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9579B1 -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579B1
KR101059579B1 KR1020100137158A KR20100137158A KR101059579B1 KR 101059579 B1 KR101059579 B1 KR 101059579B1 KR 1020100137158 A KR1020100137158 A KR 1020100137158A KR 20100137158 A KR20100137158 A KR 20100137158A KR 101059579 B1 KR101059579 B1 KR 10105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ic acid
extract
skin diseases
chlorhexidine
green t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관
Original Assignee
조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관 filed Critical 조영관
Priority to KR102010013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5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제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아스콜빈산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제약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또한 본 제제는 부작용이 없는 아스콜빈산과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등 천연물과 부작용이 거의 없는 우수한 항균제인 클로르헥시딘을 함유하고 있으며, 고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빠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바, 기존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되었던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보습제 등을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Stabilized Ascorbic acid, humectant and antibacterial agent containing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evere dermatitis}
본 발명은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피부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효성분으로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아스콜빈산은 건강하고 매력적인 피부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주름살과 조기노화(早老)를 방지시켜 주는 성분인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여 오랫동안 젊은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아스콜빈산은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종합비타민제의 필수구성 성분이다. 그러나 경구 복용 시 성인의 1일 권장량은 70 mg 정도이다. 과량으로 복용 시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소위 메가 테라피(mega therapy)를 행할 시 요로결석, 신장결석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아스콜빈산을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이 없으므로 넓은 부위에 걸쳐 한꺼번에 많은 양을 흡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아스콜빈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물에 잘 녹으며, 수분, 산소 및 열에 매우 불안정하고, 철분, 구리 등과 같은 금속 이온과 접촉 시 매우 불안정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용제로 투여하기 위하여는 화학적인 안정성이 먼저 확보되어야 하고, 흡수가 잘 되도록 제제를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아스콜빈산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외용제 형태를 통한 메가테라피(Mega Therapy)도 가능하여 이를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아스콜빈산에 있어서 안정성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스콜빈산 제제를 개발하여 이를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한다면 다양한 피부질환 치료 분야에서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좋은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일시적인 보습이나 가려움증 경감을 위해 임시방편적으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크림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증세 호전에 그칠 뿐이며, 또한 스테로이드제제의 경우 피부의 노화를 촉진하고 발적, 면역력의 약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피부질환에 대한 아스콜빈산의 사용예는 미국특허 제5,646,190호 등에 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 역시 아스콜빈산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그로부터 형성된 제제 역시 불안정하여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아직까지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이를 피부질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제제로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던 아스콜빈산에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보습제로 알로에엑기스 및 항균제로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한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항균 및 보습 효과의 극대화를 통해 손상된 피부 감염증 치료에 효과가 탁월한 제제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증 피부질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제는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제로서, 천연물질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여 피부 친화적이며, 부작용이 없는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어 안전하며, 환부에 신속하게 고용량의 약물이 흡수될 수 있어 빠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정성이 확보되어 이를 의약학적으로 사용 시 종래 곤충교상,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과 이에 수반하는 이차 감염의 치료제로 쓰였던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보습제 등을 대체하는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밖에, 의약품으로 제조 시 안정성이 보장되어 장기간의 유통이 가능하므로 의약 산업의 발전과 국민 보건 증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제는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질환 치료제 각각의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아스콜빈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써 피부에 윤택함을 주고 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해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주며, 강력한 항산화제로 피부의 기미, 주근깨를 없애 주며, 소장에서는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 기능의 증강에 관여하는 비타민이다. 또한 인체에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에 대하여 길항적으로 작용하므로 다양한 피부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스콜빈산에는 아스콜빈산 또는 아스콜빈산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스콜빈산 유도체는 예를 들어,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ascorbyl phosphate),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Calc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콜빈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스콜빈산 유도체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홍삼엑기스는 인삼을 증숙하여 얻은 홍삼을 열탕으로 추출하여 얻은 액을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홍삼엑기스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홍삼엑기스는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질병이나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콜빈산과 함께 사용됨으로서 아스콜빈산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국내산 6년근 홍삼엑기스 농축액 또는 국내산 6년근 발효 홍삼엑기스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세 번 찐 후 세 번 햇볕에 말린 3증3폭(三蒸三曝)을 통해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녹차엽엑기스는 녹차엽을 정제수에 넣고 끓인 후, 이를 여과하고 농축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녹차엽엑기스는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본 발명의 아스콜빈산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아스콜빈산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증대시켜 주며, 녹차엽의 주성분인 카테킨은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높여 주는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및 녹차엽엑기스 외에 아토피 등 피부질환 증상을 완화시켜 주고 손상된 피부의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 보습제인 알로에엑기스를 사용하며, 또한 손상된 피부를 통하여 침입한 세균이 생성시킨 대사산물이 아토피 등 피부질환 증상을 더욱 악화시킨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항균제인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알로에엑기스는 알로에를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클로르헥시딘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클로르헥시딘 또는 클로르헥시딘의 염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클로르헥시딘의 염으로는 클로르헥시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hlorhexidine dihydrochloride),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Chlorhexidine diacetate),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digluc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의 중량비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열 순서대로 1 : 0.05~50 : 0.05~50 : 0.05~50 : 0.001~0.5이 되도록 혼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1~10 : 0.1~10 : 0.1~10 : 0.001~0.1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비는 이후 만들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홍삼엑기스의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 중량비 대비 0.05 미만인 경우, 홍삼의 유효 약리 성분들의 섭취량이 적어져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50을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아스콜빈산의 섭취량이 적어져 기능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 및 제조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녹차엽엑기스의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0.05 미만인 경우, 녹차엽의 유효 약리 성분들의 경피 흡수량이 적어져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및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50을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아스콜빈산의 섭취량이 적어져 기능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알로에엑기스의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0.05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저하되어 아토피 등 피부질환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50을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아스콜빈산의 섭취량이 적어져 기능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클로르헥시딘의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0.001 미만인 경우, 손상된 피부를 통해 침입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미미하여 이들 세균에 의한 2 차 손상이 가속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중량비가 상기 아스콜빈산 1중량비 대비 0.5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적인 면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질환 치료제는 상기 유효성분들을 포함한 원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액의 제조에는 앞에서 열거한 유효성분들 이외에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형제는 만들고자 하는 원액의 구성에 따라 종류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부형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글리세린(Glycerine), 솔비톨(Sorbitol),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 알콜, 킬레이팅 에이전트인 EDTA, 구연산 등이 있으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부형제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을 사용하는 경우 하이드록시라디칼(OH-)로부터 아스콜빈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킬레이팅 에이전트인 EDTA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EDTA가 중금속과 결합함으로써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액에서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고, 부형제는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유효성분과 부형제 이외에 정제수를 가하여 100 중량%를 만듦으로써 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액의 제조 또는 보관 시 바람직하게는 아스콜빈산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촉매제인 구리(Cu) 또는 철(Fe) 등과 같은 금속과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유리용기(Pyrex) 또는 스텐리스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를 사용할 경우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제는 모든 종류의 피부질환에 사용되지만, 특히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등과 같은 접촉성 피부염 및 곤충교상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하여 제조된 원액을 이용하여, 이를 다양한 제형의 외용제로 제조하여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외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용액, 에멀전,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제, 로션제, 비누, 오일, 분말, 왁스, 스프레이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형이 크림제인 경우 첨가제로서 에틸 알콜, 정제수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라놀린 오일,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Acetylated lanolin alcohol), 세틸 알콜, 비스왁스, BHT, 알킬파라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제인 경우에는 첨가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글루세스-10(Methyl Gluceth-10), 카보머 941, 라놀린 알콜, 미네랄 오일, 세틸 알콜, 솔루란(Solulan) C-24,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물, 알킬 파라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겔 형태인 경우에는 첨가제로서 알킬렌 글리콜, 물, 카보머 94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제인 경우에는 첨가제로서 물, 에틸 알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녹차엽엑기스의 제조
전남 보성군 녹차엽 1Kg을 정제수(H2O) 2리터에 넣고 100℃에서 3시간을 끓인 후, 이를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였다. 그후 상기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녹차엽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안정화된 아스콜빈산 , 보습제 및 항균제가 함유된 치료제 원액의 제조
아스콜빈산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Aldrich사 제품) 9.41g을 국내산 6년근 홍삼엑기스 4g(금산인삼농협 제품), 상기 제조예의 녹차엽엑기스 농축액 4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30g, 에틸 알콜(ethyl alcohol) 25ml, 글리세린(glycerine) 30g 및 솔비톨(sorbitol) 5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EDTA(disodium) 100mg 및 클로르헥시딘 20mg을 정제수 10ml에 녹인 용액과 알로에엑기스(김정문 알로에 제품) 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이후 정제수를 넣어 총량을 100g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안정화된 아스콜빈산 , 보습제 및 항균제가 함유된 치료제 원액의 제조
아스콜빈산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Aldrich사 제품) 9.41g을 6년근 홍삼엑기스 4g(금산인삼농협 제품), 상기 제조예의 녹차엽엑기스 4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30g, 에틸알콜(ethyl alcohol) 25ml, 글리세린(glycerine) 20g 및 솔비톨(sorbitol) 5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EDTA(disodium) 100mg 및 클로르헥시딘 20mg을 정제수 10ml에 녹인 용액과 알로에엑기스(김정문 알로에 제품) 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이후 정제수를 넣어 총량을 100g으로 하였다.
실시예 3: 안정화된 아스콜빈산 , 보습제 및 항균제가 함유된 치료제 원액의 제조
아스콜빈산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Aldrich사 제품) 9.41g을 6년근 홍삼엑기스 4g(금산인삼농협 제품), 상기 제조예의 녹차엽엑기스 4g, PEG400(Aldrich사 제품) 25g, 아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25ml, 글리세린(glycerine) 30g 및 솔비톨(sorbitol) 7g을 넣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EDTA(disodium) 100mg 및 클로르헥시딘 20mg을 정제수 10ml에 녹인 용액과 알로에엑기스(김정문 알로에 제품) 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이후 정제수를 넣어 총량을 100g으로 하였다.
※ 상기 PEG400의 경우 히팅맨틀(heating mantle)을 통해 건류하여 퍼옥사이드(peroxides)를 제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크림제( Cream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원액 중 하나를 임의로 골라 25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원액을 사용하였다. 이 원액을 스텐리스 스틸 No.316 조제 탱크(tank)에 넣고 하기 [조성 A]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하기 [조성 C]를 넣고 혼합한 후, [조성 B]를 넣고 고속혼합기로 모든 혼합물이 균등히 혼합되도록 하여 크림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A의 제조]
1. 실시예 1의 원액 ................................... 25g
2.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 24.5g
3. 구연산(Citric Acid) .............................. 0.1g
4. 정제수 .......................................... 3.35g
상기 1 내지 4를 혼합하여 [조성 A]를 제조하였다.
[조성 B의 제조]
1. 라놀린 오일(Lanolin oil) ........................ 30.0g
2. 세틸 알콜(Cetyl alcohol) ......................... 4.5g
3. 스테아릴 알콜(Stearyl alcohol) ................... 2.0g
4. 비스왁스(Beeswax) ................................ 2.0g
5. BHT(Butylate hydroxy toluene) .................... 2.0g
상기 1 내지 5의 물질들을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용융시킨 후 균등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이를 30℃가 되도록 냉각하여 [조성 B]를 제조하였다.
[조성 C의 제조]
1.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 0.3g
2.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 0.25g
3. 에틸 알콜(Ethyl alcohol) ......................... 10ml
4. 정제수 ............................................ 5ml
5. 알로에엑기스 ....................................... 2g
6. 클로르헥시딘 ..................................... 20ml
클로르헥시딘 20ml를 정제수 5ml에 녹이고 여기에 알로에엑기스 2g을 넣어 혼합한다. 별도로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을 에틸 알콜 10ml에 녹인 후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성 C]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로션제( Lotion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원액 중 하나를 임의로 골라 25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원액을 사용하였다. 이 원액을 스텐리스 스틸 No.316 조제 탱크(tank)에 넣고 하기 [조성 A]를 제조하였다. 이를 하기 [조성 B]와 혼합하였다. 그 후 여기에 [조성 C]와 [조성 D]의 혼합물을 넣어 고속 혼합기로 섞어 로션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A의 제조]
1. 실시예 1의 원액 ................................... 25g
2.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 30g
3. 라놀린 알콜(Lanolin alcohol) ....................... 4g
상기 1 내지 3을 고속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성 A]를 제조하였다.
[조성 B의 제조]
1. 세틸 알콜(Cetyl alcohol) ......................... 1.0g
2. 솔루란(Solulan) C-24 ............................. 0.3g
3. 스테아린산(Stearic acid) ......................... 3.0g
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 2.0g
상기 1 내지 4 물질들을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용융시켰다. 이후 이를 식혀 30℃가 되도록 하여 [조성 B]를 제조하였다.
[조성 C의 제조]
1. 메틸 글루세스-10(Methyl gluceth-10) .............. 5.0g
2. 정제수 ........................................ 20.0 ml
상기 1 내지 2의 물질들을 혼합하여 [조성 C]를 제조하였다.
[조성 D의 제조]
1.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 0.3g
2.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 0.25g
3. 정제수 ........................................... 8.0g
4. 알로에엑기스 ..................................... 2.0g
5. 에틸 알콜(Ethyl alcohol) ......................... 10ml
상기 1 과 2를 에틸 알콜에 녹이고 여기에 정제수와 알로에엑기스를 넣고 균등하게 혼합하여 [조성 D]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겔(Gel)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원액 중 하나를 임의로 골라 25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원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원액에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30g과 정제수 30g을 가하여 혼합하여 주었다. 여기에 카보머 940(Carbomer 940) 2.0g을 천천히 용해시킨 후 정제수를 가하여 100g이 되게 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스프레이제( Spray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원액 중 하나를 임의로 골라 25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원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원액에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30g과 에틸 알콜(Ethyl alcohol) 10g을 가하여 혼합하여 주고 정제수를 넣어 100g이 되도록 한 후 혼합하여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안정성 시험 (원액 형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원액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른 유효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아스콜빈산 수용액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온도 40℃, 상대습도 60%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원액 내의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테스트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다른 유효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아스콜빈산 수용액(1중량% 수용액) 100g이 사용되었다. 아스콜빈산의 잔류량은 각각 초기단계(1일), 1개월 후, 2개월 후 및 3개월 후에 측정되었으며 분석은 USP XXX Ⅱ(HPLC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HPLC법은 PolySep GFC-P Series, Shodex RSpak DM-614, 6mm x 150mm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200ml 물에 녹인 제2인산나트륨(dibasic sod.phosphate) 15.6g과 제1인산칼륨(monobasic pot.phosphate) 12.2g를 사용하였으며, 완충용액으로 pH를 2.5±0.05 값으로 유지시켰으며, 흐름 속도는 0.6 ml/min, 검출기는 U.V. detector(측정 파장 : 254nm)를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스콜빈산의 잔류량 (%)
초기 1개월 후 2개월 후 3 개월 후
대조군 100.0 63.5 35.2 10.3
실시예 1 100.0 99.3 99.2 99.1
실시예 2 100.0 99.7 99.5 98.9
실시예 3 100.0 99.5 99.4 98.4
상기 실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대조군과 같은 기존 아스콜빈산 조성은 그 안정성이 매우 낮아 1 개월이 지나면서부터 잔존률이 63.5 % 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원액은 3 개월이 지난 후에도 아스콜빈산이 최대 99.1%까지 잔존하며 그 안정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의약품의 경우 제조,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상당한 시일이 걸려 안정성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상업적인 이용 가치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안정성 시험 (제형 형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형의 안정성을 기존의 제품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각의 제형 내의 아스콜빈산의 안정성을 냉장조건(2℃), 상온조건(25℃) 및 가혹조건(40℃, 상대습도 60%)에서 실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다른 유효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아스콜빈산 수용액(1중량% 수용액) 25g을 실시예 1의 원액을 대신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 내지 7에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제형을 사용하였다. 아스콜빈산의 잔류량은 각각 초기단계(1일), 1개월 후, 2개월 후 및 3개월 후에 측정되었으며 분석은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의 HPLC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상기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스콜빈산의 잔류량 (%)
초기 1개월 후 2개월 후 3 개월 후
크림 대조군 (가혹) 100.0 64.7 32.3 9.5
실시예 4 (냉장) 100.2 100.2 99.5 99.3
실시예 4 (상온) 100.1 99.1 98.7 98.0
실시예 4 (가혹) 100.3 97.8 97.5 97.0
로션 대조군 (가혹) 100.0 62.9 30.5 8.2
실시예 5 (냉장) 100.0 100.0 99.6 99.4
실시예 5 (상온) 100.1 99.2 98.9 98.2
실시예 5 (가혹) 100.2 98.0 97.7 97.2
대조군 (가혹) 100.0 60.4 29.2 7.5
실시예 6 (냉장) 100.0 99.8 99.2 99.0
실시예 6 (상온) 100.1 99.1 98.8 97.9
실시예 6 (가혹) 100.0 97.6 97.1 97.0
스프레이 대조군 (가혹) 100.0 59.3 22.5 6.8
실시예 7 (냉장) 100.2 99.5 99.3 99.0
실시예 7 (상온) 100.1 99.2 98.5 98.2
실시예 7 (가혹) 100.1 97.8 97.4 97.1
상기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형의 경우 냉장 또는 상온 조건에서 매우 안정하고 가혹 조건 하에서도 3% 정도만이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혹 조건 하에서도 매우 안정하여 이를 제품화하는 경우 미국 FDA 기준(40 ℃, 60% RH(상대습도) 조건에서 3개월 경과 후 95%(Label claim) 이상 조건 만족)에 의거 2년간의 유효기간이 인정받을 수 있다.
시험예 3: 간이 임상실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제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 간이 임상시험을 행하였다. 간이 임상시험은 중증 아토피 환자 총 20명에 대하여 행하여졌으며, 그 중에는 5세 미만의 소아와 20대 초반의 환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본 시험에서는 본 발명의 제형 중 실시예 4의 크림제를 사용하였으며, 대조약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0.1% 덱사메타손크림제(Dexamethazone propionate cream)를 사용하였다. 환부 10cm2 당 100mg의 약물을 환부에 도포 후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수반되는 가려움증, 각질화, 피부발적 및 감염증의 개선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기간은 1주일로 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아토피성 피부염
구분 실시예 4의 크림제 사용 시 0.1% 덱사메타손크림제
1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2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3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4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1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개선)
5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6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7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8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1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개선)
9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1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개선)
10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1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2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3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1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개선)
14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5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6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7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8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19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2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발적 개선)
20 4 가지 증상 모두 개선 1 가지 증상만 개선 (가려움증 개선)
※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상태를 가려움증, 각질화, 발적 및 감염증을 기준으로 판단하였으며, 4 가지 증상이 모두 개선 시 4, 3가지 증상 개선 시 3, 2가지 증상 개선 시 2, 1가지 증상 개선 시 1로 나타내었다.
상기 간이 임상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제가 없어 덱사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제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가려움증, 피부발적 등 일부 증상만을 개선시킬 뿐이며, 피부각질화, 감염증 등의 증상에 대해서는 전혀 개선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면역력 저하를 일으켜 감염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 제제는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콜빈산과 녹차엽엑기스,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홍삼엑기스,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필요한 보습 성분을 가진 알로에엑기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약해진 피부를 통하여 발생하는 감염증을 클로르헥시딘이 치료해 줌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은 물론 습진, 곤충교상, 접촉성 피부염 등에도 이용될 수 있어서, 획기적인 피부질환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콜빈산, 홍삼엑기스, 녹차엽엑기스, 알로에엑기스 및 클로르헥시딘의 중량비가 1 : 0.05~50 : 0.05~50 : 0.05~50 : 0.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 알콜, EDTA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부형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외용액, 에멀전,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제, 로션제, 비누, 오일, 분말, 왁스 또는 스프레이제 형태로 제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37158A 2010-12-28 2010-12-28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58A KR101059579B1 (ko) 2010-12-28 2010-12-28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58A KR101059579B1 (ko) 2010-12-28 2010-12-28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579B1 true KR101059579B1 (ko) 2011-08-26

Family

ID=4493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579B1 (ko) 2010-12-28 2010-12-28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5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502A1 (en) 2003-02-13 2007-01-04 Fujimi Tanabe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sugar derivative of alpha, alpha-trehalo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502A1 (en) 2003-02-13 2007-01-04 Fujimi Tanabe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sugar derivative of alpha, alpha-trehalo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990B1 (ko) 나노리포좀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1081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150313835A1 (en) Compositions including a botanical extrac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skin whitening and skin lightening applications
JPH04342519A (ja) 美白剤
UA73491C2 (uk) Застосування солей 1-алкілнікотинової кислоти та її похідних для лікування шкір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та пошкоджень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або косметологічна композиція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KR20160021734A (ko) 홍차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CN104203249B (zh) 用于增强皮肤防御能力的组合物
US20070254947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JP6951592B2 (ja) 皮膚感染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040041912A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059579B1 (ko) 안정화된 아스콜빈산과 보습제 및 항균제를 함유한 중증 피부질환 치료제
JP6255154B2 (ja) 皮膚外用剤
WO2008041608A1 (fr) Préparation externe cutanée et produit de soin capillaire
JP2005263655A (ja) 抗酸化剤
JPH03127714A (ja) 美白化粧料
KR101006353B1 (ko)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함유 피부질환 치료제
JP2001322990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用の組成物
CN112386539A (zh) 一种具有康复头皮瘙痒和脱屑功效的洗发用品
JP6831995B2 (ja) アルブチン含有組成物、及び、アルブチンの分解抑制方法
KR101985886B1 (ko) 인돌 화합물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1131025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KR102650364B1 (ko) 석산(꽃무릇)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 항주름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