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015B1 -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 Google Patents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7015B1 KR101057015B1 KR1020100125153A KR20100125153A KR101057015B1 KR 101057015 B1 KR101057015 B1 KR 101057015B1 KR 1020100125153 A KR1020100125153 A KR 1020100125153A KR 20100125153 A KR20100125153 A KR 20100125153A KR 101057015 B1 KR101057015 B1 KR 101057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portion
- container
- vehicle
- rear wall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부에 이미용, 진료 등의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컨테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미에는 세탁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승하강가능한 제2컨테이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차량으로 다양한 형태의 봉사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제2컨테이너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지면에서 곧바로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이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부에 포개지게 삽입됨으로써 봉사활동시에는 내부공간이 확장되고 이동시에는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후미에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과;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부에 구비되는 제1컨테이너부와; 하강되는 경우 바닥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컨테이너부와; 상기 제2컨테이너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activit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first container portion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service activities such as beauty treatment, medical treatment, etc. in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the laundry room in the rear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By provid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that can be lifted and used for a purpose, etc., various types of service can be performed in a single vehicle,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directly entered from the ground whil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ccess 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when the vehicle moves,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to the inner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elevate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the first As it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the internal space is expanded during volunteer work and compact when moving. It relates to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that can maintain an appearan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having a loading unit at the rear; A first container part formed in an interior space for a service activity and provided in a loading part of the vehicle; A second container part which is support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art when the bottom par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lifted by the lifting means. And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for advancing back and forth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in a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부에 이미용, 진료 등의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컨테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미에는 세탁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승하강가능한 제2컨테이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차량으로 다양한 형태의 봉사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제2컨테이너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지면에서 곧바로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이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부에 포개지게 삽입됨으로써 봉사활동시에는 내부공간이 확장되고 이동시에는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activit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first container portion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service activities such as beauty treatment, medical treatment, etc. in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the laundry room in the rear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By provid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that can be lifted and used for a purpose, etc., various types of service can be performed in a single vehicle,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directly entered from the ground whil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ccess 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when the vehicle moves,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to the inner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elevate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the first As it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the internal space is expanded during volunteer work and compact when moving. It relates to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that can maintain an appearance.
최근 사회봉사활동의 개념과 중요성이 널리 확산되면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독거 노인, 소년 소녀가장 등을 대상으로 한 봉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spread widely,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girl-headed family who are inconvenient in mobility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이러한 봉사활동의 형태로는 크게 이미용, 진료 및 세탁 등의 봉사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차량으로 일반차량을 그대로 또는 개조하여 봉사활동용 차량으로 이용하거나, 진료 봉사활동을 위한 구급차와 같이 어느 하나의 봉사활동에 특화된 전용 차량을 봉사활동용 차량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하나의 차량으로 여러 형태의 봉사활동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form of such volunteer activities, service activities such as hairdressing, medical treatment, and laundry are mainly used. At present, a vehicle for supporting such volunteer activities is used as a volunteer vehicle by modifying or modifying a general vehicle. Although a special vehicle specialized in one volunteer activity is used as a volunteer vehicle, such as an ambulance for volunteer activities, a mobile multipurpose volunteer vehicle that can support various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at the same time is not developed. There is a situation.
또한, 종래의 차량 들은 그 구조적인 형태로 인하여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모두 지상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됨으로써 특히, 세탁 봉사활동을 위한 세탁실이 지상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무거운 세탁물을 그 내부공간의 높이까지 수작업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다른 예로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높이에 대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s are due to its structural shape, all the internal space for the service activities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especially when the laundry room for laundry service activities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to carry heavy laundry. There was a hassle to manually lift up to the height of the internal space, and in another example, even when volunteer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ight was restricted in order to access the internal space for volunteer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적재부에 이미용, 진료 등의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컨테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미에는 세탁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승하강가능한 제2컨테이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차량으로 다양한 형태의 봉사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제2컨테이너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지면에서 곧바로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이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부에 포개지게 삽입됨으로써 봉사활동시에는 내부공간이 확장되고 이동시에는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st container portion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the service activity, such as medicament, medical treatment in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In the rear of one container part, a second container part that can be lifted and used for a laundry room, etc., enables various types of service activities in a single vehicle, and of course, directly above the groun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lowered. Access 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facilitated by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when the vehicle moves,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to an internal space whil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elevated. 2,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uperimposed so that the internal space is expanded during the service activities Movement has to provide a multi-purpose mobile outreach vehicle to maintain a compact for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후미에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과;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부에 구비되는 제1컨테이너부와; 하강되는 경우 바닥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컨테이너부와; 상기 제2컨테이너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having a loading unit at the rear; A first container part formed in an interior space for a service activity and provided in a loading part of the vehicle; A second container part which is support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art when the bottom par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lifted by the lifting means. And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for advancing back and forth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in a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상기 제1컨테이버부의 일측벽에는 출입문이 구비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출입문의 하부의 위치에 접철 가능한 수납식계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ractable staircase is provid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door is collapsibl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일측벽에는 시청각정보의 표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multi-purpose service activit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udio-visual information on one side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하나의 차량으로 다양한 형태의 봉사활동에 최적화된 각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지면에 접하는 제2컨테이너부로 인하여 지면에서 곧바로 접근가능한 공간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제1컨테이너부에 포개지는 것이 가능한 제2컨테이너 및 후방벽의 구성으로 인하여 봉사활동시에는 제1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이 확장되고 이동시에는 포개짐으로써 컴팩트한 외형을 갖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each space optimized for various types of service activities as a single vehicle, and the ground due 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t is effective to have a space that is directly accessible from, and becau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rear wall that can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is expanded during service activities and is superimposed upon movement. It has the effect of having an appearan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내부 구조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to 3c is a side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activit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of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activit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Figure 3c is a side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차량(10)과, 제1컨테이너부(20)와, 제2컨테이너부(30)와, 승하강수단(40)과, 전후진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차량(10)은 봉사활동을 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후미에 상기 제1컨테이너부(20)가 안착될 수 있는 적재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일측벽에 구비된 출입문(21)의 하부의 위치에는 봉사활동시에는 상기 출입문(21)을 통해 상기 제1컨테이너부(20)로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있도록 펼쳐지고 이동시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접혀져 그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한 수납식계단(12)이 구비된다.The
상기 제1컨테이너부(20)는 대략 직육면체의 컨테이너 형상으로 이미용 또는 진료 등의 봉사활동을 위한 내부공간(O)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부(11)에 안착 고정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공간(O)에서 이미용 봉사활동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에는 출입문(21)과, 후방벽(22)과, 디스플레이부(23)가 구비된다.The
상기 출입문(21)은 사용자가 상기 제1컨테이너부(20)로의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일측벽에 구비되는데 상기 출입문(21)의 하부의 위치에는 접철 가능한 상기 수납식계단(12)이 구비되는 것이다.The
상기 후방벽(22)은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후방벽(22)과 일체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내부공간(O)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후진수단(50)에 의하여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상기 전후진수단(50)에 대한 설명에서 보충하기로 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시청각정보를 표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일측벽에는 구비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에 구비됨으써 더욱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용자들에게 봉사활동 대기자 현황 등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을 통한 봉사활동 즉, 동영상을 활용한 교육 및 영화상영 등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제2컨테이너부(30)는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와는 독립된 봉사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후방벽(22)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승하강수단(40)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바닥부(31)가 지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2컨테이너부(30)를 세탁 봉사활동을 위한 세탁실로 활용하는 경우 비교적 무거운 세탁물을 지면에서 곧바로 상기 제2컨테이너부(30)로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승하강수단(40)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수단(50)에 의해 상기 제1컨테이너(20)의 내부공간(O)으로 삽입 수용됨으로써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multi-purpose volunte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승하강수단(40)은 상기 제2컨테이너부(3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후방벽(22)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가이드레일(41)과,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수직가이드레일(41)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레일(41)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2컨테이너부(30)에 구비된 수직가이드부재(42)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42)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승하강동력원(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동력원(도면부호 미도시)으로는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인데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ifting means 40 is a
상기 전후진수단(50)은 상기 후방벽(22)과 일체로 상기 제2컨테이너부(30)를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내부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전후가이드레일(41)과, 상기 후방벽(22)이 상기 전후가이드레일(41)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전후가이드레일(41)에 맞물리도록 상기 후방벽(22)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전후가이드부재(42)와, 상기 전후가이드부재(4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전후진동력원(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동력원(도면부호 미도시) 역시 상기 승하강수단(40)의 승하강동력원(도면부호 미도시)와 마찬가지로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이고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advancing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의 작동상태를 도시하였는데, 도 3a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 봉사활동을 위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전후진수단(50)에 의해 상기 후방벽(22)과 일체로 후진되어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수단(40)에 의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부(30)의 바닥부(31)가 지면에 접하도록 하강되어 있다.3A to 3C illustrate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multi-purpose volunteer ser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the
도 3b는 상기 도 3a상태에서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승하강수단(40)에 의하여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수단(50)에 의해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후방벽(22)과 일체로 전진됨으로써 상기 제2컨테이너부(30)가 상기 제1컨테이너부(20)의 내부공간(O)으로 포개지게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도 3c의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수납식계단(12) 또한 상기 차량(10)의 내부로 수납된다.3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e embodiments which have been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
11 적재부
12 수납식계단
20 제1컨테이너부
21 출입문
22 후방벽
23 디스플레이부
30 제2컨테이너부
31 바닥부
40 승하강수단
41 수직가이드레일
42 수직가이드부재
50 전후진수단
51 수평가이드레일
52 수평가이드부재10 vehicles
11 Load section
12 retractable stairs
20 1st container part
21 doors
22 rear wall
23 Display
30 2nd container part
31 Bottom
40 Ways of getting up and down
41 Vertical guide rail
42 Vertical guide member
50 forward and backward
51 Horizontal guide rail
52 Horizontal guide member
Claims (3)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제1컨테이너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후방벽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컨테이너부가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2컨테이너부에 구비된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승하강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진수단은,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내부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전후가이드레일과, 상기 후방벽이 상기 전후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전후가이드레일에 맞물리도록 상기 후방벽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전후가이드부재와, 상기 전후가이드부재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전후진동력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일측벽에는 출입문이 구비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출입문의 하부의 위치에 접철 가능한 수납식계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부의 일측벽에는 시청각정보의 표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부는 세탁 봉사활동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내부에 세탁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봉사활동용 차량.A vehicle provided with a loading portion at the rear; A first container part formed in an interior space for a service activity and provided in a loading part of the vehicle; A second container part which is support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art when the bottom par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ncluding,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for advancing and rearward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whil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raised by the elevating means. But
The elevating means may include a vertical guide rail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guide rail so that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guided and slidably moved by the vertical guide rail. It comprises a vertical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lifting power source f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guide member,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may include a front and rear guide rail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rear wall is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so that the rear wall is guided and slidably moved by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It includes a front and rear guide member extending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lower end, and the front and rear vibration force source for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guide member,
An entrance door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retractable staircase that is collapsible at a lower position of the entrance door.
One side wall of the first container un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capable of expressing audiovisual information,
The second container unit is a mobile multi-purpose servic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therein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laundry service activiti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153A KR101057015B1 (en) | 2010-12-08 | 2010-12-08 |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153A KR101057015B1 (en) | 2010-12-08 | 2010-12-08 |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7015B1 true KR101057015B1 (en) | 2011-08-17 |
Family
ID=4493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5153A Active KR101057015B1 (en) | 2010-12-08 | 2010-12-08 |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701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080Y1 (en) * | 2014-12-23 | 2015-12-16 | 김상진 | Financial automated machine for mobile devic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208B1 (en) * | 2009-01-23 | 2010-07-16 |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 A movable toilet |
-
2010
- 2010-12-08 KR KR1020100125153A patent/KR1010570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208B1 (en) * | 2009-01-23 | 2010-07-16 |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 A movable toile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080Y1 (en) * | 2014-12-23 | 2015-12-16 | 김상진 | Financial automated machine for mobile devic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2605B2 (en) | Mobile technology cabinet | |
US11498472B2 (en) | Structure and vehicle with a structure | |
US10875561B1 (en) | Transportation assembly for a display device | |
TR201515325A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Holder | |
KR101057015B1 (en) | Mobile multipurpose outreach vehicle | |
JP2017047886A (en) | Multifunction slope device | |
JP2001180535A (en) | Vehicle body with widening mechanism | |
EP1749965A2 (en) | A ladder that can be extracted from an upper bed in a drivers's cab, especially the cab of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and a driver's cab equipped with said extractable ladder | |
US20140001929A1 (en) | Mobil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unit for hospital patients | |
JP4046418B2 (en) | Desk with built-in display | |
JP4017622B2 (en) | Table set | |
KR102028926B1 (en) | camping car system for expanded with minimum height | |
JP2018035517A (en) | Partitioning sliding door device | |
KR101377276B1 (en) | A ladder that can be extracted from an upper bed in a driver's cab, especially the cab of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and a driver's cab equipped with said extractable ladder | |
JP2006181337A (en) | Semi-private facilities and medical / nursing facilities equipped with them | |
JP2011131808A (en) | Tailgate integrated slope device | |
JP3065484U (en) | Stall structure | |
CN209518550U (en) | Mobile multifunctional office cabin | |
KR20210009104A (en) | Swivel type moving armrest for vehicle | |
JPH0529671Y2 (en) | ||
JP3027063U (en) | Telescopic moving bleachers front step mounting structure | |
KR101650360B1 (en) | stretcher with extractable wheel legs | |
JP2014076739A (en) | Slope storage device for wheel chair getting on/off in car | |
JP6137000B2 (en) | Elevator car equipment | |
ES2155791B1 (en) | DISABLED ELEVATO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