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569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3569B1 KR101053569B1 KR1020030055373A KR20030055373A KR101053569B1 KR 101053569 B1 KR101053569 B1 KR 101053569B1 KR 1020030055373 A KR1020030055373 A KR 1020030055373A KR 20030055373 A KR20030055373 A KR 20030055373A KR 101053569 B1 KR101053569 B1 KR 1010535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ng code
- code mask
- public long
- base station
- fiel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17482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역 방향 펀더멘털 채널과 역 방향 보조 제어에 대한 롱 코드 마스크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역 방향 펀더멘털 채널, 역 방향 보조 채널, 역 방향 전용 제어 채널, 순 방향 펀더멘털 채널, 순 방향 보조 제어 채널, 순방향 보조 채널, 순 방향 전용 제어 채널, 순 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롱 코드 마스크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PLCM_TYPE)이 '0001' 인 경우의 퍼블릭 롱코드 마스크의 포맷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USE_TYPE0_PLCM)가 '0' 인 경우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USE_TYPE0_PLCM)가 '1' 인 경우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에 추가되어야 할 필드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상기 롱 코드를 생성하는 일반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PLCM_TYPE)이 '0001' 인 경우처럼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할당하여 주는 상기 39 비트들(PLCM_39)를 이용하여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다가,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PLCM_TYPE)이 '0000' 인 경우처럼 전자 시리얼 번호(ESN)를 이용하여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가지고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을 상기 전자 시리얼 번호(ESN)를 가지고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기지국은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Service Connect Message) 나 유니버설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UHDM: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내에 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USE_TYPE0_PLCM)를 통해 이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하여 주는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이용하여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39 비트들(M38 ~ M0)을 생성 하다가, 전자 시리얼 번호(ESN)를 이용하여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상기 39 비트들(M38 ~ M0)을 생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대한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전자 시리얼 번호(ESN)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반대의 경우를 고려한 변경 절차가 정의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PLSM) 생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필드를 포함하는 오버 헤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드를 제 1 논리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 1 필드를 상기 제 1 논리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될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필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제 3 필드를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생성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오버 헤드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와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필드가 특정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는 상기 제 2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될 상기 퍼블릭 롱코드 마스크의 최하위 39 비트(PLCM_39)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필드는 1비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필드는 상기 제 3 필드의 값에 따라 0비트 또는 39비트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필드는 '1' 또는 '0' 의 논리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퍼블릭 롱코드 마스크의 최하위 39 비트(PLCM_39)를 이용하여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에 하나의 트래픽 채널을 할당할 때 상기 확장 채널 할당 메시지(ECAM)를 통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PLCM_TYPE)과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에게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생성 방법을 알려 준다.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39 비트들(PLCM_39)은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PLCM_TYPE)이 '0001'인 경우에만 확장 채널 할당 메시지(ECAM) 내에 존재한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확장 채널 할당 메시지(ECAM)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타입 (PLCM_TYPE)이 '0001'인 경우, 상기 기지국(Base Station)이 할당하여 제공하는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이용하여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한다. 이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TYPE1_PLCM(이하에서, 제 1 타입의 PLCM) 이라 한다.
한편, 기지국은 상기 제 1 타입 PLCM(TYPE1_PLCM)으로부터 상기 타입 0(또는 ESN)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 2 타입 PLCM(TYPE0_PLCM)으로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Service Connect Message) 나 유니버설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UHDM: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 내의 상기 TYPE0-PLCM 사용 상태 필드 (USE_TYPE0_PLCM)를 '1'로 설정하여, 상기 변경 요구를 이동 단말기에게 알려준다. 이동 단말기는 이에 따라 상기 제1 타입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상기 제 2 타입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로 변경한다.
한편, 시스템의 상황이 바뀌어서 이동 단말기가 상기 타입 0(또는 상기 ESN)에 의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핸드 오프로 인해 상기 타입 0(type 0)에 의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입 0(또는 ESN)에 의한 제 2 타입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TYPE0_PLCM)를 생성하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내에서 충돌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하여 제공하는 상기 39 비트들(PLCM_39)을 이용한 상기 제 1 타입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TYPE1_PLCM)를 생성하여야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 하는데 있어서, 상기 타입 0(또는 ESN)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으로부터 상기 기지국(BS)이 할당하여 주는 상기 39 비트들 (PLCM_39)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상기 제 1 타입의 PLCM(TYPE1_PLCM)으로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내의 상기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필드(USE_TYPE0_PLCM)를 '0'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그 변경 요구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또는 유니버설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내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39 비트들을 포함하는 제 2 필드(PLCM_39)와 상기 제 2 필드(PLCM_39)가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메시지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알리는 제 3 필드(PLCM_INCL)를 추가로 포함시킨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내에 포함된 상기 제 2 필드(PLCM_39)와 상기 제 3 필드(PLCM_INCL)에 의해 상기 제 1 타입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TYPE1-PLCM)를 생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USE_TYPE0_PLCM)가 '0' 인 경우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의 포맷에 따르면, 최상위 두 비트들(M41,M40)은 "10"이 사용되고, 상기 최상위 두 비트들(M41,M40) 다음의 비트(M39)는 "1"이 사용되고, 그리고 하위 39 비트들(M38-M0)로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39 비트들(PLCM_39)이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PLCM(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USE_TYPE0_PLCM)가 '1' 인 경우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의 포맷에 따르면, 최상위 두 비트들(M41,M40)은 "11" 이 사용되고, 상기 최상위 두 비트들(M41,M40) 다음의 3 비트들(M39-M37)은 "000" 이 사용되고, 상기 3비트들(M39-M37) 다음의 5 비트들(M36-M32)은 "11000"이 사용되고 그리고 나머지 하위 32 비트들(M31-M0)로서는 퍼뮤테이트된(permutated) 전자 시리얼 번호(ESN)가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에 추가되어야 할 필드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에서, USE_TYPE0_PLCM는 상기 ESN(또는 type 0)을 이용한 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그것의 길이는 1 비트이다. 즉, 상기 PLCM_39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39 비트들을 포함하는 필드로서 0 또는 39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PLCM_INCL은 상기 필드(PLCM_39)가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 또는 유니버설 핸드 오프 메시지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알리는 필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제 3 필드(PLCM_INCL)는 상기 TYPE0_PLCM의 사용 상태 필드(USE_TYPE0_PLCM)의 값이 '0'인 경우에만 상기 SCM 또는 상기 UHDM내에 추가되고, 상기 TYPE0_PLCM의 사용 상태 필드(USE_TYPE0_PLCM)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생략된다. 또한, 상기 새로운 제 2 필드(PLCM_39)는 전술한 조건에 의해 상기 TYPE0_PLCM의 사용 상태 필드(USE_TYPE0_PLCM)의 값이 '0' 이어서, 상기 제 3 필드(PLCM_INCL)가 상기 SCM 또는 상기 UHDM내에 추가되고 또한 상기 제 3 필드(PLCM_INCL)의 값이 '1' 인 경우에만 상기 SCM 또는 상기 UHDM내에 추가된다.
한편, 상기 TYPE0_PLCM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필드(USE_TYPE0_PLCM)의 값이 '1'이거나 상기 제 3 필드(PLCM_INCL)의 값이 '0' 인 경우에는 상기 SCM 또는 상기 UHDM내에 상기 제 2 필드(PLCM_39)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4)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Public Long Code Mask)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단말이 핸드오프 될 때 상기 단말에 전자 시리얼 번호를 이용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사용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용 최하위 비트들을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변경할 때 상기 제1 필드의 값을 제1 논리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변경하지 않을 때 제2 논리 레벨로 설정하며,상기 제1 필드의 값이 상기 제1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는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타입을 지시하는 제3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필드는 상기 제 2 필드가 상기 메시지 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상기 단말이 제 1 기지국에서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될 때, 상기 단말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할당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2 필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용 최하위 비트들로서 0 내지 39비트의 길이를 갖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할당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와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 중 어느 하나인,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할당하는 방법.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단말에 할당된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생성을 상기 제 2 기지국이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드의 값을 상기 제 1 논리 레벨로 설정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할당하는 방법.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Public Long Code Mask)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단말이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될 때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시리얼 번호를 이용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사용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용 최하위 비트들을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변경할 때 상기 제1 필드의 값을 제1 논리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변경하지 않을 때 제2 논리 레벨로 설정하고,상기 제1 필드의 값이 상기 제1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는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타입을 지시하는 제3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필드는 상기 제 2 필드가 상기 메시지 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상기 단말이 제 1 기지국에서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될 때, 상기 단말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제2 필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용 최하위 비트들로서 0 내지 39비트의 길이를 갖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 메시지(SCM : Service Connect Message) 와 유니버설 핸드 오프 지시 메시지(UHDM : 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 중 어느 하나인,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에 할당된 상기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생성을 상기 제 2 기지국이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드의 값을 상기 제 1 논리 레벨로 설정하는,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373A KR101053569B1 (ko) | 2003-08-11 | 2003-08-1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US10/836,184 US7561556B2 (en) | 2003-05-01 | 2004-04-29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PCT/KR2004/001017 WO2004098228A1 (en) | 2003-05-01 | 2004-04-30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MXPA05011771A MXPA05011771A (es) | 2003-05-01 | 2004-04-30 | Sistema y metodo para generar una mascara de codigo largo public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ovil. |
CA2524309A CA2524309C (en) | 2003-05-01 | 2004-04-30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BRPI0410693A BRPI0410693B1 (pt) | 2003-05-01 | 2004-04-30 | método de atribuição de uma máscara de código longo pública e terminal móvel |
US12/488,436 US8325698B2 (en) | 2003-05-01 | 2009-06-19 |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373A KR101053569B1 (ko) | 2003-08-11 | 2003-08-1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7203A KR20050017203A (ko) | 2005-02-22 |
KR101053569B1 true KR101053569B1 (ko) | 2011-08-03 |
Family
ID=3722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5373A KR101053569B1 (ko) | 2003-05-01 | 2003-08-1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356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3643A (ko) * | 1998-03-26 | 1999-11-25 | 윤종용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 메시지의 확산코드 지정 장치 및 방법 |
US6091717A (en) | 1997-05-05 | 2000-07-18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
KR20020065524A (ko) * | 1999-11-19 | 2002-08-13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Cdma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패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
-
2003
- 2003-08-11 KR KR1020030055373A patent/KR1010535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91717A (en) | 1997-05-05 | 2000-07-18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
KR19990083643A (ko) * | 1998-03-26 | 1999-11-25 | 윤종용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 메시지의 확산코드 지정 장치 및 방법 |
KR20020065524A (ko) * | 1999-11-19 | 2002-08-13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Cdma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패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Draft : 3GPP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7203A (ko) | 2005-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27444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KR100630122B1 (ko) |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 | |
KR100325564B1 (ko) | Cdma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
JP4744095B2 (ja) | トラフィック・チャネルを介する伝送を符号化するための符号マスクを生成する方法 | |
KR101053569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US8325698B2 (en) |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KR100504506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KR101097493B1 (ko) | 무선 통신 방법 | |
KR101084112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KR101049108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CA2524309C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KR100964673B1 (ko) |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 |
KR100504504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KR100976468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KR101062112B1 (ko)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고유번호 할당 및 운영방법 | |
JP4732455B2 (ja) | 移動通信システムで端末機固有番号割り当て方法 | |
KR20040095060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 생성하는방법 | |
KR20060041773A (ko)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고유번호의 운영방법 | |
JP2001160795A (ja) | Cdmaセルにおける資源の割り振り | |
GB243228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ublic long code mask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KR20060041844A (ko)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고유번호의 운영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21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