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6915B1 -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 Google Patents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915B1
KR101056915B1 KR1020080103485A KR20080103485A KR101056915B1 KR 101056915 B1 KR101056915 B1 KR 101056915B1 KR 1020080103485 A KR1020080103485 A KR 1020080103485A KR 20080103485 A KR20080103485 A KR 20080103485A KR 101056915 B1 KR101056915 B1 KR 101056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member
door
opera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375A (ko
Inventor
최장욱
박세훈
연제성
정민호
조우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10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9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는,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서 병진운동 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병진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며,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 시, 상기 잠금부재는 일 방향으로 운동되다가 타 방향으로 운동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가 잠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서 잠금부재가 병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관, 잠금

Description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Door locking structure of storage apparatus}
본 실시예는 보관 장치의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관 장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보관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관 장치에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 례로 키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키를 상기 보관 장치의 외측에서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되면, 잠금 해제 상태가 이에 따라 보관 장치의 도어가 열릴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상기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의 구조 및 상기 키의 무게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잠금 장치가 회전되어 잠금 상태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한 후에 상기 도어를 닫고 다시 상기 잠금 상태로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주변 구조물에 의해서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관 장치의 잠금 구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는,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서 병진운동 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병진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며,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 시, 상기 잠금부재는 일 방향으로 운동되다가 타 방향으로 운동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가 잠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서 잠금부재가 병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다른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는, 도어에 구비되는 제1잠금유닛; 및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해제가 가능한 제2잠금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잠금유닛에는, 제1작동부재와, 상기 제1작동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제1잠금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2잠금유닛에는, 제2작동부재와, 상기 제2작동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제2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와 연결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잠금 유닛에 의해서 도어 잠금이 수행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을 위한 제1잠금부재의 이동 방향과 제1잠금부재의 하중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므로, 상기 제1잠금부재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일 례로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3)에는 상기 도어(3)의 잠금을 위한 제 1 잠금유닛(10)과 제 2 잠금유닛(2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잠금유닛(10)은 키(Key)의 삽입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유닛(10)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5)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핸들(5)은 상기 도어(3)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은 상기 도어(3)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핸들(5)은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잠금유닛(20)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잠금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잠금유닛(10)은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의 잠금 상태가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잠금유닛(10)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의 잠금 해제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잠금유닛(10)에는, 상기 키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작동부재(110)와, 상기 제1작동부재(110)에 의해서 동작되는 제 1 잠금부재(120)가 포함된다.
상기 제1작동부재(110)에는 상기 키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일부는 상기 도어(3)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1작동부재(110)에는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잠금부재(12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전달부(112)는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잠금부재(120)는 상기 도어(3) 내측에 병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1 잠금부재(120)에는 상기 전달부(112)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22)은 상기 전달부(11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홀(122)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22)의 곡률은,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회전할 때 상기 전달부(112)가 그리는 궤적의 곡률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3)에는 상기 제 1 잠금부재(120)의 병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의 가이드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잠금부재(120)에는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각 삽입홀(12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130)는 상기 제1작동부재(1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운동이 병진 운동으로 변화되도록 가이드한다.
즉,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회전되어 상기 전달부(112)가 상기 가이드홀(122)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제 1 잠금부재(130)는 상기 전달부(112)에 의해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130)가 상기 삽입홀(12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잠금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잠금유닛(20)에는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되는 제 2 작동부재(210)와, 상기 제 2 작동부재(210)에 의해서 동작되는 제 2 잠금부재(220)와, 상기 제 2 잠금부재(220)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잠금부재(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이동부재(230)와, 상기 제 2 잠금 부재(2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잠금부재(2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보조 잠금 부재(222)와, 상기 제 1 이동 부재(230)에 연결되는 제 2 이동부재(2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작동부재(210)는 상기 제 2 잠금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220) 및 상기 보조 잠금 부재(222)는 상기 도어(3)의 좌우 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잠금 부재(222)는 상기 제 1 이동부재(2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잠금부재(220)가 상기 제 2 작동부재(210)에 의해서 움직 이면, 상기 제 1 이동부재(230)가 함께 병진 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잠금 부재(222)가 상기 제 2 잠금부재(220)와 함께 운동된다.
한편, 상기 제 1 잠금부재(120)는 상기 제 2 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 1 잠금부재(120)가 상기 제 2 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이동부재(240)가 상기 제 1 잠금부재(120)와 간섭되어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잠금부재(120)가 상기 제 2 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 2 이동부재(240)가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의 잠금 해제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이동 부재(240)가 상기 제 1 이동 부재(2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 2 이동 부재(240)가 상기 제 1 이동 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잠금유닛(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1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잠금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고, 도 4의 (b)는 제 1 작동부재가 제 1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며, 도 4의 (c)는 제 1 작동부재가 제 2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며, 도 4의 (d)는 잠금 해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잠금유닛의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잠금부재(110)가 상기 제 2 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삽입홀(124)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부(112)는 도 4의 (a)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홀(122)의 우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홀(122)의 길이는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대략 90도 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유닛(10)의 잠금상태(도 4의 (a))에서 상기 가이드홀(122)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선(L)과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중심(C1) 사이의 거리(최초 거리)는 감소되다가 증가된다. 즉, 상기 가이드홀(122)은 감소 구간(A)과 증가구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홀(122)의 중심선(L)은 상기 전달부(112)의 중심(C2)이 그리는 궤적과 동일하며,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전달부(112)가 상기 가이드홀(122)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홀(122)의 중심선(L)과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중심(C1) 간의 거리(최초 거리)는, 상기 전달부(112)의 중심(C2)과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중심(C1) 간의 거리(기준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회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기 최초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회전되면, 상기 최초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1잠금부재(12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회전되면, 상기 전달부(112)의 중심(C2)이 상기 가이드홀(122)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전달부(112)의 중심(C2)이 이동된 위치에 서의 최초 거리는 줄어드므로, 줄어든 만큼의 거리를 상기 제1잠금부재(12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보상하게 된다(보상 거리).
즉, 상기 보상 거리와 상기 최초 거리의 합은 상기 기준 거리와 같다.
상기 제1잠금부재(120)는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도 4의 (a) 상태에서 도 4의 (c)와 같이 제 2 각도 만큼 회전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부재(110)가 상기 제 2 각도 보다 더 회전되면, 상기 제1잠금부재(12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112)의 중심(C2)이 상기 가이드홀(122)의 증가 구간(B)으로 진입하는 경우 최초 거리가 증가되므로, 증가된 만큼의 거리를 상기 제1잠금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재(11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잠금부재(110)는 상방으로 이동하다가 하방(하중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잠금부재(120)가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어야 하나, 상기 제1잠금부재(120)는 하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잠금부재(1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제1잠금유닛(20)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1잠금유닛 및 제2잠금유닛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잠금유닛(10) 및 제2잠금유닛(20)의 잠 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먼저 상기 제1잠금유닛(20)의 잠금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제1잠금부재(120)가 제2잠금유닛(20)의 제2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서 벗어나게된다. 그러면, 상기 제2잠금유닛(20)의 잠금 해제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상기 핸들(5)을 이용하여 상기 제2잠금유닛(20)의 잠금을 해제하면, 상기 도어(3)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잠금유닛(10) 및 제2잠금유닛(20)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먼저, 상기 제 2잠금유닛(20)을 잠금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제1잠금유닛(10)을 잠금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잠금부재(120)가 상기 제2이동부재(24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2 잠금유닛(20)의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잠금 유닛에 의해서 도어 잠금이 수행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제1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잠금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고, 도 4의 (b)는 제 1 작동부재가 제 1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며, 도 4의 (c)는 제 1 작동부재가 제 2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며, 도 4의 (d)는 잠금 해제 상태의 제1잠금유닛을 보여준다.
도 5는 제1잠금유닛 및 제2잠금유닛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8)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서 병진운동 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병진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며,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 시, 상기 잠금부재는 일 방향으로 운동되다가 타 방향으로 운동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가 잠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서 잠금부재가 병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방향은 상기 잠금부재의 하중 방향과 반대 방향인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전달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포함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전달부의 중심이 그리는 궤적의 곡률과 상기 가이드 홀의 곡률이 다르게 형성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5. 도어에 구비되는 제1잠금유닛; 및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해제가 가능한 제2잠금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잠금유닛에는, 제1작동부재와,
    상기 제1작동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제1잠금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2잠금유닛에는, 제2작동부재와,
    상기 제2작동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제2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와 연결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재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전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잠금부재는 상기 전달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홀이 포함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가이드 홀의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전달부가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잠금부재의 이동 방향은 가변되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부재는 상기 제1작동부재의 작동시, 상기 제1잠금부재의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 후에, 하중 방향으로 움직이는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KR1020080103485A 2008-10-22 2008-10-22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Active KR10105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85A KR101056915B1 (ko) 2008-10-22 2008-10-22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85A KR101056915B1 (ko) 2008-10-22 2008-10-22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375A KR20100044375A (ko) 2010-04-30
KR101056915B1 true KR101056915B1 (ko) 2011-08-12

Family

ID=4221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485A Active KR101056915B1 (ko) 2008-10-22 2008-10-22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637B1 (ko) * 2018-06-05 2019-09-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51B1 (ko) * 2013-08-14 2015-03-0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934A (en) 1975-03-20 1976-08-24 David Babai Key-operated door locking device
US20040037440A1 (en) * 2001-07-11 2004-02-26 Croft Iii James J. Dynamic power sharing in a multi-channel sound system
KR20060135314A (ko) * 2005-06-24 2006-12-2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도어잠금장치
KR20070055202A (ko) * 2005-11-25 2007-05-30 엘지엔시스(주) 도어잠금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934A (en) 1975-03-20 1976-08-24 David Babai Key-operated door locking device
US20040037440A1 (en) * 2001-07-11 2004-02-26 Croft Iii James J. Dynamic power sharing in a multi-channel sound system
KR20060135314A (ko) * 2005-06-24 2006-12-2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도어잠금장치
KR20070055202A (ko) * 2005-11-25 2007-05-30 엘지엔시스(주) 도어잠금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637B1 (ko) * 2018-06-05 2019-09-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 장치
WO2019235718A1 (ko) * 2018-06-05 2019-12-12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375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406B1 (ko) 인입기구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CN101861109B (zh) 门闩锁
US20150204129A1 (e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JP4714728B2 (ja) スライドドアの干渉防止構造
KR100901419B1 (ko) 트레이 장치
KR101056915B1 (ko)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JP4714729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係止部構造
US9233785B2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storage device
KR200448028Y1 (ko)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20100008271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4428B1 (ko) 냉장고
CN106285233B (zh) 门锁组件
KR101831246B1 (ko) 도어 록킹장치
KR102133349B1 (ko)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130114503A (ko)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KR100447752B1 (ko)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KR101304840B1 (ko) 도어잠금장치의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KR20140071525A (ko) 차량용 수납박스의 잠금장치
CN211287218U (zh) 保险柜
KR20040093027A (ko) 평면 핸들 장치
KR20110006604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