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4398B1 -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398B1
KR101054398B1 KR1020030093426A KR20030093426A KR101054398B1 KR 101054398 B1 KR101054398 B1 KR 101054398B1 KR 1020030093426 A KR1020030093426 A KR 1020030093426A KR 20030093426 A KR20030093426 A KR 20030093426A KR 101054398 B1 KR101054398 B1 KR 10105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evaporator
laundry
condens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211A (ko
Inventor
최성봉
안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3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브 내의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유로와, 상기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순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포함된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순환 유로 상에 가운데가 비어 있는 냉매 배관이 나선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순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증발기, 응축기, 냉매 배관, 냉동 사이클, 열교환기

Description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Heat exchanger structure for combined dryer and washer}
도 1은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가진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가 도시된 상세도,
도 5는 도 4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케이싱 53a: 운전 조작부
53: 제어부 60: 터브
63: 급수장치 64: 배수장치
70: 드럼 72: 드럼 모터
74: 통공 75: 리프터
80: 순환 유로 82: 제 1 순환 덕트
84: 제 2 순환 덕트 86: 건조 덕트
90: 송풍팬 91: 송풍 모터
100: 압축기 101: 냉매 유입관
102: 냉매 토출관 110: 응축기
120: 팽창기 130: 증발기
140: 물받이통 150: 드레인 호스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건조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 내에 오물이 묻은 세탁물을 투입하여 적절한 세제와 기계적임 힘을 가하여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일부 절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내측에 스프링(4) 및 댐퍼(5)에 의해 지지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10)와, 상기 터브(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전방에 세탁물 출입구(12a)가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놓여져서 세탁물의 세정작용이 이루어지는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2)에 장착된 도어(14)와, 상기 드럼(12)을 회전 구동시키는 드럼 구동 수단(16)과,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열풍을 토출하도록 히터(21)와 송풍팬(22)이 내장된 건조 덕트(20)와, 상기 터브(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조 덕트(20)로 안내함과 아울러 안내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응축 장치(30)는 상기 터브(10) 내부의 공기가 건조덕트(20)로 흡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터브(10)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덕트(20)와 연통되는 응축 덕트(31)와, 상기 응축덕트(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 덕트(3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습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응축덕트(31)의 내측 둘레면에 냉각수를 흘려주는 급수 노즐(32)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서 참조 부호 40은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이고, 42는 상기 터브(10) 내의 세탁수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이며, 44는 상기 급수 노즐(32)로 급수되는 냉각수를 단속하는 냉각수 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4)를 닫고, 건조 겸용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터브(6)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급수장치(4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담겨지게 되고, 상기 드럼(12)의 하부는 세탁수에 잠기며, 상기 드럼(12) 내의 세탁물은 상기 드럼(12)의 통공(12b)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에 적셔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드럼(12)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12)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상기 리프터(12c)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세탁수의 작용에 의해 묻은 때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터브(10) 내의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장치(42)를 통해 상기 케이싱(2)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물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급수장치(40)를 통해 새로운 세탁수가 공급되어 터브(10) 내에 담겨지게 되고, 상기 드럼(12)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12)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리프터(12c)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거품이 헹궈지며, 거품을 포함하는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장치(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헹굼 행정 이후에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물(m)의 물기를 빼내기 위한 탈수 행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12)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세탁물(m) 내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면서 상기 드럼(12)의 수공(12b)을 통해 배수되어 상기 터브(10)에 모이게 되고, 상기 배수장치(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탈수 행정 이후에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물(m)을 열풍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행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21)와 송풍팬(22)이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응축 덕트(31)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드럼(12)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터브(10) 내의 공기는 상기 응축 덕트(31)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고, 상기 건조 덕트(20)를 통과하면서 히터(21)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열풍은 상기 터브(10)와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드럼(12) 내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상기 응축 덕트(31)와 건조 덕트(20)와 상기 터브(1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터브(10)와 응축덕트(31)와 건조 덕트(20)를 순환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 덕트(31)에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므로 건조 효율이 낮고, 공기가 히터(21)에 의해 가열되므로,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성 및 에너지 소비량이 증대되며, 열풍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되므로, 세탁물이 손상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가열된 세탁물 온도를 낮추기 위해 건조 시간이 길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보푸라기 등 이물질의 걸림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순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브 내의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유로와, 상기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순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포함된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순환 유로 상에 냉매 배관이 나선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가진 건조 겸용 세탁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가 도시된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50)의 전면에 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51)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홀(51)을 개폐함과 아울러 세탁수 및 세탁물의 유출을 막는 도어(5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5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을 조작하기 위한 운전 조작부(53a)와, 상기 운전 조작부(53a)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을 제어부(53)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50)의 내측에는 세탁수가 담겨지기 위한 터브(60)가 스프링(61a) 및 댐퍼(61b)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터브(60)는 정면측에 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62)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터브(6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63)가 연결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터브(60)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64)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터브(60)는 상기 케이싱(50) 또는 도어(52)와의 사이로 세탁수 또는 세탁물(m)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50) 또는 도어(52)와 밀착되는 개스킷(65)이 상기 출입홀(62)의 전방 둘레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60)의 내측에는 세탁물(m)이 수용되어 세탁물(m)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70)이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터브(60)에는 상기 드럼(70)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드럼(70)을 회동시키는 드럼 모터(72)가 장착된다.
상기 드럼(70)은 상기 케이싱(50) 및 터브(60)의 출입홀(51,62)의 후방에 세탁물(m)이 출입되기 위한 출입홀(73)이 형성되고, 둘레 또는 배면부에 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통공(74)이 형성되며, 내둘레면에 수용된 세탁물(m)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도록 리프터(7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터브(60) 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 유로(80)와, 상기 터브(60) 내의 공기가 상기 순환 유로(80)와 터브(60) 내로 순환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90)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0)와,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도록 상기 순환 유로(80) 일측에 설치된 응축기(110)와, 상기 응축기(110)에 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120)와, 상기 팽창기(120)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고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도록 상기 순환 유로(80) 타측에 설치된 증발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순환 유로(80)는 일단이 상기 개스킷(65)의 일측 또는 터브(60)의 전방부 일측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60)의 후방부 일측에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 유로(80)는 상기 증발기(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순환 덕트(82)와, 상기 응축기(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순환 덕트(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 유로(80)는 순환 공기의 송풍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냉매의 냉동 사이클 장치 중 일부가 수용되는 별도의 수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순환 유로(80)는 상기 제 1 순환 덕트(82)와 제 2 순환 덕트(84)의 사이에 연통되고 내부에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 중 증발기(130)와 응축기(110)가 수용되는 건조 덕트(8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90)은 상기 터브(60) 내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130)와 응축기(11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터브(60) 내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터브(6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순환 유로(8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상기 순환 유로(80)의 건조 덕트(84)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100)는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저온 저압의 기 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것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압축시키는 모터부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관(101)과,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상기 응축기(110)로 안내하는 냉매 토출관(102)이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110)는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발열되어 응축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130)에 의해 냉각된 순환 공기가 세탁물(m)의 건조에 적정한 온도를 갖도록 상기 증발기(13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팽창기(120)는 상기 응축기(110)에서 응축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이 용이하도록 저온 저압으로 팽창되는 것으로, 모세관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제어부(53)에 의해 제어되어 팽창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팽창밸브(LEV)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팽창기(120)에서 팽창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흡열되어 증발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는 순환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발열에 의해 응축되어 응축수가 맺히게 되고, 응축수는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낙하된다.
특히, 상기 응축기(110) 및 증발기(130)는 순환 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 이물질의 걸림이 최소화되도록, 냉매 배관이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가운데가 비어 있는 나선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건조 덕트(86) 내의 순환 유로 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응축기(110)는 상기 건조 덕트(86) 내의 순환 유로 상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13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그 하부에서 나선을 따라 떨어지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증발기(130) 표면에 응축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30)의 하측에 배치된 물받이통(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받이통(140)은 낙하된 응축수가 모이기 쉽도록 저면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물받이통(140)에 수거된 응축수를 상기 케이싱(50)의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 호스(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참조 부호 162는 상기 증발기(13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물받이통(14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 덕트(86)의 저면부에 형성된 드레인 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70)의 내부로 세탁물(m)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52)를 닫고, 건조 겸용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급수장치(63)에서 공급되는 세제가 포함된 물이 담겨지고, 상기 드럼(70)의 하부는 세제가 포함된 물에 잠기며, 상기 드럼(70) 내의 세탁물(m)은 상기 드럼(70)의 통공(74)을 통해 유입된 세제가 포함된 물에 적셔진다.
그리고, 상기 드럼 모터(72)를 구동되면, 상기 드럼(70)은 회전되고, 상기 드럼(7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m)은 상기 리프터(75)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졌다가 자유 낙하되면서 세제와 물의 작용에 의해 묻은 때가 떨어지게 되며, 상기 터브(60) 내의 오염된 물은 상기 배수장치(64)를 통해 상기 케이싱(50) 외부로 배수되어 세탁 행정이 종료된다.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행해진 이후 세탁물(m)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과, 헹굼 행정이 행해진 이후 세탁물(m)의 물기를 빼내기 위한 탈수 행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탈수 행정이 행해진 후 세탁물(m)에 남아 있는 습기가 제습 공기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 행정이 행해진다.
건조 행정은 상기 드럼(70)이 회전되어 피건조물(m)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고, 상기 터브(60) 내의 공기가 상기 순환 유로(80)와 터브(60)를 순환하며, 상기 순환 유로(8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130)에 의해 제습된 후 터브(60) 내로 공급되어 세탁물(m)을 건조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드럼(70)이 회전되도록 드럼 모터(72)를 온 시키고, 상기 송풍팬(90)이 회전되도록 상기 송풍 모터(91)를 온 시키며, 상기 증발기(130)가 순환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상기 압축기(100)를 온 시킨다.
상기 압축기(100)의 온 작동시 상기 압축기(100)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110)를 통과하면서 순환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며, 응축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는 상기 팽창기(120)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팽창되고, 팽창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하면서 순환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며, 증발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로 순환되어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90)의 회전시 상기 터브(60) 내의 공기는 제 1 순환 덕트(82)로 송풍되고,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에 열을 빼앗겨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습됨에 따라 저습 공기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저습 공기는 상기 응축기(110)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와 열교환되어 승온되고, 상기 제 2 순환 덕트(84)를 통과한 후 상기 후방 순환홀(60a)을 통해 상기 터브(60)의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 터브(60)의 내부로 송풍된 저습 공기는 상기 드럼(70)의 통공(74)을 통해 상기 드럼(7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낙하되는 세탁물(m)과 직접 접촉하면서 세탁물(m)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세탁물(m)과 접촉된 공기는 다습 공기로 변하게 되고, 상기 터브(60) 및 드럼(70)의 전방측으로 송풍되어 제 1 순환 덕트(82)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130)로 순환된다.
그런 다음, 상기 증발기(130)로 순환된 다습 공기는 상기 증발기(130)에 의한 제습과 상기 응축기(110)에 의한 승온과 세탁물(m)의 건조가 반복되면서 상기 터브(60)와 순환 유로(80)를 순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응축기(110)와 증발기(130)가 나선 구조로 이루어져 순환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 보 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증발기(130) 및 응축기(110)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30)와 응축기(110) 주변에 보푸라기 등 이물질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순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열교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건조 효율도 일정 정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보푸라기 등 이물질의 걸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증발기 및 응축기가 나선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브 내의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유로와, 상기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순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포함된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순환 유로 상에 가운데가 비어 있는 나선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순환 유로 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순환 유로 상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KR1020030093426A 2003-12-18 2003-12-18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KR10105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26A KR101054398B1 (ko) 2003-12-18 2003-12-18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26A KR101054398B1 (ko) 2003-12-18 2003-12-18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11A KR20050061211A (ko) 2005-06-22
KR101054398B1 true KR101054398B1 (ko) 2011-08-05

Family

ID=3725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26A KR101054398B1 (ko) 2003-12-18 2003-12-18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1563B1 (ko) * 2019-08-14 202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79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 장치 및 의류 건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79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 장치 및 의류 건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11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JP4108984B2 (ja) 洗濯乾燥機及び衣類乾燥機
JP3825772B2 (ja) 乾燥機
JP2005253588A (ja) 乾燥機
JP4531414B2 (ja) 洗濯乾燥機
JP6023976B2 (ja) 衣類乾燥機
JP2006212418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2009106566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2008048810A (ja) 衣類乾燥装置
JP2004135715A (ja) 洗濯乾燥機
KR100928110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4561488B2 (ja) 乾燥装置
JP2010259490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5948608B2 (ja) 衣類乾燥機
JP2008048811A (ja) 衣類乾燥装置
JP4413639B2 (ja) 洗濯乾燥機
JP5965848B2 (ja) 洗濯乾燥機
JP2012245316A (ja) 洗濯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の乾燥方法
KR101054398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구조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KR101054397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16302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열교환기
KR10101630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제어 방법
JP4286847B2 (ja) 洗濯乾燥機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