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910B1 -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9910B1 KR101059910B1 KR1020110043103A KR20110043103A KR101059910B1 KR 101059910 B1 KR101059910 B1 KR 101059910B1 KR 1020110043103 A KR1020110043103 A KR 1020110043103A KR 20110043103 A KR20110043103 A KR 20110043103A KR 101059910 B1 KR101059910 B1 KR 101059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laundry
- drum
- washing machin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857 radi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80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전 세탁물의 먼지 및 세탁물의 건조대에서의 건조 후, 세탁물의 각종 세탁먼지, 섬유먼지, 황사먼지, 중금속, 방사성 물질, 미세먼지, 기타 유해균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터보팬을 이용하여 드럼 구동시 드럼 내 잔류하고 있는 세탁먼지 및 각종 유해한 먼지가 섞여있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흡입된 세탁먼지는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1차 필터부 및 2차 필터부에 의해 여과되어 각종 유해먼지가 포집된 후 깨끗한 공기만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되, 먼지를 포집하는 1차 필터부는 필터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우징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시킨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laundry laundry before drying and after drying in a drying rack of laundry, various laundry dusts of laundry, fiber dust, yellow dust, heavy metals, radioactive materials, and fine particles. It is designed to remove dust and other harmful bacteria easily, and it is configured to suck the laundry dust remaining in the drum and air mixed with various harmful dust when the drum is driven by using the turbo fan. The filter is filtered by the primary filter unit and the secondary filter unit without being discharged immediately, so that only the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various harmful dusts are collected, but the primary filter unit collecting dust can be cleaned. It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 건조 후 또는 세탁전 다양한 세탁먼지를 흡입하여 여과시킨 후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and washing various laundry dusts afte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drying rack.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washing to be performed by using a friction force of a rotating drum and laundry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driving unit while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 a drum. And, pounding and rubbing is to make the laundry effect.
그 중 드럼세탁기의 드럼은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으로 눕혀진 상태 즉, 드럼의 축방향과 세탁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이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상기의 드럼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이 설치된다.Among them, the drum of the drum washing machine is placed in a cylindrical state lying inside the housing, that is,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u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the drum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so that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드럼에는 배면부를 제외한 원통면에 다수개의 탈수공이 구비되고, 특히 배면부는 밋밋하고 부드러운 구조로 형성되며, 드럼 내면에는 상기 드럼의 축방향 길이에 상응하게 축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리프터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ru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hydration holes in the cylindrical surface except the rear portion, in particular the rear portion is formed in a smooth and smooth struc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a plurality of lifter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xial length of the drum It is provided.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의 드럼은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게 되면, 그 내측에 투입된 세탁물과 세탁수가 드럼의 회전에 따른 상기 리프터의 작용에 의해 드럼의 내면을 따라 상측으로 소정 높이 까지 상승하였다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세탁물과 드럼 내면 및 리프터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 및 세제의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drum of the conventional general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drum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erein are caused by the action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scendin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nd then falling down, friction is generated between the laundry and the drum inner surface and the lifter while repeating this process, and washing is performed by the action of the friction and detergent.
그러나, 이와 같은 세탁기의 경우, 세탁 후 세탁 드럼 내에는 각종 미세먼지(세탁먼지, 섬유먼지, 황사먼지, 중금속, 방사성 물질, 미세먼지, 기타 유해균 등)가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미세먼지로 인하여, 세탁기의 드럼 내부가 더러워지거나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재사용시 이렇게 잔류되어 있는 각종 미세먼지가 새로운 세탁물의 세탁과 함께 세탁이 되어지기에, 세탁기의 드럼에 남아있는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세탁물이 항균적으로 깨끗하게 세탁되지 못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washing machine, various fine dusts (washing dust, fiber dust, dust dust, heavy metals, radioactive materials, fine dust, other harmful bacteria, etc.) remain in the washing drum after washing, and due to such fine dust,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s drum may become dirty or bad smell may occur. When the washing machine is reused, the various fine dusts are washed together with the washing of new laundry. Antibacterial and clean laundry will not be.
다시 말해, 세탁시마다 발생되는 각종먼지들이 드럼 내에 축적되어 쌓이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고, 더욱이, 노약자 및 아동들이 입는 세탁물의 경우라면 피부 알레르기 및 두드러기 등 피부질환을 야기할 수 있기에, 이러한 각종 미세먼지들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깨끗한 복제를 착용할 수 있는 세탁기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a vicious cycle in which various dusts generated during washing ar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in the drum is repeated. Furthermore, in the case of laundry worn by the elderly and children, fine dusts such as skin allergies and hives may be caus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washing machine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n wearing a clean replic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구동으로 각종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설치된 터보팬을 통해 드럼 내 공기 및 세탁먼지를 흡입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드럼 내 세탁먼지가 흡입시, 1차 필터부에 의해 세탁먼지 및 공기에 잔류하고 있는 세탁먼지를 여과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 배출시에도 2차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1차 필터부에서 여과된 먼지는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탈착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various dust by the drive of the washing machine, a structure for sucking air and laundry dust in the drum through a turbo fan installed in the housing When washing dust in the drum is sucked, the washing dust remaining i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dust remaining in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by the primary filt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with a new concept of washing dust removal function to allow the discharge of filtered air and at the same time, the dust filtered from the primary filter part has a desorption function so that the dust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0)에 내설되어 세탁물이 투입되고, 원주면 둘레에 세탁물 걸름망(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구동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의 내주연에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되, 다수의 제 1먼지흡입구(3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천공형성되어 있는 리프터(30);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드럼(20)과 상호간 이격되어 드럼(20)을 내설하되, 내주연 둘레에 걸쳐 제 2먼지흡입구(41)가 천공형성되는 흡입체(4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세탁조 내 세탁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구동되는 터보팬(50); 일단은 상기 흡입체(4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터보팬(50)과 연결되어, 세탁조에서부터 제 1, 2먼지흡입구(31, 41)를 연속통과하며 흡입된 세탁먼지를 여과시키는 1차 필터부(60); 상기 터보팬(50)의 후단에 설치되어, 터보팬(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내 먼지를 여과시키는 2차 필터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 건조 후 또는 세탁전 드럼작동과 동시에 세탁먼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by sucking the laundry dust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drum after drying or before laundry drying racks.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각종 먼지를 여과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각종 먼지를 그대로 방출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iltering the various inhaled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air pollution generated by emitting various kinds of dust as it is.
또한, 본 발명은 제 1여과부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제 1여과부에 포집된 세탁먼지를 손쉽게 제거하여 제 1여과부의 먼지집전효과를 항상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first fil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effect of the first filter by always removing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filter easily.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 각종 먼지를 용이하게 흡입제거함으로써, 노약자 및 아동을 비롯한 피부가 약한 사용자가 세탁먼지 및 각종 먼지로 인해 피부질환 등에 노출되지 않는 쾌적하고 깨끗한 세탁을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easily inhaling and removing the various dust in the drum, the elderly and children with weak skin, including children have an effect that can be carried out comfortable and clean laundry that is not exposed to skin diseases due to washing dust and various dusts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필터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필터부의 세탁먼지 집진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ure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primary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showing a dust collecting form of the primary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ure 7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Before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left","right","lateral", etc.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apparatus. O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lement does not simply indicate or mean that it should have a particular direction. Moreov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mean the relative importance or spirit.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하우징(10)에 내설되어 세탁물이 투입되고, 원주면 둘레에 세탁물 걸름망(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구동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의 내주연에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되, 다수의 제 1먼지흡입구(3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천공형성되어 있는 리프터(30);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드럼(20)과 상호간 이격되어 드럼(20)을 내설하되, 내주연 둘레에 걸쳐 제 2먼지흡입구(41)가 천공형성되는 흡입체(4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세탁조 내 세탁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구동되는 터보팬(50); 일단은 상기 흡입체(4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터보팬(50)과 연결되어, 세탁조에서부터 제 1, 2먼지흡입구(31, 41)를 연속통과하며 흡입된 세탁먼지를 여과시키는 1차 필터부(60); 상기 터보팬(50)의 후단에 설치되어, 터보팬(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내 먼지를 여과시키는 2차 필터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is installed in the
또한, 상기 1차 필터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주연 상단 전면부 또는 하단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1차 필터부(60) 내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1차 필터부(60)는 상기 흡입체(40)와 연결관(67)으로 연통되는 진입구(62)가 천공형성되며, 흡입되는 세탁먼지가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상단 공간체(61); 상기 상단 공간체(61)의 중앙에 직립설치되어, 상단 공간체(61)로 유입되어 상단 공간체(61)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먼지를 여과하는 먼지 필터부재(63); 상기 먼지 필터부재(63)의 하단을 배출관(68)으로 터보팬(50)과 연결시키는 하단 공간체(6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발명의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는 드럼(20), 리프터(30), 흡입체(40), 터보팬(50), 1차 필터부(60), 2차 필터부(70)를 포함한다.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드럼(20)은 사각통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0)에 내설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되, 원통형상의 중심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가로방향으로 눕혀져 설치되어,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된다.The
더불어, 상기 드럼(20)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ex: 모터 등)(11)에 회전축(12)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드럼(20)의 원주면 둘레는 다수의 세탁물 걸름망(21)이 상호간 이격형성되고, 다수의 세탁물 걸름망(21)이 형성되지 않은 드럼(20)의 내주연 부분에는 드럼(20)의 내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리프터(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러한, 상기 드럼(20)에 형성된 세탁물 걸름망(21)은 드럼(20)의 회전으로 세탁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먼지가 드럼(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ch, the
또한, 이러한 드럼(20)이 내설된 하우징(10)의 경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 또는 하우징(10) 표면에 통기부(3)(후술될 터보팬(50)을 통해 드럼(20) 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선 하우징(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있어야 하므로)를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드럼(20)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통기부(3)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개폐(세탁물의 세탁시에는 밀폐, 드럼 내 각종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개방)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상기 리프터(30)는 드럼(20)이 회전시, 세탁물이 걸려 드럼(20) 내에서 낙하하면서 낙차에 의해 세탁물의 먼지발생이 되도록 하는 것이되, 이러한, 상기 리프터(30)의 길이방향으로는 다수의 제 1먼지흡입구(31)가 상호간 이격되며 드럼(20)의 외부를 향해 천공형성되도록 한다.The
즉, 후술될 터보팬(50)을 통해 드럼(20) 내 세탁먼지를 흡입하게 되는 경우, 드럼(20) 내 미세한 세탁먼지(섬유먼지, 황사먼지, 중금속, 방사성 물질, 미세먼지, 기타 유해균 등)가 상기 제 1먼지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되어 드럼(2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aundry dust i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리프터(30)의 내부를 비어 있도록 도시하였지만, 상기 리프터(30)의 제 1먼지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세탁먼지가 흡입체(40)의 제 2먼지흡입구(41)로 이동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리프터(30)의 내부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다수의 제 1먼지흡입구(31)가 리프터(30)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inside of the
상기 흡입체(40)는 전술된 드럼(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개구된 링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드럼(20)이 내설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흡입체(40)와 흡입체(40)에 내설된 드럼(20) 사이는 이격되도록 상기 흡입체(4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흡입체(40)는 내주연 둘레 전체에 걸쳐 제 2먼지흡입구(41)가 천공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드럼(20)에서 세탁먼지가 제 1먼지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되어 진후, 드럼(20)과 흡입체(40)의 사이에서 흡입체(40)의 제 2먼지흡입구(41)를 통해 흡입체(40) 내에 형성된 빈공간(α)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흡입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 전체에 제 2먼지흡입구(41)가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관체 형상이되, 흡입체(40) 두께 부분 내부에 빈공간(α)을 형성하여, 제 2먼지흡입구(41)를 통해 흡입된 세탁먼지가 빈공간(α)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물론, 본 발명에서는 후술될 터보팬(50)을 통해, 공기 및 세탁먼지의 흡입하는 것이기에, 드럼(20)이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낙차에 의해 먼지가 발생되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of air and laundry dust through the
상기 터보팬(50)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세탁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터보팬(50)은 구동체(ex: 모터 등)(52)와 상기 구동체(5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ex: 팬)(51)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The
더불어, 상기 터보팬(50)은 드럼(20)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세탁먼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 되어야 하며, 세탁먼지를 흡입하기 위해선 드럼(20) 내 공기까지 흡입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기에, 세탁먼지는 세탁 전, 후 드럼(20) 내에 잔류하고 있는 세탁먼지,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드럼(20) 내에서 낙차되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세탁먼지, 드럼(20) 공기 내 함유하고 있는 세탁먼지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터보팬(50)의 속도 및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터보팬(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제어장치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장치(버튼 장치 등)를 세탁기 외측 전면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컨트롤장치를 통해 터보팬(5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Of cou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user, a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and on / off of the
상기 1차 필터부(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드럼(20)의 제 1먼지흡입구(31)와, 흡입체(40)의 제 2먼지흡입구(4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흡입된 드럼(20) 내 세탁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흡입체(40)와 연통되고, 타단은 터보팬(50)과 연결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상기 1차 필터부(60)를 자세히 살펴보면, In detail, the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외주연에 진입구(62)를 천공형성하고, 이러한 상기 진입구(62)가 관 형상의 연결관(67)을 통해 상기 흡입체(40)(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 2먼지흡입구(41)를 통해 흡입되어 빈공간(α)으로 이동된 세탁먼지가 흡입되도록, 흡입체(40)의 빈공간(α)과 연통됨)와 상호간 연통되는 상단 공간체(61)와, 상기 상단 공간체(61)의 내부 중심에 직립설치되는 먼지 필터부재(63)와, 상기 상단 공간체(6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단 공간체(61)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며, 상기 먼지 필터부재(63)의 하단에 천공형성된 배출구(64)를 배출관(68)을 통해 상기 터보팬(50)과 연결시키는 하단 공간체(65)로 이루어진다. (이 중, 상기 먼지 필터부재(63)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폴리우레탄,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If the inside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but the periphery of the
즉, 상기 터보팬(50)을 통해 제 1, 2먼지흡입구(31, 4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된 세탁먼지는 연결관(67)을 통해 상단 공간체(61) 내부에 유입되고, 유입된 세탁먼지는 상단 공간체(61)의 내부에서 먼지 필터부재(63) 주위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먼지 필터부재(63)에 여과되는 것이고, 먼지 필터부재(63)를 통과하면서 세탁먼지가 여과된 공기는 하단 공간체(65) 내에 설치된 배출관(68)을 통해 터보팬(50)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aundry dust suck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이러한 상기 상단 공간체(61)는 먼지 필터부재(63)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고 먼지 필터부재(63)를 교체 또는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주연 상단 전면부 또는 하단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단 공간체(61)의 일면에는 손잡이(66)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세탁기의 전면에서 손잡이(66)를 통해 상단 공간체(61)를 꺼내 포집된 먼지를 제거 후 다시 세탁기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단 공간체(61)는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여, 하우징(10) 내 삽입설치되면 하우징(10)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1차 필터부(60) 상단에 힌지결합으로 구성하여 상단 공간체(61)의 상단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음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2차 필터부(7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일단은 터보팬(50)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후면에 연결되어, 전술된 1차 필터부(60)를 통해 세탁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세탁기 외부로 배출할 시, 터보팬(50)을 통해 흡입된 공기 내 미세먼지 또는 잔여 세탁먼지를 다시한번 여과시켜 세탁기(더욱 자세히는 하우징(10))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The
또한, 상기 상단 공간체(61)와 하단 공간체(65)는 상호간 일체형으로 이루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호간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단 공간체(61)와 하단 공간체(65)의 접촉부위에는 상, 하단 공간체(61, 65)를 상호간 연통시키는 연통홀(69)을 다수 천공하여, 상단 공간체(61)로 유입된 세탁먼지가 먼지 필터부재(63)에 의해 포집됨과 동시에 연통홀(69)을 통해 하단 공간체(65)에도 유입되어 하단 공간체(65) 내부에 쌓일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에서 전술된 터보팬(50), 1차 필터부(60), 2차 필터부(70)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시 세탁수를 배수하는 부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팬(50), 1차 필터부(60), 2차 필터부(70) 등이 설치된 하우징(10) 내 하단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드럼세탁기 등의 경우, 도 7에서처럼 배수부분을 피해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세탁기에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상기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 2는 작동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2 in the drawings,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refers to the operation por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의 사용을 가상현실로 표현하면 하기와 같을 것이다.Such, the use of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ressed as virtual reality.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드럼세탁기로 세탁을 완료한 후, 세탁물을 꺼내어 베란다 세탁물 건조대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After the housewife in the apartment completes the washing with the drum washing machine, the laundry is taken out and dried on the porch laundry rack.
상기 베란다 건조대 옆에는 세탁기와 생김새가 비슷하면서 기존의 드럼세탁기보다는 규모가 작은 전자기기가 있는데, 이것이 본 발명의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로써, 세탁뿐만 아니라, 세탁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이다.Next to the veranda drying rack, there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imilar appearance to a washing machine and a smaller scale than a conventional drum washing machine. This is a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not only washes, but also removes laundry dust. Eggplant is a washing machine.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세탁물은 건조대에서 건조완료되고, 주부는 건조된 세탁물의 각종 세탁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를 작동시킨다. 이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우~웅 하는 소리를 내면서 드럼이 빠르지 않은 속도로 회전되며, 주부는 세탁기 저면의 투입구를 통해 세탁물 건조대에서 건조시킨 세탁물을 내부에 투입하고 투입구를 닫는다.After a certain time, the laundry is dried in the drying rack, and the housewife operates the washing machine having the laundry dust remov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various laundry dusts of the dried laundry. Thus,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t a speed that the drum is not fast while making a hum, the housewife puts the laundry dried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rough the inlet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machine and closes the inlet.
이 후, 소정시간(ex: 5분) 동안 본 발명의 세탁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소리와 함께 작동되되 사용자가 사전지정한 시간에 맞춰 작동을 멈추면, 주부는 투입구를 열고 세탁먼지 흡입이 완료된 세탁물을 꺼내어 장롱에 개어 넣어둔다.
After that,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ex: 5 minutes) while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stops at a predetermined time by the user, and the housewife opens the slot and opens the laundry where the suction of the washing dust is completed. Take it out and put it in the dres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the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하우징 11: 구동수단
12: 회전축 20: 드럼
21: 세탁물 걸름망 30: 리프터
31: 제 1먼지흡입구 40: 흡입체
41: 제 2먼지흡입구 50: 터보팬
51: 회전체 52: 구동체
60: 1차 필터부 61: 상단 공간체
62: 진입구 63: 먼지 필터부재
64: 배출구 65: 하단 공간체
66: 손잡이 67: 연결관
68: 배출관 69: 연통홀
70: 2차 필터부10: housing 11: drive means
12: rotating shaft 20: drum
21: laundry strainer 30: lifter
31: first dust suction opening 40: suction body
41: second dust intake 50: turbo fan
51: rotating body 52: driving body
60: primary filter unit 61: the upper space
62: entrance port 63: dust filter member
64: outlet 65: lower space body
66: Handle 67: Connector
68: discharge pipe 69: communication hole
70: secondary filter unit
Claims (3)
상기 드럼(20)의 내주연에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되, 다수의 제 1먼지흡입구(3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천공형성되어 있는 리프터(30);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드럼(20)과 상호간 이격되어 드럼(20)을 내설하되, 내주연 둘레에 걸쳐 제 2먼지흡입구(41)가 천공형성되는 흡입체(4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세탁조 내 세탁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구동되는 터보팬(50);
일단은 상기 흡입체(4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터보팬(50)과 연결되어, 세탁조에서부터 제 1, 2먼지흡입구(31, 41)를 연속통과하며 흡입된 세탁먼지를 여과시키는 1차 필터부(60);
상기 터보팬(50)의 후단에 설치되어, 터보팬(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내 먼지를 여과시키는 2차 필터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
The laundry 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the laundry is introduced, the laundry filter net 21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rum 20 is driven to rotate;
A plurality of lifters 3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rum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ust suction holes 31 perfo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haler 40 in which the drum 20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20 in the housing 10, and the second dust suction hole 41 is formed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A turbo fan 50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driven to suck laundry dust in the washing tank;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body 4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urbo fan 50, the firs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ust suction inlet (31, 41) from the washing tank to filter the sucked laundry dust A filter unit 60;
A secondary filter unit 70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urbo fan 50 to filter dust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rbo fan 50;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1차 필터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주연 상단 전면부 또는 하단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1차 필터부(60) 내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mary filter unit 60
Removably installed in the inner peripheral upper front portion or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0,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removabl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remove the dust collected in the primary filter (60).
상기 1차 필터부(60)는
상기 흡입체(40)와 연결관(67)으로 연통되는 진입구(62)가 천공형성되며, 흡입되는 세탁먼지가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상단 공간체(61);
상기 상단 공간체(61)의 중앙에 직립설치되어, 상단 공간체(61)로 유입되어 상단 공간체(61)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먼지를 여과하는 먼지 필터부재(63);
상기 먼지 필터부재(63)의 하단을 배출관(68)으로 터보팬(50)과 연결시키는 하단 공간체(6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mary filter unit 60
An upper opening 61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let 62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body 40 and the connecting pipe 67 is formed therein, and the laundry dust sucked therein can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dust filter member 63 installed upright at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61 to filter laundry dust flowing into the upper space 61 and rotating in the upper space 61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ower space body 65 fo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dust filter member 63 to the turbo fan 50 through an outlet pipe 68;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103A KR101059910B1 (en) | 2011-05-06 | 2011-05-06 |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103A KR101059910B1 (en) | 2011-05-06 | 2011-05-06 |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9910B1 true KR101059910B1 (en) | 2011-08-29 |
Family
ID=4493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31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910B1 (en) | 2011-05-06 | 2011-05-06 |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991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00161B2 (en) | 2017-08-29 | 2021-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3896208A1 (en) | 2020-04-17 | 2021-10-20 | Arçelik Anonim Sirketi | A washer or washer-dryer comprising a baffle |
CN113994041A (en) * | 2019-07-18 | 2022-01-28 | 三星电子株式会社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4645432A (en) * | 2020-12-21 | 2022-06-21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6449A (en) | 2004-11-11 | 2006-06-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rum type washer / dryer |
-
2011
- 2011-05-06 KR KR1020110043103A patent/KR1010599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6449A (en) | 2004-11-11 | 2006-06-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rum type washer / dry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00161B2 (en) | 2017-08-29 | 2021-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1512420B2 (en) | 2017-08-29 | 2022-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3994041A (en) * | 2019-07-18 | 2022-01-28 | 三星电子株式会社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3994041B (en) * | 2019-07-18 | 2024-05-14 | 三星电子株式会社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2123124B2 (en) | 2019-07-18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3896208A1 (en) | 2020-04-17 | 2021-10-20 | Arçelik Anonim Sirketi | A washer or washer-dryer comprising a baffle |
CN114645432A (en) * | 2020-12-21 | 2022-06-21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8130B1 (en) | air cleaner | |
CN101748583B (en) | Dryer and method for removing lint of dryer | |
US20090313783A1 (en) | Vacuum cleaner | |
CN102475522B (en) | Vacuum cleaner | |
KR101716192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059910B1 (en) |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ust removal function | |
EP2202350B1 (en) | A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 |
CN104042166B (en) | Electric Cleaner | |
CN104042167B (en) | Electric Cleaner | |
JPH07694A (en) | Clothes dryer | |
JP2000513264A (en) |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washing water | |
CN203113094U (en) |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 |
KR20090008976U (en) | Dust off of the laundry | |
KR100640733B1 (en) | Suction type liquid air-cleaner | |
KR20040034390A (en) | Vacuum cleaner having water-cleaning function | |
KR20080003976A (en) | Dry and wet dual filter vacuum cleaner | |
KR2017004634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CN107470274A (en) | A kind of clothes processing waste material collection device | |
CN110270175A (en) | A kind of weaving loom weaving dirt collection device | |
KR20110009917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
CN218046927U (en) | A chemical fiber cotton spinning processing machine for dust removal | |
KR100832555B1 (en) | Dust suction | |
KR100879977B1 (en) | Disposable filter bag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 |
CN210647492U (en) | Novel chinese-medicinal material cleaning machine | |
CN100460584C (en) | washer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