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68B1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6168B1 KR101056168B1 KR1020090103628A KR20090103628A KR101056168B1 KR 101056168 B1 KR101056168 B1 KR 101056168B1 KR 1020090103628 A KR1020090103628 A KR 1020090103628A KR 20090103628 A KR20090103628 A KR 20090103628A KR 101056168 B1 KR101056168 B1 KR 101056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rared light
- emitting diode
- subject
- environment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41001469893 Oxyzygonectes dovi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960 Photophob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3989 Scardinius erythrophthal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4 computer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9 light 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111 ocular hyper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및 실내와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nfraRed Emitting Diode : IrED)를 사용하기 위하여 적외선 검출부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주간 및 일반 저도 환경에서도 색재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 구비된 2-밴드 필터는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가시광을 투과하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저조도 환경에서는 적외광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 일부만을 투과시킴으로써 색재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intaining color reproducibility in daytime and general low-temperature environments despite having an infrared detector to use an InfraRed Emitting Diode (IrED) to photograph a subject in a low light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and indoors. It provides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two-band filter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transmits visible light in a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and transmits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so that a subject can be photographed in a low illumina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low-light environment,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using infrared light. In general light environment,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maintained by transmitting only visible light and a portion of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저조도 환경, 일반 조도 환경,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 2-밴드 필터, 백목 현상 Low light environment, general light environment,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part, 2-band filter, white light phenomen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및 저조도 환경에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촬영하며, 주간 및 일반 환경에서는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 만을 투과시키는 2-밴드 필터를 이용하여 색재현성을 유지시키는 카메라 촬영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영상 통화용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hotograph using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n a night and low light environment, and to transmit only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in daytime and general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photographing module for maintaining color reproducibility using a band filt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video telephony having the same.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전자장치가 콤팩트화 되면서 기존에 독립적이던 장치들이 하나의 전자장치에 통합되어 구비된 복합 전자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복합 전자장치로는 휴대폰과 카메라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을 들 수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s electronic devices become more compact, complex electronic devices, in which existing independent devices are integrated into one electronic device, have appeared. Representative composite electronic devices include mobile phones having a camera module in which a mobile phone and a camera are combined.
즉, 초기의 휴대폰은 음성 통화만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나, 휴대폰의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휴대폰의 제조 기술과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결과, 휴대폰은 다중 화음 벨소리나 칼라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며,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이메일 수신 및 발신, 대금 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일 반화되고 있다. 아울러 광학 카메라를 휴대폰에 부착한 소위 카메라폰이 개발되어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도 있고, 촬영된 영상을 프린터에서 인쇄함으로써 종래의 카메라를 통한 현상, 인화, 확대 과정이 필요 없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는 영상 통화폰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initial mobile phone was designed to make only a voice call, but as the popularity of mobile phones has increased rapidly,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mobile phones have dramatically developed. As a result, mobile phones support multiple chord ringtones or color displays,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ying games, searching the Internet, receiving and sending e-mails, and paying bills are becoming common. In addition, a so-called camera phone that has an optical camera attached to a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to take a picture of a subject and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captured image. It is gone. In particular, recently, a video call phone capable of making a video call using a camera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휴대폰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실질적으로는 렌즈 모듈과 결합된 촬상 소자로 구성된 CIS(CMOS Image Sensor)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집광 렌즈, 적외선 필터, 영상 센서 및 경통 혹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집광 렌즈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영상 센서에 집광시키며,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집광 렌즈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상기 영상 센서는 시모스(CMOS) 또는 시시디(CCD) 영상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광 렌즈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상이 맺힌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집광 렌즈, 적외선 필터 및 영상 센서를 동일한 광축 상에 정렬시킨다. The camera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a CMOS Image Sensor (CIS) camera module composed of an image pickup device coupled with a lens module.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condenser lens, an infrared filter, an image sensor, and a barrel or a housing. . The condenser lens collects light incident from a subject on an image sensor, and the infrared filter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lens to block infrar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cident light. The image sensor includes a CMOS or CCD image sensor, and an image of the subject is formed by the condenser lens. The housing aligns the condenser lens, infrared filter and image sensor on the same optical axis.
한편, 상기 복합기기에 사용되는 CIS 카메라는 밝은 조명에서는 촬영이 자유로우나 조명이 없는 장소나 야간에는 촬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IS camera used in the composite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hooting freely in bright lighting, but difficult to shoot in a place or night without lighting.
이에 최근에는 상기 복합기기에 사용되는 CIS 카메라에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하여 저조도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된 CIS 카메라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적외선 성분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적외선 필터를 구비하지 않는다. Recently,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s applied to a CIS camera used in the composite device, so that photography can be performed even in a low light environment. Therefore, the CIS camera to whic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s applied does not include an infrared filter to transmit infrared components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그러나 주간 및 일반 환경에서 촬영, 영상 통화를 하는 경우, 적외선이 상기 적외선 필터를 그대로 통과한다. 즉, 주간 및 일반 환경에서는 상기 적외선 필터를 투과한 가시광선과 적외선이 CIS 카메라의 렌즈, 센서에 그대로 입사되므로, 이미지의 색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shooting and making video calls in daytime and general environments, infrared light passes through the infrared filter as it is. That is, in the daytime and the general environment, since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filter are incident on the lens and the sensor of the CIS camera, the color reproducibility of the image is inferio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과 적외광을 투과시키는 2-밴드 필터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적외광을 방사시키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nfraRed Emitting Diode : IRED)를 적용하여 야간 뷰잉(viewing), 야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nfraRed Emitting Diode: IRED) that emits infrared light to a camera module having a two-band filter for transmitting visible and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It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night viewing and night photograp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촬영 기능, 동영상 촬영 및 재생 기능, 영상 통화 기능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ED)부, 카메라부, 제어부 및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는 저조도 환경에서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 주변에 소정의 밝기(IRE) 이상의 조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16도 내지 28도의 지향각(θ)을 갖는 적외광을 방사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저조도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로부터의 적외광 중 특정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키며, 일반 조도 환경에서 가시광과 상기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투과시키는 2-밴드 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적외광 또는 가시광을 기반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외부의 복합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합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를 제어한다. 상기 전송부는 상 기 카메라부 및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와 상기 제어부 간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한다.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performs a complex function such as a shooting function,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 video call function, the camera module i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rED) unit, It includes a camera unit, a control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emits infrared light having a directivity angle θ of 16 degrees to 28 degrees in order to provide an illuminance environment having a predetermined brightness or more around the subject in the low illuminance environment. The camera unit transmits infrared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band of infrared light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to photograph a subject in the low light environment, and a two-band transmitt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of the specific wavelength band in a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It is provided with a filter. The camera unit photographs a subject based on infrared light or visible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converts the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ler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to an external composite device, and controls the camera unit and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mposite device. The transmitter transmits and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camera unit,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and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촬영 중에 발생하는 백목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12㎜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12㎜ 내지 36㎜ 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mera unit by 12 mm or more in order to remove the white neck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photographing. In particular,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mera unit by 12 mm to 36 mm.
또한,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된 피사체가 식별 가능하도록 소정의 밝기를 제공하고 일반 조도 환경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색재현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2-밴드 필터는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투과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brightness so that a subject photographed in a low light environment can be identified and to maintain color reproducibility of a subject photographed in a general light environment, the two-band filter is configured to transmit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Can be design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2-밴드 필터는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영상 센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890nm 내지 1000nm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상기 2-밴드 필터는 상기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이외에 400nm 내지 650nm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band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lens and the image sensor to transmit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90nm to 1000nm. Further, the two-band filter transmits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400 nm to 650 nm in addition to infrared light having the wavelength ba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2-밴드 필터는 상기 일반 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에 대하여 상기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 때, 상기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의 분광 특성, 상기 2-밴드 필터의 투과율 및 상기 영상 센서의 분광 특성을 곱한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의 분광 특성 및 상기 영상 센서의 분광 특성의 범위가 고정된 경우, 상기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2-밴드 필터의 투과율을 30% 내지 70% 내에서 조절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band filter is designed to maximiz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low light environment relative to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general light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low light environment is determined by the product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the transmittance of the two-band filter and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ensor. And when the range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portion and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ensor is fixed, the transmittance of the two-band filter within 30% to 70% to maximiz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low light environment Adjusted in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는 상술한 특징을 갖는 카메라 모듈과 다른 기능을 갖는 기기들로 통합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 camera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devic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밴드 필터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Camera module having a two-band filter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복합 기기에서 사용되는 CIS 카메라에 입사광으로부터 조도를 검출하여 밝은 조명이 있는 장소는 물론 조명이 없는 장소나 야간에도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First, the CIS camera used in the composite device detects illuminance from incident light and photographs a subject by operating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bright light as well as a place where there is no light or at night.
둘째, 2-밴드 필터가 센싱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주간과 같은 일반 조도 환경에서도 색재현성을 유지할 수 있다. Second, the two-band filter selectively transmits only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890 nm to 1000 nm with relatively low sensing sensitivity, thereby maintaining color reproducibility even in a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such as daytime.
셋째,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와 카메라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촬영된 영상에서 발생하는 백목 현상을 제거하여 야간 촬영 시 더욱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and the camera unit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the white light phenomenon generated in the captured image may be removed to achieve more clear image quality at night.
넷째,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가 16도 내지 28도의 지향각(θ)을 갖는 적외광을 방사함으로써, 적외광이 피사체의 중앙에 집중되는 중앙 포화 현상을 방지하여 촬영 시 전체적으로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Fourt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emits infrared light having a directivity angle (θ) of 16 to 28 degrees, thereby preventing the central saturation phenomenon that the infrared light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lear image quality as a who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or to reduce the actual size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camera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부(100),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IRED)부(200), 전송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00)는 기판(150) 상에 일 영역에 실장된다. 이 때, 카메라부(100)와 기판(150)은 본딩용 와이어(14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기판(150)은 인쇄회로기판(PCB), 연성회로기판(FPCB), 세라믹 기판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카메라부(100)는 입력되는 적외광 또는 가시광을 기반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00)는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카메라부(100)는 집광 렌즈(110), 영상 센서(120), 하우징(130) 및 2-밴드 필터(160)를 포함한다. The
집광 렌즈(110)는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이미지, 즉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광을 영상 센서(120)로 집광시킨다. 집광 렌즈(110)는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영상 센서(120)로 포커싱하기 위하여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카메라부(100)의 전단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집광 렌즈(110)는 볼록 렌즈가 될 수 있다. The
영상 센서(120)는 집광 렌즈(110)에 의해 집광된 피사체의 이미지 상이 맺히도록 배치된다. 즉, 영상 센서(120)는 상기 피사체를 기준으로 집광 렌즈(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집광 렌즈(110)로부터 집광된 광이 영상 센서(120)에 맺힌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집광 렌즈(110)와 영상 센서(12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집광 렌즈(110)의 초점 거리와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외부에 별도로 배치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 촬영에 따른 적외광 촬영과 주간 촬영에 따른 가시광 촬영에 각각 대응하여 집광 렌즈(110)와 영상 센서(1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광과 가시광에 따른 초점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집광 렌즈(110)와 영상 센서(120)의 이격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서보(servo)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기계적인 거리 조절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화질 보정을 통해서도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영상 센서(120)는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센싱한다. 예를 들어, 영상 센서(120)는 시시디(charge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센서, 시모스(complementary metal oxide)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120)가 시시디 이미지 센서인 경우, 영상 센서(120)는 집광된 광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러 보냄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영상 센서(120)는 집광된 광의 파장대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양한 센싱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센서(120)는 800㎚ 전후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에서 대한 센싱 감도와 900㎚ 전후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에 대한 센싱 감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영상 센서(120)는 상대적으로 큰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에 대하 여 센싱 감도가 낮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영상 센서(120)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하우징(130) 또는 경통은 집광 렌즈(110) 및 영상 센서(1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30)은 집광 렌즈(110) 및 영상 센서(120)가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일체의 카메라부(100)로 통합 구성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30)은 집광 렌즈(110) 및 영상 센서(120)를 동일한 광축 상에 정렬시킨다. 즉, 하우징(130)은 상기 피사체, 집광 렌즈(110) 및 영상 센서(120)가 동일한 광축 상에 정렬되도록 집광 렌즈(110) 및 영상 센서(120)를 배치시킨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2-밴드 필터(160)는 집광 렌즈(110)를 통과한 광 중 특정 파장대의 광만 투과시킨다. 이 때, 2-밴드 필터(160)는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 및 가시광을 각각 투과시키는 필터로서, 광의 종류에 따른 개수를 설명하기 위하여 2-밴드라고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투과되는 파장 대역별 개수를 지정하는 표현이 아니며, 그 개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2-밴드 필터(16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2-밴드 필터(160)는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 중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만을 투과시킨다. 또한, 2-밴드 필터(160)는 400㎚ 내지 650㎚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 을 투과시킨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2-밴드 필터(160)는 가시광과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택일적으로 투과시키는 듀얼 모드 필터(도시되지 않음)로 대체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상기 듀얼 모드 필터는 저조도 환경에서는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을 투과시키고,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듀얼 모드 필터는 저조도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 중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키며, 일반 조도 환경에서 적외광을 차단하고 400nm 내지 650nm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투과시킨다.The dual mode filter is designed to transmit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in a low light environment and to transmit visible light in a general light environment. For example, the dual mode filter transmits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890 nm to 1000 nm among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한편, 상기 듀얼 모드 필터가 외부의 조도 환경에 따라 다른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부(100)는 외부의 조도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외부 조도값을 제어부(400)에 전달하는 조도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dual mode filter to transmit light having a different wavelength band according to an external illuminance environment, the
이 때, 제어부(400)는 상기 조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조도값을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비교하여 외부의 조도 환경을 판단한다. 즉, 제어부(400)는 측정한 외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에는 외부 조도 환경을 저조도 환경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에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의 조도 환경에 따라 상기 듀얼 모드 필터에 모드 선택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모드 선택 신호는 저조도 환경과 일반 모드 환경 중에서 특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The
따라서 상기 듀얼 모드 필터는 제어부(400)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400nm 내지 650nm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킨다. Therefore, the dual mode filter transmits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400 nm to 650 nm in a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and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890 nm to 1000 nm in a low illuminance environment according to a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이와 같이 2-밴드 필터(160) 또는 듀얼 모드 필터가 특정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할 영상 센서(120)의 센싱 감도 및 색재현성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effects of the two-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는 카메라부(1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기판(150) 상의 일 영역에 실장된다. 즉, 기판(150) 상의 일 영역에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는 카메라부(100)로부터 12㎜ 내지 36㎜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또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은 설정된 각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은 16도 내지 28도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vity angle θ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전송부(300)는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와 제어부(400) 간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전송부(300)는 카메라부(100)가 센싱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에 관한 전기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또한, 전송부(300)는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받아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송부(300)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전송부(300)는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와 제어부(400) 간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어부(400)는 카메라부(10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핸드폰과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다라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전송부(300)를 통하여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카메라부(100) 및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배치된 기판(150)의 일 영역과 전송부(300)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기판(150)의 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이격 거리 등을 조절하고, 영상 센서(120)의 센싱 감도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적외광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촬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 acquisi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 등의 복합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하는 경우,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는 적외광을 피사체로 방사하고, 카메라부(100)는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적외광을 센싱하고 이를 전기 신 호로 변경하여 외부의 복합기기 등으로 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이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photographing in a low light environment using a camera module of a multi-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infrared light emitting
한편,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부(100)의 광축과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광선축이 거의 평행에 가깝다. 이에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촬영된 피사체의 눈동자가 백색으로 보이는 현상인 백목 현상 또는 눈동자가 적색으로 보이는 적목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휴대용 기기의 소형화, 디자인의 단순화 등에 따라 상기 백목현상 등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백목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almost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한편,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이격 거리에 따른 백목현상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 및 촬영 사진 등은 도 4a 내지 도 4c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experimental data and photographing pictures for explaining the prevention of white neck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에 따라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광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이 작은 경우에는 피사체의 중앙 부위에 적외광이 집중되어 촬영된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으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이 큰 경우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양이 부족하여 촬영된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 기 집중 포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특정 지향각(θ)을 갖는 적외광을 방사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radiated to the subject may vary according to the directivity angle θ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한편,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에 따른 중앙 포화 현상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 및 촬영 사진 등은 도 5a 내지 도 5c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experimental data and photographing pictures for explaining the prevention of the central satur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θ)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by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도 4a는 도 1의 카메라부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피사체를 실제 촬영한 사진들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격 거리에 따른 사진들의 피사체들의 눈동자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며, 도 4c는 도 4b의 이격 거리와 눈동자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4A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photograph of a subject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mera unit and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of FIG. 1, and FIG. 4B is a table for describing pupil brightness of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FIG. 4A. 4C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and pupil brightness of FIG. 4B.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이격 거리,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 및 피사체를 촬영하는 주위 환경의 밝기를 나타내는 조도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 품질을 실험하였다. 4A to 4C,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본 실험에서,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이격 거리를 8㎜, 10㎜, 12㎜, 20㎜, 28㎜를 측정치로 설정하였으며,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에서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은 20도를 기준치로 설정하였다. 또한, 야간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조도는 0, 5, 10㏓(lux)을 그 측정치로 설정하였다. 한편, 0 내지 10㏓는 모두 어두운 환경 또는 야간에 촬영한 환경의 밝기를 나타내므로, 조도에 대한 실험 데이터 값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실험 데이터 중 조도에 따른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experimen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본 실험에서 피사체의 눈동자가 백색으로 보이는 현상인 백목 현상이 발생을 판단하기 위하여, 눈동자의 색을 나타내는 흑색의 밝기는 7.5 IRE(Institute of Radio Engineers)로 정의한다. 이는 미국 무선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가 흑색 수준의 밝기(휘도)를 7.5 IRE로 정의한데서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IRE는 미국 무선기술자협회(IEEE)가 비디오 전기출력과 휘도,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밝기를 최고밝기의 백분율로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IRE 단위는 IRE에 의해 결정된 TV신호의 진폭을 표시하는 단위로 전기 신호 1.0 V가 140 IRE에 대응된다. 즉, 1 IRE = 7.14 ㎷에 상당한다. 이에 영상 신호에서의 백색은 100 IRE를 말하고, 흑색은 0 IRE를 말한다. 여기서, 0 IRE는 영상 신호 자체가 없는 레벨(즉, Pedestal Level을 말함)을 뜻하므로, 실질적인 흑색 수준의 밝기(휘도)는 7.5 IRE를 말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피사체의 눈동자 색에 대응하는 흑색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는 7.5 IRE 이하 되어야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this experim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the white-eye phenomenon,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ubject's eyes appear white, the brightness of black representing the eye color is defined as 7.5 IRE (Institute of Radio Engineers). This is cited by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which defines the black level of brightness (luminance) as 7.5 IRE. In this case, the IRE expresses the brightness of a video signal as a percentage of the highest brightness to represent a relationship between video electrical output, brightness, and density by the IEEE. In other words, the IRE unit is a unit representing the amplitude of the TV signal determined by the IRE, and the electric signal 1.0 V corresponds to 140 IRE. That is, it corresponds to 1 IRE = 7.14 kHz. Accordingly, white in the video signal refers to 100 IRE, and black refers to 0 IRE. Here, 0 IRE means a level without the video signal itself (ie, Pedestal Level), so the brightness (luminance) of the actual black level is 7.5 IRE.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in order to express the brightness of black corresponding to the eye color of the subject, the eye brightness of the photographed subject should be defined as 7.5 IRE or less.
도 4a를 참조하여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른 백목 현상의 발생을 살펴보면,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0㎜ 이하인 경우,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들에서 백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 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이상인 경우, 백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인 것을 전후하여 임계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들을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ooking at the occurrence of the white neck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른 촬영 사진의 백목 현상의 발생을 살펴보기 위하여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를 측정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는 7.5 IRE 이하인 경우, 흑색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0㎜ 인 경우,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는 26, 28, 32 IRE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1㎜인 경우에도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는 10 IRE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인 경우, 7.2, 6.8, 5.6 IRE 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이격 거리가 12㎜ 인 경우에는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가 미국 무선기술자협회(IEEE)에서 정의한 흑색을 표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이상인 경우,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는 흑색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인 것을 전후하여 임계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이상에서 피사체의 눈동자 밝기뿐만 아니라 피사체 및 주위 환경의 밝기에 대하여, 상기 이격 거리가 12㎜인 경우의 밝기에 대비하여 밝기 변화가 15% 이내인 상기 이격 거리는 36㎜에 상응한다. 따라서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12㎜ 내지 36㎜인 경우에 백목현상이 제거되고 촬영 품질이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B and 4C, the brightness of the eyes of the subject was measured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white eye phenomenon in the photographed pictur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와 같이,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 이상인 경우, 촬영된 피사체에 백목 현상을 제거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5a는 도 1의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에 따라 피사체를 실제 촬영한 사진들이고, 도 5b는 도 5a의 지향각에 따른 사진들의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며, 도 5c는 도 5b의 지향각과 사진들의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5A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photograph of a subject according to a directivity angle of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of FIG. 1, and FIG. 5B is a table for describing brightness of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directivity angle of FIG. 5A. 5C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orientation angle of FIG. 5B and the brightness of photographs.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에 따라 촬영된 사진들의 중앙 밝기, 주변 밝기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 품질을 실험하였다. 5A to 5C,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center brightness and the ambient brightness of the pictures taken according to the directivity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by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본 실험에 있어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는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방사하거나 2-밴드 필터(160)가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키므로, 본 실험에서는 940㎚를 기준치로 설정하였으며, 카메라부(100)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이격 거리는 12㎜를 기준치로 설 정하였다. 그 이유는 상기 이격 거리가 작을수록 촬영된 사진의 밝기에 대한 센싱 감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 거리인 12㎜ 내지 36㎜ 중 최소 이격 거리인 12㎜를 기준치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적외광의 지향각은 4, 11.5, 12, 20, 28, 35도를 측정치로 설정하였다. In the present experiment, since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본 실험에서 피사체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중앙 밝기는 50 IRE 이상이고 주변 밝기는 25 IRE 이상으로 정의한다. 이는 미국 무선기술자협회(IEEE)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저조도 감도 특성을 기준으로 할 때, 최대 밝기인 100 IRE를 기준으로 적정 밝기는 통상적으로 50 IRE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데서 인용한 것이다. 또한, 주변 밝기는 피사체에 대한 중앙 밝기인 50 IRE의 절반인 25 IRE 이상이 되어야 피사체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25 IRE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In this experiment, the center brightness is defined as 50 IRE or more and the ambient brightness is defined as 25 IRE or more. This 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appropriate brightness of 50 IRE or more, based on the maximum brightness of 100 IRE, based on the analog video signal low light sensitivity characteristic of the IEEE. In addition, the peripheral brightness is defined as 25 IRE or more because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only when it is 25 IRE or more, which is half of the central brightness of the subject 50 IR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적외광의 지향각에 촬영 사진의 중앙 밝기 및 주변 밝기를 살펴보면, 지향각이 4도 및 11.5도 인 경우, 중앙 밝기는 100 IRE 및 96 IRE로 측정되었고 주변 밝기는 7 IRE 내지 11 IRE로 측정되었다. 즉, 지향각이 4도 및 11.5도 인 경우,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은 밝기의 중앙 포화 현상이 발생하여 피사체를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촬영 품질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향각이 35도 인 경우, 중앙 밝기는 16 IRE로 측정되었고 주변 밝기는 6 IRE 내지 10 IRE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지향각이 35도 인 경우,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은 전체적으로 어두워서 피사체를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촬영 품질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when looking at the center brightness and the ambient brightness of the photographed photograph at the directivity angle of infrared light, when the directivity angles are 4 degrees and 11.5 degrees, the center brightness is measured at 100 IRE and 96 IRE and the ambient brightness is It was measured from 7 IRE to 11 IRE. That is, when the directivity angles are 4 degrees and 11.5 degrees, the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may be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photographing is degraded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subject due to the central saturation of brightness. In addition, when the orientation angle was 35 degrees, the central brightness was measured at 16 IRE and the ambient brightness was measured at 6 IRE to 10 IRE. Therefore, when the orientation angle is 35 degre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is dark so that the photographing quality is deterior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subject.
이에 반해서, 지향각이 16도 내지 28인 경우, 중앙 밝기는 56 IRE 내지 69 IRE로 측정되었으며 주변 밝기는 25 IRE 내지 30 IRE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지향각이 16도 내지 28인 경우, 중앙 포화 현상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어두운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촬영 품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들을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contrast, when the orientation angle was 16 degrees to 28 degrees, the central brightness was measured at 56 IRE to 69 IRE and the ambient brightness was measured at 25 IRE to 30 IRE. Therefore, when the orientation angle is 16 degrees to 28 degrees, not only the central saturation phenomenon but also the overall dark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hotographing quality is excellent. Of course,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when the photographs of the subjects are visually observed.
도 5c를 참조하여 적외광의 지향각에 따른 중앙 포화 현상의 발생 여부를 살펴보면, 지향각이 16도 내지 28도 인 경우에 피사체의 중앙 밝기가 56 IRE 내지 69 IRE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지향각이 16도 내지 28도 인 경우, 피사체에 중앙 포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방사하는 적외광의 지향각이 16도 내지 28도 인 경우를 전후하여 임계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C, the central satur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directivity angle of infrared light is generated. When the directivity angle is 16 degrees to 28 degrees, the center brightness of the subject is measured to be 56 IRE to 69 IRE. Therefore, when the orientation angle is 16 degrees to 28 degrees,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 satura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in the subje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ritical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the case where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이와 같이,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의 적외광의 지향각이 16도 내지 28도인 경우, 촬영된 피사체의 중앙 밝기 및 주변 밝기가 효율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자향각을 조절하여 광이 피사체의 중앙에 집중되는 집중 포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infrared light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도 6a는 입사광의 파장에 따른 필터의 분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적외광의 파장에 따른 영상 센서의 센서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c는 R, G, B 성분을 갖는 광의 파장에 따른 영상 센서의 센서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6A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incident light, FIG. 6B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ensor sensitivity of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infrared light, and FIG. 6C is a graph of the light having R, G, and B components. It is a graph showing the sensor sensitivity of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2-밴드 필터(160)는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과 적외광 만이 투과시킨다. 도 6a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파장대에 대한 2-밴드 필터(160)의 분광 특성이 400nm 내지 650nm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과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에서 방사되는 적외광 성분 중 890nm 내지 1000nm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에 대해서만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100)의 영상 센서(120)는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에서 방사되는 적외광 중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만을 센싱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2-밴드 필터(160)는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을 투과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반 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에 대하여 상기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된다. 즉, 2-밴드 필터(160)는 일반 조도 환경에서 적외광을 상대적으로 적게 투과시키면서, 저조도 환경에서는 적외광을 상대적으로 많이 투과시키도록 설계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여기서, 일반 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은 일반 카메라 화질 평가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정해진다. 상기 화질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ISP(Image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튜닝을 실시하여 튜닝 가능한 일반 조도 환경에서의 적외광의 양을 정한다. 이와 같이, 일반 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은 사전에 튜닝에 의하여 특정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Herein,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is determined within the limit that can satisfy the general camera quality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satisfy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tuning is performed using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to determin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in a tunable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As such,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may be determined within a specific range by tuning in advance.
여기서, 일반 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은 2-밴드 필터(160)의 투과율과 영상 센서(120)의 분광 특성을 곱한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분광 특성과 2-밴드 필터(160)의 투과율과 영상 센서(120)의 분광 특성을 곱한 값에 의하여 결정 된다. Herein,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the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transmittance of the two-
예를 들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분광 특성 및 영상 센서(120)의 분광 특성의 범위가 고정된 경우, 저조도 환경에서 투과되는 적외광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2-밴드 필터(160)의 투과율을 30% 내지 70% 내에서 조절한다. For example, when the ranges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도 6a는 상기 방법에 의하여진 최적의 필터 그래프이다. 도시된 필터 분광 곡선은 투과율, 밴드 폭 및 밴드최대투과율의 파장값을 포함한 최적의 값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툴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6A is a graph of the optimum filter produced by the method. The filter spectral curves shown can be obtained by computer simulation tools with optimal values including wavelength values of transmission, band width and band maximum transmission.
한편,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분광 특성 및 영상 센서(120)의 분광 특성이 온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도 일반 조도 환경에서의 적외광 및 저조도 환경에서의 적외광의 변화치가 크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한편, 영상 센서(120)는 입력되는 파장이 큰 경우, 그 센싱 감도가 급격하게 떨어진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파장대가 890㎚ 내지 1000㎚인 경우에는 영상 센서(120)의 센싱 감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velength of the
이에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가시광과 적외광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영상 센서(120)에는 가시광과 적외광이 모두 입사될 수 있다. 이에 투과된 적외광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에 색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들을 촬영하는 경우에 적외광을 많이 반사하는 식물들의 영상에 녹색(G) 성분의 재현이 어려워진다. 도 6d를 참조하면, 녹색 성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식물들의 영상에서 색재현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간 촬영 시 입사되는 적외광을 최소화 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since both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exist, both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may be incident on the
이에 영상 센서(120)의 센싱 감도를 상대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2-밴드 필터(160)가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영상 센서(120)는 2-밴드 필터(160)에서 선택적으로 투과된 890㎚ 내지 1000㎚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 만을 센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 센서(120)가 센싱하는 적외광 성분의 파장대를 영상 센서(120)의 센싱 감도가 낮은 890㎚ 내지 1000㎚로 한정함으로써, 주간에서의 색재현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촬영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영상 센서(120)가 센싱하는 적외광의 파장대가 890㎚ 내지 1000㎚인 경우, 녹색 성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식물들의 영상이 도 6d의 영상과 비교하여 색재현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relatively lower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의 조도 환경이 일반 조도 환경인 경우에 듀얼 모드 필터는 가시광만을 투과시킨다. 즉, 듀얼 모드 필터는 저조도 환경에서는 특정 파장대의 적외광만을 투과시키고 일반 조도 환경에서는 적외광을 차단하고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mode filter transmits only visible light when the external illumination environment is a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That is, the dual mode filter transmits only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in a low light environment, and blocks infrared light and transmits visible light in a general light environment.
따라서 일반 조도 환경에서 카메라부(100)의 2-밴드 필터(160)는 적외광 이외에 400㎚ 내지 650㎚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듀얼 모드 필터는 400㎚ 내지 650㎚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영상 센서(120)가 400㎚ 내지 650㎚의 파장대를 갖는 가시광을 센싱함으로써, 영상 센서(120)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00)가 가시광에 대해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general illumination environment, the two-
또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θ)은 16도 내지 28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지향각(θ)이라 함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의 광축으로부터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전체 적외광의 각도 범위(range)를 말한다. 이에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광도가 일정한 경우, 지향각(θ)의 크기에 따라 방사되는 적외광의 광밀도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지향각(θ)이 작으면 상기 피사체의 특정 부분에 도달하는 적외광의 광도가 높아지고, 지향각(θ)이 크면 상기 피사체의 상기 특정 부분에 도달하는 적외광의 광도가 작아진다. 즉, 지향각(θ)이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의 중앙 부분은 밝은데 반하여 주변 부분이 어두워질 수 있다. 반대로, 지향각(θ)이 큰 경우, 상기 피사체의 중앙 부분과 주변 부분이 모두 어두워 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가 16도 내지 28도의 지향각을 갖는 적외광을 방사함으로써, 촬영 대상인 피사체 및 주변의 밝기를 최적의 조건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vity angle θ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나아가, 일반 조도 환경에서 적외광이 입사되어 색재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밴드 필터(160)가 센싱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파장대의 적외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일반 조도 환경에서 듀얼 모드 필터는 적외광을 차단한다. 이에 일반 조도 환경에서 영상 센서(120)는 입사되는 가시광을 중심으로 피사체를 센싱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infrared light from being incident in a general illuminance environment and degrading color reproducibility, the two-
이와 같이,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에서 방사되는 적외광의 파장대 및 지향각(θ)을 특정하고,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200)와 카메라부(100)의 이격 거리를 12㎜ 이상 유지하며, 2-밴드 필터(160)가 특정 파장대의 광만을 투과시킴으로 써, 촬영 시 또는 영상 통화시 발생하는 백목 현상, 중앙 포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wavelength band and the directivity angle θ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도 7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및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이 없는 야간에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야간에 촬영된 영상과 기존 휴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야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ubject is photographed at night without lighting by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7 is a diagram for comparing an image photographed at night using a
도 7을 참조하면, 조명이 거의 없는 경우 또는 야간의 경우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500)로 촬영된 영상은 피사체를 거의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화질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조명이 거의 없는 경우 또는 야간의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600)로 촬영된 영상은 피사체의 형상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화질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명이 거의 없는 경우 또는 야간의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600)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 시, 촬영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된 사진, 영상 등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case where there is little illumination or at night, the image captured by the conventional
한편, 도 7에 도시된 휴대형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휴대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단말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modu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ll terminals to which a camera module with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is applied.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는 카메라 폰, 영상 통화 폰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선박용, 항공용 블랙박스 등을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블랙박스의 경우에 저조도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phone, a video call phone, as well as a vehicle, ship, and aviation black box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cently used black box is often used in a low light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amera unit illustrated in FIG. 1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 acquisi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1의 카메라부와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피사체를 실제 촬영한 사진들이다. FIG. 4A illustrates photographs of an actual photograph of a subject according to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mera unit and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of FIG. 1.
도 4b는 도 4a의 이격 거리에 따른 피사체들의 눈동자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FIG. 4B is a table for describing pupil brightness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FIG. 4A.
도 4c는 도 4b의 이격 거리와 눈동자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4C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pupil brightness of FIG. 4B.
도 5a는 도 1의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지향각에 따라 피사체를 실제 촬영한 사진들이다. FIG. 5A illustrates photographs of an actual photograph of a subject according to a direction angle of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unit of FIG. 1.
도 5b는 도 5a의 지향각에 따른 사진들의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FIG. 5B is a table for describing brightness of pictur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angle of FIG. 5A.
도 5c는 도 5b의 지향각과 사진들의 밝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FIG. 5C is a graph for describing the direction angle of FIG. 5B and the brightness of photographs.
도 6a는 입사광의 파장에 따른 필터의 분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6A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incident light.
도 6b 및 도 6c는 입사광의 파장에 따른 영상 센서의 센서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6B and 6C are graphs illustrating sensor sensitivity of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wavelengths of incident light.
도 6d 및 도 6e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갖는 적외광에 기반하여 피사체를 실 제 촬영한 사진들이다. 6D and 6E are photographs of actually photographing a subject based on infrared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 bands.
도 7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및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이 없는 야간에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ubject is photographed at night without lighting by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CIS 카메라부 110 : 집광렌즈100: CIS camera unit 110: condensing lens
120 : 영상 센서 130 : 하우징120: image sensor 130: housing
140 : 본딩용 와이어 150 : 회로 기판140: bonding wire 150: circuit board
160 : 2-밴드 필터 200 : 적외광 발광 다이오드부160: two-band filter 200: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portion
300 : 전송부 400 : 제어부300: transmission unit 400: control unit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451 | 2008-11-25 | ||
KR20080117451 | 2008-11-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681A KR20100059681A (en) | 2010-06-04 |
KR101056168B1 true KR101056168B1 (en) | 2011-08-11 |
Family
ID=4236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3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6168B1 (en) | 2008-11-25 | 2009-10-29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616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9043A (en) * | 2016-05-16 | 2017-11-24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device and image management system |
KR20170132653A (en) * | 2016-05-24 | 2017-12-04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device and image management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08542B2 (en) | 2009-03-02 | 2015-12-08 | Flir Systems, Inc. |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
US9635285B2 (en) | 2009-03-02 | 2017-04-25 | Flir Systems, Inc. |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
US9451183B2 (en) | 2009-03-02 | 2016-09-20 | Flir Systems, Inc. |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
US9756264B2 (en) | 2009-03-02 | 2017-09-05 | Flir Systems, Inc. | Anomalous pixel detection |
US9843742B2 (en) | 2009-03-02 | 2017-12-12 | Flir Systems, Inc. |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
US9948872B2 (en) | 2009-03-02 | 2018-04-17 | Flir Systems, Inc. |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
US9235876B2 (en) | 2009-03-02 | 2016-01-12 | Flir Systems, Inc. |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
US9674458B2 (en) | 2009-06-03 | 2017-06-06 | Flir Systems, Inc. |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
US10244190B2 (en) | 2009-03-02 | 2019-03-26 | Flir Systems, Inc. |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
US9986175B2 (en) | 2009-03-02 | 2018-05-29 | Flir Systems, Inc. |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
US9517679B2 (en) | 2009-03-02 | 2016-12-13 | Flir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
US9473681B2 (en) | 2011-06-10 | 2016-10-18 | Flir Systems, Inc. |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
US10757308B2 (en) | 2009-03-02 | 2020-08-25 | Flir Systems, Inc. |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
US9998697B2 (en) | 2009-03-02 | 2018-06-12 | Flir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
USD765081S1 (en) | 2012-05-25 | 2016-08-30 | Flir Systems, Inc. |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
US9819880B2 (en) | 2009-06-03 | 2017-11-14 | Flir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
US9292909B2 (en) | 2009-06-03 | 2016-03-22 | Flir Systems, Inc. |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
US10091439B2 (en) | 2009-06-03 | 2018-10-02 | Flir Systems, Inc. |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
US9716843B2 (en) | 2009-06-03 | 2017-07-25 | Flir Systems, Inc. |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
US9843743B2 (en) | 2009-06-03 | 2017-12-12 | Flir Systems, Inc. | Inf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rmal imaging |
US9756262B2 (en) | 2009-06-03 | 2017-09-05 | Flir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
US9706138B2 (en) | 2010-04-23 | 2017-07-11 | Flir Systems, Inc. |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
US9207708B2 (en) | 2010-04-23 | 2015-12-08 | Flir Systems, Inc. |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
US9918023B2 (en) | 2010-04-23 | 2018-03-13 | Flir Systems, Inc. | Segmented focal plane array architecture |
US9848134B2 (en) | 2010-04-23 | 2017-12-19 | Flir Systems, Inc. |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
US10051210B2 (en) | 2011-06-10 | 2018-08-14 | Flir Systems, Inc. |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
US10389953B2 (en) | 2011-06-10 | 2019-08-20 | Flir Systems, Inc. |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
US9900526B2 (en) | 2011-06-10 | 2018-02-20 | Flir Systems, Inc. |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
US9058653B1 (en) | 2011-06-10 | 2015-06-16 | Flir Systems, Inc. |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
US9509924B2 (en) | 2011-06-10 | 2016-11-29 | Flir Systems, Inc. |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
CN103875235B (en) | 2011-06-10 | 2018-10-12 | 菲力尔系统公司 | Nonuniformity Correction for infreared imaging device |
US9961277B2 (en) | 2011-06-10 | 2018-05-01 | Flir Systems, Inc. |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
US9235023B2 (en) | 2011-06-10 | 2016-01-12 | Flir Systems, Inc. | Variable lens sleeve spacer |
US10169666B2 (en) | 2011-06-10 | 2019-01-01 | Flir Systems, Inc. |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
US9706137B2 (en) | 2011-06-10 | 2017-07-11 | Flir Systems, Inc. |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
KR101808375B1 (en) | 2011-06-10 | 2017-12-12 | 플리어 시스템즈, 인크. | Low power and small form factor infrared imaging |
US10841508B2 (en) | 2011-06-10 | 2020-11-17 | Flir Systems, Inc. |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
US9143703B2 (en) | 2011-06-10 | 2015-09-22 | Flir Systems, Inc. |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
US10079982B2 (en) | 2011-06-10 | 2018-09-18 | Flir Systems, Inc. |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
CN103828343B (en) | 2011-06-10 | 2017-07-11 | 菲力尔系统公司 | Based on capable image procossing and flexible storage system |
CN104620282B (en) | 2012-07-16 | 2018-01-12 | 菲力尔系统公司 | For suppressing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noise in image |
US9811884B2 (en) | 2012-07-16 | 2017-11-07 | Flir System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
WO2014014238A1 (en) | 2012-07-17 | 2014-01-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
US9973692B2 (en) | 2013-10-03 | 2018-05-15 | Flir Systems, Inc. |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
US11297264B2 (en) | 2014-01-05 | 2022-04-05 | Teledyne Fur, Llc |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893B1 (en) * | 2005-01-21 | 2007-06-14 | 주식회사 에스원 |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
KR100866476B1 (en) * | 2007-09-05 | 2008-11-03 | 크라제비나(주)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2009
- 2009-10-29 KR KR1020090103628A patent/KR1010561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893B1 (en) * | 2005-01-21 | 2007-06-14 | 주식회사 에스원 |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
KR100866476B1 (en) * | 2007-09-05 | 2008-11-03 | 크라제비나(주)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9043A (en) * | 2016-05-16 | 2017-11-24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device and image management system |
KR20170132653A (en) * | 2016-05-24 | 2017-12-04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device and image managem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681A (en) | 2010-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6168B1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0866476B1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0866475B1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2184916B1 (en) |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038830B1 (en) | Day and night camera module | |
US20130057724A1 (en) | Imaging element and imaging apparatus | |
US7112779B2 (en) | Optical apparatus and beam splitter | |
WO2015011900A1 (en) | Solid state image sens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 |
JP5404122B2 (en) | Focus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camera | |
US20070264002A1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7576792B2 (en) | Lens module for digital camera | |
JP2009118359A (en) |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 |
EP1938585B1 (en) | Optical recording apparatus for wireless equipment | |
KR102493531B1 (en) |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
JP2008236032A (en) | Imaging device | |
CN103379273A (en) | Imaging device | |
US10264167B2 (en) | Imaging apparatus | |
CN107786792B (en) | Camera module | |
WO2021157324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230388648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80037557A (en) | Iris scan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04186721A (en) | Camera | |
JP5153441B2 (en) |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 |
KR20090036332A (en) | Night Camera Module | |
US7477311B2 (en) | Image-taking apparatus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