detachable part 320: locking par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264A KR101063526B1 (en) | 2009-01-07 | 2009-01-07 | Ceiling air conditio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264A KR101063526B1 (en) | 2009-01-07 | 2009-01-07 | Ceiling air condition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846A KR20100081846A (en) | 2010-07-15 |
KR101063526B1 true KR101063526B1 (en) | 2011-09-08 |
Family
ID=4264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1264A Active KR101063526B1 (en) | 2009-01-07 | 2009-01-07 | Ceiling air conditio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35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36047B (en) * | 2013-06-14 | 2019-04-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Courtyard machine and courtyard machine panel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1894B1 (en) * | 2005-02-0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09
- 2009-01-07 KR KR1020090001264A patent/KR1010635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1894B1 (en) * | 2005-02-0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846A (en) | 2010-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5830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101045380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101632884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CN103062845B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73121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90043232A (en) | Air conditioner | |
KR20160034058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18354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25357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 |
KR10138529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15338B1 (en) | Blade structure of packaged air conditioner | |
KR101349311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672211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063526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101339940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1482126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43238A (en) | Air conditioner | |
KR20120076207A (en) | Ventilator | |
KR100895074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50032995A (en)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
KR100947612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
KR20100051473A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12304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00086314A (en) | Air conditioner | |
CN101225983A (en) | Integral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