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5849B1 -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849B1
KR101055849B1 KR1020100117160A KR20100117160A KR101055849B1 KR 101055849 B1 KR101055849 B1 KR 101055849B1 KR 1020100117160 A KR1020100117160 A KR 1020100117160A KR 20100117160 A KR20100117160 A KR 20100117160A KR 101055849 B1 KR101055849 B1 KR 10105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eed
pellets
pelle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송기천
한정균
박진오
이지원
김용길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085Bacillus cere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와 (a)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에 넣고 7 ~ 30 분간 혼합한 후 분쇄기에서 10 ~ 60 분 동안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쇄된 조성물을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펠렛으로 성형하고 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 펠렛 사료를 사용하여 축양하는 경우, 생체 방어기전이 강화되어 치어기에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으며,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에 의한 질병에 잘 걸리지 않아 폐사율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항생제의 사용 없이도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양식 방법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Fish farming feed for preventing ciliate and bacterial disea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닷물 속에 상존하는 섬모충 및 병원성 세균들의 공격 속에서 양식 어류의 폐사율을 줄이고, 항생제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포함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양식 어류에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는 병원성 세균으로는 플레시박터 마리티무스(Flexibacter maritimus), 에드워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비브리오 하르베이(Vibrio harveyi), 비브리오 오르달리(Vibrio ordalli),비브리오 이치오엔테리(Vibrio ichthyoenteri), 스트렙토코쿠수(연쇄구균) 이니아에(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 포토박테리움 돔셀라(Photobacterium domsela), 노카르디아(Nocardia sp)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 병원성 세균의 대부분은 육지 동물의 장내에 존재하는 세균이거나 토양 미생물들로서, 강물을 따라 바다로 들어가 일정 기간 서식하면서 바다 생물을 감염시키고, 먹이 사슬에 의하여 어류에서 어류로 2 차 감염되는 역학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름철 폭우로 인해 강물이 범람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바다의 병원성 미생물 개체수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양식 어류을 공격함으로 여러 형태의 어병(魚病)을 발생시켜 대량 폐사을 유발시키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최근에는 가두리 양식장과 육상 수조 양식장 할 것 없이 사료 잔여물이 바다 속에서 부패하여 바다를 부영양화시킴으로써, 병원성 미생물 등의 증식은 계절을 가리지 않고 계속 진행되어 어병의 심각성은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병원성 세균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아목사실린(Amoxycillin),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에리스로마이신 치오시아네이트(Erythromycin thiocyanate), 세팔레키신(Cephalexin), 옥소린산(Oxolinic acid), 플로르페니콜(Florphenicol),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등의 항생제 및 화학 요법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수계(바닷물과 강물)와 생(生)사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병원성 세균 때문에 상기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의 투약을 중단하면 질병이 재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고가의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투약하는 것은 양식어 등의 생산원가를 높여 가격을 폭등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데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수산물 품질관리법, 수산 동물 질병관리법 등에 의거하여 모든 항생제에 5 ~ 30 일간의 휴약 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어류를 판매(출하)하기 전 항생제 잔류검사를 거쳐 항생제가 검출되지 않는 어류만을 판매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항생제로 어병을 퇴치한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어병에 걸린 어류는 섭이 활동(먹이를 섭취하는 활동)이 약해져 항생제를 사료에 혼합한 후 공급하더라도 이를 잘 섭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항생제 내성을 갖는 병원성 세균의 증가로 인해 항생제 치료법은 날이 갈수록 효력을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 백신 개발이었으며, 상기 개발의 결과로 스트렙토코쿠수 이니아에(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 prauberis), 에드워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와 같은 3 종의 병원성 세균에는 백신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어류의 획득 면역 능력이 낮아 그 효과가 그리 크지 못하고, 다른 종류의 세균에 대한 백신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어병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다각적인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병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폐사어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병원성 세균의 일종인 연쇄상 구균에 의한 피해만도 전세계적으로 1 년에 약 1억 달러 이상으로 집계되어 있다.
상기 병원성 세균 뿐만 아니라 원생동물군으로 분류되는 섬모충에 의한 감염 문제 역시 극심한 실정이다. 섬모충으로는 익티오보도 네카토(Ichthyobodo necator), 트리코디나(Trichodina), 스쿠치카충(Scuticocilate), 크립토케리온 이리탄스(Cryptocaryon irritans), 아메바(Amoeba), 베네데니아(Benedenia), 네오베네데니아 기렐라(Neobenedenia girellae), 자이로덕틸러스(Gyroductylus) 등이 있다. 이들 섬모충은 주로 20 cm (체중 100 g) 미만의 치어기에 어류 표피에 달라붙어 궤양성 질병을 일으키거나, 아가미, 비강 또는 구강 등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각종 기관에 증식함으로 폐사를 일으키게 된다.
이들 섬모충은 원래 바다 생태계에 상존하는 원생동물이므로 자연 상태의 어류나 양식 상태의 어류나 똑같은 상황이지만 양식 환경의 경우 자연 상태보다 밀식되고 바닷물의 회전 횟수가 적어 표피 등에 달라붙어 기생하기가 더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섬모충에 의한 질병은 자연 환경보다는 양식 환경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이들 섬모충이 어류 표피에 달라붙으면 바닷물의 회전수를 늘리거나 과산화수소로 약욕을 시키거나 또는 담수욕을 통해 이를 일시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으나, 짧은 시일 내에 또다시 재발하게 되어 누적 폐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어병들의 경우 한번 발생한 후에는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류가 병원성 세균 또는 원생동물과 함께 살아가면서 이들과 싸워 이겨내는 생체방어시스템의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어병 해결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류의 생체방어시스템 강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현재 양식 산업에 있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연구한 결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포함한 양어용 펠렛 사료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어류를 축양하는 경우 어류의 생체방어시스템을 강화시켜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피해를 막을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펠렛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에 넣고 7 ~ 30 분간 혼합한 후 분쇄기에서 10 ~ 60 분 동안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쇄된 조성물을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펠렛으로 성형하고 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어용 펠렛 사료를 사용하여 어류를 축양하는 경우 어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생체 방어기전이 보강 및 강화되어 어류가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치어기에 많이 걸리는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에 의한 질병에 쉽게 걸리지 않아 폐사율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항생제의 투약 없이도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양식 방법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항생제 사용에 의한 기존 어병 퇴치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양식 어민들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사료(EP)로 축양한 광어를 나타낸 사진이다(어병에 걸리지 않은 정상어).
도 2는 일반 팽화 부상 펠렛 사료(EP)로 축양한 광어를 나타낸 사진이다(건강 상태가 나쁜 비정상어).
도 3은 일반 팽화 부상 펠렛 사료(EP)로 축양한 광어를 나타낸 사진이다[병원성 세균(연쇄구균, 에드워드)에 감염된 비정상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어용 사료 제조 시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공지된 종으로 시중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페인 루비넘(Rubinum)사의 도요세린(Toyocerine) 등을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Bacillus cereus Toyoi)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성형된 펠렛 사료 1 g 당 101 ~ 1012 cfu 범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 ~ 1012 cfu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101 cfu/g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는 경우 장내에 침입한 병원성 세균수보다 개체수가 적어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12 cfu/g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경제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균주 농축 기술상에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fu 범위는 배산 희석방법를 통해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펠렛 사료를 이용해 어류를 축양하는 경우, 바닷물과 함께 어류의 구강으로 들어와 장내에서 증식하는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 등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병원성 세균보다 10 배 내지 1000 배 이상 더 많은 어류 프로바이오틱스(유익균)를 성형 펠렛 사료 제조 시 배합한 후 이를 사료로 사용하여 어류를 축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어류의 장내에서 증식하는 병원성 세균보다 프로바이오틱스를 먼저 더 활발하게 증식시켜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또는 이미 증식된 병원성 세균을 사멸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해수 중에는 총 균수(병원성 및 비병원성 세균의 총 균수)가 103 cfu/g를 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병원성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펠렛 사료 중에 프로바이오틱스가 104 cfu/g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현재 장내로 침입한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 퇴치를 위한 목적으로 육상동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L.카세이(L.casei), L.플랜타룸(L.plantarum), L.비피더스(L. bifidus), 스트렙토코쿠스 파칼리스(Streptococcus facalis), 엔테로코쿠스 파시움(Enterococcus faci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해 펠렛 사료를 성형하는 경우 펠렛 사료 내에 상기 프로바이오틱스가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일부 살아 있어도 102 cfu/g 미만으로 섬모충 또는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가 살아남지 못하는 것은 펠렛 성형의 압착 및 팽화 과정의 높은 온도(120 ~ 130 ℃)일 것이라는 판단 하에, 팽화 후 냉각한 다음 어유(Fish oil) 코팅액에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넣고 코팅하여 줌으로써 고온 조건을 피하여 실험하였지만, 이 경우 역시 어류의 장내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거의 살아남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 밖에 어류의 장내에서 증식하고 있는 유익균주를 찾아내기 위하여 어류 장내 세균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섭이시키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균주가 항상 다르고 특정한 유익균주가 없다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국 일반적인 프로바이오틱스의 경우 어류의 장내에서 쉽게 정착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여러 시행착오를 거친 후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배합한 성형 펠렛 사료를 제조하여 어류에게 섭이시킨 후 생균측정 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매우 높은 수치로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장내에서 정착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 펠렛 사료를 이용하여 어류를 축양한 결과 예상대로 스쿠치카와 같은 섬모충 및 병원성 세균에 의한 질병 발생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국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포함하는 펠렛 사료로 이용하여 축양하는 경우 생 사료 및 바닷물과 함께 어류의 구강으로 들어와 장내에 증식하는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의 효과적인 퇴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여기에 아미노산 및 비타민C 유도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키틴(또는 키토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표피에 붙어 기생 및 증식하면서 질병을 일으키는 섬모충 및 병원성 세균에 의한 질병 예방 및 퇴치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포함한 펠렛 사료에 아미노산 0.1 ~ 20.0 중량%와 비타민C 유도체 0.1 ~ 2.0 중량%를 포함하거나, 또는 키틴(또는 키토산) 0.1 ~ 3.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을 모두 포함한다.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의 침입 경로 중에는 어류의 표피에 달라붙어 기생하면서 질병을 일으키거나 증식하여 몸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이 표피에 달라붙은 어류의 경우 점액질을 과다하게 분비하고, 표피가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병원성 세균 및 원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어류의 생리적 현상이라 판단하였으며, 이에 어류의 표피를 보다 튼튼하게 하고 점액질을 지속적으로 분비하여 방어 기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어류의 표피를 이루고 있는 피부 단백질 중 콜라겐(Collagen)의 결체 조직이 질기고 두꺼울수록 병원성 세균 및 원생동물이 달라붙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점액질이 지속적으로 분비될수록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어류 생체 내에서 콜라겐(Collagen) 단백질 및 점액질 합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펠렛 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미노산과 비타민C 유도체 또는 키틴(또는 키토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펠렛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미노산은 생체 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겐 구성 아미노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글리신(Glycine), 프롤린(Proline),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yine), 라이신(Lysine), 하이드록시라이신(Hydroxylysine) 및 글루탐산(Glutam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시중에서 판매 중인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리신(Glycine), 프롤린(Proline),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yine), 라이신(Lysine), 하이드록시라이신(Hydroxylysine) 및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Fish Soluble Concentrate, 페루 디아만테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의 함량은 펠렛 사료를 기준으로 0.1 ~ 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아미노산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는 경우 피부 단백질 생합성 기여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20.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아미노산 과혈증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글리신(Glycine), 프롤린(Proline),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yine), 라이신(Lysine), 하이드록시라이신(Hydroxylysine) 및 글루탐산(Glutamic acid)은 각각 차례대로 1 : 5~7 : 3~4 : 3~4 : 7~9 : 11~13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어류의 피부 단백질 아미노산 구성 비율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타민C 유도체의 경우 생체 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에 안정한 인산염비타민C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L-Ascorbic acid-2-phosphate) 또는 L-아스코르브산-2-포스포러스 에스터 마그네슘(L-Ascorbic acid-2-phosphorus ester Magnesiu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타민C 유도체의 함량은 펠렛 사료를 기준으로 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비타민C 유도체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생체요구량에 미치지 못해 피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비타민C 유도체의 분해산물에 의한 부작용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틴(Chitin) 또는 키토산(Chitosan)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또는 글루코사민(Glucosamine)의 전구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류 점액질을 채취하여 각종 당류 및 아미노산 확인 시험을 거쳤으며, 그 결과 당류로는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글루코사민(Glucosamine)을 검출하였으며, 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라긴(Asparagine), 아스파트산(Aspartic acid)을 검출하였으며, 점액질의 구성 성분은 상기 당류 및 상기 아미노산이 결합된 당단백질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점액질을 지속적으로 분비하여 병원성 세균 및 섬모충을 사멸시키거나 퇴치하기 위하여, 상기 점액질의 구성성분 중 당류인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글루코사민(Glucosamine)의 전구물질인 키틴(Chitin) 또는 키토산(Chitos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틴 또는 키토산은 펠렛 사료를 기준으로 0.1 ~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키틴 또는 키토산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는 경우 점액질 합성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위와 장에서 충분히 소화분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비타민C 유도체 및 키틴(또는 키토산)을 포함한 펠렛 사료를 어류에게 섭이시켜 축양한 결과, 이들이 포함되지 않는 펠렛 사료를 섭이시켜 축양한 경우에 비해 육안으로 관찰 시에도 피부에 탄력이 있으며, 빨리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어용 펠렛 사료에 어류 생체 내에서 점액질을 연속적으로 다량 분비할 수 있게 해주는 영양성분(면역성분)인 키틴 또는 키토산을 포함하며, 어류의 피부를 강하게 만들어 주는 특정 아미노산 및 생체 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비타민C를 배합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높이고, 어류 장내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펠렛은 반습식 팽화 펠렛(SMP), 팽화 펠렛(EP), 습식 펠렛(MP)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양어용 펠렛 사료 제조방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a)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에 7 ~ 30 분간 혼합한 후 분쇄기에서 10 ~ 60 분 동안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쇄된 조성물을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펠렛으로 성형하고 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d) 상기 냉각된 펠렛을 오일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펠렛이 물에서 부스러지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좋다.
상기 (a) 단계의 사료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 0.1 ~ 20.0 중량% 및 비타민C 유도체 0.1 ~ 2.0 중량%를 포함하거나 또는 키틴 또는 키토산 0.1 ~ 3.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펠렛 사료를 제조하는 경우, 생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사멸하지 않고 살아 있으며, 비타민C 유도체가 파괴되지 않아, 유효성분의 손실 없이 펠렛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 반습식 팽화 펠렛(SMP)과 팽화 펠렛 ( EP ) 사료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SMP 및 EP 펠렛 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펠렛 사료 조성을 이용하였다. 아미노산의 공급원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키틴의 공급원으로 남극크릴밀을 사용하였다. 또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를 0.1 중량%로 사용하여 최종 펠렛 사료 1 g 당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가 5 x 109 cfu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가) 펠렛 사료 조성물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Rubinum사, Toyocerine제품).. 0.1 중량%
어분(페루산 슈퍼 프라임급).......................... 50.0 중량%
(조성: 단백질 67-69 %, 지방 7-10 %, 회분 15-20 %, 기타)
남극크릴밀(노르웨이 아커사)......................... 20.0 중량%
(조성: 단백질 56-66 %, 지방 12-23 %, 키틴 2-4 %, 회분 5-13 %, 기타)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페루 디아만테사).............. 3.0 중량%
(조성: 단백질 48-52 %, 지방 0.2-4 %, 회분 14-19 %,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10-30 %, 기타)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0.3 중량%
밀가루(소맥분)...................................... 12.0 중량%
컬프밀(중국 Fuchou사 제품)........................... 3.0 중량%
미네랄 프리믹스(다원케미칼 제품)..................... 0.5 중량%
레씨친............................................... 0.5 중량%
메치오닌............................................. 0.1 중량%
어유(정어리유)....................................... 1.0 중량%
수증기 .............................................. 9.5 중량%
(나) 혼합 및 분쇄
상기 (가)의 조성물을 혼합기에 넣고 20 분간 골고루 혼합한 다음 분쇄기로 옮겨 30 분간 가동하여 80 메쉬가 되게 분쇄하였다.
(다) 팽화 및 냉각
상기 (나)의 분쇄된 조성물을 팽화기에 넣고 수증기를 보내어 팽화시켜 팽화 부상 펠렛으로 성형하고 성형한 펠렛을 에어쿨러로 냉각하였다.
(라) 오일코팅 과정을 통한 SMP 또는 EP 의 제조
상기 (다)의 펠렛을 냉각한 다음 오일코팅 후 수분이 22 % 전후가 되도록 반습식 팽화 펠렛(SMP, Semi Moisture Pellet) 형태로 제작하였으며(실시예 1), 이와는 별도로 수분이 10 %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오일코팅하여 팽화 펠렛(Extruder Pellet)의 형태로도 제조하였다(실시예 2).
실시예 3 : 습식( MP ) 펠렛 사료의 제조
본 발명의 MP 펠렛 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펠렛 사료 조성을 이용하였다.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를 0.1 중량%로 사용하여 최종 펠렛 사료 1 g 당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가 5 x 109 cfu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가) 펠렛 사료의 조성물
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Rubinum사, Toyocerine제품).. 0.1 중량%
남극크릴밀(노르웨이 아커사)......................... 20.0 중량%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페루 디아만테사).............. 3.0 중량%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0.3 중량%
냉동 고등어(한국산)................................. 41.1 중량%
냉동 멸치(한국산)................................... 20.0 중량%
시판 배합사료(CJ사, 양어용 배합사료)................ 12.0 중량%
켈프밀(중국 Fuchou사)................................ 3.0 중량%
미네랄 프리믹스(다원케미칼 제품)..................... 0.5 중량%
(나) 혼합, 분쇄 및 성형
상기 (가)의 조성물을 펠렛기에 넣고 20 분간 교반한 다음 압착하여 MP 펠렛을 제조한 후 -20 ℃로 냉동하여 보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반습식 팽화 펠렛(SMP) 사료와의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이 제외되어 있는 제품(제품명: 유레카, 제조사: 대봉엘에프영어조합법인)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SMP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성분비: 실시예 1의 성분 중 3 가지(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 남극크릴밀,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 성분이 제외되었으며, 제외된 성분은 어분으로 충당된 제품.
비교예 2
실시예 2의 팽화 펠렛(EP) 사료와의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이 제외되어 있는 제품(제품명: 유레카, 제조사: 대봉엘에프영어조합법인)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EP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성분비: 실시예 2의 성분 중 3 가지(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 남극크릴밀,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 성분이 제외되었으며, 제외된 성분은 어분으로 충당된 제품.
비교예 3
실시예 3의 습식(MP) 펠렛 사료와의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이 제외되어 있는 제품(생사료, 제조사: 비봉수산)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MP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성분비: 실시예 3의 성분 중 3 가지(바실러스 세레우스 도요이, 남극크릴밀, 피쉬솔루블콘센추레이트) 성분이 제외되었으며, 제외된 성분은 냉동 멸치로 충당된 제품.
실험예 : 섬모충 ( 스쿠치카 ) 및 세균성 질병에 대한 저항성 실험
(1)축양시험
① 어류의 입식
⒜ 종묘 축양 시험
평균 8 cm의 종묘를 직경 8 m 크기의 수조 6 개에 10,000 마리씩 넣었다. 종묘는 동일한 친어의 난으로부터 부환된 것으로 한날한시 같은 조건으로 부화한 것을 입식하였다.
⒝ 육성어 축양 시험
동일한 난에서 부화되어 종묘 축양 단계를 거친 평균중량 180 g 광어 10,000 마리씩을 10 m 수조 6 개에 넣었다.
② 수조 분류
6개 수조를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으로 번호을 부여하고 실시예 1 수조에는 상기 실시예 1의 SMP형 사료를, 실시예 2 수조에는 상기 실시예 2의 EP형 사료를, 실시예 3 수조에는 상기 실시예 3의 MP형 사료을 각각 이용하였으며, 비교예 1 ~ 3의 수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판 사료를 이용하여 섭이시켰다.
③ 섭이
⒜ 종묘 축양시험
각 수조마다 매일 3 회씩 동일 중량의 사료 섭이시키고 15 일 간격으로 체장을 측정하고 스쿠치카 확인을 위한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 육성어 축양시험
각 수조마다 매일 3 회씩 동일 중량의 사료 섭이시키고 1 개월 간격으로 체장을 측정하고 누적생존율을 확인하였다.
④ 축양 환경
장소: 제주도 표선면 표선리 1320 번지 앞 바다 해수와 지하수 해수
온도 : 20도씨 ± 2 주수량 : 20회/일 용존산소 : 7 ~ 9 ppm
(2)축양시험 결과
① 종묘(통상 7 ~ 8 cm)에서 치어(통상 18 ~ 22 cm)단계까지의 축양시험 결과
종묘(통상 7 ~ 8 cm )에서 치어(통상 18 ~ 22 cm)단계까지의 축양시험 결과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2 ) 비교예32 ) 비 고
15 일 11 cm 10 cm 10 cm 10 cm 9 cm 9 cm
30 일 14 cm 12 cm 13 cm 12 cm 12 cm 12 cm
45 일 17 cm 14 cm 16 cm 14 cm 15 cm 13 cm
60 일 20 cm 17 cm 19 cm 17 cm 18 cm 16 cm
75 일 22 cm 20 cm 21 cm 19 cm 21 cm 18 cm
누적
폐사율3 )
12% 32% 14% 28% 13% 36% 폐사원인
불규명
스쿠치카
누적폐사율4 )
5% 18% 9% 16% 7% 17% 폐사어중
스쿠치카충 검출
점액질량 +++++ +++ +++++ +++ ++++ +++
* 1) : 어체의 크기는 각각의 수조에서 50 마리씩을 건저 내어 자로 측정하였으며, 어류가 움직이는 관계로 소수점 이하의 수치까지 정확히 측정할 수 없어 소수점 이하는 무시하였다.
* 2) :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은 MP사료로서 펠렛 사이즈가 2 ~ 4 mm로 작아 냉동하였다가 물어 던져 주었으며, 부스러지고 흩어지는 부분이 많아 섭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따라서 종묘 ~ 치어 시기에는 SMP 또는 EP 형으로 섭이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 3) : 누적 폐사율은 75 일 축양 기간 중 폐사어를 수거한 누적 마리수를 최초 입식 마리수(10,000)로 나눈 백분율이다.
* 4) : 스쿠치카 누적폐사율은 폐사어 중 스쿠치카충이 검출(광학현미경 사용)되고, 폐사증상이 스쿠치카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폐사어의 누적수(축양기간 중)를 최초입식 마리수(10,000)로 나눈 백분율이다.
상기 표 1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사료를 이용하여 평균 8 cm 치어(수온 20 ℃)가 평균 20 cm까지 성장하는 동안 섭이시킨 결과, 이들 사료원을 배합하지 않은 사료군의 경우 20 cm까지 자라는데 75 일이 소요된데 비하여 사료원을 배합한 사료군의 경우 15 일정도 빠른 60 일이 소요되었으며, 병원성 세균 및 원생동물의 감염에 의한 폐사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육성단계의 축양시험 결과
육성단계의 축양시험 결과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비교예3
1개월 후 260 g 239 g 257 g 240 g 260 g 237 g
2 “ 325 g 310 g 320 g 309 g 324 g 312 g
3 “ 380 g 365 g 375 g 362 g 377 g 367 g
4 “ 423 g 401 g 420 g 398 g 422 g 404 g
5 “ 521 g 518 g 515 g 510 g 520 g 517 g
6 “ 610 g 576 g 605 g 572 g 609 g 580 g
7 “ 720 g 677 g 715 g 678 g 718 g 690 g
누적
생존율
90.7% 80.6% 88.6% 80.2% 88.7% 79.6%
* 1) 어체중은 50 마리의 평균값이다.
* 2) 누적 생존율은 축양시험 기간 동안 폐사하는 어류의 합을 입식 당시의 마리수에서 뺀 다음 입식 마리수로 나눈 백분율이다.
상기 표 1과 2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사료를 이용한 경우 병원성 세균과 섬모충에 잘 감염되지 않고, 성장은 빠르며, 폐사율이 확연히 줄어드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펠렛 사료 1 g 당 101 ~ 1012 cfu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0.1 ~ 20.0 중량% 및 비타민C 유도체 0.1 ~ 2.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키틴 또는 키토산 0.1 ~ 3.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라이신, 하이드록시라이신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C 유도체는 인산염비타민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은 반습식 팽화 펠렛(SMP), 건조 팽화 펠렛(EP) 또는 습식 펠렛(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
  8. (a)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를 함유하며, 아미노산 0.1 ~ 20.0 중량% 및 비타민C 유도체 0.1 ~ 2.0 중량%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에 넣고 7 ~ 30 분간 혼합한 후 분쇄기에서 10 ~ 60 분 동안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쇄된 조성물을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펠렛으로 성형하고 이를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d) 상기 냉각된 펠렛을 오일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사료 조성물은 키틴 또는 키토산 0.1 ~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KR1020100117160A 2010-11-23 2010-11-23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60A KR101055849B1 (ko) 2010-11-23 2010-11-23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60A KR101055849B1 (ko) 2010-11-23 2010-11-23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849B1 true KR101055849B1 (ko) 2011-08-11

Family

ID=4493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160A KR101055849B1 (ko) 2010-11-23 2010-11-23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167A (ko)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영일이엔에프 해조류 부산물과 곤충을 이용한 어사료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148A (ja) * 1985-12-10 1987-06-20 Toyo Jozo Co Ltd 水産養魚用飼料添加剤
KR100604747B1 (ko) 1999-04-08 2006-08-07 쉐링-플라우 리미티드. 에마멕틴을 사용하여 어류 기생충을 치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148A (ja) * 1985-12-10 1987-06-20 Toyo Jozo Co Ltd 水産養魚用飼料添加剤
KR100604747B1 (ko) 1999-04-08 2006-08-07 쉐링-플라우 리미티드. 에마멕틴을 사용하여 어류 기생충을 치료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167A (ko)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영일이엔에프 해조류 부산물과 곤충을 이용한 어사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g et al. Farm-raised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fed commercial feeds with added organic acids showed enhanced nutrient utilization, immune response and resistance to Vibrio harveyi challenge
Koh et al. Effects of a dietary organic acids blend and oxytetracycline on the growth, nutrient utilization and total cultivable gut microbiota of the red hybrid tilapia, O reochromis sp., and resistance to S treptococcus agalactiae
Akter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mannan oligosaccharide influences growth, digestive enzymes, gut morphology, and microbiota in juvenile striped catfish, Pangasianodon hypophthalmus
Macey et al. Improved growth rate and disease resistance in farmed Haliotis midae through probiotic treatment
Ng et al. Effects of dietary organic acids on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and gut microflora of red hybrid tilapia, Oreochromis sp., and subsequent survival during a challenge test with Streptococcus agalactiae
EP0881886B1 (en) Animal feed
KR100913611B1 (ko)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사료
KR100857771B1 (ko)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를 포함하는 어류사료첨가용조성물
KR101055849B1 (ko) 섬모충 및 세균에 의한 질병 방지를 위한 양어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Sharibi et al. Effects of probiotic Bactocell on growth and survival parameters of benni fish (Mesopotamichthys sharpeyi) fingerlings
CA3108200C (en) Anti-infective andrographolide aquaculture feed additive
JP2000281568A (ja) 寄生虫症予防治療剤
Nuez-Ortín et al. Organic acids–synergy at work to prevent vibriosis and promote growth in shrimp
Paolucci et al. Current issues on freshwater crayfish aquaculture with a focus on crustacean welfare
Wang et al. Lactic acid bacteria in animal breeding and aquaculture
KR102707449B1 (ko) 발효된 동애등에 유충을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EP4037698B1 (en) A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probiotic bacteria for use in a method of treating and/or preventing a parasitic infection in a teleost
JP3327974B2 (ja) 甲殻類用抗病性飼料
da SILVA et al. Performance of Centropomus parallelus fingerling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citrate and acetate
JP2008019236A (ja) 飼料添加剤
JP2003052315A (ja) ポリフェノール添加の養殖魚用飼料及びその添加剤
Tijare et al. Preliminary observations on gut histology of blue gourami, Trichopodus trichopterus (Pallas, 1770) youngones incorporated with sodium butyrate.
Chaithanya et al. Probiotics enhance the growth of fish
Gamiao Survival in Parvocalanus crassirostris Cultures Treated with Commercial Probiotics
El-Dakar et al. Evaluation of Micro-Particulate Diets used in Marine Hatcheries for Seabream Larvae Reared with the Probiotic Bacterium Sp, under the Prevalent Conditions in Egy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