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59B1 - Built-in cooker - Google Patents
Built-in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2159B1 KR101052159B1 KR1020080108896A KR20080108896A KR101052159B1 KR 101052159 B1 KR101052159 B1 KR 101052159B1 KR 1020080108896 A KR1020080108896 A KR 1020080108896A KR 20080108896 A KR20080108896 A KR 20080108896A KR 101052159 B1 KR101052159 B1 KR 101052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installation space
- built
- heat
- heat insul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 1 단열층과, 가열원 및 전장부품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단열층을 포함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first heat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source and the electric component.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캐비닛과 가구장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전장부품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 효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source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urniture cabinet and the electric component. Therefore, the cooking efficiency of the food can be further increased.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단열재, 단열커버 Built-in cooker, insulation, insulation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히터열 또는/및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전기기로써, 특히 가구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리기기를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라 한다. 이와 같은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가열원 및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가구장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In general, a cooking appliance is a home appliance that heats food by a heater heat and / or microwave, and in particular, a cooking appliance installed inside a cabinet is called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Such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abinet, a plurality of heating sources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 top plate that shields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he cabinet is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용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원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음식물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기기 전체로 전달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that the food container is accommod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food is heated by the heating source to cook the food.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cooking apparatus as well as the food.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캐비닛의 바닥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food is transmit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립 작업이 용이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that is easy to assem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가열부품설치공간 및 전장부품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 및 전장부품설치공간을 차폐하는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원과, 상기 전장부품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전장부품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단열층 및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 및 전장부품설치공간을 구획하고, 그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만 구비된다.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cabinet having a heating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an electric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 top plate shielding the heating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an electrical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the tower. In order to heat the food seated on the plate, the heating source is installed in the heating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the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the insulation lay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heating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Comprising two plates for partitioning the electrical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forming an insulation space therebetween, the insulation layer is provid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원 및 전장부품과, 상기 가열원으로부터 상기 전장부품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원 및 전장부품 사이에 구비되는 제1단열층 및 상기 가열원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열층은 상기 가열원과 전장부품 사이에 구비되는 2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a heating source and an electric componen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heating to preven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source to the electric component. In order to preven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sou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 second insulation layer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except for the region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installed, to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circle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includes two plates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source and the electric component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two plat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캐비닛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과 가구장의 사이 공간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henomenon in which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food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cabinet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can be prevented.
그리고, 하방에 위치되는 부품으로부터 상방에 위치되는 부품 순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is possible in the order of the parts located upward from the parts located be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ing work becomes easi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종단면을 보인 단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가구장(2)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가구장(2)에는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개구부(25)에 수용된다.1 and 2,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furniture cabinet (2).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각종 장치가 수용되기 위한 캐비닛(11)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14)과, 상기 가열원(14)의 작동을 위한 전장부품(15)과, 상기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탑플레이트(12) 및,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커버(13)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1 includes a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대략 상방으로 개구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캐비닛(11)에는, 상기 가열원(14) 및 전장부품(15)이 수용되기 위한 설치공간(111)이 제공된다. 상기 설치공간(111)은, 상기 가열원(14)이 설치되는 가열부품설치공간(111A)과 상기 전장부품(15)이 설치되는 전장부품설치공간(111B)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설치공간(111B)에 대응되는 캐비닛(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장부품(15)의 설치 및 냉각을 위한 홀(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는, 상기 베이스커버(13)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15)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상기 가열원(14)은 상기 탑플레이트(12)에 인접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원(14)은, 상기 음식물을 전도 및 복사가열하는 히터 또는 유도가열하는 히터 등 다양한 히터가 될 수 있다. The
상기 전장부품(15)에는, 상기 가열원(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가열원(14)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회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상기 탑플레이트(12)는,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탑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23)와, 상기 가열원(14)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23)는, 버튼, 다이얼, 터치패널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5)도, 액정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다수개의 발광유닛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상기 음식물 이 수용되는 용기가 안착되기 위한 조리용기안착부(121)가 제공된다. 상기 조리용기안착부(121)는 상기 가열원(14)과 대응되게 위치된다.The
상기 베이스커버(13)는, 대략 상방으로 개구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커버(13)는, 상기 전장부품설치공간(111B)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커버(13)에는, 상단으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3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38)에는, 상기 베이스커버(13)가 상기 캐비닛(11)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39)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3)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1) 및 베이스커버(13)의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로는,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커버(13)에는, 공기가 상기 베이스커버(13)의 내외부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공(1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13)의 내부에는 상기 전장부품(15)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들이 수용된다. 상기 냉각을 위한 부품에는, 상기 전장부품(15)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31)와, 상기 방열부재(131)를 향하여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각팬(13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131)는, 상기 전장부품(15)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홀(113)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커버(13) 내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커버(13)의 내부에는, 상기 전장부품(1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열원(14)으로부터 상기 캐비 닛(11) 및 가구장(2) 사이 공간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단열층(1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111A) 및 전장부품설치공간(111B) 사이에는, 상기 가열원(14)으로부터 상기 전장부품(15)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단열층(17)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세히, 상기 제 1 단열층(16)은,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111A)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열층(16)은, 단열재(163)와, 상기 단열재(163)를 차폐하고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단열커버(161)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커버(161)의 상면에는, 상기 가열원(14)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1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커버(161)의 테두리에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6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68)에는, 상기 단열커버(161)가 상기 캐비닛(11)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first
상기 제 2 단열층(17)은,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111A) 및 전장부품설치공간(111B) 사이에 구비되는 2개의 플레이트(171,175)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173)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 중 제 1 플레이트(171)의 일면은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111A)에 노출되고, 제 2 플레이트(175)의 일면은 상기 전장부품설치공간(111B)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의 상단은 상기 탑플레이트(12)의 저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에는,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 연장되는 체결부(172,17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171) 의 체결부(172)는 상기 가열부품설치공간(111A)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175)의 체결부(176)는 상기 전장부품설치공간(111B)을 향하여 연장된다. 특히, 상기 제 1 플레이트(171)의 체결부(172)는 상기 단열커버(16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175)의 체결부(176)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 1 플레이트(171)의 높이는, 상기 제 2 플레이트(175)의 높이에 비하여, 상기 단열커버(161)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71) 및 제 2 플레이트(175)의 체결부(172,176)에는, 각각 상기 단열커버(161)의 상면 및 캐비닛(11)의 바닥면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조리기기(1)의 작동이 시작되면, 가열원(14)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가열원(14)에서 발생되는 열은, 탑플레이트(12)를 통하여 상기 탑플레이트(12)에 안착되는 음식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기 시작한다. 다만, 상기 가열원으로서 유도가열 히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열로써 상기 음식물이 조리된다.First, when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starts, power is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가열원(14)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조리기기(1) 전체에 걸쳐 전달된다. 다만, 상기 가열원(14)으로서 유도가열 히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조리기기(1) 전체에 걸쳐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이때, 캐비닛(11)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1) 및 가구장(2)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열이 전달되는 현상은 제 1 단열층(16)에 의해 방지된다. 상세히, 단열커버(161) 및 상기 단열커버(161)과 캐비닛(11)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163)에 의해,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을 통한 열전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transfer to the space between the
그리고, 전장부품(15)을 향하여 상기 열이 전달되는 현상은 제 2 단열층(17)에 의해 방지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단열층(17)에 포함되는 2개의 플레이트(171,175) 및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173)에 의해, 상기 전장부품(15)을 향한 열전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phenomenon in which the heat is transferred toward the
따라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전장부품(15)이 가열되어 고장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캐비닛(11) 및 가구장(2) 사이의 공기가 가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가구장(2)이 가열되어 변형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된 가구장(2)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위험도 예방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the phenomenon that the
그리고, 상기 가열원(14)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만큼, 더욱 많은 열이 상기 탑플레이트(12)를 통해 음식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 효율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heat generated by the
더불어, 상기 조리기기(1)의 조립 작업이 편리하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부품들로부터 그 상방에 위치되는 부품들 순으로 조립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방에 위치되는 부품들로부터 그 하방에 위치되는 부품 순으로 조립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 작업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convenient. In detail, since it can be assembled in the order of the components located upstream from the component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예를 들면, 상기 제 1 단열층(16)과 제 2 단열층(17)에는, 상기 단열재(163,173)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단열커버(161)과 캐비닛(11)의 바닥면 사이에 격리되는 공기층 및 상기 2개의 플레이트(171,175) 사이에 격리되는 공기층에 의해, 상기 캐비닛(11)과 가구장(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전장부품(15)을 향한 열전달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종단면을 보인 단면사시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896A KR101052159B1 (en) | 2008-11-04 | 2008-11-04 | Built-in coo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896A KR101052159B1 (en) | 2008-11-04 | 2008-11-04 | Built-in coo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874A KR20100049874A (en) | 2010-05-13 |
KR101052159B1 true KR101052159B1 (en) | 2011-07-26 |
Family
ID=4227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2159B1 (en) | 2008-11-04 | 2008-11-04 | Built-in coo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215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78277A (en) | 1978-11-15 | 1979-06-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struction of fire box for foot warmer built in floor |
KR20050031785A (en) * | 2003-09-30 | 2005-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ic cooking device |
KR20070037175A (en) * | 2005-09-30 | 2007-04-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Electric range with guaranteed insulation |
-
2008
- 2008-11-04 KR KR1020080108896A patent/KR1010521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78277A (en) | 1978-11-15 | 1979-06-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struction of fire box for foot warmer built in floor |
KR20050031785A (en) * | 2003-09-30 | 2005-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ic cooking device |
KR20070037175A (en) * | 2005-09-30 | 2007-04-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Electric range with guaranteed insu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874A (en) | 201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6414B2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hob having such an induction heating device | |
US8692169B2 (en) | Electrical apparatus having active heat-dissipating element and air circulating system having such electrical apparatus | |
US8399806B2 (en) | Built-in type cooker | |
EP3996470A1 (en) |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 |
KR20220080379A (en) | Electric range | |
KR101052159B1 (en) | Built-in cooker | |
KR101620100B1 (en) | A Aooker | |
KR101004832B1 (en) | Cooker | |
KR100550479B1 (en) | Heating cooker | |
KR20220161029A (en) | Electric range | |
KR101052165B1 (en) | Built-in cooker | |
KR100771629B1 (en) | Electric range | |
JP5310123B2 (en) | Electric rice cooker | |
JP2021048030A (en) | Induction cooker | |
EP4096353A1 (en) | Electric range | |
KR100811653B1 (en) | Wall-mounted Microwave | |
EP4096360A1 (en) | Electric range | |
KR102419666B1 (en) | Electric range | |
KR101608983B1 (en) | A built-in type cooker | |
CA1201487A (en) | Microwave oven with outwardly inclining control panel | |
KR20100081242A (en) | Heater assembly for multi-function microwave oven | |
KR100792519B1 (en) | Cooker | |
KR20220165594A (en) | Electric range | |
JP2017091925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JP2023175233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