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8019B1 -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19B1
KR101058019B1 KR1020040091520A KR20040091520A KR101058019B1 KR 101058019 B1 KR101058019 B1 KR 101058019B1 KR 1020040091520 A KR1020040091520 A KR 1020040091520A KR 20040091520 A KR20040091520 A KR 20040091520A KR 101058019 B1 KR101058019 B1 KR 10105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stored
auxiliar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749A (ko
Inventor
고지현
남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19B1/ko
Priority to US11/064,411 priority patent/US7480002B2/en
Priority to CN200510062868.5A priority patent/CN1774040B/zh
Publication of KR2006004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프리뷰(Preview)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보조 영역들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프리뷰(Preview) 영상이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herein consolidated display mode is performed,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주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의 알고리즘의 제1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233이 수행됨에 의하여 컬러 LCD 패널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6의 n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7의 (n-1)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8의 (n-2)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의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동영상 촬영 모드 수행의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을 위하여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에서 복수의 보조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의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의 제4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의 제5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4...모드 다이얼, 15...기능 버튼들,
17a, 17b...뷰 파인더,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1...외부 인터페이스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1...전원 버튼, 32...모니터 버튼,
33...자동-초점 램프, 34...플래시 대기 램프,
35...컬러 LCD 패널, 36...수동-포커싱/삭제 버튼,
37...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신호 처리기,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DAM...주 영역,
DASU, DASM, DASL, DAS4 내지 DAS8....보조 영역들.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 장치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8-243273호(명칭 : 디지털 카메라용 화상 표시 방법)의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프리뷰(Preview) 영상은 항상 주 영역에만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말하여, 어느 한 보조 영역의 저장 영상이 선택되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면, 프리뷰(Preview)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하면, 어느 한 보조 영역의 저장 영상이 선택되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사체를 즉시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촬영을 위하여 프리뷰(Preview) 영상을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촬영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보조 영역들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촬영을 위하여 프리뷰(Preview) 영상을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체를 즉시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촬영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채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5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입력시킨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도 4, 6 및 7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컬러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14MY)는, 각 촬영 모드에 필요한 촬영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한편, 상기 녹음 모드(14V)는 소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만을 단순히 녹음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녹음 모드(14V)로의 전환 후,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일차 누르면, 저장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오디오(audio)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이 완성된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컬러 LCD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기능 버튼들(15)의 각 기능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는 매크로/하향 버튼(15D), 음성-메모/상향 버튼(15U), 및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르면서 컬러 LCD 패널(35)의 주 영역 및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된 영상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이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와 관련된 내용은 도 5 내지 9 및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정방향 순서의 다음 파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셀프-타이머 동작 예를 들어, 10 초 후에 자동적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르면 역방향 순서의 다음 파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왼쪽으로 이동된다.
한편, 촬영 대기 상태인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름에 따라 촬영 모드를 위한 어느 한 플래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윗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누름으로써 촬영 모드를 위한 근접 자동 포커싱이 설정된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누르면, 이어지는 촬영 동작 후에 10 초 동안 녹음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프리뷰 모드로부터 전환되는 설정 모드에서 활성화 커서가 어느 한 선택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르면 상기 선택 항목에 상응하는 동작 조건이 설정된다.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을 누르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중지시킬수 있다.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컬러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컬러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컬러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 (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에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의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율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컬러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주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1).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종래의 기술처럼 촬영 대기를 위한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2). 즉, 컬러 LCD 패널(35)의 전 영역이 광학계(OPS)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2). 이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광학계(OPS)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이 컬러 LCD 패널(35)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프리뷰(Preview) 영상이 컬러 LCD 패널(35)의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보조 영역들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프리뷰(Preview) 영상이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촬영을 위하여 프리뷰(Preview) 영상을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체를 즉시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촬영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의 상세 알고리즘은 도 5 내지 9 및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름에 따라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면(단계 S31),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파악한다(단계 S32, 이하, 상기 녹음 모드와 관련된 설명이 생략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정지영상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1 또는 S42). 물론,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단계 S23)중인 경우, 이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정지영상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1)하는 알고리즘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2)하는 알고리즘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예를 들어, 프리뷰(Preview) 모드(단계 S2)에서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름에 따른 플래시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5), 어느 한 플래시 모드의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물론, 설정 모드가 수행(단계 S6)되는 동안에는 프리뷰(Preview) 모드(단계 S22) 또는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단계 S23)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단계 S7).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 안의 재생 모드 버튼(42)으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8),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9).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 입력부 (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물론, 재생 모드가 수행(단계 S9)되는 동안에는 프리뷰(Preview) 모드(단계 S22) 또는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단계 S23)가 수행되지 않는다. 이 재생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단계들이 반복 수행된다.
도 5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알고리즘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233이 수행됨에 의하여 컬러 LCD 패널(35)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6의 n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7의 (n-1)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5의 단계들 S236 및 S237에서 도 8의 (n-2)번째 저장 영상이 선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상들이 변경됨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 및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이란,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영역이 될 수도 있으며, 보조 영역들을 제외한 특정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어떤 우선 모드와 함께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31).
촬영 우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Preview) 영상을 컬러 LCD 패널(35)의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S232), n번째, (n-1)번째, 및 (n-2)번째로 저장된 저장 영상들을 3 개의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들(DASU, DASM, 및 DASL)에 각각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33). 여기에서, n번째로 저장된 영상은 제1 보조 영역으로서의 하부 보조 영역(DASL)에,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은 제2 보조 영역으로서의 중간 보조 영역(DASM)에, 그리고 (n-2)번째로 저장된 영상은 제3 보조 영역으로서의 상부 보조 영역(DASU)에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위 단계 S233에 있어서, n은 디지털 카메라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에 최초로 동작하는 경우에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즉, 가장 최근의 촬영에 의하여 저장된 저장 영상이 컬러 LCD 패널(35)의 하부 보조 영역(DASL)에 디스플레이된다. 하지만,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단계들 S236 및 S237이 수행된 후에 단계 S233이 다시 수행되는 경우, n은 단계 S237에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상들에 따라 변한다.
재생 우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로 저장된 저장 영상을 컬러 LCD 패널(35)의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S234), (n-1)번째, 및 (n-2)번째로 저장된 영상들 및 프리뷰(Preview) 영상을 3 개의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들(DASU, DASM, 및 DASL)에 각각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35). 여기에서, 프리뷰(Preview) 영상은 제1 보조 영역으로서의 하부 보조 영역(DASL)에,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은 제2 보조 영역으로서의 중간 보조 영역(DASM)에, 그리고 (n-2)번째로 저장된 영상은 제3 보조 영역으로서의 상부 보조 영역(DASU)에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 S23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S235에 있어서, n은 디지털 카메라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에 최초로 동작하는 경우에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즉, 가장 최근의 촬영에 의하여 저장된 저장 영상이 컬러 LCD 패널(35)의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 디스플레이된다. 하지만,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단계들 S236 및 S237이 수행된 후에 단계 S233이 다시 수행되는 경우, n은 단계 S237에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상들에 따라 변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 음성-메모/상향 버튼(15U), 및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조작함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 영상 변경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스플레이 영상들을 변경한다(단계들 S236 및 S237).
예를 들어,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사용하여 상부 보조 영역(DASU)을 활성화시킨 후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누른 경우, 프리뷰(Preview) 영상은 계속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 디스플레이되지만,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제1 보조 영역으로서의 하부 보조 영역(DASL)에, (n-2)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제2 보조 영역으로서의 중간 보조 영역(DASM)에, 그리고 (n-3)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제3 보조 영역으로서의 상부 보조 영역(DASU)에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즉, 프리뷰(Preview)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사용하여 하부 보조 영역(DASL)을 활성화시킨 후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누른 경우, 프리뷰(Preview) 영상은 하부 보조 영역(DASL)에 계속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n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 계속 디스플레이되지만,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제2 보조 영역으로서의 중간 보조 영역(DASM)에, 그리고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제2 보조 영역으로서의 중간 보조 영역(DASM)에서 제3 보조 영역으로서의 상부 보조 영역(DASU)으로 이동한다.
한편, 촬영 우선 모드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조 영역(DASL)의 n번째 저장 영상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이 길게 또는 2회 눌려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조 영역(DASL)의 n번째 저장 영상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의 프리뷰(preview) 영상이 하부 보조 영역(DASL)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즉, 선택된 보조 영역의 영상과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의 영상이 서로 교환된다. 여기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15M) 대신에 다른 버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재생 우선 모드의 도 7에서 하부 보조 영역(DASL)의 프리뷰(preview) 영상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이 눌려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조 영역(DASL)의 프리뷰(preview) 영상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의 n번째 저장 영상이 하부 보조 영역(DASL)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즉, 선택된 보조 영역의 영상과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의 영상이 서로 교환된다.
한편, 재생 우선 모드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보조 영역(DASM)의 (n-1)번째 저장 영상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이 눌려지면, 재생 우선 모드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preview) 영상이 하부 보조 영역(DASL)에서 계속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된 (n-1)번째 저장 영상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서 디스플레이되며, n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중간 보조 영역(DASM)에서 디스플레이되고, (n-2)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상부 보조 영역(DASU)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재생 우선 모드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조 영역(DASU)의 (n-2)번째 저장 영상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이 눌려지면, 재생 우선 모드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preview) 영상이 하부 보조 영역(DASL)에서 계속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된 (n-2)번째 저장 영상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에서 디스플레이되며,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중간 보조 영역(DASM)에서 디스플레이되고, (n-3)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상부 보조 영역(DASU)에서 새롭게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재생 우선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규칙성이 준수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단계 S41)의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도 4의 단계 S23)중인 경우, 이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 정지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된다. 도 1 내지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S41)의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잔량을 검사하여(단계 S410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102). 저장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을 표시한 후, 정지영상 촬영 모드의 수행(S41)을 종료한다(단계 S4103). 저장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들에 따라 백색 균형(White Balance) 설정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 한다(단계 S4104).
다음에, 자동 노광(AE, Automatic Exposure) 모드이면(단계 S4105),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고 셔터 속도(Shutter speed)를 설정한다(단계 S4106).
다음에, 자동 포커싱(Automatic Focusing) 모드이면(단계 S4107),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단계 S4108).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109)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110).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단계들 S4105 내지 S4110을 반복 수행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저장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정지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4111).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정지영상 포착을 수행한다(단계 S4112). 즉,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수신된 정지영상 데이터를 압축시킨다(단계 S4113).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압축된 정지영상 데이터를 정지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4114).
도 11은 도 4의 동영상 촬영 모드 수행(단계 S42)의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도 4의 단계 S23)중인 경우, 이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된다. 도 1 내지 3 및 11을 참조하여 도 4의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2)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에 오에스디(OSD: On-Screen Display)가 합성되면 오에스디(OSD: On-Screen Display)를 삭제한다(단계들 S4201 및 S4202).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저장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의 잔량을 검사하여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가능 시간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단계 S4203). 저장 가능하지 못할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을 표시한다(단계 S4204). 저장 가능한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동영상 모드의 표지(symbol) 및 저장 가능 시간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단계 S4205).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동영상 모드의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백색 균형(White Balance) 설정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4206).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자동 노광(Automatic Exposure)을 수행한다(단계 S4207). 즉,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이 계산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고 노광 시간을 설정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단계 S4208).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09)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210).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단계들 S4207 내지 S4210을 반복 수행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에 한 개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4211). 다음에,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동영상 데이터를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또는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34212).
상기와 같이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와 2단 신호인 S2 신호가 모두 온(On) 상태이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한다(단계들 S4213 내지 S4215).
도 12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12에서 도 9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2를 참조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좌측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정보를 신속히 파악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을 위하여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S6)에서 복수의 보조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3 및 14에서 참조 부호 35는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35)을 가리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매크로/하향 버튼(도 2의 15D)을 사용하여 "FRAME"(131)을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FRAME"(13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선택-확인 버튼(도 2의 15M)을 누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보조 영역들의 개수(141)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크로/하향 버튼(15D), 음성-메모/상향 버튼(15U), 및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조작하여 복수의 보조 영역들의 개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제3 예를 보여준다. 도 15에서 도 1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 및 14의 과정에 따라 보조 영역들의 개수(141)가 4 개로 설정된 경우,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 하부 보조 영역(DASL), 중간 보조 영역(DASM ), 상부 보조 영역(DASU), 및 제4 보조 영역(DAS4)의 5 영역들에서 각 영상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5의 제3 예와 대응되는 예로서, 상부 보조 영역(DASU)에 (n-1)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중간 보조 영역(DASM)에 (n-3)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5)의 하부에서 제4 보조 영역(DAS4)이 하부 보조 영역(DASL)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이란,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영역이 될 수도 있으며, 보조 영역들을 제외한 특정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 16 및 17의 경우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제4 예를 보여준다. 도 16에서 도 1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3 및 14의 과정에 따라 보조 영역들의 개수(141)가 8 개로 설정된 경우, 주 디스플레이 영역(DAM), 하부 보조 영역(DASL), 중간 보조 영역(DASM ), 상부 보조 영역(DASU), 및 제4 내지 제8 보조 영역들(DAS4 내지 DAS4)의 9 영역들에서 각 영상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영상의 저장 순서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의 제4 예와 대응되는 예로서, 상부 보조 영역(DASU)에 (n-1)번째로 저 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중간 보조 영역(DASM)에 (n-3)번째로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영상의 저장 순서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7은 도 4의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단계 S23)의 제5 예를 보여준다. 도 17에서 도 1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보조 영역(DASL)의 영상이 프리뷰(Preview) 영상임을 알리는 기호 "P"가 프리뷰(Preview) 영상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 영상들을 보면서도 프리뷰(Preview) 영상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보조 영역들에 저장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보다 증배될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하면,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촬영을 위하여 프리뷰(Preview) 영상을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저장 영상이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체를 즉시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촬영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8)

  1.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보조 영역들 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을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을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저장 영상들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제1 내지 제3 보조 영역들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영상이 상기 주 영역에,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제2 저장 영상이 상기 제2 보조 영역에, 그리고 제3 저장 영상이 상기 제3 보조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저장 영상 및 상기 제3 저장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저장 영상이 상기 주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선택된 저장 영상이 저장된 후에 최초로 저장된 정지 영상 및 상기 선택된 저장 영상이 저장되기 전에 최후로 저장된 정지 영상이 상기 제2 보조 영역 및 상기 제3 저장 영상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보조 영역들 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이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저장 영상이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임을 알리는 기호가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의 영상인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영역 및 복수의 보조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저장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기는,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보조 영역들 중에서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저장 영상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저장 영상을 상기 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리뷰(Preview) 영상을 상기 제1 보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40091520A 2004-11-10 2004-11-10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520A KR101058019B1 (ko) 2004-11-10 2004-11-10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11/064,411 US7480002B2 (en) 2004-11-10 2005-02-23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performs integrated display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510062868.5A CN1774040B (zh) 2004-11-10 2005-04-01 执行综合显示模式的数字拍摄装置和控制该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520A KR101058019B1 (ko) 2004-11-10 2004-11-10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749A KR20060042749A (ko) 2006-05-15
KR101058019B1 true KR101058019B1 (ko) 2011-08-19

Family

ID=3631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520A KR101058019B1 (ko) 2004-11-10 2004-11-10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80002B2 (ko)
KR (1) KR101058019B1 (ko)
CN (1) CN1774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8656A3 (en) * 2000-02-21 2002-01-09 Fujitsu Limited Image photographing system having data management function, data manag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947412B (zh) * 2004-05-13 2011-06-15 索尼株式会社 摄像装置、画面显示方法
US7589779B2 (en) * 2005-04-13 2009-09-1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ing module, interface, and method handling multiple simultaneous data types
KR101155526B1 (ko) * 2005-06-15 2012-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찾아가기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60290788A1 (en) * 2005-06-27 2006-12-2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0736076B1 (ko) 2005-10-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JP4446194B2 (ja) * 2005-11-29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92985B2 (ja) * 2006-01-18 2011-10-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01671A (ja) * 2006-01-25 2007-08-09 Pentax Corp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4844814B2 (ja) * 2006-02-13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15308B1 (ko) * 2006-08-24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4983179B2 (ja) * 2006-09-20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KR100883653B1 (ko) * 2006-10-02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36239B1 (ko) * 2007-04-27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한 영상에서 오토 포커스 영역의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1312499B (zh) * 2007-05-22 2011-04-13 晶睿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可重组化影像处理器及其应用装置
JP5083090B2 (ja) * 2007-09-18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11008B2 (ja) * 2007-12-11 2012-04-0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US8004582B2 (en) * 2007-12-14 2011-08-2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fil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il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477228B2 (en) * 2008-06-30 2013-07-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mera data management and user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JP4636134B2 (ja) * 2008-07-25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95676B2 (ja) * 2008-07-30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プレビュー表示方法
KR20100013705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299249B1 (ko) * 2008-08-29 2013-08-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9165302B2 (en) * 2008-09-29 2015-10-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up an image of an article displayed on a sales promotion web page
US9148618B2 (en) 2009-05-29 2015-09-2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newly captured image content and reviewing previously stored image content
JP5489636B2 (ja) * 2009-10-19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13361A1 (en) * 2009-11-06 2011-05-12 Apple Inc. Adjustment presets for digital images
KR101110725B1 (ko) * 2010-06-16 2012-02-27 엠텍비젼 주식회사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한 후보 이미지 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 장치와 촬상 장치
JP5833822B2 (ja) * 2010-11-25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30071794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165609A (ja) * 2013-02-22 2014-09-08 Olympus Imaging Corp 撮影機器
KR102047703B1 (ko) * 2013-08-09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5410B1 (ko) * 2013-09-04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763473A (zh) * 2014-01-23 2014-04-30 徐鹏 一种实时调整航拍相机参数的控制装置
CN103777865A (zh) * 2014-02-21 2014-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处理器及电子设备
CN106162045A (zh) * 2015-04-17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装置
WO2017047012A1 (ja) * 2015-09-18 2017-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と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
US20190174069A1 (en) * 2016-03-18 2019-06-06 Kenneth L. Poindexter, JR.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Recording a Visual Media
US10225471B2 (en) * 2016-03-18 2019-03-05 Kenneth L. Poindexter, JR.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recording a visual media
CN106453886B (zh) * 2016-09-30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拍照方法及移动终端
JP7183597B2 (ja) * 2018-07-12 2022-1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レビュー画像表示装置及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408A (ja)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US6515704B1 (en) 1997-02-24 2003-02-0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nd displaying an im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048A (ja) 1995-11-29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一体型vtr
CN1104139C (zh) 1996-10-02 2003-03-26 索尼公司 电视接收机、设置接收频道的方法和图像显示方法
JPH10271436A (ja) * 1997-03-25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JP3993922B2 (ja) * 1997-05-30 2007-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変形装置および方法
JP2000098963A (ja) * 1998-09-18 2000-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5704B1 (en) 1997-02-24 2003-02-0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nd displaying an image
JP2001211408A (ja)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749A (ko) 2006-05-15
US20060098111A1 (en) 2006-05-11
US7480002B2 (en) 2009-01-20
CN1774040B (zh) 2014-06-04
CN1774040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019B1 (ko)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0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5797307B2 (ja) デジタル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デジタル撮影装置
KR101029071B1 (ko) 감지 휘도 범위를 넓히기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37932B1 (ko) 해상도 변경을 이용한 저장공간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102247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8640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51807B1 (ko) 효율적 설정 동작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92939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026B1 (ko)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의 저장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50089923A (ko) 적응적 영상 합성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078115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카메라
KR10067396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20080057048A (ko) 야간 촬영 모드에서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203151B1 (ko) 효율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5801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메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20050112567A (ko) 편리한 재생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60099233A (ko) 디지털 이미지 장치의 에이브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장치
KR20050108048A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