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2025B1 - 체결구용 소켓 - Google Patents

체결구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025B1
KR101062025B1 KR1020090044910A KR20090044910A KR101062025B1 KR 101062025 B1 KR101062025 B1 KR 101062025B1 KR 1020090044910 A KR1020090044910 A KR 1020090044910A KR 20090044910 A KR20090044910 A KR 20090044910A KR 101062025 B1 KR101062025 B1 KR 10106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socket body
socket
groove
squa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933A (ko
Inventor
하철원
Original Assignee
하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철원 filed Critical 하철원
Priority to KR102009004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0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0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25B13/065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7Socket or nut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26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nails, screws, bolts, or pins traversing or entering the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의 볼트 머리나 다각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를 규합홈에 안정되게 진입 및 규합시킨 다음, 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형 체결부재의 체결 또는 체결의 해체를 도모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규합홈에 각도 보정구조를 마련하여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더라도 상기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의 규합홈이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도록 구성한 체결구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각형 체결부재, 소켓, 소켓몸체, 규합공, 진입각 보정구조, 체결구, 임펙트

Description

체결구용 소켓{Socket fo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의 볼트 머리나 다각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를 규합홈에 안정되게 진입 및 규합시킨 다음, 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형 체결부재의 체결 또는 체결의 해체를 도모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규합홈에 각도 보정구조를 마련하여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더라도 상기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의 규합홈이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도록 구성한 체결구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는, 체결이나 해체과정에 체결구를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안정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원형이 아닌 정육각이나 정팔각 등의 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형 체결부재에는, 다각의 규합홈이 형성된 체결구의 소켓이 진입되어 각형 체결부재는 체결구의 소켓과 규합된 상태에서 체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 또는 해체를 도 모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 체결구에 마련된 소켓의 규합홈은, 각형 체결부재와 동일하게 정육각 또는 정팔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각형 체결부재에 체결구의 소켓을 진입시켜 규합함에 있어, 반드시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고유 진입각과 동일한 임의 진입각으로 진입시켜야 상호 간의 규합이 가능하다.
예컨대, 60°의 고유 진입각을 갖는 정육각의 각형 체결부재에는, 60°의 임의 진입각으로 소켓을 진입시켜야 이들 간의 규합이 가능하며, 소켓을 90°의 임의 진입각으로 각형 체결부재를 진입시킬 경우 소켓에 형성된 규합홈과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되어, 이들 간의 규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거쳐 소켓의 소켓몸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임의 회전시켜, 소켓의 임의 진입각을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동일하게 설정한 다음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진입시켜 규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형태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요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도 5a와 같이 상기 소켓(1')의 규합홈(12)을 각형 체결부재의 각모서리(31)의 개수와 동일한 6개의 각홈부(12a) 또는 8개의 각홈부를 갖는 정육각 또는 정팔각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도 5b와 같이 소켓(1")의 규합홈(12)을 배수인 12개 또는 16개의 각홈부(12a)를 갖는 정십이각 또는 정십육각으로 구성하여 각형 체결부재(30)의 각모서리(31)와 소켓(1")의 규합홈(12)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 확률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규합홈을 각형 체결부재의 각의 배수로 구성하면, 소켓의 규합홈과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의 규합상태가 불량해지며, 즉, 도 5b와 같이 소켓의 규합홈의 내벽에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밀착되지 아니하고 국부적으로 밀착되어 이들 간의 밀착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임펙트 등의 체결구에 소켓을 장착하여 각형 체결부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응력이 집중되어 소켓의 규합홈 또는 각형 체결부재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체결구용 소켓은, 각형 체결부재의 비틀림에 의해 규합홈에 각형 체결부재가 억지 규합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며, 이와 같이 각형 체결부재가 억지 규합되면 소켓의 규합홈에서 쉽게 배출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각의 볼트 머리나 다각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를 규합홈에 안정되게 진입 및 규합시킨 다음, 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형 체결부재의 체결 또는 체결의 해체를 도모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규합홈에 각도 보정구조를 마련하여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더라도 상기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의 규합홈이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도록 구성한 체결구용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용 소켓은,
소켓몸체의 상부에는 체결구의 헤드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소켓몸체의 하부에는 다각의 두부를 갖는 볼트 또는 다각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와 동일각의 규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규합홈을 통해 각형 체결부재에 진입하여 규합되는 체결구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에 형성된 상기 규합홈의 각 모서리 하단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각도가 좁아지는 'U'형의 안내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를 진입시키는 과정에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면, 상기 소켓몸체는 'U'의 안내홈과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와 간섭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 사이의 편차각 만큼 회전하여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일치하도록 보정되어서, 소켓몸체는 각형 체결부재에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며,
상기 소켓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규합홈과 연통하며 내벽에는 나선의 체결홈이 형성된 분리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소켓몸체의 규합홈에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가 억지 규합되면, 작업자는 외경에 나선의 체결홈이 형성된 가압봉을 상기 분리공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봉이 분리공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의 체결홈을 따라 서서히 진입하면서 소켓몸체의 규합홈에 억지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규합홈에서 각형 체결부재를 강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켓몸체에 형성된 규합홈의 하부에 'U'형의 안내홈으로 이루어진 진입각 보정구조를 마련하여,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소켓몸체가 회전하여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소켓몸체가 각형 체결부재에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구용 소켓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작업자는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를 진입시킴에 있어, 직접 소켓몸체를 파지하여 회전시켜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을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일치시키는 보정 과정 없이 항시 소켓몸체를 각형 체결부재에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시킬 수 있어서, 향상된 작업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입각 보정구조를 마련한 소켓몸체에, 분리공과 가압봉으로 이루어진 각형 체결부재의 강제 배출구조가 마련되어, 소켓몸체의 규합홈에 진입된 각형 체결부재가 비틀림이 발생되어 규합홈에 억지 규합된 경우에 각형 체결부재를 가압봉을 통해 간편하게 가압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있어, 각형 체결부재의 강제 분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용 소켓(1)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구(20)의 헤드(21)와 두부가 각형으로 이루어진 볼트와 각형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30)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구(20)의 회전력을 각형 체결부재(30)에 전달하여 각형 체결부재(30)의 체결 또는 해체를 도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용 소켓(1)은, 소켓몸체(10)의 상부에 체결구(20)의 헤드(21)와 연결되는 연결구(11)가 형성되고, 소켓몸체(10)의 하부에는 각형 체결부재(30)와 동일각의 규합홈(1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각형 체결부재(30)는 정육각으로 구성되어 60°의 고유 진입각을 가지며, 상기 소켓몸체(10)에는 이와 대응되는 정육각의 규합홈(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정육각으로 이루어진 각형 체결부재(30)에는 총 6개의 각모서리(31)가 형성되고, 이와 규합되는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의 내벽에는 총 6개의 각홈부(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20)의 헤드(21)에 고정된 소켓의 소켓몸체(10)는 규합홈(12)을 통해 각형 체결부재(30)와 규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후 소켓몸체(10)는 체결부(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런데,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10)의 임의 진입각은 항시 동일하여야 하며, 만약 이들이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각형 체결부재(30)의 각모서리(31)와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되어 각형 체결부재(30)가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소켓몸체(10)를 파지하여 반복적으로 임의 회전시켜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10)의 임의 진입각을 상호 일치시켜, 소켓몸체(10)가 각형 체결부재(30)에 진입하여 규합되도록 하 고 있으나, 이는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몸체(10)에 진입각 보정구조를 마련하여 상호 불일치한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10)의 임의 진입각이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되어 상호 일치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각 보정구조는, 상기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 각홈부 (12a) 하부에, 하부에서 상부으로 갈수록 점차 각도가 좁아지는 'U'형의 안내홈(13)을 형성함으로써 이룩된다.
따라서, 도 2a와 도 2b와 같이 상기 각형 체결부재(30)에 소켓몸체(10)를 진입시키는 과정에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10)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더라도, 상기 소켓몸체(10)는 'U'의 안내홈(13)과 각형 체결부재(30)의 각모서리(31)와 간섭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10)의 임의 진입각 간의 편차각 만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임의 진입각이 각형 체결부재(30)의 고유 진입각과 일치하도록 보정한다.
이와 같이 진입각 보정구조에 의해 고유 진입각과 임의 진입각이 일치되면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 각형 체결부재(30)는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며, 이후 체결구(30)는 소켓(1)을 통해 연결된 각형 체결부재(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 또는 해체를 도모한다.
한편, 상기 소켓(1)을 통한 각형 체결부재(3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과정 중에 각형 체결부재(30)가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 비틀린 상태로 억지 규 합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며, 이 경우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서 각형 체결부재(30)를 분리하기 어렵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몸체(10)의 상부에 각형 체결부재(30)가 규합된 규합홈(12)과 연통하는 분리공(14)을 상하 관통되게 형성하고 있으며, 도면을 보면 상기 소켓몸체(10)의 상부에 복수의 분리공(14)이 방사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 각형 체결부재(30)가 억지 규합되어 소켓몸체(10)에서 각형 체결부재(30)의 분리가 어려운 경우, 작업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공(14)에 가압봉(15)을 삽입하여 진입시키면 가압봉(15)의 단부는 소켓몸체(10)의 규합홈(12)에 억지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30)의 상부를 가압하여 규합홈(12)에서 각형 체결부재(30)를 강제 배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용 소켓(1)은 규합홈(12)에 억지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30)를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공(14)과 가압봉(15)으로 이루어진 각형 체결부재(30)의 분리 구조를 마련함에 있어, 상기 분리공(14)의 내벽에는 나선의 체결홈(14a)을 형성하고, 이 분리공(14)에 외경에 나선의 체결홈(15a)이 형성된 가압봉(15)이 체결을 통해 규합홈(12)에 진입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용 소켓(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 치 등을 이용하여 가압봉(15)을 때릴 필요없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봉(15)을 드라이버(미도시) 등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봉(15)은 체결홈(14a, 15a)을 따라 규합홈(12)에 서서히 진입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가압봉(15)을 규합홈(12)에 진입시켜 규합홈(12)에 억지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30)를 간편하게 가압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결구용 소켓을 각형 체결부재에 있어, 각형 체결부재의 강제 분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며,
도 5는 종래 체결구용 소켓과 각형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켓
10. 소켓몸체 11. 연결구
12. 규합홈 12a. 각홈부
13. U형 안내홈
14. 분리공 14a. 체결홈
15. 가압봉 15a. 체결홈
20. 체결구 21. 헤드
30. 각형 체결부재 31. 각모서리

Claims (2)

  1. 소켓몸체의 상부에는 체결구의 헤드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소켓몸체의 하부에는 다각의 두부를 갖는 볼트 또는 다각의 너트를 포함하는 각형 체결부재와 동일각의 규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규합홈을 통해 각형 체결부재에 진입하여 규합되는 체결구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에 형성된 상기 규합홈의 각홈부의 하단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각도가 좁아지는 'U'형의 안내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형 체결부재에 소켓몸체를 진입시키는 과정에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상호 불일치하면, 상기 소켓몸체는 'U'의 안내홈과 각형 체결부재의 각모서리와 간섭에 의해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 사이의 편차각 만큼 회전하여 소켓몸체의 임의 진입각이 각형 체결부재의 고유 진입각과 일치하도록 보정되어서, 소켓몸체는 각형 체결부재에 안정되게 진입하여 규합되며,
    상기 소켓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규합홈과 연통하며 내벽에는 나선의 체결홈이 형성된 분리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소켓몸체의 규합홈에 각형 체결부재의 가장자리가 억지 규합되면, 작업자는 외경에 나선의 체결홈이 형성된 가압봉을 상기 분리공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봉이 분리공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의 체결홈을 따라 서서히 진입하면서 소켓몸체의 규합홈에 억지 규합된 각형 체결부재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규합홈에서 각형 체결부재를 강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용 소켓.
  2. 삭제
KR1020090044910A 2009-05-22 2009-05-22 체결구용 소켓 Active KR10106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10A KR101062025B1 (ko) 2009-05-22 2009-05-22 체결구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10A KR101062025B1 (ko) 2009-05-22 2009-05-22 체결구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33A KR20100125933A (ko) 2010-12-01
KR101062025B1 true KR101062025B1 (ko) 2011-09-05

Family

ID=4350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910A Active KR101062025B1 (ko) 2009-05-22 2009-05-22 체결구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33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7350B2 (ja) 締結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反力受け用ワッシャ、及び締結用ソケット
US2010000307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bar
US11346402B2 (en) Universal socket structure
CA2865679C (en) A safety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iping, an end-coupler for such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ut therefor
US20070041784A1 (en) Locking device
US20140348613A1 (en) Nut And/Or Bolt Head With Jackscrew Actuated Lock Washer Stack
US10495131B2 (en) Blind nut, a blind nut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EP2560791B1 (en) Screw head and tool for use therewith
US20150252570A1 (en) Swivel connector
EP3344563B1 (en) Conveyor belts and modules with twist-lock accessories
US20160158923A1 (en) Driver Bit
US20160375566A1 (en) Tightening tool for coaxial connectors
JP2024526398A (ja) ナット連結機構体
KR101062025B1 (ko) 체결구용 소켓
KR20120120610A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US10619344B1 (en) Reinforcing hardware for wooden housing
EP2479006B1 (en) Threaded plug and screwdriver device
US6826984B2 (en) Lock nut sockets
KR20170130918A (ko) 다 규격 렌치
CN212635571U (zh) 用于接线箱上电缆接头的便捷式紧固工具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JP6118852B2 (ja) ねじ
US20050135892A1 (en) End milling cutter assembly
JP2015508712A (ja) スラッギングレンチ
KR200489705Y1 (ko) 세레이션 소켓용 분해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