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1611B1 -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 Google Patents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611B1
KR101051611B1 KR1020110018817A KR20110018817A KR101051611B1 KR 101051611 B1 KR101051611 B1 KR 101051611B1 KR 1020110018817 A KR1020110018817 A KR 1020110018817A KR 20110018817 A KR20110018817 A KR 20110018817A KR 101051611 B1 KR101051611 B1 KR 10105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land
water
floating
floating wetland
ecologica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to KR102011001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6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수면에 부유시키는 하층부로 이루어지는 부유습지와 이들 부유습지들로 구성되는 부유습지 시스템에 있어서,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여과부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1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1부유습지와, 상기 제1부유습지와 연결된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수로 바닥면의 여과성 매트의 흡착을 통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2 부유습지와,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분수대를 통해 상판에 배출한 후, 타 부유습지로 제공하는 제3 부유습지와, 식물들을 배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매트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3부유습지와의 연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상기 식물들에 의해 자연 정화되도록 하는 제4 부유습지다.
본 발명은 작은 섬과 같은 부유습지를 제작하여 습지, 강, 호수, 인공습지 등에 띄어 설치되므로 여과를 위한 넓은 부지가 필요 없어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지, 강, 호수 등에 띄우기만 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이 식생 하는 섬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부재 및 여과성 매트를 교체할 수 있음으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부재 및 여과성 매트를 통하여 수질개선되어 정수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Floating Wetland Combine Water Circulation with Ecotype System}
본 발명은 부유습지 또는 인공식물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습지를 이용한 물순환 및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많은 공장이 세워지고,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많은 폐수를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연정화가 한계점에 다다르자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됐다. 그래서 정부는 환경에 대한 중요성, 특히 수질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법을 제정하고, 하수처리장 확충 등의 수질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 결과 점오염원을 성공적으로 절감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물질(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은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 되는 물질을 말한다.)을 제어하지 못해 최근까지도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없었다. 특히 비점오염물질은 많은 비가 내리면 유출되는데 특히 우리나라는 사계절을 가지고 강우량이 일정하지 않아 정량화가 어렵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배출기준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점오염물질 및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수중의 물질을 성장이 왕성한 수생식물이 흡수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자연적인 조건과 과정에 의해 진행되므로 이러한 자연정화 과정은 식생만 잘 조성되면 훌륭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종래의 발명(등록번호10-0967170)으로부터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 생물 여상법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자연형 시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발명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초기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 우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초기 우수 수집조(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와류형스크린(11)을 이용하여 1차 처리하게 된다. 상기 와류형스크린(11)은 수동력학적 와류현상(vortex)을 이용한 중력침강, 스크린(Screen) 및 Filter를 이용한 처리기작으로서, 협잡물(Gross Pollutants), 침전성물질, Oil & Grease, 부유물질(SS)등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처리 과정을 거친 초기우수는 수압차에 의해, 초기 우수수집조(10)로부터 초기 우수 공급관(100)을 통과하여 자연형 비점오염물질처리시설(1)로 자연적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초기우수는 인공습지층(20)에 식재되어 있는 식생식물에 의한 인·질소제거과정과, 초기 우수 중 일부가 생물막 여과기(50)로 월류되어 미생물담체(501)의 미생물 작용에 의한 유기물 분해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인공습지층(20)을 통과한 초기 우수는 다시 상기 인공습지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층(30)인 모래층(301) 및 자갈층(302) 내부의 생물막에 의한 흡착·여과작용과, 모래층 및 자갈층 간극에서의 침전작용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 과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층(30)을 통과한 초기 우수와, 상기 생물막 여과기(50)를 통과한 초기 우수를 집수정(60)으로 집수한 후 방류관(200)을 통해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발명은 정화를 위한 넓은 부지를 필요하기 때문에 정화를 위한 장소 선정이 한정적이며 넓은 부지관리로 인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불특정한 장소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에 오염된 물을 전량 회수가 불가능하며, 자연정화를 위한 식생물과 그외의 정화를 위한 요소들이 정화의 한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교체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교체가 가능해도 수면 밑으로 들어가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물을 정수하여 배출되었다 해도 불특정한 장소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재오염되는 가능성이 크고, 재오염되어도 재정화가 어렵다.
또한 정수장치로 인하여 미관이 좋지않다.
종래의 발명은 장소선정이 한정적이며, 넓은 부지 사용으로 인한 관리비용과 설비투자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의 장소에서 발생 되는 오염물질에 오염된 물의 전량 회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식물 및 정화를 위한 장치들이 정화한계점에 도달시 교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정수된 물이 재오염시 재정화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정화장치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시 물이 모이는 호수, 댐, 저수지, 인공습지 등의 수질정화를 위해 수면에 직접설치 할 수 있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기능을 하는 생물과 정화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 재정화가 가능하도록 펌프를 구비한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섬 형태의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판과 상기 상판을 수면에 부유시키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부유습지와 이들 부유습지들로 구성되는 부유습지 시스템에 있어서,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여과부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1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1부유습지와, 상기 제1부유습지와 연결된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수로 바닥면의 여과성 매트의 흡착을 통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2 부유습지와,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분수대를 통해 상판에 배출한 후, 타 부유습지로 제공하는 제3 부유습지와, 식물들을 활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매트를 상판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3부유습지와의 연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상기 식물들에 의해 자연 정화되도록 하는 제4 부유습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는 유압식의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는 수류의 방향에 따라 다공성 카트리지에 입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서, 막힘 현상이 발생했을 때, 카트리지 교환을 통해 여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성 매트는 생분해성으로써, 소정 양의 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마그네슘이 첨가되어 정화원수와 접촉시 인(P) 및 질소(N)를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유습지의 분수대는 끝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부유습지의 식생매트에는 미나리, 달뿌리풀, 갈대, 물옥잠, 부레옥잠, 택사, 노랑꽃창포, 창포류, 물억새, 줄, 부들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류를 같이 배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는 합성수지, 금속, 목재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의 바닥판은 물과 맞닿는 외부면에, 산란 인공초를 심기 위한 그물망으로 덮여 있고, 외부면 모서리 일측에 수면에서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은 섬과 같은 부유습지를 제작하여 습지, 강, 호수, 인공습지 등에 띄어 설치되므로 여과를 위한 넓은 부지가 필요 없어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지, 강, 호수 등에 띄우기만 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이 생육하는 섬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부재 및 여과성 매트를 교체할 수 있음으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부재 및 여과성 매트를 통하여 수질개선되어 정수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생물 여상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부유습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유습지의 A-A'선 단면도 와 제2 부유습지의 B-B'선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원수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유습지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부유습지를 이용한 물순환 및 정화 시스템(10)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부유습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유습지의 A-A'선 단면도 와 제2 부유습지의 B-B'선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원수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 도3,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50)와 상기 본체부(150)를 수면에 부유시키는 하층부(180)로 이루어지는 부유습지와 이들 부유습지로 구성되는 부유습지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펌프(130)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110)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여과부재(120)를 통과하도록 하여 1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1부유습지(100)와, 상기 제1부유습지(100)와 연결된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110)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수로 바닥면의 여과성 매트(210)의 흡착을 통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2 부유습지(200)와, 자체 펌프(130)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분수대(310)를 통해 상판에 배출한 후, 타 부유습지로 제공하는 제3 부유습지(300)와, 식물들을 배양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매트(410)를 상기 본체부(150)의 바닥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3부유습지(100, 300)와의 연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상기 식물들에 의해 자연 정화되도록 하는 제4 부유습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130)는 유압식의 펌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130)는 정화원수를 끌어올리는 취수심(131)과 상기 취수심(131)과 연결되어 배관 역할을 하는 취수관(133)과 연결되고, 수면 위로는 배출관(135)이 연결되어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배출관(135)을 통하여 상기 제1 부유습지(100)에 정화원수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취수관(133)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취수심(131)을 수심 깊은 곳까지 내려보내 정화원수를 끌어올릴 수 있다. 상기 취수관(133)은 펌프(130) 오작동시 공급되는 정화원수를 차단하기 위한 수동 밸브(13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취수심(131)은 소정 크기의 다수개의 흡수구멍(137)이 구비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며, 내부에는 자갈, 모래, 화산석, 숯 등을 삽입하여, 흡수된 정화원수를 1차 여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120)는 수류의 방향에 따라 다공성 카트리지에 입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서, 막힘 현상이 발생했을 때, 카트리지 교환을 통해 여재(濾材)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120)는 정화원수 여과기능을 높이기 위해 스폰지, 화산석, 활성탄 및 숯 중 어느 하나를 내재하여 상기 격벽(1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120)는 상기 격벽(110)의 두께 및 사이 간격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120) 내부 일측에는 불순물 측정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각 단계별로 정화된 불순물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작업자가 수집하여 정보를 분석한다. 이는 각 단계별로의 여과된 정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성 매트(210)는 생분해성으로서, 소정 양의 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마그네슘이 첨가되어 정화원수와 접촉시 인(P) 및 질소(N)를 흡착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의 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마그네슘은 바닷물에서 추출한 마그네슘(Mg)이 주성분으로써, 유해물질이 없어 사람과 자연에 무해한 물질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110)은 조립형태, 용접, 체결부재로 상판과 결속되며, 상기 격벽(110) 상면에는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에 조명의 점등으로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100, 200, 300, 400)는 다수개의 입·출구(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출구(500)는 버튼식 차단막(미도시)이 설치되어 물의 순환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100, 200, 300, 400)는 합성수지, 금속, 목재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물에 대한 적응력, 내구력, 가격, 제작방법 등을 고려하였을 때,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실시예로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를 많이 선택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100, 200, 300, 400)의 하층부(180)는 정화원수와 맞닿는 외부면에, 산란 인공초를 심기 위한 그물망(600)으로 덮여 있고, 외부면 모서리 일측에 수면에서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유습지(200)에는 상기 여과성 매트(2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홈(2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600)에는 인공초 뿐만 아니라 물을 정화하는 부들류, 창포류, 물억새, 줄, 부레옥잠, 미나리, 달부리풀, 갈대, 물옥잠, 텍사, 갯버, 수련, 물배추, 어리연꽃, 물양귀비, 워터코인, 파피루스, 자라풀, 등 이중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식물을 심어 수질 정화를 돕는다.
그리고 상기 제3 부유습지(300)의 분수대(310)는 말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313)을 구비한다. 상기 분수대(310)는 취수심(131)과 취수관(133)에 연결된 펌프(130)와 연결되어 제3 부유습지(300)에 정화원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정화원수를 분출하는 것은 미관을 위한 장식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4 부유습지(400)의 식생매트(410)는 미나리, 달뿌리풀, 갈대, 물옥잠, 부레옥잠, 택사 및 수중식물들 중 둘 이상의 종류를 같이 배양하여 물을 자연정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류들이 인공산란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 자갈, 작은 인공섬 등을 상기 식생매트(410) 상면에 구비하여 어류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유습지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유습지(100)는 정화원수가 최초 공급되는 부분의 격벽(110)을 높게 하고, 층계식으로 1단계씩 낮게 격벽(110)을 설치하여 최초 물의 공급으로부터 물이 점점 밑으로 흘러가면서 여과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정화원수가 최초로 닿는 바닥면을 볼록하게 하여 정화원수가 다방면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수면에 설치되는 부유습지를 이용한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10)의 정화원수 흐름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부유습지(100)는 탑의 형태로 구현되므로 조명 설치시 미관상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도면에서는 제1 부유습지(100)의 둘레를 제2 부유습지(200)만으로 연결도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3, 제4의 부유습지(300, 4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100 : 제1 부유습지
110 : 격벽 120 : 여과부재
130 : 펌프 131 : 취수심
133 : 취수관 135 : 배출관
137 : 흡수구멍 139 : 밸브
150 : 본체부 180 : 하층부
200 : 제2 부유습지 210 : 여과성 매트
211 : 홈 300 : 제3 부유습지
310 : 분수대 313 : 노즐
400 : 제4 부유습지 410 : 식생매트
500 : 입·출구 600 : 그물망

Claims (8)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수면에 부유시키는 하층부로 이루어지는 부유습지와 이들 부유습지들로 구성되는 부유습지 시스템에 있어서,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여과부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1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1부유습지와;
    상기 제1부유습지와 연결된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다수의 격벽들로 형성된 수로로 이동시키고 수로 바닥면의 여과성 매트의 흡착을 통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제2 부유습지와;
    자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린 정화원수를 분수대를 통해 상판에 배출한 후, 타 부유습지로 제공하는 제3 부유습지와;
    식물들을 배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매트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3부유습지와의 연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원수를 상기 식물들에 의해 자연 정화되도록 하는 제4 부유습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유압식의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습지를 이용한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수류의 방향에 따라 다공성 카트리지에 입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서, 막힘 현상이 발생했을 때, 카트리지 교환을 통해 여재(濾材)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성 매트는
    생분해성으로서, 소정 양의 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마그네슘이 첨가되어 정화원수와 접촉시 인(P) 및 질소(N)를 흡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유습지의 분수대는
    말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유습지의 식생매트는
    부들류, 창포류, 물억새, 줄, 미나리, 달뿌리풀, 갈대, 물옥잠, 부레옥잠, 택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2 종류 이상을 함께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습지를 이용한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는
    합성수지, 금속, 목재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유습지의 바닥판은
    정화원수와 맞닿는 외부면에, 산란 인공초를 심기 위한 그물망으로 덮여 있고, 외부면 모서리 일측에 수면에서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KR1020110018817A 2011-03-03 2011-03-03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Active KR10105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17A KR101051611B1 (ko) 2011-03-03 2011-03-03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17A KR101051611B1 (ko) 2011-03-03 2011-03-03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611B1 true KR101051611B1 (ko) 2011-07-25

Family

ID=4492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817A Active KR101051611B1 (ko) 2011-03-03 2011-03-03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61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624A (zh) * 2011-12-17 2012-09-19 河南科技大学 景观水系前置处理系统
KR101258159B1 (ko) * 2011-08-22 2013-04-25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역세척 부유습지 및 식생형 침전 시스템
KR101343259B1 (ko) 2012-05-03 2013-12-18 문희수 수생식물을 이용한 부력식 연못정화장치
KR101638519B1 (ko) *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758847B1 (ko) * 2014-03-21 2017-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N107601675A (zh) * 2017-11-03 2018-01-19 山东省环境规划研究院 一种立体生态景观人工湿地系统
CN111003903A (zh) * 2019-12-31 2020-04-14 湖南景翌湘台环保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组合式水葫芦处理废水装置及应用
KR20210028933A (ko) 2019-09-05 2021-03-15 김현경 실내용 생태관
CN118270923A (zh) * 2024-04-07 2024-07-02 苏州同科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漂浮人工生态湿地的铺设工艺及水体净化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288A (ja) * 1993-02-08 1994-08-16 Kowa Kaihatsu Kk 湖沼や池のような静止的滞留水系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浄化装置
KR100453199B1 (ko) * 2003-05-30 2004-10-15 백순기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288A (ja) * 1993-02-08 1994-08-16 Kowa Kaihatsu Kk 湖沼や池のような静止的滞留水系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浄化装置
KR100453199B1 (ko) * 2003-05-30 2004-10-15 백순기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159B1 (ko) * 2011-08-22 2013-04-25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역세척 부유습지 및 식생형 침전 시스템
CN102674624A (zh) * 2011-12-17 2012-09-19 河南科技大学 景观水系前置处理系统
CN102674624B (zh) * 2011-12-17 2013-07-17 河南科技大学 景观水系前置处理系统
KR101343259B1 (ko) 2012-05-03 2013-12-18 문희수 수생식물을 이용한 부력식 연못정화장치
KR101758847B1 (ko) * 2014-03-21 2017-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638519B1 (ko) *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N107601675A (zh) * 2017-11-03 2018-01-19 山东省环境规划研究院 一种立体生态景观人工湿地系统
KR20210028933A (ko) 2019-09-05 2021-03-15 김현경 실내용 생태관
CN111003903A (zh) * 2019-12-31 2020-04-14 湖南景翌湘台环保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组合式水葫芦处理废水装置及应用
CN118270923A (zh) * 2024-04-07 2024-07-02 苏州同科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漂浮人工生态湿地的铺设工艺及水体净化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611B1 (ko)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CN109607975B (zh) 一种修复超富营养水体和内源性污染的人工湿地构造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1268382B1 (ko) 연안 및 자연습지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CN105174635A (zh) 多级雨水生物处理装置
KR101051612B1 (ko) 필터 교환방식의 물순환 부유습지 시스템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KR101041593B1 (ko) 우수 정화장치
CN109574240A (zh) 一种人工湿地生态污水处理系统
KR101258159B1 (ko) 역세척 부유습지 및 식생형 침전 시스템
KR101218773B1 (ko) 생태연못을 이용한 하천수 및 초기우수의 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CN205061699U (zh) 生物过滤器
CN106517672A (zh) 一种截污和生态浮床一体化系统
CN206298490U (zh) 一种截污和生态浮床一体化装置
CN215855635U (zh) 一种阶梯式农村污水生态处理系统
KR20080015136A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CN108314261A (zh) 道路排水系统
KR101218044B1 (ko) 자연형 비점 오염 처리시설
KR100437076B1 (ko) 침전, 여과 및 미생물 분해에 의한 수질정화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