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8617B1 -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617B1
KR101058617B1 KR1020080082021A KR20080082021A KR101058617B1 KR 101058617 B1 KR101058617 B1 KR 101058617B1 KR 1020080082021 A KR1020080082021 A KR 1020080082021A KR 20080082021 A KR20080082021 A KR 20080082021A KR 101058617 B1 KR101058617 B1 KR 10105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communication device
playing
tone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325A (ko
Inventor
안치영
현상민
황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617B1/ko
Priority to US12/544,659 priority patent/US8378202B2/en
Publication of KR2010002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2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guitar-like instruments with or without strings and with a neck on which switches or string-fret contacts are used to detect the notes being play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075Spint stringed, i.e. mimicking stringe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out keyboard;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135Spint guitar, i.e. guitar-like instruments in which the sound is not generated by vibrating strings, e.g. guitar-shaped game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용 키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연주용 키부들 중 어느 하나를 눌려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은 악기의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따라서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르면 이를 신호화하고,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름과 아울러 사용자는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맞게 상기 센서부의 이웃한 위치에서 움직이면 이를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고 신호화하며, 상기 연주용 키부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로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음색 주파수를 음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음색을 증폭하여 상기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별도로 기존 악기기 필요없이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향을 발생하고,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기존의 음악을 청취하는 것을 벗어나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색을 청취하여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주용 키부, 센서부, 제어부, 증폭부.

Description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악기 연주용 키부와 사용자의 움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성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는 MP3와 같은 기능을 하여 음악을 듣을 수 있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가능한 멜로디와 벨을 편집하는 기능으로부터 확장된 연주 서비스가 구비되기에 이르렸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단순히 음악을 듣을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악기와 같이 연주하는 사용자가 직접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청에 "멜로디 연주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 출원된 제10-2002-66875호는 멜로디칩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조작하여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악기의 형상과는 전혀 다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연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연주시 악기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로 자연스럽게 연주를 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에 구비되는 키의 수는 매우 한정적이므로 다양한 음역에 대한 연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키를 누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는 곤란하므로 기타, 첼로등과 같은 악기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자연스럽게 연주하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악기 연주용 키부와 사용자의 움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기존 악기기 필요없이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색을 발생하도록 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악기 연주용 키부와 사용자의 움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기존의 음악을 청취하는 것을 벗어나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색을 청취하여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재미를 제공하도록 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mixing)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키 입력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음색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용 키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연주용 키부들 중 어느 하나를 눌려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은 악기의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따라서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르면 이를 신 호화하고,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름과 아울러 사용자는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맞게 상기 센서부의 이웃한 위치에서 움직이면 이를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고 신호화하며, 상기 연주용 키부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로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음색 주파수를 음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음색을 증폭하여 상기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mixing)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키 입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모션 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주용 키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연주용 키부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를 발생하는 음색칩이 제공되고,
상기 음색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음색을 갖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색필터부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악기의 코드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연주용 가사등 연주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악기 연주용 키부와 사용자의 움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기존 악기기 필요없이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향을 발생하고,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기존의 음악을 청취하는 것을 벗어나 직접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여 악기 음색을 청취하여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재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에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키 입력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음색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표시 장치(12)와, 키패드(13)와, 메모리부(14)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90)와, 마이크(15)와, 스피커(16)로 구성되어 있다.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용 키부(20)와, 센서부(30)와, 터치 키 입력부(60)와, 제어부(40)와, 음색칩(70)과, 음색 필터부(80)와, 증폭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주용 키부(20)는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은 악기의 코드를 선택하여 누르고,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따라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본체(11)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주용 키부(20)들 중 어느 하나를 눌려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은 악기의 모드를 선택하고, 악기의 코드에 따라서 상기 연주용 키부(20)를 누르면 이를 신호화하고, 상기 연주용 키부(20)를 누름과 아울러 사용자는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맞게 상기 센서부(30)의 이웃한 위치에서 움직이며 이를 상기 센서부(30)가 감지하고 신화화하며, 상기 연주용 키부(20)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30)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로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음색 주파수를 음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11)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증폭부(4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된 음색을 증폭하여 상기 본체(11) 구비된 스피커(16)를 통해 송출하도록 상기 본체(11)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음색칩(70)은 상기 연주용 키부(20)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30)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색 필터부(80)는 상기 음색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음색을 갖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 키입력부(60)는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mixing)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모션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택된 악기의 코드는 상기 표시 장치(12)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표시 장치(12)에는 연주용 노래 가사, 악보등 연주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용 키부(20)와, 센서부(30)와, 제어부(40)와, 음색칩(70)과, 음색필터와, 증폭부(40)와, 터치 키 입력부(60)로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10)를 가지고 악기를 연주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연주할 악기를 선택해야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타를 연주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본체(11) 측면에 구비된 연주용 키부(20) 중에서 기타 연주가 가능한 키부를 선택 하여 누른다.
이때, 상기 기타 연주가 가능한 키부를 누름과 아울러 이를 신호화하여 제어부(40)에 인가하고, 제어부(40)는 기타 연주가 가능하도록 상기 연주용 키부(20)들을 세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손은 상기 연주용 키부(20)들을 잡고, 기타 코드에 맞게 왼손 손가락들을 자연스럽게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은 상기 본체(11)의 하부에 위치한 센서부(30)의 이웃한 위치에 위치시켜 기존 기타 악기와 같이 줄을 팅기는 동작을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각각의 손가락들은 연주키상에 위치시키고, 그 중 하나의 키를 누르면 키에 해당되는 기타 코드가 소리로 발생될 수 있는 준비가 되면, 오른손으로 센서부(30)의 이웃한 위치에서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센서부(30)는 오른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되는 소리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주용 키부(20)를 사용자의 왼손 손가락들이 누르면 이를 신호화하여 제어부(40)에 인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센서부(30)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신호화 하여 제어부(4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주용 키부(20)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30)의 신호를 인가받아 음색칩(70)을 이용하여 기타의 음색 주파수를 발생하고, 음색 필터부(80)는 상기 음색 주파수를 필터링 하여 음색을 갖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부(40)는 출력된 음색을 증폭하여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스피커(16)를 통해 연주된 기타 곡을 소리로 발산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본체(11)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것이 아니고, 직접 상기 본체(11)를 한손으로 기타처럼 잡고 다른손으로 흔들면서 자연스럽게 기타 연주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기타 코드 부분은 연주하는 곡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대로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타 악기이외에 첼로 및 다양한 악기들을 연주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치 키 입력부(60)는 누르면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mixing)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연주용 키부와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Claims (6)

  1.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용 키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연주용 키부들 중 어느 하나를 눌려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은 악기의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따라서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르면 이를 신호화하고, 상기 연주용 키부를 누름과 아울러 사용자는 선택된 악기의 코드에 맞게 상기 센서부의 이웃한 위치에서 움직이면 이를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고 신호화하며, 상기 연주용 키부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로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음색 주파수를 음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음색을 증폭하여 상기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2개 이상의 음색을 믹싱(mixing)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키 입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모션 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용 키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연주용 키부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색 주파수를 발생하는 음색칩이 제공되고,
    상기 음색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음색을 갖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색필터부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악기의 코드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연주용 가사등 연주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80082021A 2008-08-21 2008-08-21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5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21A KR101058617B1 (ko) 2008-08-21 2008-08-21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12/544,659 US8378202B2 (en) 2008-08-21 2009-08-20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irtu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21A KR101058617B1 (ko) 2008-08-21 2008-08-21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25A KR20100023325A (ko) 2010-03-04
KR101058617B1 true KR101058617B1 (ko) 2011-08-22

Family

ID=4169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021A KR101058617B1 (ko) 2008-08-21 2008-08-21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78202B2 (ko)
KR (1) KR101058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28B1 (ko) * 2016-02-04 2017-09-14 박종섭 양극 연주 전자 악기
USD864138S1 (en) * 2017-12-29 2019-10-22 FLIR Belgium BVBA Handheld device
JP1621612S (ko) * 2018-05-25 2019-01-07
USD949846S1 (en) * 2018-09-07 2022-04-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TWD202111S (zh) * 2018-11-07 2020-01-11 香港商阿里巴巴集團服務有限公司 支付機具
USD967057S1 (en) * 2020-02-24 2022-10-18 Biz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ortable docking station with a speaker
US11922835B2 (en) 2021-01-26 2024-03-05 OAW Holdings LLC On-air status indicator
USD969653S1 (en) * 2021-01-27 2022-11-15 OAW Holdings LLC Indicator lig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93B1 (ko) * 2005-12-29 2007-02-27 엠텍비젼 주식회사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727A (en) * 1997-12-11 1999-12-07 Roland Kabushiki Kaisha Musical apparatus using multiple light beams to control musical tone signals
US6005181A (en) * 1998-04-07 1999-12-21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RU2001124347A (ru) * 1999-02-02 2003-08-27 Дзе Гитрон Корпорейшн (Ca) Электронный струнный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JP4117755B2 (ja) * 1999-11-29 2008-07-16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情報評価方法、演奏情報評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414229B1 (en) * 2000-12-14 2002-07-02 Samgo Innovations Inc. Portable electronic ear-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541688B2 (en) * 2000-12-28 2003-04-0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erformance assistance function
JP3812387B2 (ja) * 2001-09-04 2006-08-23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制御装置
KR100617719B1 (ko) 2004-08-2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종속한 사운드를 생성하는장치 및 방법
US20060060068A1 (en) 2004-08-27 2006-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14961B1 (ko) 2004-10-29 2011-02-15 주식회사 팬택 가속도 감지에 의한 음악 연주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48021B1 (ko) 2005-08-11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DE102006008298B4 (de) * 2006-02-22 2010-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otensignals
US7723605B2 (en) * 2006-03-28 2010-05-25 Bruce Gremo Flute controller driven dynamic synthesis system
US7598449B2 (en) * 2006-08-04 2009-10-06 Zivix Llc Musical instrument
US20080250914A1 (en) * 2007-04-13 2008-10-16 Julia Christine Reinhart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detecting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ranslating those signals into auditory, visual or kinesthetic expr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93B1 (ko) * 2005-12-29 2007-02-27 엠텍비젼 주식회사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25A (ko) 2010-03-04
US8378202B2 (en) 2013-02-19
US20100043627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617B1 (ko)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ES2666190T3 (es)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móvil con funciones de instrumento musical
US7842879B1 (en) Touch sensitive impact controlled electronic signal transfer device
WO200603719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evaluation of sounds
WO2005048238A3 (en) Electronic tone generation system and batons therefor
KR20170106889A (ko)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악기
JPH04294394A (ja) 電子楽器
US20110239847A1 (en) Electronic drumsticks system
US20060230913A1 (en)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that can be folded up and rolled up
KR2006009116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8674207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10480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JP2019207339A (ja) 電子楽器のキー配列と演奏音の伝送・出音機器
CN201498194U (zh) 用于产生音乐的手套
CN112885319A (zh) 一种电子乐器
KR20070006296A (ko)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US20130022211A1 (en) Wirelessly triggered voice altering amplification system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KR100687693B1 (ko)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US20230260490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KR200407380Y1 (ko)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685511B1 (ko)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RU2140102C1 (ru) Электронн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кубыз (варган)
TWI314721B (ko)
KR200408301Y1 (ko) 악기를 구비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