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9246B1 - 기능성 티셔츠 - Google Patents

기능성 티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246B1
KR101059246B1 KR1020100010061A KR20100010061A KR101059246B1 KR 101059246 B1 KR101059246 B1 KR 101059246B1 KR 1020100010061 A KR1020100010061 A KR 1020100010061A KR 20100010061 A KR20100010061 A KR 20100010061A KR 101059246 B1 KR101059246 B1 KR 10105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hirt
point
functional
slee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342A (ko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2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 앞판(11)과 뒷판(13)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15)과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이 만나는 교차점(a)이 착용자의 옆목점(ℓ)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티셔츠는 인체 공학적 디자인으로 골프들이 스윙을 할 때 어떤 움직임에서도 불편함을 느낄 수 없도록 방해되는 요소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최적의 조건에서 라운딩 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는 유용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티셔츠{Functional T-shirt}
본 발명은 기능성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웨어와 같은 기능성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골프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기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기능성티셔츠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골프는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을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이다.
드라이브, 퍼팅, 스윙 등과 같은 골프 동작은 신체의 여러 형태의 관절에 걸쳐 있는 근육의 이완과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스윙은 몸통 전체를 강하게 비틀었다가 되돌림으로써 파워를 만들어 낸다.
그런데, 스윙시 팔과 몸이 일체화 되지 못한 스윙을 하면 몸통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팔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팔에만 힘이 과도하게 가해져서 골프공의 비거리가 줄어들며 방향 또는 일정하게 보내기가 어려워진다.
팔과 몸이 일체화 되지 못한 스윙의 원인 중 하나는 백스윙시 어깨점의 운동변형을 티셔츠가 따라가지 못해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스윙시 어깨점의 운동변형을 수용하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도하여 경기력 향상을 도울 수 있는 기능성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과 소매의 진동둘레 봉재라인이 만나는 교차점이 신체의 어깨점과 옆목점 사이 1/2~2/3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진동둘레 봉재라인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교차점은 상기 어깨점에서 옆목점 방향으로 5~8cm 이동한 점에 위치한다.
상기 앞판과 뒷판 및 소매와 봉재되고 상기 소매의 끝단에서부터 겨드랑이 부분을 지나 옆선까지 연장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는 앞쪽 봉재라인이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뒷쪽 봉재라인이 상기 옆선 보다 뒷쪽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앞쪽 봉재라인이 직선형태를 갖고, 뒷쪽 봉재라인이 곡선형태를 가져 상기 앞쪽 봉재라인과 상기 뒷쪽 봉재라인이 만나는 점이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옆솔기선이 형성되며, 상기 옆솔기선은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소매의 끝단은 착용시 이두박근에 상기 소매의 끝단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곡선 처리를 한다.
신체의 뒷목점에 대응되는 카라부위에는 활꼴형상의 아시를 부착하여 카라가 세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과 진동둘레 봉재라인이 만나는 교차점이 착용자의 옆목점 가까이 위치하도록 진동둘레 봉재라인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백스윙시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매끝단에서부터 겨드랑이 부분을 지나 옆선 중앙에 인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겨드랑이 부분이 당겨지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외관미 및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옆솔기선이 앞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따라서 퍼팅시 클럽을 잡은 손과 티셔츠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매끝단을 곡선처리 한다. 따라서 이두박근에 소매끝단이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라부위에 활꼴형상의 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골프시 목 부분의 자외선 노출이 방지되고 외관도 미려하다.
즉, 본 발명의 기능성 티셔츠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골프들이 스윙을 할 때 어떤 움직임에서도 불편함을 느낄 수 없도록 방해되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라운딩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티셔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교차점의 위치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부를 보인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와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패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티셔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티셔츠(1)(이하, "티셔츠"라 칭함)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11)과 뒷판(13)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15)과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이 만나는 교차점(a)이 착용자의 옆목점(ℓ) 가까이 위치하도록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어깨 봉재라인(15)과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이 만나는 교차점(a)을 옆목점(ℓ) 가까이 위치하는 것은 어깨점(m) 운동에 따른 팔의 움직임과 운동량을 티셔츠가 수용하여 티셔츠와 몸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골프의 스윙시 방해되는 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골프의 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즉, 골프들이 스윙을 할 때 어떤 움직임에서도 불편함을 느낄 수 없도록 방해되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라운딩 할 수 있도록 한다.
어깨점(m)은 신체 좌우 어깨의 가장 튀어나온 점 의미한다. 일반적인 티셔츠는 어깨점에서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과 진동둘레 봉재라인이 만나는 교차점을 형성한다.
교차점과 신체의 어깨점이 일치하는 티셔츠는 골프의 스윙시 어깨점의 운동변형을 티셔츠가 따라가지 못해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어렵다.
보다 정확하게는 교차점과 신체의 어깨점이 일치하는 티셔츠는 골프공을 치기 전 팔을 뒤로 뻗는 동작인 백스윙시 어깨점의 운동(어깨의 회전)에 따라 어깨 봉재라인(어깨선)이 등쪽으로 넘어가 움직임에 불편함을 느끼고, 땀이나는 여름에는 등쪽으로 넘어간 티셔츠 원단이 몸에 달라 붙어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백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골프의 스윙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동작으로, 백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후속하는 톱스윙, 다운스윙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거리가 짧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백스윙시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위해 앞판(11)과 뒷판(13)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15)과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이 만나는 교차점(a)을 옆목점 가까이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교차점(a)은 신체의 어깨점(m)과 옆목점(ℓ) 사이 1/2~2/3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 교차점(a)의 위치는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성과 외관미의 두 요소를 모두 고려한 것이다.
교차점(a)은 신체의 어깨점(m)과 옆목점(ℓ) 사이 어깨점으로부터 1/2 미만인 지점에 위치되면 백스윙시 어깨 봉재라인(15)이 등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되고, 2/3를 초과한 점에 위치하면(과도하게 옆목점 가까이 위치하면) 소매(21)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티셔츠(1)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교차점(a)은 어깨점(m)에서 옆목점(ℓ) 방향으로 5~8cm 이동한 점에 위치한다. 위의 수치범위는 성인 평균 신체 치수를 기준으로 산출된 것으로, 5cm 미만인 지점에 위치하면 백스윙시 어깨 봉재라인(15)이 등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되고 8cm를 초과한 점에 위치하면(과도하게 옆목점 가까이 위치하면) 소매(21)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교차점(a)에 의한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의 경사는 소매가 어깨 전체를 감싸는 형태를 만든다. 이는 어깨의 운동과 회전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하여 스윙하는 동안 상체와 하체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활동시 겨드랑이 부분이 당겨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결부(19)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결부(19)는 앞판(11)과 뒷판(13) 및 소매(21) 와 봉재되고 소매의 끝단(23)에서부터 겨드랑이 부분을 지나 옆선(s) 중앙에 인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부(19)는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봉재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스윙 동작시 겨드랑이 부분의 신축을 최대화 한다.
연결부(19)는 앞쪽 봉재라인(19a)이 옆선(s) 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뒷쪽 봉재라인(19b)이 옆선 보다 뒷쪽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앞판(11)과 연결되는 앞쪽 봉재라인(19a)이 직선형태를 갖고, 뒤판(13)과 연결되는 뒷쪽 봉재라인(19b)이 곡선형태를 가져 앞쪽 봉재라인(19a)과 뒷쪽 봉재라인(19b)이 만나는 점이 옆선 (s)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활동시 겨드랑이 부분이 당겨지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옆선(s)은 신체의 옆 라인에 대응되는 가상의 기준선일 뿐 봉재라인은 아님을 밝혀둔다.
연결부(19) 중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분의 폭(k)은 9~15cm 정도인 것이 좋다. 이는 9cm 보다 좁으면 겨드랑이 부분이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15cm보다 넓으면 팔의 움직임이 불편할 수 있고 외관도 미려하지 않다. 이러한 치수는 성인 평균을 기준한 치수로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겨드랑이 부분의 당겨지는 현상도 최소화되고 외관도 미려하다.
앞판(11)과 뒷판(13)을 연결하는 옆솔기선(25)도 앞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뒷판(13)과 연결된 연결부(19)의 곡선이 앞판(11)과 연결된 직선부분과 앞쪽에서 만나게 제작하므로 뒷판(13)이 앞판(11)과 옆선보다 앞쪽에서 연결되고 옆솔기선(25)이 앞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뒷판(13)과 연결된 연결부(19)의 뒷쪽 봉재라인(19b)은 소매의 끝단(23)에서 앞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2차원 곡선형상을 갖는다.
옆솔기선(25)을 앞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면 앞품은 작고 뒷품은 크게 된다. 이는 상체를 숙일 경우 앞 부분(배 부분)의 처지는 분량을 잡아주어 퍼팅시 클럽을 잡은 손과 티셔츠의 간섭을 방지한다.
따라서 퍼팅시 티셔츠(1)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올바른 자세를 통한 정확한 퍼팅을 유도할 수 있다. 퍼팅시 앞부분의 처지는 분량을 잘 잡아주기 위해 옆솔기선(25)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앞품은 작고 뒷품은 크게 된다는 것은 앞품과 뒷품의 상대적인 차이일 뿐 앞품이 과도하게 작고 뒷품이 과도하게 크다는 의미가 아님을 밝혀둔다.
소매끝단(23)은 스윙시 이두박근에 소매끝단(23)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곡선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상 정면에서 보이는 소매끝단(23)이 후면에서 보이는 소매끝단 보다 짧게 형성되게 곡선처리한다.
소매끝단(23)의 곡선처리는 이두박근에 소매끝단(23)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티셔츠(1)의 중심을 앞측에 두어 어깨선(어깨 봉재라인)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뒷목점에 대응되는 카라(27)에는 활꼴형상의 아시(29)가 부착된다. 아시(29)는 카라(27)가 세워지도록 한 것으로 아시(29)의 형상에 의해 세워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는 야외 골프시 목 부분의 자외선 노출을 방지할 뿐 아니라 티셔츠(1)의 외관도 미려하게 한다.
이러한 티셔츠(1)는 앞판(11), 뒷판(13), 소매(21), 연결부(19), 카라(27)를 각각의 패턴으로 재단한 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것으로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앞판(11), 뒷판(13), 소매(21), 연결부(19)는 기능성 향상을 위해 서로 다른 원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연결부(19)에는 겨드랑이 부분이 당기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나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겨드랑이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13)은 일부 구멍이 있는 짜임의 원단을 사용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멍의 형상이나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는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티셔츠의 작용을 설명한다.
기능성 티셔츠의 패턴 및 각 패턴을 연결하여 티셔츠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기본패턴을 변형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11), 뒷판(13), 소매(21), 연결부(19) 및 카라(27)의 각 패턴을 제작한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기본패턴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본 발명의 패턴이다.
앞판(11)은 기본패턴에서 교차점(a)을 어깨점(m)에서 옆목점(ℓ) 가까이로 이동시켜 어깨선을 변경하고 진동둘레 및 겨드랑이점(n) 부분을 연결부(19)가 위치할 분량 만큼 줄여 준비한다.
뒷판(13)은 기본패턴에서 교차점(a)을 어깨점(m)에서 옆목점(ℓ) 가까이로 이동시켜 앞판(11)과 같이 어깨선을 변경하고 진동둘레 및 겨드랑이점(n) 부분을 연결부(19) 분량만큼 줄이거나 늘려 준비한다.
연결부(19)는 앞판(11)에 대응대는 부분을 직선으로 뒷판(13)에 대응되는 부분을 곡선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제작한다.
소매(21)는 앞판(11) 및 뒷판(13)의 진동둘레에 대응되게 기본패턴의 소매산 꼭지점(a)을 변경하여 준비한다.
카라(27)는 동일한 두 개의 패턴을 준비한 후 하나는 카라 패턴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뒷목점에 대응되는 부분에 활꼴형상의 아시(29)를 잘라내어 준비한다.
패턴이 준비되면, 각 패턴을 준비한 원단에 대고 앞판(11), 뒷판(13), 연결부(19), 소매(21), 카라(27), 아시(29)를 재단한다. 이때, 각각은 여유분과 시접분을 고려하여 재단한다.
패턴에서 동일한 알파벳을 연결하면 티셔츠 형상이 된다. 예컨데, a, a1,a2가 대응되고, b, b1, b2가 대응되는 방식이다.
앞판(11)과 뒷판(13)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15)과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이 만나는 교차점은 a,a1,a2가 만나 형성되고, 연결부(19)는 b3~f3가 앞판(11)의 b1~f1에 연결되고 c3~f3가 뒷판(13)의 c2~f2에 연결되며, d3~b3가 소매(21)의 d~b, e3~c3가 소매의 c~e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f1과 f2가 연결되어 밑단까지 연장된 부분이 옆솔기선(25)이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재단된 앞판(11)과 뒷판(13)의 어깨를 봉재하고, 앞판(11)과 뒷판(13)의 진동둘레에 소매(21)를 봉재하여 진동둘레 봉재라인(17)을 형성한다. 이때 소매(21)는 소매산 꼭지점이 진동둘레가 시작되는 어깨 단부(a')에 대응되게 하여 봉재한다.
여기서, 소매산 꼭지점(a)은 봉재 후 교차점이 될 부분이므로 교차점과 동일한 부호를 채용하기로 한다.
앞판(11)과 뒷판(13)의 진동둘레에 소매(21)의 봉재가 완료되면 소매(21)의 겨드랑이 부분에 연결부(19)를 대응시켜 소매(21) 및 앞판(11)과 뒷판(13)에 연결부(19)를 봉재한다. 연결부(19)의 봉재가 완료되면 앞판(11)과 뒷판(13)이 만나는 옆솔기선(25)을 봉재하고 카라(27)를 달아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하여 티셔츠가 제작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21)는 어깨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되고, 신체의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소매끝단(23)에서 상체 옆 라인까지 곡선 형태를 갖는 연결부(19)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골프시 어깨 회전의 일정함을 유지하고 어깨의 운동과 회전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스윙하는 동안 상체와 하체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므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골프 웨어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골프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기력을 향상이 요구되는 수영복, 사이클복 등의 다양한 상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티셔츠 11:앞판
13:뒷판 15:어깨 봉재라인
17:진동둘레 봉재라인 19:연결부
21:소매 23:소매의 끝단
25:옆솔기선 27:카라
29:아시 a:교차점
ℓ:옆목점 m:어깨점
n:겨드랑이점 k:폭

Claims (8)

  1.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어깨 봉재라인과 소매의 진동둘레 봉재라인이 만나는 교차점이 신체의 어깨점과 옆목점 사이 1/2~2/3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진동둘레 봉재라인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은 상기 어깨점에서 옆목점 방향으로 5~8cm 이동한 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판과 뒷판 및 소매와 봉재되고 상기 소매의 끝단에서부터 겨드랑이 부분을 지나 옆선까지 연장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앞쪽 봉재라인이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뒷쪽 봉재라인이 상기 옆선 보다 뒷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앞쪽 봉재라인이 직선형태를 갖고, 뒷쪽 봉재라인이 곡선형태를 가져 상기 앞쪽 봉재라인과 상기 뒷쪽 봉재라인이 만나는 점이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앞판과 뒷판을 연결하는 옆솔기선이 형성되며, 상기 옆솔기선은 상기 옆선 보다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의 끝단은 착용시 이두박근에 상기 소매의 끝단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곡선 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의 뒷목점에 대응되는 카라부위에는 활꼴형상의 아시를 부착하여 카라가 세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티셔츠.
KR1020100010061A 2010-02-03 2010-02-03 기능성 티셔츠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61A KR101059246B1 (ko) 2010-02-03 2010-02-03 기능성 티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61A KR101059246B1 (ko) 2010-02-03 2010-02-03 기능성 티셔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42A KR20110090342A (ko) 2011-08-10
KR101059246B1 true KR101059246B1 (ko) 2011-08-24

Family

ID=4492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0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246B1 (ko) 2010-02-03 2010-02-03 기능성 티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2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96B1 (ko) 2012-02-08 2013-05-14 최문철 겨드랑이 트임방지용 작업복
KR101949410B1 (ko) 2017-08-16 2019-02-18 김송이 래시가드
KR20200000422U (ko) 2018-08-13 2020-02-21 박진우 기능성 티셔츠
KR20210088062A (ko) 2020-01-06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티셔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913A (en) 1993-07-29 1997-03-11 La Chemise Lacoste Upper body garments having elastic gussets
JP2005023447A (ja) 2003-06-30 2005-01-27 Mizuno Corp 野球用上衣
JP2005307369A (ja) 2004-04-19 2005-11-04 Onward Kashiyama Co Ltd 衣服
US20070271671A1 (en) 2006-05-11 2007-11-29 Shimano Inc. Cycling gar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913A (en) 1993-07-29 1997-03-11 La Chemise Lacoste Upper body garments having elastic gussets
JP2005023447A (ja) 2003-06-30 2005-01-27 Mizuno Corp 野球用上衣
JP2005307369A (ja) 2004-04-19 2005-11-04 Onward Kashiyama Co Ltd 衣服
US20070271671A1 (en) 2006-05-11 2007-11-29 Shimano Inc. Cycling gar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96B1 (ko) 2012-02-08 2013-05-14 최문철 겨드랑이 트임방지용 작업복
KR101949410B1 (ko) 2017-08-16 2019-02-18 김송이 래시가드
KR20200000422U (ko) 2018-08-13 2020-02-21 박진우 기능성 티셔츠
KR20210088062A (ko) 2020-01-06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티셔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42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1336B1 (ja) 運動用衣類
JP3582580B2 (ja) 上衣
US7117538B2 (en) Swing training jacket
KR101059246B1 (ko) 기능성 티셔츠
JP5150681B2 (ja) ゴルフシャツ
CN101610818B (zh) 用于高尔夫球员的运动辅助装备
JP5164468B2 (ja) ゴルフ用スポーツウェア
JP5658716B2 (ja) 上衣
KR102236584B1 (ko) 스윙 자세 교정용 골프 의류
KR20210063954A (ko) 자외선 노출 방지와 착용감을 향상시킨 기능성 티셔츠
JP4738302B2 (ja) アンダーウェア
JP2000129512A (ja) スポーツ用上衣
JP3880590B2 (ja) アンダーウェア
JP2001011707A (ja) 上 衣
JP4359491B2 (ja) 膨出部を有する衣料用編地及び衣類
KR200441958Y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JP5662964B2 (ja) 衣服
KR102300002B1 (ko) 균형을 잡아주는 골프 의류
CN205358374U (zh) 一种立体裁剪增强运动舒适性的服装
CN105533879A (zh) 一种立体裁剪增强运动舒适性的服装及其制作方法
KR20170010589A (ko) 어깨 조인트 지지부를 갖는 골프 의류
KR102440150B1 (ko) 골프자세교정의복
JP3250794U (ja) スポーツ用上衣
KR102449891B1 (ko) 골프 스윙 연습용구
CN206472862U (zh) 一种用于矫正挥杆姿势的高尔夫球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