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2944B1 -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944B1
KR101062944B1 KR1020090125164A KR20090125164A KR101062944B1 KR 101062944 B1 KR101062944 B1 KR 101062944B1 KR 1020090125164 A KR1020090125164 A KR 1020090125164A KR 20090125164 A KR20090125164 A KR 20090125164A KR 101062944 B1 KR101062944 B1 KR 10106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housing
hinged
seating groove
slide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284A (ko
Inventor
황진우
Original Assignee
(주)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 filed Critical (주)진명
Priority to KR102009012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9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9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TV시청 등을 위한 시야각을 편리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절곡, 스탠드 힌지, 보호커버,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BEND TYPE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TV시청 등을 위한 시야각을 편리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위와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 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전자기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를 장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는 영상출력장치 후면에 부착되어 미사용 시에는 접어 두었다가 필요 시 스탠드를 펼쳐 고정한 후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가 제공되고, 그 양측면(22, 23)에는 지지대(30)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전자기기(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2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0)는 그 형상이 '' 자로 그 양단에 힌지(31)가 구성되어 상기 전자기기(20)의 상기 양측면(22, 23)에 결합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기기(20)의 양측면(22, 23)은 일정 높이를 형성하도록 단차(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24)는 턱부(25)와 평평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형 지지대(30)는 상기 평평부(26)에 힌지(31)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31)는 상기 턱부(25)를 중심으로 거의 90도까지 회전한다.
상기 '' 자형 지지대(30)는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턱부(25)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지지대(30)를 회전하여 상기 턱부(25)에 지지가 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지지대(30)가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전자기기(20)를 상기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턱부(23)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전자기기(20)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20)는 상기 지지대(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30)를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20) 측면에 붙일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대(30)는 처음부터 끝까지 수동으로 회전되므로 회전감이 나쁘고, 조작이 불편하며, 상기 지지대(30)가 임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2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지대(3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전자기기는 비스듬하게 세울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거치대가 절곡되어 휴대단말기를 잘 지지하도록 하고, 조립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과, 종래의 거치대가 없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세울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거치대의 타단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삽입되는 2개의 삽입돌기와; 2개의 상기 삽입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슬라이드레 일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레일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정지공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정지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삽입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정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거치대의 이동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정지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제1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제2거치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거치대의 타단과 상기 제2거치대의 일단은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거치대의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는 상호 절곡되고, 상기 제1거치대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제1거치대의 타단 또는 상기 제2거치대의 일단 중 어느 한쪽에는 꺽임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꺽임방지돌기가 안착되는 꺽임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꺽임방지돌기는 꺽임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가 역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제3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 징에 힌지결합된 제4거치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4거치대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거치대와 제4거치대는 상호 절곡되어, 상기 제3거치대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거치대가 절곡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전개스프링과; 상기 전개스프링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3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4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와 상기 제4거치대를 힌지결합하는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회전축을 감싸면서 상기 제3거치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멀어지는 회전탄성력을 부가한다.
상기 제3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이 상기 제4거치대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제4거치대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에는 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4거치대가 회전되어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전개스프링에 의한 상기 제3거치대의 회전시, 상기 제3거치대의 회전력을 감쇠시킨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된 스탠드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탠드힌지모듈은,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고,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어 상기 휴대단말기 및 커버본체를 비스듬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에 따르면, 거치대가 절곡되어 휴대단말기를 잘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대가 절곡되어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확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가 없는 휴대단말기에 본 발명의 보호커버를 장착하면, 손쉽게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세울 수 있다.
[ 제1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모듈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꺽임방지돌기와 꺽임방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장착되어, 절곡됨으로서 휴대단말기(200)를 바닥에 대해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주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200)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하우징(110)과, 거치대(121,122)와, 스토퍼(130)로 이루어진 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에 측벽(11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111) 사이의 상부에 안착홈(112)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11)에는 슬라이드레일(113)이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은 상기 측벽(111)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정지공(114)이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공(114a,114b,114c,114d)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13)과 정지공(114)을 각각 상기 측벽(111)을 홈 형성이 아닌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레일(113)과 정지공(114)의 형성이 용이하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착홈(112)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는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와 제2회전축(1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그 연결 부위 를 얇게 형성하여 절곡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를 별개로 제작한 후 상기 제2회전축(129)을 이용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거치대(121)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제1회전축(128)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거치대(122)는 타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손잡이부(1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거치대(121)의 타단과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129)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제1거치대(121)의 일단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는 상호 절곡되고, 상기 제1거치대(121)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제2거치대(12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거치대가 절곡 또는 전개되기 위해 이동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제2거치대(122)의 타단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에 삽입되는 2개의 삽입돌기(131)와, 2개의 상기 삽입돌기(13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기(131)를 상기 슬라이드레일(11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 는 제1스프링(1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131)에는 상기 정지공(114)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삽입부(132)가 상기 슬라이드레일(1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정지공(114)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거치대의 이동시 상기 삽입부(132)가 상기 정지공(114)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121)의 타단 또는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 중 어느 한쪽에는 꺽임방지돌기(125)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꺽임방지돌기(125)가 안착되는 꺽임방지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꺽임방지돌기(125)는 상기 제1거치대(121)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꺽임방지홈(126)은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꺽임방지돌기(125)는 꺽임방지홈(126)에 안착되어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가 역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이동하여 절곡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절곡되어 정지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대(121) 및 제2거치대(122)는 상기 하우징(110)의 안착홈(112)에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0)의 삽입돌기(131)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의 가장 상부에 형성된 첫번째 정지공(114a)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131)에는 반구 형상의 삽입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제1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첫번째 정지공(114a)에 삽입된 상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거치대(121) 및 제2거치대(122)는 임의로 절곡되거나 유동하지 않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꺽임방지돌기(125)가 상기 꺽임방지홈(126)에 안착되어 있어서,상기 제1거치대(121) 및 제2거치대(122)가 역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0)를 비스듬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제2거치대(122)에 형성된 손잡이부(127)를 상기 제1거치대(121) 방향으로 민다.
사용자의 미는 힘이 상기 제1스프링(133)에 의해 상기 삽입부(132)가 상기 첫번째 정지공(114a)에 삽입되는 힘보다 크게 되면,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첫번 째 정지공(114a)에서 이탈된다.
이로 인해, 2개의 상기 삽입돌기(1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스프링(133)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첫번째 정지공(114a)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132)가 상기 첫번째 정지공(114a)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상기 제1거치대(12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거치대(121)의 타단은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과 상기 제2회전축(129)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거치대(121)의 일단에 장착된 제1회전축(128)을 중심으로 상기 제2거치대(122)의 일단과 함께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제2거치대(122)를 계속 밀면, 상기 삽입돌기(131)의 삽입부(132)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음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정지공(114b,114c,114d)에 삽입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상기 삽입돌기(131)가 상기 정지공 중 가장 아래에 있는 네번째 정지공(114d)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정지공(114)의 지름은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13)보다 상기 정지공(114)에 보다 많이 삽입되어 상기 제2거치대(122)가 작은 힘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거치대가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130)를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정지공(114)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거치대(121)와 제2거치대(122)의 절곡 각도에 의한 휴대단말기(200)의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에 의해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대(121)는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제2거치대(12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휴대단말기(200)가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제2실시예 ]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절곡되어 정지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거치대(123,1234)와, 스토퍼(130)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거치대의 형상 및 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양측에 측벽(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111) 사이에 안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는, 제3거치대(123)와, 제4거치대(124)와, 제2회전축(1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거치대(123)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하부에서 제1회전축(128)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거치대(124)는 타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거치대(123)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124)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4거치대(124)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2회전축(129)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거치대(123)와 제4거치대(124)는 상호 절곡되고, 상기 제4거치대(124)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에는 손잡이부(1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거치대(123)와 제4거치대(124)가 상기 하우징(110)의 안착홈(112)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은 상기 제4거치대(124) 상면 전체를 누르고 있어 제1실시예의 꺽임방지돌기(125)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4거치대(124)를 제3거치 대(123) 방향으로 미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부(127)를 잡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3거치대(123)는 상기 제1회전축(12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3거치대(123)에 상기 제2회전축(129)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제4거치대(124)는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거치대(124)의 타단에는 삽입돌기(131) 및 제1스프링(133)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토퍼(130)가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삽입돌기(131)의 삽입부(132)가 상기 슬라이드레일(113) 및 정지공(114)에 삽입되거나 이동하여 제1실시예와 같이 거치대를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3거치대(123)가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제4거치대(124)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휴대단말기(200)를 비스듬하게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힌지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거치대(123)은 그 크기가 제4거치대(124)보다 크기 때문에 힌지모듈의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200)를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전면에 있는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편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 제3실시예 ]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거치대가 자동으로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서 거치대를 수동을 더 전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탠드 힌지모듈은, 하우징(110)(110)과, 거치대와, 스토퍼(130)(130)와, 전개스프링(140)과, 잠금부재(150)와, 댐퍼부재(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과 스토퍼(13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된 제3거치대(123)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112)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13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된 제4거치대(124)와, 상기 제3거치대(123)와 상기 제4거치대(124)를 힌지결합하는 제2회전축(1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거치대(123)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124)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이 상기 제4거치대(124)의 타단을 감싸고 있고, 상기 제4거치대(124)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제2회전축(129) 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에는 록킹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4거치대(124)의 일단을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에 상기 제2회전축(129)을 통해 힌지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록킹홈(115)이 상기 제4거치대(124)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개스프링(140)은 상기 거치대가 절곡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전개스프링(140)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회전축(128)을 감싸면서 상기 제3거치대(123)와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1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탄성력을 부가한다.
상기 잠금부재(150)는 상기 전개스프링(140)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잠금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부재(151)와, 상기 록킹부재(151)와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151)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스프링(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부재(151)에는 상기 제2스프링(1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제4거치대(124)가 회전되어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돌기(1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51)의 상면에는 손잡이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160)는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160)는, 상기 전개스프링(140)에 의한 상기 제3거치대(123)의 회전시, 상기 제3거치대(123)의 회전력을 감쇠시켜 상기 제3거치대(123) 및 제4거치대(124)가 천천히 부드럽게 전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댐퍼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제3거치대(123)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마찰부재(161)와, 상기 마찰부재(161)를 상기 제3거치대(12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스프링(16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탠드 힌지 모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가 상기 하우징(110)의 안착홈(112)에 삽입되어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개스프링(140)에 의해 상기 제3거치대(123)에 회전력이 가해지지만 상기 록킹부재(151)의 잠금돌기(152)가 상기 록킹홈(115)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3거치대(123)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131)의 삽입부(132)는 첫번째 정지공(114a)에 삽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거치대를 전개시키기 위해 상기 록킹부재(151)의 손잡이부(155)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프링(153)은 압축되고, 상기 제3거치대(123)는 상기 전개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12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개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거치대(123)가 급격하게 회전하여 전개될 수 있는데, 상기 댐퍼부재(160)의 마찰부재(161)가 상기 제3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과 항상 접하고 있어, 상기 제3거치대(123)는 상기 마찰부재(161)와의 마찰력에 의해 천천히 부드럽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거치대(1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4거치대(124)는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129)에 의해 상기 제3거치대(123)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4거치대(124)의 타단은 상기 삽입돌기(131)의 삽입부(132)가 첫번째 정지공(114a)에서 이탈되어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다가 두번째 정지공(114b)에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제4거치대(124)의 타단은 상기 제3거치대(123)의 일단과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132)가 두번째 정지공(114b)에 삽입되면, 상기 제3거치대(123) 및 제4거치대(124)는 더 이상 전개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거치대(123)를 바닥면에 닿도록 하여 휴대단말기(200)를 비스듬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의 절곡각도를 더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3거치대(123)의 타단을 잡고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정지공(114b)에 삽입되어 있던 정지공(114)은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좀 더 이동하다가 세번째 정지공(114c)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거치대(123)와 제4거치대(124)의 절곡각도가 변경되어 휴대단말기(200)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는 초기에 거치대가 자동으로 절곡되어 전개되도록 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거치대의 절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제4실시예 ]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것으로써, 커버본체(170)와 스탠드힌지모듈(171,1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70)는 사출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탠드힌지모듈(171,172)은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된 커버본체(170)를 휴대단말기(200)와 함께 비스듬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술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힌지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0에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힌지모듈(171,172)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3실시예의 힌지모듈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힌지모듈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거치대와, 스토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커버본체(17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외 다른 구조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커버는, 상기 커버본체(170)가 종래의 거치대가 없는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되어, 용이하게 휴대단말기(200)를 비스듬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모듈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이동하여 절곡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절곡되어 정지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꺽임방지돌기와 꺽임방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이 절곡되어 정지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거치대가 자동으로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서 거치대를 수동을 더 전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11 : 측벽, 112 : 안착홈, 113 : 슬라이드레일, 114, 114a, 114b, 114c, 114d : 정지공, 115 : 록킹홈, 121 : 제1거치대, 122 : 제2거치대, 123 : 제3거치대, 124 : 제4거치대, 125 : 꺽임방지돌기, 126 : 꺽임방지홈, 127 : 손잡이부, 128 : 제1회전축, 129 : 제2회전축, 130 : 스토퍼, 131 : 삽입돌기, 132 : 삽입부, 133 : 제1스프링, 140 : 전개스프링, 150 : 잠금부재, 151 : 록킹부재, 152 : 잠금돌기, 153 : 제2스프링, 155 : 손잡이부, 160 : 댐퍼부재, 161 : 마찰부재, 162 : 제3스프링, 170 : 커버본체, 171, 172 : 스탠드힌지모듈, 200 : 휴대단말기,

Claims (11)

  1.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고,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1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2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거치대의 타단과 상기 제2거치대의 일단은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거치대의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는 상호 절곡되고, 상기 제1거치대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2.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고,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3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4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4거치대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거치대와 제4거치대는 상호 절곡되어, 상기 제3거치대가 바닥면에 접하여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거치대의 타단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삽입되는 2개의 삽입돌기와;
    2개의 상기 삽입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슬라이드레일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정지공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정지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삽입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정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거치대의 이동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정지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의 타단 또는 상기 제2거치대의 일단 중 어느 한쪽에는 꺽임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꺽임방지돌기가 안착되는 꺽임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꺽임방지돌기는 꺽임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가 역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6. 삭제
  7.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슬라이드레일이 길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퍼와;
    상기 거치대가 절곡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전개스프링과;
    상기 전개스프링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의 일단은 제1회전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면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3거치대와;
    타단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힌지결합된 제4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와 상기 제4거치대를 힌지결합하는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회전축을 감싸면서 상기 제3거치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으로 부터 멀어지는 회전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제4거치대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이 상기 제4거치대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제4거치대의 일단은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거치대의 타단에는 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4거치대가 회전되어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거치대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전개스프링에 의한 상기 제3거치대의 회전시, 상기 제3거치대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11. 삭제
KR1020090125164A 2009-12-16 2009-12-16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64A KR101062944B1 (ko) 2009-12-16 2009-12-16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64A KR101062944B1 (ko) 2009-12-16 2009-12-16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84A KR20110068284A (ko) 2011-06-22
KR101062944B1 true KR101062944B1 (ko) 2011-09-07

Family

ID=4440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944B1 (ko) 2009-12-16 2009-12-16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6061B (zh) * 2019-06-17 2020-06-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支撐腳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65B1 (ko) * 2011-10-10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RU2717959C1 (ru) * 2019-02-07 2020-03-27 Дмитрий Евгеньевич Алейников Чехол-трансформер (кейс) для планшетных компьютеров и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CN111025820A (zh) * 2019-11-11 2020-04-17 宁波鼎升影视器材有限公司 墙边角三脚架
KR102339012B1 (ko) * 2020-06-23 2021-12-14 주식회사 리어스 슬라이딩 킥스탠드
KR102482551B1 (ko) * 2021-06-07 2022-12-30 주식회사 리어스 각도 조절이 간편한 휴대기기용 거치대
CN114176559A (zh) * 2021-12-20 2022-03-15 杭州微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便携式磁共振的防护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6061B (zh) * 2019-06-17 2020-06-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支撐腳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84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944B1 (ko)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101060454B1 (ko) 받침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470390B2 (ja) サポート付電子機器用ホルダー
US7640044B2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103120B1 (ko) 밴딩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단말
TW201737684A (zh) 用於可攜裝置之折疊裝置架
CN100481846C (zh) 用于便携式终端的铰链装置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EP2215731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CN214432437U (zh) 保护套和电子设备组件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944592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041103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KR101002367B1 (ko)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100132332A (ko) 반자동으로 펼쳐지는 휴대단말기의 외발스탠드
KR100873644B1 (ko) 엘씨디 모니터장치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20792684U (zh) 支撑架
KR101169232B1 (ko) 휴대폰 거치대
CN217789720U (zh) 一种支架保护壳
KR101013331B1 (ko) 휴대기기 구조
CN118869856A (zh) 折叠屏电子设备的保护壳
JP2011139421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CN115507255A (zh) 角度调节简便的便携设备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