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10B1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1310B1 KR101051310B1 KR1020090072961A KR20090072961A KR101051310B1 KR 101051310 B1 KR101051310 B1 KR 101051310B1 KR 1020090072961 A KR1020090072961 A KR 1020090072961A KR 20090072961 A KR20090072961 A KR 20090072961A KR 101051310 B1 KR101051310 B1 KR 101051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route
- information
- display
- dimensi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or using precalculated rou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탐색 경로 및 예상 경로 중 어느 하나인 경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경유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지는 다층 도로(multilayer road)를 삼차원 지도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roads in three dimensions and a method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of three-dimensional roads. Th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via information, which is one of a display, a search route, and an expected route, and converts a multilayer road having at least two layers on the display into a three-dimensional map according to the acquired route information. It has a control unit to display.
삼차원 지도, 다층 도로, 지하 차도 3d map, multi-storey road, underground driveway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삼차원 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3D map display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읜 삼차원 맵 표시를 위한 삼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map.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의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하나로써,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위하고 이에 나아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opening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enactment of laws relating to location information, the industry of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s being activated. As one of such location-based services, the navigation industry, which locates and guid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moves to the destination, is also rapidly being activated. Accordingly, research on navigation terminal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종래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도로를 2차원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2차원적으로 표시된 도로에 탐색된 경로, 또는 자차표시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3차원적으 로 구성되어 있는 도로를 경유하여 지나갈 때, 또는 탐색된 경로가 상기 3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에, 정확하게 어떤 도로를 경유하여 지나가야 하는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고가차도나 지하차도와 같은 다층으로 구성된 다층 도로를 지나갈 때, 탐색된 경로가, 사용자는 고가차도를 경유하여 가야 하는지 또는 지하차도를 경유하여 가야 하는지 명확하게 인식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displaying a road two-dimensionally on a navig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a searched route, a vehicle display icon, etc. on the two-dimensionally displayed road has been used. In this way, however,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passes through a three-dimensionally constituted road, or when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ly constituted road, exactly via a certain roa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learly tell the user whether to go through. For example, when passing a multi-layered multi-tiered road such as an overpass or an underpass, the searched rout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user must go through the overpass or through the underpass.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차원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3차원 도로에 관한 정보와 상기 3차원 도로를 경유하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하고 보다 알기 쉽게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that can guide the user more clearly and more clearly the information about the three-dimensional road and the route via the three-dimensional road when passing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road. There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3차원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3차원 도로에 관한 정보와 상기 3차원 도로를 경유하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하고 보다 알기 쉽게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삼차원 맵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vigation device that can guide the user more clearly and more clearly the information about the three-dimensional road and the route via the three-dimensional road via a three-dimensional roa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road in three dimension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탐색 경로 및 예상 경로 중 어느 하나인 경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경유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지는 다층 도로(multilayer road)를 삼차원 지도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waypoint information, which is any one of a display, a search path, and an expected path, and at least two display units according to the obtained waypoint inform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multilayer road having a layer on a three-dimensional map
상술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삼차원 지도 표시 방법은 탐색 경로 및 예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경유 정보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지는 다층 도로(multilayer road)를 삼차원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ther technical problem, the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via information that is at least one of the search route and the expected route; And displaying, on the three-dimensional map, a multilayer road having at least two layers according to the obtained waypoint information.
상술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 정보 생성방법은 선형 도로 데이터의 벡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 상기 벡터 정보 및 상기 3차원 도로에 대한 형상정보에 기반하여,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형상 데이터에 대한 폴리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vector information of linear road data, the linear road data, the vector informa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road. Generating shape data based on the shape information on the shape data; and generating polygon data on the shape data based on the shape data.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다층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되, 사용자에게 안내가 필요한 일부 층을 더욱 집중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게 된다. First, the user displays three-dimensional roads three-dimensionally through the navigation device, and more intensively displays some floors requiring guidance to the user, thereby guiding the route more clearly to the user.
둘째, 설정된 가상의 시점의 종류(또는 위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상기 3차원 도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3차원 도로(다층 도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3차원 도로의 입체감을 더욱 현실감 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econ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r location) of the set virtual view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about the three-dimensional road (multi-layer road) can be clearly delivered to the user and receive accurate guidance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three-dimensional road more realistically.
셋째, 사용자가 경로탐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다층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되, 사용자가 현재 경유하고 있는 일부 층을 집중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층 도로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ird, even when the user is driving without a route search, the multi-story road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but the user is intensively displaying some floors currently passing through, thus providing the user with a clearer and more accurate view of the multi-story road.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넷째, 선형 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표 시할 수 있게 된다.Fourth, three-dimensional roads can be three-dimensionally constructed and displayed using linear road data.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에 반드시 모두 탑재될 필요는 없으며,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취사 선택되어 탑재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tructure of the navigation apparatus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navigation device to be described are not necessarily all mounted on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moun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purpose of the navigation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10)는 통신부(100), 사용자 입력부(200), 출력부(300), 저장부(400), 인터페이스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통신부(100)는, 위치 확인부(110), 네트워크 통신부(120), 방송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위치 확인부(110)는, GPS모듈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는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좌표는 경도 및 위도로 표현될 수 있다. The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2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와 무선/유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20)는,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WLAN(Wireless LAN), LAN, WAN 등과 같은 인터넷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20)는 상기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상기 방송 통신부(13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다양한 부가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부가정보들에는 실시간 도로교통상황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명령어, 데이터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출력부(300)는 비디오 출력부(310) 및 오디오 출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그래픽이미지 또는 동화상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및 전자종이(e-paper)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오디오 출력부(320)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출력부(320)는, 각종 안내 메시지, 안내 방송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320)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400)는 전국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지도 데이터와 연관된 경로 안내 데이터를 구축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그리고, 경로 안내 기능을 포함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경로안내 제어 프로그램과, 경로 검색 및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제어하는 UI(user interface) 제어 프로그램과, 탐색 경로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시설물 검색을 제어하는 검색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The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SD메모리카드와 같은 카드형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외부의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전원 공급기,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장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장치 등에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제어프로그램 하에 상기 위치 확인부(1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히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고(Location),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Routing) 상기 산출된 경로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Guidance)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동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 “다층 도로(multilayer road)”는,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영역에 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도로들을 의미한다.Hereinafter, "multilayer road" refers to road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a specific section or a specific area.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다층 도로 중 서로 높이가 다른 도로들이 서로 중첩되게 지나가는 영역 또는 구간을 “중첩영역” 또는 “중첩 구간”이라고 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rea or section in which the roads having different heights pass by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n "overlapped area" or an "overlapped area".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다층 도로를 구성하는 서로 높이가 다른 도로들을 쉽게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도로에 층을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면을 따라 배치된 도로를 지상 도로라고 하며, 상기 지상 도로보다 높이 있는 도로들은, 예를 들어, 고가도로 등은 배치된 높이에 따라, 지상2층도로, 지상3층 도로 등으로 부르기로 하며, 상기 지상 도로보다 낮게 배치된 도로들은, 예를 들어, 지하차도 등은 배치된 높이에 따라, 지하1층 도로, 지하2층 도로 등으로 부르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easily distinguish and explain roads having different height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roa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giving a layer to the road.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oad generally disposed along the ground is referred to as a ground road, and roads higher than the ground road, for example, an overpass and the like, ar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ground, which is a two-story ground road. Roads arranged lower than the ground roads are referred to as three-story roads. For example, underground roadways are referred to as one underground road, two underground road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road.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다층 도로의“경유층”, 또는 "경유도로"라 함은, 상기 다층 도로의 여러 개의 층 중 탐색된 경로 또는 예측된 예상 경로가 경유하는 층의 도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경유층" 및 "경유도로"라는 말은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passing layer" or "passing road" of the multi-layer road means a road of a layer through which a searched route or a predicted predicted route is passed among several layers of the multi-layer road. Therefore, hereinafter, the words "passing layer" and "passing path" are used in the same sense.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 정보의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3차원 도로 정보의 생성방법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연결된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 해 미리 생성된 3차원 도로 정보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the navigation apparatus 10 or may be performed by an external server connected to the navigation apparatus.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may b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선형 도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벡터 정보가 산출된다(S10).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는 지도 상에서 도로를 나타내기 위한 도로의 2차원적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나아가,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는 상기 도로에 대한 각종 다양한 부가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는 상기 도로가 다층 도로인지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는 상기 다층 도로의 각 층에 대한 높이 정보(또는 깊이 정보)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ased on the linear road data, vector information is calculated (S10). The linear road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two-dimensional shape of a road for representing a road on a map. In addition, the linear road data may further include various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oad. For example, the linear road data may include data about whether the road is a multilayer road. In this case, the linear road data may further include height information (or depth information) for each floor of the multilayer road.
이어서, 상기 산출된 벡터 정보에 기반하여, 형상 데이터가 생성된다(S20).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도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가 터널인 경우에, 상기 형상은 반원 또는 반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도로가 지하차도인 경우에, 상기 형상은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형상은 앞서 설명한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Subsequently, shape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calculated vector information (S20). The shape data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oad. For example, when the road is a tunnel, the shape may be a semicircle or semi-ellipse shape, and when the road is an underground driveway, the shape may be a rectangular shape. Of course,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described above.
상기 형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형상 데이터의 폴리곤이 구성된다(S30). 상기 폴리곤을 구성하기 위하여, 폴리곤 인덱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곤 인덱스는 상기 폴리곤의 꼭지점들로 구성된 것이다.Based on the shape data, a polygon of the shape data is configured (S30). In order to construct the polygon, a polygon index may be generated. The polygon index is composed of vertices of the polyg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특히 지하차도에 대한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는 다수개의 보간점들(P1, P2, P3, P4)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the 3D roa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3 illustrates an example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for an underground roadway. The linear road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polation points P1, P2, P3, and P4.
이 때, 상기 벡터 정보는 방향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 벡터()는 i번째 보간점에서 i+1번째 보간점으로의 방향벡터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 벡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보간점(P1)에서부터 두 번째 보간점(P2)으로의 방향 벡터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vector information includes a direction vector. The direction vector ( ) Is defined as the direction vector from the i th interpolation point to the i + 1 th interpolation point.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vector ( ) Denotes a direction vector from the first interpolation point P1 to the second interpolation point P2.
이 때, 상기 각 보간점들(P1, P2, P3, P4)을 포함하며, 각 방향 벡터들(, , )에 수직한 형상 데이터들(R1, R2, R3, R4)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 데이터의 형상은 상기 도로의 수직 단면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가 반원 또는 반 타원 형상의 터널인 경우, 상기 형상 데이터는 반원 또는 반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로가 지하차도인 경우, 상기 형상 데이터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형상을 따라 배치된 점들의 좌표값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표값들은 상기 보간점들(P1, P2, P3, P4) 및 상기 방향 벡터들( , , )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상 데이터가 직사각형인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형의 각 꼭지점들(A1, B1, C1, D1)의 좌 표로 상기 형상 데이터가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interpolation points (P1, P2, P3, P4), each direction vector ( , , Shape data R1, R2, R3, and R4 perpendicular to) may be generated. The shape data may have a shape close to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oad. For example, when the road is a semi-circle or semi-elliptic tunnel, the shape data may have a semi-circle or semi-ellipse shape, and when the road is an underground roadway, the shape data may have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Can have The shape data may include coordinate values of points disposed along the shape, and the coordinate values may include the interpolation points P1, P2, P3, and P4 and the direction vectors. , , ) Can be appropriately calculated. For example, when the shape data is a rect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data may be configured by coordinates of the vertices A1, B1, C1, and D1 of the rectangle.
이어서, 상기 각 보간점들(P1, P2, P3, P4)에 대하여 생성된 형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각 형상 데이터들에 대한 폴리곤 데이터가 생성된다. Subsequently,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present the three-dimensional road using shape data generated for each of the interpolation points P1, P2, P3, and P4, polygon data for each shape data is generat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도로가 지하차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폴리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곤 데이터는 상기 지하차도를 구성하는 측벽 데이터 및 상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폴리곤 데이터는 (A1, B1, B2, A2)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꼭지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 폴리곤 데이터는 (D1, C1, C2, D2)로 이루어진 사각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측벽 폴리곤 데이터는 (A1, B1, A2), (B1, A2, B2), (C1, D1, C2) 및 (D1, C2, D2)로 각각 이루어진 삼각형의 꼭지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상판 데이터는 (B1, C1, C2, B2)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꼭지점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B1, C1, B2) 및 (C1, C2, B2)로 각각 이루어진 삼각형들의 꼭지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는 상기 지하차도에 대해서는 상판일 수 있으나, 상기 지하차도의 상층에 배치된 지상 1층 도로에 대해서는 도로면 자체일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generating the polygon data by taking an example where the three-dimensional road is an underground roadway. The polygon data may include sidewall data and upper plate data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roadway. For example, the sidewall polygon data may consist of rectangular vertices consisting of (A1, B1, B2, A2). In addition, the sidewall polygon data may relate to a quadrangle of (D1, C1, C2, D2). Alternatively, the sidewall polygon data may be formed of vertices of triangles each consisting of (A1, B1, A2), (B1, A2, B2), (C1, D1, C2), and (D1, C2, D2). Similarly, the top plate data may be composed of square vertices composed of (B1, C1, C2, B2), and also of triangles composed of (B1, C1, B2) and (C1, C2, B2), respectively. It may consist of vertices. In this case, the top plate polygon data may be a top plate for the basement roadway, but may be a road surface itself for the ground 1 floor road disposed on the upper floor of the basement roadway.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형상 데이터들을 기초로 하여, 폴리곤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based on the shape data, polygon data can be generated.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선형 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폴리곤 데이터들을 이용해, 상기 3차원 도로가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형상 데이터들의 높이, 즉, A1에서부터 B1의 높이, 그리고 상기 형상 데이터들의 폭, 즉, A1에서부터 D1까지의 폭은 각각 상기 도로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값들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폭은 실제 지하차도의 폭보다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By the above method, the three-dimensional road can be represented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polygon data generated based on linear data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heights of the shape data, that is, the heights of A1 to B1 and the widths of the shape data, that is, the widths of A1 to D1 may be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oad informat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width may be se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actual underground roadway.
상기 3차원 도로가 지하차도인 경우, 상기 지하차도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부 및 지하차도로부터 진출하기 위한 진출부에 관한 형상 데이터 및/또는 폴리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three-dimensional road is an underground roadway, the step of generating shape data and / or polygonal data regarding an entrance part for entering the underground roadway and an exit part for entering from the underground roadway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도 4 및 5는 지하차도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부의 형상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형 도로 데이터에 포함된 보간점들(P11, P12, ... , P20)은 높이값들(h1, h2, ... , h19)이 부여된 보정 보간점들(P11', P12', ... , P20')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보간점들(P11, P12, ... , P20) 각각에 부여되는 높이값들(h1, h2, ... , h19)은 상기 지하차도에 미리 설정된 높이값(또는 깊이값)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간점들(P11, P12, ... , P20) 각각에 부여되는 높이값들((h1, h2, ... , h19))은 베지에(Bezier) 곡선 기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the shape data and polygon data of the entry portion for entering the underground road. Referring to FIG. 4, interpolation points P11, P12,... And P20 included in the linear road data are corrected interpolation points to which height values h1, h2,. P11 ', P12', ..., P20 '). The height values h1, h2, ..., h19 assigned to each of the interpolation points P11, P12, ..., P20 are calculated by a height value (or depth value) preset in the underground roadway. Can be. For example, height values (h1, h2, ..., h19) assigned to each of the interpolation points P11, P12, ..., P20 are calculated by a Bezier curve technique. Can b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정 보간점들(P11', P12', ... , P20')을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의 형상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입부(또는 진출부)에는 측벽만이 존재하고, 상판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형상 데이터들에 대하여 측벽 폴리곤 데이터들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보정 보간점들로부터 폴리곤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생성하게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along the correction interpolation points P11 ′, P12 ′,..., P20 ′, rectangular shape data may be generated by a similar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since only the sidewall exists in the entry part (or the exit part) and the top plate does not exist, only sidewall polygon data may be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shape data. The method of generating polygon data from the correction interpolation points is generated in a similar manne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폴리곤 데이터들은 생성된 후, 상기 도로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벽 폴리곤 데이터들은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Polygon data generat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3차원 도로를 표시하기 위해 생성/저장된 각 종 정보들을 3차원 도로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each type of information generated / stored to display the 3D road will be referred to as 3D road information.
한편, 3차원 도로에 대한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지하차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방법은 지하차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형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for the three-dimensional roa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underground roadway, this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underground roadway, but by modifying the shape data appropriately, various types of three-dimensional road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for displaying in three dimensions.
상기와 같이 생성된 3차원 도로 정보는 상기 3차원 도로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차원 도로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상기 3차원 도로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road.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three-dimensional road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생성된 3차원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3차원 도로 중 다층 도로(multilayer road)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3차원 도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는 것 에 국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method of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by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a method of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 multilayer road among three-dimensional roads. However, 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us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6 to 8B, a method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8B illustrate an example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경로탐색을 수행한다(S100). 경로탐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performs a path search (S100). Path search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탐색된 경로가 다층 도로(MR)를 경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즉, 예를 들어, 상기 탐색된 경로 상에, 고가도로 또는 지하차도와 같은 다층 도로(MR)가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판단은,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도로에 부여되어 있는 소정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판단(S110)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탐색된 경로에 포함되어 있는 도로 식별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도로 식별 정보들 중에 다층 도로(MR)에 부여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비교/검색하여 판단하는 방법으로 상기 판단(S110)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탐색된 경로가, 다층 도로(MR)를 경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The navigation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multilayer road MR (S110). That is,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a multi-layer road MR such as an overpass or an underground road is arranged on the searched route. Such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map database stored in the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다층 도로(MR)중 탐색된 경로가 경유하는 경유도로(또는 경유층)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어, 상기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상 도로(즉, 일반적인 지상 도로)를 경유하는 것인지, 아니면,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하 도로(즉, 지하차도)를 경유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탐색된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몇 층을 경유하는지 여부도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도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The navigation apparatus 10 determines a route road (or a route floor) via a route found in the multi-layer road MR (S120). For example, whether the route is via a ground road (ie, a general ground road) of the multilayer road MR or an underground road (ie, underground roadway) of the multilayer road MR. Can be determined. How many layers of the multi-story road MR passes through the road may be determined using ro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이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다층 도로(MR)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다층 도로(MR) 중 상기 탐색된 경로가 경유하는 경유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다층 도로 중 상기 경유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다층 도로(MR) 중 상기 경유도로를 제외한 다른 도로들의 일부분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지도 또는 도로 등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 시점이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시점과 상기 경유도로의 사이에 배치된 층의 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시점에서 상기 경유도로를 볼 때, 상기 경유도로를 가리고 있는 층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Subsequently, when the navigation apparatus 10 displays the multilayer road MR on the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설정된 시점이 공중의 어느 위치에서 도로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탐색된 경로가 지하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에,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지상 도로의 일부분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상 도로의 일부분을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탐색된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하 도로를 경유함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s an example, when the view point set i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set to look down the road at any position in the air, and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underground road,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not display a portion of the ground road on th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이 때, 상기 경유층(또는, 경유도로)인 지하 1층 도로의 하부에 지하 2층 도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하 2층 도로를 상기 지하 1층 도로의 하부에 그 일부만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하 2층 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경유층(또는 경유도로)인 상기 지하 1층 도로를 장애물 없이 표시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if there is a two-story underground road below the one-story road, which is the transit floor (or a transit roa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the two-story underground road. It may be displayed in three-dimensional only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ment first floor road. In contrast,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not display the underground two-story road on the
상기와 같이, 지상 도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은, 지상 도로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실제로 경유하여야 할 경유 도로인 지하 도로가 상기 지상 도로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상기 지상 도로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범위는 상기 지상 도로 중 상기 지하 도로와 중첩되어 표시되는 부분에 한하여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상 도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은, 다층 도로의 중첩 영역 또는 중첩구간에만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of the ground road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the ground road is displayed, the underground road which is a transit road to be actually passed through is blocked by the ground road. Therefore, the range of not displaying the ground road may not be displayed only in a portion of the ground road that overlaps with the underground road. That is, not displaying the ground road may be performed only in an overlapping region or an overlapping section of the multilayer road.
상기와 같이, 상기 지상 도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지하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지하차도에 대하여 저장된 3차원 도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판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출력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는 상기 지하 도로에 대해서는 상판이 되지만,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는 상기 지상 도로에 대해서는 도로면 자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상 도로를 표시하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상판 폴리곤 데이터를 반투명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지하 도로를 더욱 중점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display the underground road without displaying the ground roa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top polygon data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road information stored with respect to the underground roadway described above. It may not be displayed on the
이이서,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된 도로들 중, 상기 탐색된 경로에 포함되어 있는 도로를 따라, 경로 표시선(R)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표시선(R)은 상기 탐색된 경로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경로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경로 표시선(R)은 상기 지하 도로를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경로 표시선(R)은 일반적인 경로 탐색에 따른 안내 경로를 나타내는 일반 경로 안내 표시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된 실시간 경로 안내 표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일반 경로 안 내 표시선과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표시선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각각 따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일반 경로 안내 표시선과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표시선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Here, the path display line R may be displayed on the
이 때, 상기와 같이, 상기 지상 도로가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반투명하게 처리되어 표시되므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상기 경로 표시선(R)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층 도로(MR)를 경유하게 되는 경우, 정확하게 어느 층의 도로를 경유하여야 하는지, 즉, 지하차도 또는 고가도로로 진입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상 도로를 표시하지 않거나 반투명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CP)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round road is not displayed on the
한편, 상기 탐색된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를 경유하며, 상기 지하 도로가 아닌 상기 지상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상기 지상 도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 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도 9a는 탐색된 경로가 상기 지하차도와 교차하는 지상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탐색된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상 도로를 따라 경유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는,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부 및 진출부는 입체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하차도는 상기 지상 도로에 가려져 표시되지 않고 있다.Meanwhile, when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multilayer road MR and passes through the ground road instead of the underground road, the navigation device 10 sends the ground road to the
상기와 같은 경우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하차도 및 상기 지하차도의 측벽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측벽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지상 도로의 이미지와 중첩되게 표시하되, 상기 측벽 폴리곤 데이터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상기 경유도로의 하부에 지하차도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display the underground roadway and sidewall polygon data of the underground roadway on the
이 때, 상기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탐색된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를 경유하되, 상기 지상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지상 도로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지하차도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경로 표시선(R)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층 도로(MR)를 경유하게 되는 경우, 정확하게 어느 층의 도로를 경유하여야 하는지, 즉, 지하차도 또는 고가도로로 진입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device 10 does not display the underground roadway covered by the ground road when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multi-layer road MR. By not doing so, the path display line R can be clearly and naturally displayed to the user. As a result,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multi-layered road MR, the user may be clearly informed of exactly which floor of the road to pass through, that is, whether to enter an underground road or an overpas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다층 도로(MR)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되, 사용자에게 안내가 필요한 일부 층을 더욱 집중적으로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multi-layered road MR in three dimensions, but focuses more on some layers requiring guidance to the user. By displaying i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ath more clearly to the user.
<제 2 실시예>≪ Embodiment 2 >
이하에서, 도 9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11B.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to 11B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현재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0).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획득된 현재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예상 경로(ER)를 예측할 수 있다(S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obtain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10 (S200).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predict the expected path ER of the navigation device 10 by using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210).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예상 경로(ER)를 예측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예상 경로(ER)를 예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도로를 판단할 수 있다(S211). 이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2). 예를 들어, 상기 도로에 할당되어 있는 도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도로에 대한 부가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현재위치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부가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예상 경로(ER)를 획득할 수 있다(S213).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도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어느 층에 해당하는 도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13).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10) 상기 현재위치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도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어느 층과 연결되는 도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계속하여 이동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과거의 움직임 경로를 더 이용하여 상기 예상 경로(ER)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예상 경로(ER)를 더욱 쉽고 더욱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navigation device 10 predicts an expected path 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0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edicting an expected path 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determine a roa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map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S211). Subsequently, the navigation apparatus 10 may acquir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oad where the navigation apparatus 10 is currently located (S212). For example, ro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road may be obtain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ro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Subsequently,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acquire an expected route ER of the navigation device 10 by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oad currently being located (S213). For example,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which floor of the multilayer road MR (S213). Alternatively, the navigation apparatus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s a road that is connected to the multilayer road MR us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navigation device 10 continues to move,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further acquire the expected path ER by using a past movement path. In this case,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more easily and more accurately obtain the expected path ER.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상기 다층 도로(MR)에 나란하게 연결되는 지상 도로가 편도 4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상기 지상 도로의 제1 및 제2 차로는 상기 다층 도로의 지하차도로 연결되고, 상기 지상 도로의 제3 및 제4 차로는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상 도로와 연결된다고 하면, 상기 획득된 현재위치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상기 제1 차로 또는 상기 제2 차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예상 경로(ER)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하차도를 경유할 것으로 예상/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제3 차로 또는 상기 제4 차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예상 경로(ER)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상 도로를 경유할 것으로 예상/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ground road connected side by side to the multilayer road MR shown in FIG. 10 is configured as a one-way four lan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lanes of the ground road is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roadway of the multilayer road, and the third and fourth lanes of the ground road are connected to the ground road of the multilayer road MR. According to the obtained curren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avigation device 10 is located in the first lane or the second lane, the navigation device 10 determines that the expected path ER is the multi-layer road MR. It is expected / determined to pass through the underground driveway.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in the third lane or the fourth lane, the navigation apparatus predicts / determines that the predicted route ER will pass through the ground road of the multilayer road MR. Done.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예상 경로(ER)를 획득하게 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다층 도로(MR)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상기 3차원 도로(다층 도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obtained and the expected path ER of the navigation device 10 is obtaine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the same as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multi-layer road MR is displayed on the
즉,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예상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를 경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예상 경로(ER)가 경유할 다층 도로(MR)의 경유도로(또는 경유층)를 판단하고(S230), 상기 경유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게 된다(S240). 이 때, 상기 각 단계들(S220, S230, S240)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S120, S130)에 각각 대응되며,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도 10은 상기 예상 경로(ER)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하차도를 경유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a 및 도 11b는 상기 예상 경로가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상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That is, the navigation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route passes through the multi-layer road MR (S220). Subsequently, the navigation apparatus 10 determines a route road (or a route layer) of the multilayer road MR through which the expected route ER will pass (S230), and passes the route to the
이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사용자가 경로 탐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다층 도로(MR)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되, 사용자가 현재 경유하고 있는 일부 층을 집중적으로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층 도로(MR)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us, 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ree-dimensional road (MR) three-dimensionally, even when the user is driving in a state that does not search for a route, By intensively displaying some floors that the user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on the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ree-dimensional road mark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는, 3차원 지도 또는 도로 등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여러 시점들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기호 등에 따라 선택된, 상기 여라 나에 따라 상기 지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navigation device 10, various viewpoints may be set to three-dimensionally display a 3D map or a road.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display the map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various choice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or preference.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시점의 종류(또는 위치)에 따라 '탑뷰'모드, '버드뷰' 모드 또는 '드라이브뷰' 모드 등에 따라 상기 지도를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three-dimensionally display the map according to a 'top view' mode, 'bird view' mode or 'drive view' mode according to the type (or location) of the user's viewpoint.
상기 '탑뷰(top view)' 모드는 사용자의 바로 위 상공에서 상기 지도를 내려다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 시점이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시점에 따라 상기 지도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The 'top view'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user's viewpoint is set as if looking down on the map from directly above the user, and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the map according to the user's viewpoint.
상기 '버드뷰' 모드는 사용자가 마치 상공의 새가 되어 지도를 내려다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 시점이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시점에 따라 상기 지도를 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The 'bird view'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user's viewpoint is set as if the user looks down on the map as if the bird is a bird in the sky, and displays the map according to the user's viewpoint.
상기 '드라이브뷰'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마치 실제로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 시점이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도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The 'drive view'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user's viewpoint is set as if the user is actually driving a vehicle, and thus the map is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외에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모드들 중 적어 도 두개의 모드에 따르는 화면들을 동시에 표시해주는 '듀얼뷰' 모드 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have a 'dual view' mode that simultaneously displays screens according to at least two modes among the modes on one screen.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의 출력 화면을 프라이머리 뷰와 세컨더리 뷰인 두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화면의 지도를 공유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자 시점에 따라 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 즉, 프라이머리 뷰 화면이 버드뷰이고, 세컨더리 뷰 화면이 탑 뷰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 mode in which an output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is divided into two screens, a primary view and a secondary view, and a map of each divided screen is shared or independently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viewpoint. That is, the primary view screen may be a bird view, and the secondary view screen may be output as the top view.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탑뷰' 모드나 '버드뷰' 모드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를 공중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시점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층 도로(MR)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경우(특히, 지하 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지하 도로는 지상 도로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하층에 있는 도로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지상 도로를, 중첩영역 등에 한하여,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set to the 'top view' mode or 'bird view' mode. For example, since the map is set to the same point of view as when the map is viewed from the air, when the multi-story road MR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particularly when passing through an underground road), the underground road is covered by the ground road. The road downstairs will not be displayed because it lose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round road is not displayed only in the overlapping area, so tha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can be more clearly transmitted.
그러나,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드라이브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하 도로의 상판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지 않거나,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에게 실제감을 더 떨어뜨리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whe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set to the 'drive view' mode, a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of the underground road is displayed o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설정된 사용자 시점의 종류(또는 위치)를 판단한다(S310). 이어서, 상기 시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다층 도로(MR)의 표시방법을 선택한다(S320). 상기 선택된 표시방법에 따라 상기 다층 도로(MR)를 표시한다(S330).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시점의 종류가 공중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즉,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버드뷰' 또는 '탑뷰'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층 도로(MR)를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판단한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type (or location) of a user viewpoint set i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determined (S310). Next, the display method of the multi-layer road M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iewpoint (S320). The multilayer road MR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ed display method (S330).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user's viewpoint is set in the air (that is, whe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set to 'bird view' or 'top view', etc.), The multi-layer road MR is determined to be displayed using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반면에,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시점이 운전자의 시점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즉,'드라이브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층 도로를 입체적으로 표시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지하차도의 상판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3차원 도로에 표시하도록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avigation apparatus 10 determines that the user's viewpoint is set near the driver's viewpoint (that is, when it is set to the 'drive view' mode), when the multi-story road i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Unlik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is determined to display on the three-dimensional road by a method of displaying the top polygon data of the underground roadway on the
도 13을 참조하면, 탐색된 경로가 다층 도로(MR)의 지하 도로(지하차도)를 경유하고 있으나, 상기 지하차도의 상판(UW)이 계속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된 경로를 따라 경로 표시선(R)이 표시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searched route passes through the underground road (underground road) of the multi-layer road MR, but the upper plate UW of the underground road is still displayed. In addition, a path display line R is displayed along the searched path.
이 때,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의 근방에 사 용자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다층 도로(MR)의 지하차도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분할하여, 하나의 화면에는 설정되어 있던 시점에서의 안내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에는 사용자 시점이 공중에 설정되어 있는 때의 안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상기 지하차도의 상판에 가려져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힘든 지하차도의 진출로 근방에 대한 정보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navigation device 10 guides the user to set the user's viewpoint near the navigation device 10 via the underground roadway of the multilayer road M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avigation device 10 divides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설정된 사용자 시점의 종류(또는 위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상기 3차원 도로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3차원 도로(다층 도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비디오 출력부(310)를 통해 표시되는 3차원 도로의 입체감을 더욱 현실감 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appropriate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r location) of the set user viewpoint and displays the 3D road on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3차원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5는 지하차도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부의 형상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the shape data and polygon data of the entry portion for entering the underground road.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7 to 8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도로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3D ro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10 to 11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도로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roa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961A KR101051310B1 (en) | 2009-08-07 | 2009-08-07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961A KR101051310B1 (en) | 2009-08-07 | 2009-08-07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8029A Division KR20110015406A (en) | 2010-11-25 | 2010-11-25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707A KR20110015707A (en) | 2011-02-17 |
KR101051310B1 true KR101051310B1 (en) | 2011-07-22 |
Family
ID=4377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2961A Active KR101051310B1 (en) | 2009-08-07 | 2009-08-07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13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2207771A1 (en) | 2022-07-28 | 2024-02-08 |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Germany GmbH |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ducing the complexity of a 3D ma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651B1 (en) | 2011-11-15 | 2013-10-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Navigation System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WO2013089480A1 (en) * | 2011-12-16 | 2013-06-20 | 팅크웨어(주)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ap according to the guiding of a navigation system |
JP6244137B2 (en) * | 2013-08-12 | 2017-12-06 | 株式会社ジオ技術研究所 | 3D map display system |
KR102407296B1 (en) * | 2015-07-30 | 2022-06-10 |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oint of interest |
CN113514072B (en) * | 2021-09-14 | 2021-12-14 | 自然资源部第三地理信息制图院 | Road matching method oriented to navigation data and large-scale drawing data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7675A (en) | 1997-03-27 | 1998-10-09 | Fujitsu Ten Ltd | Navigation system |
KR100362817B1 (en) * | 1997-10-27 | 2002-11-30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device, model transforming data used therein, device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polygon data or three-dimensional image data, navigation device for performing display on the basis of data thereof,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odel transforming data |
KR100870090B1 (en) * | 2008-03-25 | 2008-11-25 | 팅크웨어(주) | 3D map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through texture mapping |
KR100879452B1 (en) * | 2008-04-15 | 2009-01-19 | 팅크웨어(주) | 3D modeling method of linear road data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2009
- 2009-08-07 KR KR1020090072961A patent/KR1010513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7675A (en) | 1997-03-27 | 1998-10-09 | Fujitsu Ten Ltd | Navigation system |
KR100362817B1 (en) * | 1997-10-27 | 2002-11-30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device, model transforming data used therein, device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polygon data or three-dimensional image data, navigation device for performing display on the basis of data thereof,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odel transforming data |
KR100870090B1 (en) * | 2008-03-25 | 2008-11-25 | 팅크웨어(주) | 3D map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through texture mapping |
KR100879452B1 (en) * | 2008-04-15 | 2009-01-19 | 팅크웨어(주) | 3D modeling method of linear road data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2207771A1 (en) | 2022-07-28 | 2024-02-08 |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Germany GmbH |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ducing the complexity of a 3D map |
JP2024018974A (en) * | 2022-07-28 | 2024-02-08 | コンチネンタル・オートナマス・モビリティ・ジャーマニ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ducing complexity of 3D maps |
JP7605907B2 (en) | 2022-07-28 | 2024-12-24 | コンチネンタル・オートナマス・モビリティ・ジャーマニ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ducing the complexity of 3D maps - Patents.co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707A (en) | 2011-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1310B1 (en)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
CN111397628B (en) |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JP4138574B2 (en) | Car navigation system | |
KR20150076796A (en) | 3-Dimensional Indoor Route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the Method | |
CN111065891A (en) | Indoor navigation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 |
EP2272056B1 (en) | Method for providing lan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 |
JP5547407B2 (en) |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METHOD, MAP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EQUIPPED WITH STRATEGY | |
KR102360472B1 (en) | Rendering apparatus based on precise map data and method thereof | |
JP2007026200A (en) | Image processor, drawing method of icon or the like and drawing program of icon or the like | |
KR20130018119A (en) | 3d tunnel representation | |
US9423267B2 (en) |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CN104937374A (en) | Graphical Path Navigation | |
JP4902236B2 (en) | 3D map display device, 3D map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3D map display program | |
US77612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night-view map | |
JP3642776B2 (en) | Map display method of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 |
KR2022014479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view | |
KR20140089105A (en) |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route of pedestrian | |
JP5782550B2 (en) | Map display system having map data according to hierarchy, map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 |
JP4381205B2 (en) | Navigation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in the device | |
JP2013257280A (en) |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program for map display | |
JP4528739B2 (en) |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 |
KR20110015406A (en) | How to display 3D maps for navig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 |
JP6886086B2 (en) | Route guidance device, route guidance method, and program | |
JP2017118486A (en) | Vehicle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 |
JP201518097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hierarchal map data,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5 Effective date: 20110420 |
|
PJ1301 | Trial decision |
Decision date: 20110420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9 0072961 Appeal request date: 20101125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0101009032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