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175B1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0175B1 KR101060175B1 KR1020100065908A KR20100065908A KR101060175B1 KR 101060175 B1 KR101060175 B1 KR 101060175B1 KR 1020100065908 A KR1020100065908 A KR 1020100065908A KR 20100065908 A KR20100065908 A KR 20100065908A KR 101060175 B1 KR101060175 B1 KR 101060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gging
- touch screen
- touch
- control method
- comma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두 개 이상의 다중 지점에서의 동시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다중 터치 지점 중 두 터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는 제 1 드래깅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깅 종료 후 복수의 명령 메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명령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명령 및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드래깅과 반대 방향인 제 2 드래깅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오브젝트에 대한 상기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은 두 지점에서의 터치와 두 터치 지점의 상대적인 드래깅(이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직관적이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 컨텐츠의 특정 라인(line)들에 대한 복사/붙이기 명령을 수행하는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파일의 복사 및 붙이기 명령을 수행하는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도이다.
도 13 내지 16은 상술한 방법에 의한 소정의 문서 컨텐츠 라인의 복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5)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두 개 이상의 다중 지점에서의 동시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다중 터치 지점 중 두 터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는 제 1 드래깅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깅 종료 후 복수의 명령 메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명령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명령 및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드래깅과 반대 방향인 제 2 드래깅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오브젝트에 대한 상기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래깅은 꼬집는 제스쳐(pinch)이며, 제 2 드래깅은 역 꼬집기 제스쳐(unp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래깅은 제 1 드래깅이 수행된 터치스크린과 상이한 터치스크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제 1 드래깅 종료는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두 터치 지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선택에서 상기 제 1 드래깅 궤적이 지나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두 개 이상의 다중 지점에서의 동시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다중 터치 지점 중 두 터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는 제 1 드래깅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깅 종료 후 수행되는 제 3 드래깅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깅에 의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와 상기 드래깅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깅과 반대 방향인 제 2 드래깅과 상기 제 2 드래깅 종료 후 수행되는 제 4 드래깅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드래깅 패턴과 제 4 드래깅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소정 명령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래깅은 꼬집는 제스쳐(pinch)이며, 제 2 드래깅은 역 꼬집기 제스쳐(unp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래깅은 제 1 드래깅이 수행된 터치스크린과 상이한 터치스크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에 있어서,
제 1 드래깅 및 제 2 드래깅 종료는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두 터치 지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선택에서 상기 제 1 드래깅 궤적이 지나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드래깅 패턴과 제 4 드래깅 패턴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소정 명령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드래깅과 제 4 드래깅은 단일 터치 드래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에 의한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5908A KR101060175B1 (ko) | 2010-07-08 | 2010-07-08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5908A KR101060175B1 (ko) | 2010-07-08 | 2010-07-08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0175B1 true KR101060175B1 (ko) | 2011-08-29 |
Family
ID=4493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5908A KR101060175B1 (ko) | 2010-07-08 | 2010-07-08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017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77686A1 (ko) * | 2011-11-24 | 2013-05-30 | Kim Si-Han |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1504238B1 (ko) | 2014-04-03 | 2015-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KR20150115627A (ko) * | 2015-03-02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US9392095B2 (en) | 2014-04-03 | 2016-07-1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KR101742410B1 (ko) * | 2012-12-10 | 2017-05-31 | 지티이 코포레이션 | 스크린샷 기능을 내장하는 지능형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
-
2010
- 2010-07-08 KR KR1020100065908A patent/KR10106017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77686A1 (ko) * | 2011-11-24 | 2013-05-30 | Kim Si-Han |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88945A (ko) * | 2011-11-24 | 2016-07-26 | 김시환 |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
KR101922426B1 (ko) | 2011-11-24 | 2019-02-20 | 김시환 |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
KR101742410B1 (ko) * | 2012-12-10 | 2017-05-31 | 지티이 코포레이션 | 스크린샷 기능을 내장하는 지능형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
KR101504238B1 (ko) | 2014-04-03 | 2015-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US9392095B2 (en) | 2014-04-03 | 2016-07-1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US10365821B2 (en) | 2014-04-03 | 2019-07-3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KR20150115627A (ko) * | 2015-03-02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KR102223610B1 (ko) * | 2015-03-02 | 2021-03-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6396B2 (en) | Pinch gesture to navigate application layers | |
CA2810366C (en) | Drag-able tabs | |
US9152321B2 (en) | Touch sensitive UI technique for duplicating content | |
EP3055762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 |
US9612675B2 (en) | Emulating pressure sensitivity on multi-touch devices | |
CN109661645A (zh) | 用于具有多个触控表面的设备的手势语言 | |
US20140331187A1 (en) | Grouping objects on a computing device | |
TWI512601B (zh) | 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 |
US9927973B2 (en) |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electronic device | |
JP5229750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US20130246975A1 (en) | Gesture group selection | |
US20140215393A1 (en) | Touch-based multiple selection | |
US9477398B2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oint input | |
MX2014002955A (es) | Entrada de formula para dispositivos de presentacion limitada. | |
WO2016035800A1 (ja) | 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思考支援装置、オブジェクト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KR101060175B1 (ko) |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 |
JP2014182814A (ja) | 描画装置、描画方法および描画プログラム | |
US10732719B2 (en) | Performing actions responsive to hovering over an input surface | |
US963269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CN105426049B (zh) | 一种删除方法及终端 | |
US2013015507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using the electronic device | |
KR20140029096A (ko) |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
CN103365456A (zh) | 手势操作方法 | |
KR101102326B1 (ko) |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
JP2014048894A (ja) |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