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2283B1 -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283B1
KR101062283B1 KR1020080120972A KR20080120972A KR101062283B1 KR 101062283 B1 KR101062283 B1 KR 101062283B1 KR 1020080120972 A KR1020080120972 A KR 1020080120972A KR 20080120972 A KR20080120972 A KR 20080120972A KR 101062283 B1 KR101062283 B1 KR 10106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layer
defect
nitrid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364A (ko
Inventor
이재완
김문덕
오재응
Original Assignee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283B1/ko
Priority to PCT/KR2009/007139 priority patent/WO2010064837A2/ko
Publication of KR2010006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2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5Bodies having stress relaxation structures, e.g. buffe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58Pretreat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상수가 상이한 기판 상에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질화물계 반도체층 내의 결함 밀도를 최소화하여 소자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제 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완충층 상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용융시켜 상기 제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 1 완충층 상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포함한 상기 제 1 완충층 전면 상에 제 2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완충층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함치유, 질화물계, 발광소자

Description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Light emitting diode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격자상수가 상이한 기판 상에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질화물계 반도체층 내의 결함 밀도를 최소화하여 소자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화갈륨(GaN), 질화알루미늄(AlN) 등과 같은 Ⅲ족 원소의 질화물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직접천이형의 에너지밴드(energy band) 구조를 갖고 있어, 청색 및 자외선 영역의 발광소자용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GaN을 이용한 청색 및 녹색 발광소자는 대화면 천연색 평판표시장치, 신호등, 실내 조명, 고밀도 광원, 고해상도 출력시스템과 광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Ⅲ족 원소의 질화물계 반도체층 특히, GaN은 그것을 성장시킬 수 있는 동종(homo)의 기판을 제작하기가 어려워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 이 종(hetero) 기판 상에서 성장시킨다. 이종 기판으로는 사파이어(sapphire, Al2O3) 기판, 실리콘(Si) 단결정 기판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결정 구조가 유사하더라도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층의 격자상수가 상이함에 따라,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 상에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임계 두께 이상으로 성장시키게 되면 해당 질화물계 반도체층 내에는 전위(dislocation), 마이크로 트윈(micro-twin) 등과 같은 결함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화물계 반도체층 내의 결함은 후속 공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타의 질화물계 반도체층으로 전이되어 소자 전체의 광학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p형 반도체층 등의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기 전에 완충층(buffer layer)을 일정 두께 이상 형성시켜 기판과 질화물계 반도체층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 때, 완충층으로는 AlN, Al1-xGax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질화물계 반도체층으로의 결함 전이를 막기 위해 수㎛∼수십㎛ 두께의 완충층을 형성해야 함에 따라, 완충층 성장시간 및 재료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완충층의 재료로 Al1-xGaxN을 이용하고 Al1-xGaxN의 Ga 함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완충층의 격자상수가 질화물계 반도체층 즉, GaN의 격자상수와 유 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결함전이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완충층 성장시 공정 조건의 제어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 GaN 초격자(superlattice)와 AlGaN 초격자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초격자 구조의 완충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격자상수가 상이한 기판 상에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질화물계 반도체층 내의 결함 밀도를 최소화하여 소자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제 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완충층 상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용융시켜 상기 제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 1 완충층 상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포함한 상기 제 1 완충층 전면 상에 제 2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완충층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의 격자상수는 상기 제 1 완충층 및 제 2 완충층의 격자상수와 동일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리콘 단결정 기판 또는 사파이어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완충층 및 제 2 완충층은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Ⅲ족 원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Al), 갈 륨(Ga), 인듐(I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물리기상증착법을 통해 형성되거나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완충층과, 상기 제 1 완충층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 상에 형성된 결함치유용 금속층으로서,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용융되어 상기 제1 완충층이 형성될 때 발생된 상기 제 1 완충층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결합치유용 금속층과,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포함한 상기 제 1 완충층 전면 상에 형성된 제 2 완충층과, 상기 제 2 완충층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완충층을 형성함에 있어, 완충층을 제 1 완충층과 제 2 완충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완충층과 제 2 완충층 사이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제 1 완충층의 결함이 제 2 완충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소자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과 질화물계 반도체층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층(buffer layer)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을 제 1 완충층과 제 2 완충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완충층과 제 2 완충층 사이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구비시켜, 상기 제 1 완충층 내의 결함이 제 2 완충층으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을 준비하고(S101), 상기 기판(101) 상에 제 1 완충층(102)을 형성한다(S102). 상기 제 1 완충층(102)은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1)으로는 실리콘(Si) 단결정 기판, 사파이어(Al2O3)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판(101)과 제 1 완충층(102)은 격자상수가 상이함에 따라, 격자부정합에 의해 상기 제 1 완충층(102)에는 많은 전위 결함(dislocation defect)(102a)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실시예로 (111) 방향의 실리콘 단결정 기판(101) 상에 제 1 완충층(102)으로 AlN을 250nm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AlN 박막의 표면을 관찰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전위 결함의 하나인 핀홀(pin hole)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리콘 단결정 기판(101)과 AlN 박막이 약 19%의 격자부정합(lattice mismatch)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핀홀은 제 1 완충층(102)의 핵(nucleation)과 핵 사이의 공간이 성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핵과 핵 사이의 성장속도 차이에 의해 나선형으로 자라면서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높은 전위결함 밀도를 갖는 제 1 완충층(102)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완충층(102)의 전면 상에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을 형성한다(S103).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은 물리기상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물리기상증착법으로는 분자선 결정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또는 원자층 적층법(atomic layer epitaxy)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Al, Ga, In 등의 Ⅲ족 금속원소를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에 직접 증착시켜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을 형성한다.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할 경우,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적용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Ⅲ족 금속원소의 전구체(precursor)인 TMA(TriMethylAluminum:((CH3)3Al), TMG (Trimethylgalium: ((CH3)3Ga), TMI (Trimethylindium: ((CH3)3In)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에 흡착시킨 후 환원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에 Al, Ga, 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에 Ⅲ족 금속원소로 이루어진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에 열에너지를 가하여(S104)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을 금속 클러스터(cluster)(103a) 형태로 분열시키고, 분열된 금속 클러스터(103a)들이 상기 제 1 완충층(102)의 결함(102a)이 존재하는 부위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S105).
분열된 결함치유용 금속층(103) 즉, 금속 클러스터(103a)들이 상기 제 1 완충층(102)의 결함(102a)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 1 완충층(102)의 표면에 있어서 결함(102a)이 존재하는 부위는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에너지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101)에 가해진 열에너지로 인해 높은 에너지 상태의 금속 클러스터(103a)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화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상태를 갖는 결함(102a)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의 분열 및 금속 클러스터(103a)의 구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판(101)은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의 녹는점에 상응하는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열된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이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의 결함(102a) 상에 위치함으로 인해 제 1 완충층(102) 상의 결함(102a)은 치유되는데, 이는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완충층인 AlN 박막 상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인 Al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기판에 열을 가한 후의 AlN 박막 표면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N 박막 표면에 존재하던 결함(도 3 참조)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열에너지가 가해진 Al이 AlN 박막 상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하였음을 반증한다.
이와 같이, 분열된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이 상기 제 1 완충층(102)의 결함(102a) 상에 위치함으로써 제 1 완충층(102) 상의 결함(102a)은 치유되며 달리 표현하여, 제 1 완충층(102)의 표면 전체가 비교적 균일한 격자상수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상기 분열된 결함치유용 금속층(103)에 의해 제 1 완충층(102)의 결함(102a)이 치유된 상태에서, 달리 말하여 상기 제 1 완충층(102) 표면 전체의 격자상수가 균일화된 상태에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완충층(104)을 형성한다(S106). 상기 제 2 완충층(104)은 상기 제 1 완충층(102)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완충층(102)의 결함(102a)이 치유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제 1 완충층(102) 상에 형성되는 제 2 완충층(104) 역시 결함(102a) 밀도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성장된다.
상기 제 2 완충층(104)의 형성 후, 상기 제 2 완충층(104)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p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S1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3은 실리콘 단결정 기판 적층된 제 1 완충층의 표면을 나타낸 SEM 사진.
도 4는 결함치유용 금속(Al)이 제 1 완충층(AlN)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SEM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기판 102 : 제 1 완충층
102a : 결함 103 : 결함치유용 금속층
103a : 금속 클러스터 104 : 제 2 완충층

Claims (16)

  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완충층 상에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용융시켜 상기 제1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 1 완충층 상의 결함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을 포함한 상기 제 1 완충층 전면 상에 제 2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완충층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격자상수는 상기 제 1 완충층 및 제 2 완충층의 격자상수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 단결정 기판 또는 사파이어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층 및 제 2 완충층은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Ⅲ족 원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Ⅲ족 원소는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물리기상증착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치유용 금속층은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120972A 2008-12-02 2008-12-02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2A KR101062283B1 (ko) 2008-12-02 2008-12-02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9/007139 WO2010064837A2 (ko) 2008-12-02 2009-12-02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2A KR101062283B1 (ko) 2008-12-02 2008-12-02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364A KR20100062364A (ko) 2010-06-10
KR101062283B1 true KR101062283B1 (ko) 2011-09-05

Family

ID=4223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9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283B1 (ko) 2008-12-02 2008-12-02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2283B1 (ko)
WO (1) WO2010064837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804A (ja) 1999-12-14 2001-06-29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半導体層の形成方法
KR100670531B1 (ko) 2004-08-26 2007-0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90384A1 (en) * 2005-10-06 2007-04-26 Liang-Wen Wu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ple layer buffe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804A (ja) 1999-12-14 2001-06-29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半導体層の形成方法
KR100670531B1 (ko) 2004-08-26 2007-0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90384A1 (en) * 2005-10-06 2007-04-26 Liang-Wen Wu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ple layer buffe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4837A2 (ko) 2010-06-10
WO2010064837A3 (ko) 2010-08-19
KR20100062364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761B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well and/or barrier layers with superlattice structure
US7943494B2 (en) Method for blocking dislocation propagation of semiconductor
KR100304881B1 (ko) Gan계화합물반도체및그의결정성장방법
KR101843513B1 (ko)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CN106098871B (zh) 一种发光二极管外延片的制备方法
US20110003420A1 (en) Fabrication method of gallium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JP2000036620A (ja) 窒化物エピタキシのための多層インジウム含有窒化物緩衝層
KR100920915B1 (ko) 초격자 구조의 장벽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KR100885190B1 (ko) 발광소자와 그의 제조방법
JPH11145514A (ja) 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3665A (ja) 窒化物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16076B2 (en) Dislocation filter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040016724A (ko) 질화물 반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38195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것에의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KR20080088221A (ko) 초격자 구조의 웰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KR101062283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71324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용 버퍼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그것에 의해 형성된 버퍼층
KR100730753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것에의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KR101321935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8139A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201151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KR100821220B1 (ko) 다층의 버퍼층을 가지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제조방법
WO2019035274A1 (ja) テンプレート基板、電子デバイス,発光デバイス,テンプレート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364169B1 (ko) 초격자 구조의 장벽층을 갖는 근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KR20230111004A (ko) GaN 반도체 구조물 및 이의 선택적 성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829

Appeal identifier: 2011101004678

Request date: 2011071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