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167B1 -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 Google Patents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8167B1 KR101058167B1 KR1020110030347A KR20110030347A KR101058167B1 KR 101058167 B1 KR101058167 B1 KR 101058167B1 KR 1020110030347 A KR1020110030347 A KR 1020110030347A KR 20110030347 A KR20110030347 A KR 20110030347A KR 101058167 B1 KR101058167 B1 KR 101058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s
- ground
- artificial reef
- radial
- fi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41001455273 Tetr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529596 Pontinus kuhl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지지되는 다리가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지중에 묻히더라도 지면의 상부에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지반 침하가 지속되더라도 지반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확보하며, 어패류의 넓은 서식공간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는, 6개의 다리가 근접되는 다른 다리들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6개의 다리 중에서 3개의 다리(11)는 지면에 지지되고 나머지 3개의 다리(12)는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6개의 다리가 연결되는 중앙부에는 상기 6개의 다리들 사이를 통해 8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통로(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4개의 돌출부가 오목한 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몸체(11a,12a),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11b,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even if the legs supported in the ground buried in the ground due to ground subsidence, such a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fish and shellfish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Even if the settlement continues, it aims to secure a repulsive force against ground settlement and to secure a large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 legs are formed radially while maintaining the same angle as the other legs close to three legs of the six legs 11 is ground The other three legs 12 are suppor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passage 1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ix legs are connected to open in eight directions through the six legs, The leg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protrusions include a body (11a, 12a) of the cross-sectional cross-section formed between the concave groove, the head (11b, 12b)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지지되는 다리가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지중에 묻히더라도 지면의 상부에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지반 침하가 지속되더라도 지반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확보하며, 어·패류의 넓은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nd more specifically, even if the legs supported in the ground buried in the ground due to ground subsidence, fish and shellfish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that provides space, secures repulsive force against ground subsidence even if ground subsidence continues, and secures a large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주지하다시피 테트라포드(tetrapod)는 방파제 내·외항에 쌓아 파도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콘크리트로 만든 4개의 뿔 모양을 가진 삼각형블럭으로 주로 방파제에 파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설치하여 방파제 구성요소인 사석 및 블록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은 중심위치가 낮고 안전성이 좋아 콘크리트 방괴에 비하여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서로 엇물려 안정한 급경사의 비탈면에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단면을 얻을 수 있다.As is well known, tetrapod is a concrete structure that functions to disperse waves by accumulating inside and outside of the breakwater. It is a triangular block with four horns made of concrete, and is installed in the part affected by the wave on the breakwater. It is an artificial concrete structure to protect the components stone blocks and blocks. In addition, the block has a low center position and good safety, so that the weight can be lighter than that of concrete, and the block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installed on the slope of a steep slope, so that an economic cross section can be obtained.
또한 인공어초[人工魚礁]는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수산 동,식물을 끌어 모으고, 보호,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시설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물고기의 산란이나 물고기의 생활을 돕기 위한 어초는 주로 수심 5~70m의 해역에 설치한다. 물고기는 바닷속에서 다른 물체에 몸을 접촉하면서 의지하거나 가깝게 있으면서 몸을 보호하려는 본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공어초는 물고기의 이러한 본능에 맞춘 것이다. 그리고 인공어초는 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며 물의 속도를 느려지게 하기 때문에 고기들이 모여들게 할 뿐만 아니라 산란장 및 휴식장의 역할도 한다.In addition, artificial reefs are artificially installed structures on the sea floor or under the sea, and can be called fishing facilities aimed at attracting, protecting, and cultivating target fish and plants. Reefs to help life are usually installed in the seas with a depth of 5 ~ 70m. Fish have an instinct to protect themselves while staying close to or in contact with other objects in the ocean. Artificial reefs are therefore adapted to this instinct of fish. And artificial reefs slow the flow of water and slow the speed of water, so that the fish gather, as well as the spawning and rest areas.
상기 인공어초를 설치한 곳에서는 물고기 밀도가 자연 어장보다 3~4배나 높다. 또 돌돔, 볼락 등 어종은 대형어에 쫓길 때 인공어초를 숨는 은폐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 인공어초는 바다 생태계에 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주의하여 만들어야 한다. 대개는 콘크리트나 석재 등으로 만들며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원통형, 반구형 등이 있다.Where the artificial reef is installed, the fish density is three to four times higher than the natural fishery. In addition, fish species such as rock dome and rockfish are sometimes used as cover hiding places for artificial reefs when chased by large fish. Artificial reefs should be created with caution because they should not harm marine ecosystems. It is usually made of concrete or stone, and its shape is rectangular, hexagonal, cylindrical and hemispherica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공어초 및 테트라포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rtificial reefs and tetrapod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인공어초는 방파제 역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테트라포드는 각종 어,패류 및 물고기의 은신처 역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at is, the artificial reefs can not play a role of breakwater, and tetrapods can not serve as a hiding place for various fish, shellfish and fish.
또한 종래 기술의 테트라포드는 지면과의 틈새 없이 바닥에 맞닿은 상태로 놓여지기 때문에 어ㅇ패류의 은신처 역활을 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tetrapod of the prior ar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loor without a gap with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erve as a hideout of fish and shellfish.
또한 물고기가 통과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개구부도 구비되지 않아 물고기의 서식처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a habitat for the fish because there is no opening that can be inhabited as the fish pass throug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0541281호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atent No. 10-0541281 patented by the applicant.
선출원은 중앙에 4방향으로 상호 통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사방으로 뻗으며 길이방향에 어,패류가 붙어서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다리와; 그리고, 상기 다리 끝단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어,패류의 서식과 은신처 역활을 하도록 한 하부공간생성부재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는 어ㅇ패류의 은신처 역할을 하도록 넓게 그늘막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first application has a body having an open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center in the center; Legs extending in all directions of the body and the bent portion formed to be easily inhabited by fish, shellfis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ing at the end of the leg, th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cluding a lower space generating member to serve as a habitat and hiding place of fish, shells, the end of the bent portion of the fish shells The shade is further provided to play a wide role.
그러나, 선출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pplic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는 4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뻗은 형태이며,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테트라포드(1)의 4개의 다리 중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제1다리(2, 4개의 다리 중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3개의 다리를 말함)가 지면에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다리인 제2다리(3)가 상부를 향해 뻗은 형태이다. 이때, 연약지반이나 지반 침하가 발생되면 제1다리(2)가 지중에 묻히게 되어 제2다리(3)만 지상으로 돌출되며, 제2다리(3)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서 지반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테트라포드(1)가 빠른 시간 내에 지중에 묻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반의 침하가 진행되지 않아 제1다리(2)만 지중에 묻히고 제2다리(3)는 지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제2다리(3)에는 어패류가 서식하고 피신할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인공어초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The artificial reef combined tetrapod has four legs extending radially, and as shown in FIG. 1, the first leg (2, 4) supported on the ground among the four legs of the
그리고, 4개의 다리들 사이에 개구부(4)가 4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테트라포드(1)의 설치 구조상 제2다리(3)가 상부를 향하기 때문에 개구부(4)는 상부가 막힌 구조이므로 해수가 개구부(4)를 통과할 때 양력이 발생되어 양력에 의해 테트라포드(1)가 거동하고,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4)의 출구는 좌우로 양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해수가 개구부(4)에 유입된 후 좌우로 양분되어 배출됨으로써 즉 입구 반대쪽에 부딪치게 되어 테트라포드(1)가 파력에 의해 거동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테트라포드(1)들을 조적할 때 테트라포드(1)들 사이에 빈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음영 분위기를 조성하지 못하므로 그늘을 좋아하는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한다.In addition, when the tetrapods (1) are stacked, a large number of empty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tetrapods (1) and thus do not provide a shade atmosphere, and thus cannot provide a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that like shade.
그리고, 테트라포드(1)의 제2다리(3)만이 상부로 뻗어 테트라포드(1)를 2단 이상으로 조적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only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지지되는 다리가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지중에 묻히더라도 지면의 상부에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지반 침하가 지속되더라도 지반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인 부(-)마찰력을 확보하며, 어·패류의 넓은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bridge supported in the ground buried in the ground due to ground subsidence, such as to provide a space for fish and shellfish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ground subsidence Even if the objective is to provide negative frictional force, which is the repulsive force against ground subsidence, and to provide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that can secure a large habitat of fish and shellfish.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형으로 뻗은 다리들의 연결부에 통로를 형성하여 해수가 통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며, 이때, 해수의 파력에 의한 인공어초의 거동을 방지하고 인공어초 주변에 있는 영양염류와 미생물을 확산 분산시켜 넓은 서식공간을 제공하려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assage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adially extending legs so that the seawater flows along the passage, at this time, to prevent the behavior of artificial reefs by the wave power of the seawater and nutrients and microorganisms around the artificial reef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ider space by spreading and distribu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공어초들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조적할 수 있고, 인공어초들 사이에 그늘을 조성하여 어패류의 서식이 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artificial reefs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form a shade between the artificial reefs so that the habitat of the fish and shellfish is activ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는, 6개의 다리가 근접되는 다른 다리들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6개의 다리 중에서 3개의 다리는 지면에 지지되고 나머지 3개의 다리는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6개의 다리가 연결되는 중앙부에는 상기 6개의 다리들 사이를 통해 8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4개의 돌출부가 오목한 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ix legs are formed radially while maintaining the same angle as the other legs close to the six legs Of the three leg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remaining three legs are installed to face upwards,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ix legs are connected is made of a passage to open in eight directions through the six legs, The le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protrusions formed of a cross-shaped body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therebetween, a head formed on the end of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에 의하면, 방사형으로 뻗은 6개의 다리 중에서 3개의 다리는 지반에 지지되고 나머지 3개의 다리는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지반 침하 등으로 3개의 다리가 지중에 묻히더라도 지면 상부로 돌출된 3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지반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휘하므로 인공어초의 침하를 방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고, 침하되어 묻힌 3개의 다리가 갖는 부(-) 마찰력이 침하에 대한 반발력으로 작용하여 기초의 역할을 하여 침하를 정지시킴으로, 상부에 돌출된 3개의 다리를 통해 지면 상부에 넓은 서식공간(부착면적)을 제공하여 어패류의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f the six radially extending leg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remaining three legs are projected to the ground above the ground three Even if the bridge is buried in the ground, since the three legs protruding radially extends to exert repulsion against the ground subsidence, the settlement of the artificial reef can be prevented or delayed, and the parts of the three legs buried buried ( -) The friction force acts as a repulsive force for settlement and stops settlement by acting as a foundation, and it can preserve the ecosystem of fish and shellfish by providing a large habitat (attachment area) at the top of the ground through three legs protruding from the top. have.
그리고, 6개의 다리 사이에 해수의 통로를 형성하여 파력에 의한 인공어초의 거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통로는 상부와 하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양력과 파력에 의한 인공어초의 거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수가 통로를 통과하면서 부압이 발생되어 통로의 전방향 개구단을 통해 인공어초 주변의 영양염류와 미생물을 인공어초 후방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인공어초 후방에도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조성하므로 수중 생태계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And, by forming the passage of the seawater between the six legs can prevent the behavior of artificial reefs by the wave force, the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lower and front and rear openings can prevent the behavior of artificial reefs by lift and wave force. In addition, since the seawater passes through the passag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nd diffuses nutrients and microorganisms around the artificial reef to the rear of the artificial reef through the open end of the passage, thereby creating a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in the rear of the artificial reef. Can be safely preserved.
또한, 3개의 다리가 상부를 향해 뻗어 인공어초를 2단 이상으로 조적하는 것이 용이하고, 조적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테트라포드로서의 기능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패류에게 안전한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assemble artificial reefs in two or more stages by extending the three legs upward, and the thoroughness of the masonry can be maintained to effectively perform the function as tetrapod, and to provide a safe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Can b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에 적용된 다리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의 조적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trapod combined artificial reef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artificial reef combined tetrap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g applied to a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masonry state of 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10)는, 6개의 다리가 근접되는 다리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방사형으로 뻗은 형태이며,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지면에 지지되는 3개의 다리(제1다리(11)라 칭함)와 지상으로 돌출되는 3개의 다리(제2다리(12)라 칭함)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제1,2다리(11,12)가 연결되는 중앙부에는 통로(13)가 형성된다. 통로(13)는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제1,2다리(11,12)들의 사이, 정확하게는 근접되는 3개의 다리들의 사이를 향해 개방되어 총 8개 방향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인공어초(10)의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통로(13)의 전방과 후방이 서로 직선형으로 연통되어 유입되는 해수가 인공어초(10)의 제1,2다리(11,12)에 부딪치지 않고 바로 배출되고, 상부와 저부 및 둘레부가 개방되어 해수의 통과시 부압이 발생됨으로써 인공어초(10) 주변에 있는 영양염류와 미생물 등이 통로(13)에 유입된 후 해수와 함께 인공어초(10) 후방으로 배출 확산된다.A
통로(13)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3과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다리(11,12)는, 4개의 돌출부가 오목한 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몸체(11a,12a)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5, the 1st and
제1다리(11)는 3개의 다리가 단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 반대로 중앙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로서 지반이 다리들의 사이로 모아지는 분력 구조이므로 침하 감소판의 기능을 겸하게 된다.The first leg (11) is the form of three legs open toward the end, conversely toward the center of the form is collected as a component of the ground structure is collected between the legs and thus serves as a sink reduction plate.
즉, 상기 몸체(11a,12a)의 돌출부가 십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패류의 부착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That is, as the protrusions of the
몸체(11a,12a)의 단부에는 헤드(11b,12b)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11b,12b)는 저부가 사각형인 사각뿔 형태(상부의 꼭지점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의 4곳의 꼭지점에 몸체(11a,12a)의 돌출부가 연결된다.The
따라서, 헤드(11b,12b)의 저부에는 몸체(11a,12a)의 돌출부가 연결되지 않은 4곳의 부착공간(11c,12c)이 형성된다.Accordingly, four
몸체(11a,12a)의 형상, 몸체(11a,12a)와 헤드(11b,12b)의 연결구조 등에 따라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많은 그늘을 조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dy (11a, 12a),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ody (11a, 12a) and the head (11b, 12b),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space for the habitat of fish and shellfish, and to create a lot of shade.
이와 같은 구조의 제1다리(11)와 제2다리(12)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즉, 평면(다른 방향도 동일)에서 볼 때 제2다리(12)의 3개의 다리는 제1다리(11)의 3개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The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10)는,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본 발명은 부착공간의 증대를 위하여 별도의 어패류 서식구(14)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어패류 서식구(14)는 제1,2다리(11,12)(몸체(11a,12a) 또는/및 헤드(11b,12b))에 결합되는 연결부(14a), 연결부(14a)의 상부에 연결부(14a)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14b)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4a)는 본 발명 인공어초(10)가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경우 콘크리트의 양생 전에 매립되어 연결될 수 있고, 앵커 등을 통해 제1,2다리(11,12)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sh and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radial hexap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인공어초(10)는 도 4와 같이 제1다리(11)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2다리(12)는 자연스럽게 상부를 향해 방사형으로 뻗은 상태이다.
지반 침하나 인공어초(10)의 자중 등에 의한 침하 발생시 제1다리(11)는 지중에 묻히게 될 것이며, 이때, 제1다리(11)를 구성하는 3개의 다리가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휘하여 인공어초(10)의 침하가 지연되거나 방지된다.When settlement occurs due to ground subsidence or self-healing of the
침하가 극심하여 제1다리(11)가 지중에 묻히고, 침하가 계속될 때 제2다리(12)는 침하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인공어초(10)의 침하를 막을 수 있고, 또는 인공어초(10)의 침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The settlement is so severe that the
제1다리(11)의 침하와 상관없이 즉, 제1다리(11)가 지중에 묻히지 않으면 제1,2다리(11,12)의 모든 곳에 어류와 패류가 은신, 서식(부착)할 수 있으며, 제1다리(11)가 지중에 묻히더라도 제2다리(12)는 지상으로 돌출되어 제2다리(12)의 3개의 다리를 통해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어패류의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Regardless of the settlement of the
통로(13)는 해수뿐만 아니라 어류 등의 이동통로와 은신처로도 사용되며, 작은 어류는 통로(13)를 통해 인공어초(10)의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통로(13) 안 또는 인공어초(10)와 지면 사이의 좁은 공간에 은신하여 큰 어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인공어초(10)는 어패류의 서식과 방호 기능을 함께 수행하며, 자체 중량 및 제1,2다리(11,12)의 구조에 의해 해수로부터 가해지는 파력에너지를 분산시켜 방파제나 연안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The
또한, 일부 해수는 통로(13)에 유입될 것이며, 통로(13)의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로(13)에 유입된 해수는 방향의 변화와 분산없이 통로(13)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해수의 파력에너지가 인공어초(10)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인공어초(10)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인공어초(10)는 거동하지 않고 설치 상태를 유지하며, 결국 소파블럭으로서의 기능과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seawater will be introduced into the
또한, 해수가 통로(13)를 통과할 때 통로(13)에는 부압이 발생되며 따라서, 통로(13) 주변에 있는 미생물과 영양염류 등이 통로(13)에 유입된 후 해수와 함께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seawater passes through the
즉, 인공어초(10)의 바닥이나 주변에 있는 미생물과 영양염류가 인공어초(10)의 후방(해수가 유입되는 반대쪽)으로 확산 분산되어 인공어초(10)의 후방에 어패류의 서식공간이 조성되도록 한다.That is, microorganisms and nutrients at the bottom or the periphery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10)의 조적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정면 내지 평면에서 볼 때 근접되는 인공어초(10)들의 다리들이 서로 끼움식으로 설치되며, 따라서, 인공어초(10)들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 인공어초(10)들의 사이에 음영을 조성할 수 있다. 즉, 인공어초(10)의 자체 구조뿐만 아니라 인공어초(10)들 사이에 어패류의 서식 및 은신공간을 조성하여 인공어초(10)로 이루어진 시설 전체가 어초 기능을 할 수 있다.Figure 6 shows the constituent state of the artificial reef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s of the artificial reef (10) in close proximity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planar view are installed in each other, thus, the artificial reef (10) The spacing between the two is very narrow to create a shade between the artificial reefs (10). That is, the entire facility consisting of
또한, 인공어초(10)를 2단 이상으로 조적할 때, 예를 들어 인공어초(10)를 1단으로 설치하고, 위에 인공어초(10)를 2단으로 적층할 때 1단 인공어초(10)의 제2다리(12) 사이에 2단 인공어초(10)의 제1다리(11)가 엇갈리도록 끼워 적층한다. 상하로 배치되는 인공어초(10)들은 서로 끼워지는 제1,2다리(11,12)에 의해 결속되어 파력에너지가 크더라도 조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tificial reef (10) is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for example, when the artificial reef (10) is installed in one stage, and the artificial reef (10) is stack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artificial reef (10) The
10 : 인공어초, 11 : 제1다리
12 : 제2다리, 13 : 통로
14 : 어패류 서식구, 10: artificial reef, 11: first leg
12: second leg, 13: passage
14: shellfish habitat,
Claims (4)
상기 다리는, 4개의 돌출부가 오목한 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몸체(11a,12a),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11b,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The six legs are radially 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angle as other adjacent legs, so that three legs 11 of the six leg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three legs 12 are installed upward. In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ix legs are connected, a passage 13 is formed to open in eight directions through the six legs,
The leg is a radial hexap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protrusions include a body 11a, 12a having a cross section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therebetween, and a head 11b, 12b formed at an end of the body.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a.
The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ree legs protruding to the ground among the six legs are arrang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three legs supported on the ground.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347A KR101058167B1 (en) | 2011-04-01 | 2011-04-01 |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347A KR101058167B1 (en) | 2011-04-01 | 2011-04-01 |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8167B1 true KR101058167B1 (en) | 2011-08-22 |
Family
ID=4493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347A Active KR101058167B1 (en) | 2011-04-01 | 2011-04-01 |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8167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869B1 (en) * | 2011-12-15 | 2012-11-0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Structures for the formation of marine forests |
KR101252235B1 (en) * | 2012-07-12 | 2013-04-08 | (주)에이치엔 | Artificial reef |
KR101277467B1 (en) | 2011-08-23 | 2013-06-21 | (주)대우건설 | Constructing Method of Breakwater Structure using Tetrapod and Grout Bag |
KR101548103B1 (en) | 2015-05-29 | 2015-08-27 | 김건하 | A Multi Armourstone and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KR101825084B1 (en) | 2016-08-03 | 2018-02-02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The method of placement for fish bleeding reef block with habitat space |
KR102504943B1 (en) | 2021-11-05 | 2023-03-03 | 주식회사 서진건설 | Pentagonal wave-dissipating block |
KR102517063B1 (en) | 2021-11-05 | 2023-04-04 | 주식회사 서진건설 | Hexagonal wave-dissipating block |
KR20250031071A (en) | 2023-08-25 | 2025-03-06 | 정혜인 | The wave dissipation block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1281B1 (en) | 2005-04-21 | 2006-01-10 | 태성건설 주식회사 | Trtrapod multiple artificial fish-breeding structure |
-
2011
- 2011-04-01 KR KR1020110030347A patent/KR1010581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1281B1 (en) | 2005-04-21 | 2006-01-10 | 태성건설 주식회사 | Trtrapod multiple artificial fish-breeding structur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467B1 (en) | 2011-08-23 | 2013-06-21 | (주)대우건설 | Constructing Method of Breakwater Structure using Tetrapod and Grout Bag |
KR101199869B1 (en) * | 2011-12-15 | 2012-11-0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Structures for the formation of marine forests |
KR101252235B1 (en) * | 2012-07-12 | 2013-04-08 | (주)에이치엔 | Artificial reef |
KR101548103B1 (en) | 2015-05-29 | 2015-08-27 | 김건하 | A Multi Armourstone and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KR101825084B1 (en) | 2016-08-03 | 2018-02-02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The method of placement for fish bleeding reef block with habitat space |
KR102504943B1 (en) | 2021-11-05 | 2023-03-03 | 주식회사 서진건설 | Pentagonal wave-dissipating block |
KR102517063B1 (en) | 2021-11-05 | 2023-04-04 | 주식회사 서진건설 | Hexagonal wave-dissipating block |
KR20250031071A (en) | 2023-08-25 | 2025-03-06 | 정혜인 | The wave dissipation block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8167B1 (en) | Hollow sofa block combined artificial reef with radial hexapod | |
JP7482955B2 (en) | Easily 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 |
KR100913808B1 (en) | Triangle shellfish artificial reef | |
KR101723269B1 (en) | Habitat reef with radiative reef plate and connecting leg | |
KR200473631Y1 (en) | Multi-Function Complex Artificaial Fishing Reef For Restoring Marine Ecosystem | |
KR100834259B1 (en) | Hybrid artificial reef integrated with concrete and steel and large artificial reef | |
KR102084051B1 (en) | Easily expandable wave 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 |
AU2012201758A1 (en) | Artificial Reef for Seaweed | |
KR102144054B1 (en) | Easily expandable wave 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 |
KR100838714B1 (en) | Artificial reef with steel frame structure | |
KR100996879B1 (en) | Steel frame artificial reef with shellfish attachment structure | |
KR100891738B1 (en) | Botanical vegetation and revetment blocks with fish facilities | |
KR200473630Y1 (en) | The Complex Concrete Block Constructing Sea Jungle For Marine Ecosystem Activation | |
KR20090000183U (en) | Tunnel type reef | |
KR100541281B1 (en) | Trtrapod multiple artificial fish-breeding structure | |
KR101239378B1 (en) | The many functions structure that laying eggs ground of octopus and growth are possible | |
KR102116080B1 (en) | Easily expandable wave 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 |
KR102052926B1 (en) |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 |
KR200428057Y1 (en) | Multispace creature upbringing | |
KR100815290B1 (en) |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with fish house | |
KR101011766B1 (en) | Polyhedral artificial reef | |
KR101125868B1 (en) | Artificial reef and artificial reef complex | |
KR20180052298A (en) | Artificial ground reef to prevent sand erosionform and sea-wave damage | |
KR200374968Y1 (en) | A Housing Type Assembling Artifical Fishing Reef | |
KR101506706B1 (en) | Turtle ship type artificial ree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